예전에 드라이버 큰문제로 곤혹을 치룬적이 있고 큰업뎃을통해 성능올라간적도 있어서 그렇게 뇌리에 박혀있는듯 계속 그제품을 쓰는 사람이 많아지면 그것도 없어지는데 쓰는사람이 적으니까 계속 어쩌고 저쩌고 뇌피셜을 푸는것일뿐 상식적으로 PS4~5 엑박 원 X까지 들어간 그래픽칩이 회사가 호환문제가 생긴다는게 희박하긴함
라데온 성장형 그래픽카드로 비교를 할려면, rx 570이나 580정도랑 비교해봐야 맞지 않나 싶음 그리고 라데온이 성장형 그래픽카드 소리를 들은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새로운 아키텍쳐개발을 하지 않아서 기존 아키텍쳐를 계속 우려먹어서 성장형 그래픽카드 소리를 들은 걸로 알고 있음 3dmark 점수 2배씩 올랐다는 이야기도 다 예전 gcn아키텍쳐던가 그때 이야기임.
이건 단순히 드라이버 출시 때마다 성능이 조금씩 오른다는 의미는 아니에요. 보통 그래픽카드는 첫 출시 때 벤치해서 그걸로 성능 순위를 결정해 버리는데, 라데온은 그 때 제 성능을 못내는 게임들이 꽤 있어서 시간 지나고 안정화 되면 어느정도 제 성능이 나온다는 걸 말하는 거죠. 애초 성능 잘 나오는 게임들은 드라이버 바뀐다고 변하는 게 없고, 출시 초창기 게임 자체가 제성능을 못 낼 정도로 떨어지는 게임들 몇개가 게임사와의 협업 및 최적화, 새로운 드라이버 출시, 윈도우 업데이트 등으로 성능이 오르는 거죠. 물론 가끔 드라이버에 특정한 기능 넣거나 해서 성능이 오르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그건 엔비디아도 마찬가지라 큰 의미는 없는 거고, 라데온의 성장형이라는 의미는 단순 드라이버 문제보다는 전체적인 성능 안정화라고 보면 될 거 같네요.
AMD 라데온 성장형 이미지는 실제로는 GCN1.0~2.0에서 거의 만들어진 이미지입니다.. 당시 7000번대의 초기성능과 개선된 드라이버에서의 성능차이는 어마무시했었어요 이때는 실제로 성능이 꽤나 차이가 났습니다 그때만들어진 이미지가 290시절에도 어느정도 적용이 됐고 300번부터는 그다지 큰개선은 없었습니다 많은분들이 알고있는 400번 500번 폴라리스 시절도 솔직히 상대적으로 dx구버전에서 약하고 dx12에서 힘을받았던 암드글카 상황에서 나중에 dx신버전 게임들이 추가되고 또 콘솔기반게임들 암드최적화 게임들이 대거 추가되면서 후기 벤치에서 성능이 많이올라보이는 마법으로 보였고 드라이버개선으로 성능업이된걸로 인식이된것뿐... 솔직히 폴라리스 베가 RDNA1.2같은경우는 초기나 후기나 드라이버로 인한 성능향상은 별로없습니다..;
최신 드라이버들의 중점이 추가된 기능의 실제 구현과 버그 개선에 초점이 맞춰진거 같습니다. 원래 구현되어야 하는 기능이 누락되다가 정상 작동하면서 부하가 증가해 되려 프레임이 떨어지기도 하고 버그를 잡다 새로운 버그도 나오고 어느 정도 안정성이 올라가면 성능향상 드라이버가 나오겠죠? 그보다 최신 드라이버가 6000시리즈에 맞춰 나오다 보니 RX580에서 없던 버그가 생겨서 거진 일년을 롤백...
애초에 출시 할때 드라이버가 발적화 되서 하드웨어의 성능이 제대로 나오지도 않는 상황에서 출시를 한다는 말이니 출시 초기에 암드 글카는 사지 말라는 비꼬는 말입니다. 하나 덧붙이자면 드라이버가 윈도우를 손상 시키는 이슈도 있었고... 암당 글카는 왠만하면 안사는걸 권유 합니다 암당 응원 하겠다고 몇번 삿다가 크게 디여서 저는 이제 저쪽 글카는 쳐다 보지도 않습니다.
저는 RX6800XT를 약 2년 사용 중입니다. 아드레날린 새로 나오는 즉시 update하고 있습니다. 체감상 큰 차이가 느껴지지는 않더군요. 성장형이란 말은 대췌 어디서 나온건지 ㅎㅎ . CPU도 아니고 HW아키텍처에 절대적 영향을 받는 그래픽카드가 FW up패치로 체감 크게 느낄정도로 성능개선 된다면 신버전 팀킬.. 장사 말아 먹겠죠? ㅎㅎ
예전 rx480 580이 처음 출시때는 1060 3gb도 못이기는 모습을 보여주다가 나중에 드라이버 버전이 올라가니까 1060 6gb 보다도 소폭 성능이 높게 나왔던 기억이 있네요
저는 다떠나서 민티저님의 저 순수한 광기어린 눈빛보러 옵니다 .😉
라데온도 ai로 드라이버 최적화해서 지포스처럼 드라이버 완성도를 더 올려야 된다고 봅니다 좋은건 다 따라해야죠
엔비디아는 ai분야에 꾸준한 투자로 상당한 입지를 가지고있지만 암드는....말처럼 쉬운건 아니더라구요
@@kaker8459 ai관련된건 진짜 하더놈들 싸움이라 후발주자가 낄려면 사람 빼오는거 말곤 답도 없죠
@@ikhyunkim6433 그쵸….그래서 파운더리 사업만큼 그들만의 리그가 진행중이죠
성능상으로 성장형이라기보다.. 안정성.. 버그 이 부분에서 차이가 커서 성장형 칭호를 받았던거 같습니다. 과거 라데온이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거든요..
이런 식의 데이터 정리하고 비교할려면 엉청나게 긴 시간일텐데 .
너무너무 잘 보고 갑니당
일단 게임 최적화 작업이 드라이버만으로 이루어지는게 아니라 게임과 협업으로 이루어지는걸로 알고 있고
대부분 지포스 중심으로 개발된걸 나중에 amd에 최적화되서 성장형으로 불리는것도 있어요.
단순하게 로아만 봐도 알 수 있죠.
저도 로아땜시 죽겠습니다 ㅎㅎ
요즘은 로아 성능 어떤가요?
6600xt 가성비로 중고 매물 살까해서요
성장형은 너무 점잖고 이쁜 포장이네요 팔다리가 자란다고 합시다 프레임은 둘째치고 온갖 버그가 넘쳐나는 초반 드라이버들은 진짜
모니터 스피커 충돌나서 소리 깨지는거 보면
아직도 드라이버는 진짜...
실상은 재활형 그래픽카드죠 ㅋㅋ
진짜 하반신이 자라나는 느낌...
@@nebeul8893 7900xt 쓰는데 가끔 드라이버 타임아웃 뜰때마다 4080 레퍼마려워요
ㄹㅇㅋㅋㅋㅋ
이렇게 깔끔하게 정리 요약 이면 업무능력도 1티어급 이실듯
😆
반도체 엔지니어분이시자나요 ㄷㄷ
그리고 성장형 유튜버 민티저!!
예전에 드라이버 큰문제로 곤혹을 치룬적이 있고 큰업뎃을통해 성능올라간적도 있어서 그렇게 뇌리에 박혀있는듯 계속 그제품을 쓰는 사람이 많아지면 그것도 없어지는데 쓰는사람이 적으니까 계속 어쩌고 저쩌고 뇌피셜을 푸는것일뿐 상식적으로 PS4~5 엑박 원 X까지 들어간 그래픽칩이 회사가 호환문제가 생긴다는게 희박하긴함
완성형이 되길 ❤
그런데 6700XT 부터는 안정성 많이 확보된듯.. 그놈의 불안하다 소리는 6700XT 미만 버전에 해당하는듯..
라데온 성장형 그래픽카드로 비교를 할려면,
rx 570이나 580정도랑 비교해봐야 맞지 않나 싶음
그리고 라데온이 성장형 그래픽카드 소리를 들은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새로운 아키텍쳐개발을 하지 않아서 기존 아키텍쳐를 계속 우려먹어서
성장형 그래픽카드 소리를 들은 걸로 알고 있음
3dmark 점수 2배씩 올랐다는 이야기도
다 예전 gcn아키텍쳐던가 그때 이야기임.
이건 단순히 드라이버 출시 때마다 성능이 조금씩 오른다는 의미는 아니에요. 보통 그래픽카드는 첫 출시 때 벤치해서 그걸로 성능 순위를 결정해 버리는데, 라데온은 그 때 제 성능을 못내는 게임들이 꽤 있어서 시간 지나고 안정화 되면 어느정도 제 성능이 나온다는 걸 말하는 거죠.
애초 성능 잘 나오는 게임들은 드라이버 바뀐다고 변하는 게 없고, 출시 초창기 게임 자체가 제성능을 못 낼 정도로 떨어지는 게임들 몇개가 게임사와의 협업 및 최적화, 새로운 드라이버 출시, 윈도우 업데이트 등으로 성능이 오르는 거죠.
물론 가끔 드라이버에 특정한 기능 넣거나 해서 성능이 오르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그건 엔비디아도 마찬가지라 큰 의미는 없는 거고, 라데온의 성장형이라는 의미는 단순 드라이버 문제보다는 전체적인 성능 안정화라고 보면 될 거 같네요.
안정화가 유난히 amd 카탈리스트&아드레날린에서 유독 보이니까 성장형이라고 표현하는거예요
성장이 아닌 재활이죠 ㅋㅋ
선 추천 후 감상
궁금했던내용 잘봤습니다~
기본적으론 게임업체문제죠. 라데온문제라기보단.. 근데 한편으론 지포스 점유율이 워낙압도적이라.. 사용자가 많은쪽 위주로 최적화는 어쩔수가 없죠.. 아예 친엠당게임이라면 개발시 엠디에서 지원을 하니깐 괞찮은거고. 나머진 특히 출시때는 얄짤없슴..업데이트 패치는 나중에... 그게 성장형이란말일듯
그럼에도 국내 온라인게임은 너무함.. 그래도 라데온도 최적화 많이하는 aaa만 하니...개인적 별상관은 없다요.
제 컴이 cpu가 i5 12400f에 그래픽카드가 rx6600 입니다 게임을 별루 안하는데 피파 정도 ㅋ
조합이 과연 좋은지 나쁜지 잘 모르겠어요 그냥
물론 컴 사용에는 만족하는데 amd cpu를 했어야 했나하고 혹 부조합적인 조합은 아닌가요?
작업을 같이 하다보니까 항상 라데온은 선택에서 제외된다는 점이 참 아쉽긴 함.
이런 노가다를 하시다니...ㄷㄷㄷ
AMD 라데온 성장형 이미지는 실제로는
GCN1.0~2.0에서 거의 만들어진 이미지입니다.. 당시 7000번대의 초기성능과 개선된 드라이버에서의 성능차이는 어마무시했었어요 이때는 실제로 성능이 꽤나 차이가 났습니다
그때만들어진 이미지가 290시절에도 어느정도 적용이 됐고 300번부터는 그다지 큰개선은 없었습니다
많은분들이 알고있는 400번 500번 폴라리스 시절도 솔직히 상대적으로 dx구버전에서 약하고 dx12에서 힘을받았던 암드글카 상황에서
나중에 dx신버전 게임들이 추가되고 또 콘솔기반게임들 암드최적화 게임들이 대거 추가되면서 후기 벤치에서 성능이 많이올라보이는 마법으로 보였고 드라이버개선으로 성능업이된걸로 인식이된것뿐...
솔직히 폴라리스 베가 RDNA1.2같은경우는 초기나 후기나 드라이버로 인한 성능향상은 별로없습니다..;
차라리 매트록스 그래픽 분야 인수 했다면 어떨까 합니다. 매트록스가 시장에서 밀려 났지만 드라이버 안정성과 기판 설계는 유명한데
지금도 nvidia 와 radeon 둘다 꼭 하나씩 새제품 구입하지만 지금도 신경 많이써주면서 쓰는게 라데온 이네요 ㅎ
형! 형수님 미용실력은 언제쯤 성장하는 걸까???
오늘 앞머리 참빗스타일이 인상적인데.....
아주 단아해~~
최신 드라이버들의 중점이 추가된 기능의 실제 구현과 버그 개선에 초점이 맞춰진거 같습니다.
원래 구현되어야 하는 기능이 누락되다가 정상 작동하면서 부하가 증가해 되려 프레임이 떨어지기도 하고
버그를 잡다 새로운 버그도 나오고 어느 정도 안정성이 올라가면 성능향상 드라이버가 나오겠죠?
그보다 최신 드라이버가 6000시리즈에 맞춰 나오다 보니 RX580에서 없던 버그가 생겨서 거진 일년을 롤백...
일단 드라이버 차이로 성능향상볼려면 3~4년이상은 숙성이 되어야 하나 보군요.
매번 테스트하느라 고생이 많네요~ㅎ
항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게임 성능만 놓고 본다면 나쁘지는 않지만... 앞으로 다양한 ai나 하드웨어 가속 사용하려면 엔비디아 말고는 선택지가 없네요.
그래도 맥에서는 꾸준히 라데온을 써주기는 하는데...
엔디비아가 큰 돈써서 쿠다 생태계를 먼저 만들어 논 이유죠 ㄷㄷ
맥도 이제 독립했지 않았나요?
맥에서 쓰던거도 2019년 모델까지고 2020년부터는 애플실리콘으로 이주해서 라데온 안쓰죠 ㅋ
민형은 성장형 맞는듯
이제 진정한 성장형은 인텔이지
게임 버전도 차이가 있지 않을까요? AAA게임들 자체가 AMD 그래픽카드 최적화가 안 좋은 편이니...
성장판이 닫혔나봐요;;; 요즘 구글 크롬 즐겨찾기 아이콘들이 언제부턴가 깨져서 라데온은 고민이 많게 하네요;;;
폴라리스계열, 즉 RX400 ~ 500 에선 드라이버별 성능차가 꽤 심합니다.
성능은 높았는데 최적화가 힘들고 게임 성능이 낮아서 RDNA아기텍쳐로 바꾼겁니다.
폴라리스는 드라이버를따지기전에 와트맨->언더볼팅성능향상이라는 바리에이션도존재해서 비교하기힘든케이스죠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성장형은 듣기에는 좋지만.... 제 2070도 성장했으면 좋겠네요 ㅎㅎ 예를들어서 3천시리즈 이상만 지원된다는 슈퍼 레졸류션...?
현재 미지원인 RTX 붙은 그래픽카드도 추후 다 지원할거라고 했음
성장형 프레임이었네요
요즘 7900xt 시리즈는 어떤가요? 제가 쓰는 3d cad(siemens NX)의 뷰포트 성능이 라데온의 이번 드라이버 업뎃이후 엄청 좋아져서 엔당 쿼드로 대신 고민중인데, 성장형 그래픽카드라는 말이 진짠가보네요.
안정형이라고 봐야죠
그래도 안정성은 드라이버거듭할수록 올라와서 그걸로 만족해야하는데......
6800xt 쓰는중에 다른건 다 잘되는데 롤만 하면 화면 프리징현상으로 매번 재부팅해야하는데 이거 혹시 해결방법 아시나요... 유명한 문제던데
이거 때매 지포스로 갈아탈 예정인데 돈이 아깝네여 ㅠ
기존 글카 드라이버ddu로 삭제하고 지금글카 드라이버 다시깔아보시죠
넵 가장 최근 버전이긴한데 말씀하시는대로 한번 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혹시 드라이버만 설치를 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아드레날린까지 설치하는게 나을까요?
장애형,재활형이 맞죠. 덜만든거 내놓는것도 하루이틀이지...
라데온화이팅!
Pc온라인게임 최적화가 느린데. 이게 패치되면서 뒤늦게 성능 향상이 됨.
라데온 관계자 인터뷰 온라인게임 성능 말해보니 답변 콘솔게임 잘되잖아요....
인텔은 진화형인가요?
성장형은 100의 성능을 내던 제품이 120,130씩 내는게 성장하는거고 암드는 100의 성능을 내야하는 제품이 50,60에서 시작해서 몇년이 지나야 100에 근접하는거니 재활형이 맞긴하죠
성장형은 너무 미화시킨게 맞음 ㅋㅋㅋ
ㅋㅋㅋㅋ재활형ㅋㅋㅋㄱㄲ
컴잘알 형님들 친구한테 글카 뺀 7700k 본체 5만원 주고 샀는데 쓸만할까요? 글카 산다면 어떤게 좋을까요?(배그 많이 해욤)
까탈리스트는 까탈스럽지만.. 아드레날린은 유저들 아드레날린 치솟게 만들어줍니다... 게임하다 블루스크린 뜨면 십중팔구 아드레날린 오류 뜬거...
지금은 또 1~2% 성장했을꺼에요. ㅋㅋㅋㅋㅋㅋㅋ
진화하는 글카 ㄹㅇ
ㅋㅋㅋㅋㅋ rx 6600사용자인데 윈도우 G 눌러서 활성화 하는거 xbox 뭐시기 게임할때 겁나 끊기는 거랑 윈도우 pip 모드 안되는거 드라이버 오류좀 나면 팬속도 조절한거 초기화 되니까 좀빡칩니다.
성장형이라기보다는 갱생형이 맞지 않을까요
저도 사용해봤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좋은건 아닌것 같아요
성장 안해도 되니 첨부터 잘나왔으면 ㅠ.ㅠ
ㅋㅋㅋ 그러게 말입니다. 엔비디아는 처음부터 드라이버도 제대로 나와서 추가 성능개선이 조금씩 더 이뤄지는 경우가 많은데,
AMD는 초기 드라이버는 부실하게 만들고 정상화 시켜가는 과정. ㅋㅋ
라데온 6700xt는 나비아키텍처라 성장형하고는 거리가멀고 실제 라데온 gcn4.0버전기반까지는 성장형이 맞긴하죠 실제 hd7970은 출시때랑 지금이랑 1.6배정도 성능이 향상되긴해서 ㅋ
극한이긴한데 작년?재작년?에 하배서 290x 유저가 극한으로 끌어올린면도 있지만
480뺨때리는 성능까지 뽑아내는거 보고 놀랬습니다 ㅋㅋ
라이젠이고 라데온이고 성장이 아니고 처음부터 HW 포텐이 다 나오게 하긴 힘든지 모르겠네요
물어볼때가 없어 여기물어봅니다 게이밍 글카랑 일반 글카랑 성능차이가 확연히 나오나요?
라데온은 기본 3년은 묵혀둬야 제 맛이 납니다
결론
출시일 성능이 최대 성능.. 드라이버로 성능 향상 기대 하지 말자.
잘봤습니다 근데 라데온은 안써요 ㅎ
드라이버 성장이 아니라 게임사 지원이 늦어서 게임 최적화가 늦는게 아닐까요
성장(판닫힘)형....ㅠㅠ
결론: 하드웨어는 고정. 소프트웨어가 최적화를 못시킴. 결국 출시한지 몇년지나야 겨유 원성능을 내는것. 이에반해 엔비다는 최적화를 잘시킴 하드웨어도 우월함 끝. 결국 싼맛에 라데온삿다가 미신처럼 저리하는거.
아드레날린 진짜 용량만 크고 소스도 퍼먹고... 지포스처럼 익스피리언스랑 드라이버 나눠주지
아드레날린 드라이버가 윈도우를 손상시킬수 있다는 이슈가..
드라이버는 점점 성장하는데 게임최적화는 점점 후퇴합니다 그리고 윈도우11에서 지포스보다 오류가 너무 많습니다
괜히 게이머들이 지포스 선택하는 게 아닙니다
까탈리스트>(소비자 열받게 하는)아드레날린 ㅗㅜㅑ
난 완성형을 원한다
구세대카드들 지원이더중요한거같습니다 엔비디아가 구세대글카지원이 욕이나올정도로 똥이더라구요 GTX980서브컴 최신드라이버썻는데 헤일로인피니트 9프레임 가디언즈오브갤럭시 20프레임나오는거 좀오래된거쓰니정상이던;
참고로 Radeon 라데온 그래픽카드를 쓰고 싶은 사람들있어도 어쩔수 RTX를 쓸수밖게 없다 독점기력때문에
카탈리스트는 까탈스럽더니
아드레날린은 아드레날린맞고
흥분한건지 ㅁㅊ건지....쯧
계속 라데온쓰지만 UI나 그런건
다좋은데 성능은 왜이모양인지ㅎ
라데온 사도되나요? 게임할떄 막 오류 자주 발생한다던대...
6750xt 쓰는 중이고 크게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돈 있으시면 그냥 엔비디아 사세요
엔비디아만 써온 유저로서 라데온이 어떤지 몰랐는데 쭉 안써야겠네 ㅋㅋㅋ
RX5700XT 사고싶다
성장기간이 너무 길다는게 최대 단점이네요...
신개념 사후 성장으로 가즈아
성장이 아니라 재활이겠지
라데온 그래픽카드 안정성은 올라가나요?
돈은 완성품 가격을 다주는데, 성장형을 써야 한다는게 아이러니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래서 동급 엔비디아 보다 싸죠...새거도 엔비디아 경쟁제품 대비 80%정도의 가격대고, 중고는 찾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적어 거의 60% 수준;;; 고로 중고로 줍줍하면 가성비!!
리사수 누님…글카좀 신경 써주이소
RTX로 가길 잘했구먼
rx 6800사용중인데 월페이퍼엔진에 앱플레이어 돌리면 그린스크린이 자주떠서 암걸릴거같아요.....
애초에 출시 할때 드라이버가 발적화 되서 하드웨어의 성능이 제대로 나오지도 않는 상황에서 출시를 한다는 말이니 출시 초기에 암드 글카는 사지 말라는 비꼬는 말입니다. 하나 덧붙이자면 드라이버가 윈도우를 손상 시키는 이슈도 있었고... 암당 글카는 왠만하면 안사는걸 권유 합니다 암당 응원 하겠다고 몇번 삿다가 크게 디여서 저는 이제 저쪽 글카는 쳐다 보지도 않습니다.
570 쓰고 있는데 성능이 올라가는 것 보단 판업글시 불안정성이 더 크다는 문제가 숨어있습니다.
매번 채굴하시던 분들이 쓰던 안정화 툴 안 나오면 아드레날린 창 열리지도 않아요...
성장형이란 프레임때문에 혹하는 분들 없으시길 바랍니다.
진심 말리고 싶어요
저정도 드라이버 성능 차이는 엔비디아도 있을듯;
성장형? 슬럼프형???
23.5.2 드라이버 날짜로 성능 더 오름
흥미로운 실험이네요~ 혹시 구형 드라이버 설치하실때 ddu로 지우기만 하셨나요 아니면 포맷을 시키고 하셨나요?
DDU로 삭제 후 재설치 했습니당🤓
RX580으로 테스트 했어야 맞죠.
진정한 보급형의 전설인데
왠 뜬금없는 67 57을 테스트 했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오
단어가 좋아 성장형이지 그냥 드라이버가 구린거죠. 선 출시 후 개선이 정상은 아닙니다.
진정한 성장형은… 인텔 글카가 아닐까요? ㅋㅋㅋㅋㅋㅋㅋ
원래 그래픽 카드의 주 사용 목적이 게임용인데 이미 엔비디아가 훨씬 더 프레임이 잘 나오는 바람에 깡성능으로 작업 처리량을 늘려서 상업용으로 노린적이 있었죠 라데온 그래픽 카드는 서민용 작업 그래픽 카드로는 좋아요 나머지는 엔비디아가 월등한것 같아요
라데온이 vram가성비가 좋아서 괜찮긴 한데 쿠다랑 호환성때문에 엔비디아가 작업도 더좋음..
업뎃하다가 벽돌되는건 진화 실패인가..
시간이 지날 수록 성능이 좋아진다-> x
시간이 지날 수록 문제가 적어진다-> ㅇ 근데 심지어 이것도 아닌거 같긴함.....
현재 라라랜드 5600x에 rx590 쓰는데 점점 오류가 심해짐.
3600x 에 6700xt를 씁니디만 업뎃할때마다 5~10%씩 성능향상 있었습니디. 보드를 a시리즈 쓰셔서 대역폭 때문에 씹힌거 아닐가 하네요
아무리그래도 전 라데온 다시는 안쓸듯ㅋㅋㅋㅋ
라데온은 성장형이 아니라, 환자 상태로 출시됐다가, 업데이트로 치료 받고 정상이 되는 느낌...?
게임은 엔비디아 뭐 그래픽작업은 암드라고하는데 다필요없고
걍 엔비디아가 짱임, 암드 예전에 사서 게임하자마자 그래픽깨지는거보고 암드는 다신 안사겠다 마음먹었죠...
라데온은 미완성 그래픽카드입니다
한번 디여보면 다신 안쓰고싶어요
1년전과 지금의 드라이버라면 엔비디아도 마찬가지로 향상이 그정도는 될건데..굳이 라데온만 성장형이라고 보긴 어려울듯 합니다.
초기 드라이버가 개똥인가봐요 ㅋㅋㅋ
라데온은 전혀 스윙하고 있지 않아
스윙이란 말이죠~
저는 RX6800XT를 약 2년 사용 중입니다. 아드레날린 새로 나오는 즉시 update하고 있습니다. 체감상 큰 차이가 느껴지지는 않더군요. 성장형이란 말은 대췌 어디서 나온건지 ㅎㅎ . CPU도 아니고 HW아키텍처에 절대적 영향을 받는 그래픽카드가 FW up패치로 체감 크게 느낄정도로 성능개선 된다면 신버전 팀킬.. 장사 말아 먹겠죠? ㅎㅎ
사실 가끔 퇴화도 됨 ㅋㅋ
성장형... 버그픽스겟죠...
성장은 개뿔 소음 고주파나 잡았으면 좋겠음
이번에도 엄청난 벤치노가다 하고 오셨네요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