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쏭달쏭’ 플라스틱 분리수거…“너무 까다롭고, 불편” / KBS 2021.09.23.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앵커]
    환경부는 지난해 말 플라스틱 분리 수거 기준을 대폭 강화했습니다.
    하지만, 이게 제대로 지켜지진 않고 있는데요.
    배출 기준 자체가 너무 까다롭고 복잡하다는 불만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조휴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아파트 단지의 쓰레기 분리수거장.
    플라스틱을 따로 모으고 있습니다.
    라벨을 안 뗀 병이 섞여 있습니다.
    또다른 아파트 단집니다.
    투명 플라스틱병들을 제외한 다른 쓰레기들을 모아두는 포댑니다.
    하지만 보시는 것처럼 이렇게 라벨도 떼지 않은 투명 생수병들이 버려져 있습니다.
    환경부의 지침상, 플라스틱은 우선, 투명과 불투명을 구분해서 배출해야 합니다.
    이 가운데, 투명 제품은 내용물은 비우고, 찌그러뜨려서 버려야 합니다.
    또, 라벨은 떼어내야 하는데, 뚜껑은 덮어놔야 합니다.
    불투명 플라스틱은 재질을 파악해 구분해서 버려야 합니다.
    시민들로선 너무 까다롭고 복잡합니다.
    [최문웅/아파트 주민 : "플라스틱이나. 아크릴 종류도 있고. 병 종류도 많아요. 그런데 이제 분리하는 데가. 어디 다가 넣어야 될지..."]
    아파트 경비원들의 일만 늘었다는 하소연도 나옵니다.
    지침을 어기면 해당 아파트 단지에 건당 최고 3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노영이/아파트 관리사무소장 : "경비원분들의 분리수거 관련 업무가 늘어난 게 사실이고. 그래서 관리규약에도 분리수거 업무를 명시하기로 했습니다."]
    애당초 라벨 없는 제품을 만들면 될 게 아니냐는 비판도 나옵니다.
    [김상진/춘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 : "참여도가 상당히 낮아질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많이 들어요. 기업의 책임을 시민들에게 떠 넘기는 게 아닌가..."]
    올해 말이면 투명 플라스틱 분리 배출 의무화 대상이 현행 300세대 이상 아파트에서 단독주택으로까지 확대될 예정이라, 시민들의 불만은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됩니다.
    KBS 뉴스 조휴연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КОМЕНТАР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