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누구인가]자신의 주인으로 산다는 것(최진석 교수), 자기 주도적 삶, 인생의 진정한 주인 되기, 인문학과 자아탐색, 일상에서의 창조력과 혁신, 삶의 기준 설정, 니체와 장자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3 бер 2014
  • 이 프로그램은 경희대학교와 재단법인 플라톤 아카데미가 함께 기획하고, SBS CNBC가 촬영한 인문학, 최고의 공부 '나는 누구인가'의 강연입니다.
    ▣ 강의 일시 : 2013. 10. 21
    ▣ 강의 장소 : 경희대학교
    ▣ 강사 : 최진석 교수(서강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 건명원 초대원장
    - 2023 한국의희망 상임대표
    -저서: 『인간이 그리는 무늬(소나무, 2023)』, 『최진석의 말(2024 일력)(궁리, 2023)』, 『노자와 장자에 기대어(북루덴스, 2023』, 『나를 향해 걷는 열 걸음(열림원, 2022)』 등
    #독립적인사고 #주체력과자율성 #질문의힘 #삶의의미 #자기혁신과실천 #자기관리 #나의존엄성찾기 #성인의가르침넘어서기

КОМЕНТАРІ • 1,5 тис.

  • @platonacademytv
    @platonacademytv  2 роки тому +134

    강연 컨텐츠의 저작권은 '(재)플라톤 아카데미'에 있으며 본 영상 저작물에 대한 무단 도용/배포/재가공 등을 금합니다.

  • @dongkyulee6145
    @dongkyulee6145 3 роки тому +781

    이 강의가 업로드 되고난 후 5년째 업무적으로 중요한 고비가 있을때마다 100회 이상 들은 것 같습니다. 그 후 많은 일들에 자신감도 생기고 성과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새로운 도전, 목표로 어려움과 두려움을 겪을 때 이 강의를 들어보세요~~

  • @kwontube_2023
    @kwontube_2023 Рік тому +189

    유튜브의 가치는 어디까지인지..
    대단합니다..이런 강의를 손쉽게 들을 수 있다는게 믿겨지지 않네요..
    우리 모두는 행운아 입니다.

    • @user-dz4ql6cy4y
      @user-dz4ql6cy4y Рік тому +3

      격하게 공감합니다..

    • @user-hd5uc3du2l
      @user-hd5uc3du2l Рік тому

      정말로충격 그자체이군요. 저 강의의 내용은 인간의 주체성과, 타인의 생각을 끊임없이 검토하고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것이 분명 교훈이고 메시지일터인데, 댓글창에는 어째서 전부다 칭찬일색이고, 권위주의적이며,
      자기주체성을 가지고 의문을 던지는 댓글은 찾아보기 힘든것인가? 저 강의의 교수님은
      타인에게 충고하지말고, 자신또한 충고듣지 않는다고 하였는데, 이미 자신이 하고있는 강연행위 자체가 충고하기와 충고듣기의 최고의 장 아닌가?

    • @user-hd5uc3du2l
      @user-hd5uc3du2l Рік тому

      "인간의 주체적인 활동. 경계에서서 의심을 하고, 자신의 기준을 생산해야 한다."라는 말을 하고 한글로 단어를 쓴시점에서,
      결국 그모든 생각도 학습된것이 될수도 있는것 아닌가? "이론"과 "일상"이 다르다고 했는데,
      "일상"이란 단어를 사용했고, 그 단어는 정의되고 서술되어서 머리속에서 쓴시점에서 그것또한 하나의 개념이자 이론이 되지 않는가?

    • @user-tx4mv8eu5x
      @user-tx4mv8eu5x Рік тому +2

      @@user-hd5uc3du2l 모순을 올바르게 적용할 수 있는 것 또한 지혜의 기능중 하나죠.

    • @user-on7rm3fn8o
      @user-on7rm3fn8o 5 місяців тому

      @user-js2ml1yn2b 인간이 곧 신이다. 상상력을 가진 모든 자들이 곧 자기 자신의 신이다. 한 사람, 한 사람 모두가 자신의 우주 안에 살고 있고, 자신의 우주를 만들어가는 양자역학적이며, 다중우주를 선택해 가는 선택적 기로에 순간순간 놓여있다. 성경은 삶의 지혜를 가르치는 훌륭한 책이 맞다. 하지만 불경 역시 삶의 지혜를 가르치는 훌륭한 지혜가 많다. 성경 또한 인간의 상상력으로 만들어진 인간사의 통찰력이다, 정말 수많은 책과 성공학과 인문학과 소설과 수많은 종교를 답습하다보면 결국 진리는 하나이다. 자기 자신이 곧 신이라는 것이다. 먼저 인간사회를 경험한 선배들의 통찰력들을 모두 읽어보면, 결국 인생의 가이드북은 책이고, 철학이고, 성공학이고, 성경이고, 불경이고, 종교학적인 가르침이다. 당신은 무엇을 위해 신을 믿는가, 당신이 만약 스스로의 통찰력을 믿지 못하거나, 통찰력을 가지고 있지 못해 신을 믿는다면, 그 또한 당신의 선택이다. 당신은 당신이 택한 우주를 만들어 나아갈 뿐이다. 더 거대한 패턴을 찾아라, 어쩌면 성경처럼 이 우주만물에 법칙과 패턴을 심어놓은 창조자는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 창조자가 지극히 인간이라는 일개 생명체에게 관여할 확률 역시 극하게 작다. 다만 인간은 어떠한 이유에서인지 그 관찰력을 가지게 되었다. 그 관찰로 법칙과 패턴을 찾을 수 있고, 그것이 바로 통찰력이고, 상상력이고, 호기심이다. 이곳에서부터 모두 시작된다. 질문으로부터 모든 깨달음이 시작된다. 타인에게 자신의 종교를 강조하지 말고, 조언도 충고도 하지말아라. 나는 최직석 교수가 했던말처럼 개인들이 자발적인 생명력으로 이루어진 사회를 꿈 꿀 뿐이다. 모두가 별처럼 살다가길 바랄 뿐이다. 우린 무엇이든 될 수 있다. 남에게 조아리는 인생은 살지말길 바란다. 자신을 믿지못해 타인을, 신을 섬기는 사회보다는 개개인이 왕이되는 자유자본 민주주의를 응원한다. 별처럼 경쟁하고, 별처럼 살다가자.

  • @user-zm2dl1pk2k
    @user-zm2dl1pk2k 3 роки тому +261

    몇년을 반복해서 들어도 명강의 맞습니다.
    특히 후두부분에
    자신의 주체성.
    자기의 존엄성
    죽기전까지 간직하라.
    뭉쿨 합니다.
    강하고.자유롭게.자신의 인생을 살아봅시다.

  • @user-gf5fo5vu4e
    @user-gf5fo5vu4e 4 роки тому +197

    자기 존엄을 지키려고 하는 존재는 절대 뇌물을 받을 수 없다. 진리죠.
    봉투가 일상적이던 때에 교사를 하면서 봉투를 안 받기 위해 애쓰며 살았습니다.
    유혹이 만만치 않았지만 결국 이겨냈지요. 자존심이 강했던 때문이라 생각했는데, 저의 존엄을 지키려고 애쓴 때문이었군요.
    탁월한 강의, 고맙습니다.

    • @user-pm7nv9qz8r
      @user-pm7nv9qz8r 3 роки тому +12

      정"의로운 인"간의 희"망을 보았습니다 ~ 윤리적 주체성의 힘을 보유 하셨네요
      추카 합니다 ㅋ ㅋ ~ 이시대에 참지식의 생산자로 사는 철학자 최진석 님 이 부럽습니다

    • @dukeunchung3379
      @dukeunchung3379 3 роки тому +15

      뇌물을 받지 않는 것은 자존감이고요. 남을 의식하지 않는 행위
      받아 쳐먹다가 들켜서 자살하는 행위는 자존심이지요. 남을 의식하는행위

    • @user-bo4ui7px4i
      @user-bo4ui7px4i 2 роки тому +1

      뇌물을 받지않는게 당연한건데 그것에 흔들렸다고 하는게..

    • @user-mi3sr6xr1g
      @user-mi3sr6xr1g 2 роки тому +5

      @@user-bo4ui7px4i 상황 분위기에 따라 사람이면 흔들릴 수 있지..완전한 사람이 어디있겠느ㅑ

    • @user-bo4ui7px4i
      @user-bo4ui7px4i 2 роки тому +4

      @@user-mi3sr6xr1g 교사라는 직업상 사명감과 직업의식이 뚜렷해야한다고 보고 인성과 교육을 하는만큼 그런마음또한 옳고 분명함을 알아야한다고 생각해서 한자남겼네요~
      분명한 자기확신과 신념이 있다면 그것을 분별할줄 알고 사회의 분위기 상황을분석할줄 아는 안목을 갖어야하는게 맞아야된다고 생각해요. 뇌물을 받지않는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촌지와같은것은 즉 돈을받음으로서 학생들에게 돌아갈수 있는 차별과 불합당한 일들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고 그러한 마음가짐 한사람한사람이 사회문화와 분위기를 만드는것이죠. 뇌물은 범죄입니다. 실수라면.몰랐다면 모를까. 인간이 완전함이 어디있겠냐며 말하는것은 좀 안맞는것 같네요

  • @phoenix2718Utube
    @phoenix2718Utube 8 років тому +517

    "
    죽기 전에 버려서는 안 될 두 가지
    1. 자기 자신에 대한 무한 신뢰
    2. 자기 자신에 대한 무한 사랑
    "

    • @kimseonjong84
      @kimseonjong84 5 років тому +23

      그러고 싶은데 아직도 이 사회에는 겸손을 강요하는 꼰대마인드가 존재하지요...무슨 자존감 자신감 이러면 싸가지없는 놈으로 매도를 해버리는 꼰대마인드...겸손을 강요하는 꼰대들도 남앞에서 나는 잘났다 이러면서 말이지요... 내로남불

    • @user-dm1ch9rr6b
      @user-dm1ch9rr6b 4 роки тому +6

      감사합니다

    • @user-sf9lg4ny4b
      @user-sf9lg4ny4b 3 роки тому +4

      감사합니다~^^

    • @user-gf5fo5vu4e
      @user-gf5fo5vu4e 3 роки тому +2

      得道하셨군요. 축하드립니다.
      저의 경우 자기신뢰는 가능한데,
      자기애가 모자라는 성향인지,...저에 대한 사랑은 아직도 낯설고 거북하고...그러네요.

    •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2 роки тому +2

      대한민국 🇰🇷 자유민주주의 지킴이 🇰🇷
      👉 피닉스님 신뢰 사랑
      💕 본인이 직접 나를 인정합니다
      👍멋찐 👄 입질 👄 입니다

  • @user-mw1vd8ze4t
    @user-mw1vd8ze4t 3 роки тому +228

    역대 최고의 강의라 생각한다...눈물날 정도로 벅찬 강의다...

  • @zzangamom_
    @zzangamom_ Рік тому +33

    윤리 이념에 따라 뇌물을 받지 않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존엄성에 따라 뇌물을 받지 않는 것이란 말씀 참 인상깊었습니다.
    항상 기준이 세상이 만들어낸 이념이 아니라 ‘나’가 되어야 한다는 말씀 잘 들었습니다.
    좋은 UA-cam 강연을 시청 한 후에 느낀 점을 댓글로 작성해서 경계에 서 보는 것도 가치 있는 일이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도대체 어느 기준에 맞춰 살아야 할까 고민 하던 찰나에 정말 좋은 강연을 들어 가슴은 벅차 오르고 혼란스러웠던 모든 것은 정리 되는 느낌입니다.
    읽고 배우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읽고 배운 것을 실천에 행하며 경계선은 운동을 하는 사람으로 주체적으로 자족적으로 내 마음에 따라 살아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sangdohan1640
    @sangdohan1640 4 роки тому +90

    36:50 배우는 것은 아름다운 일이지만, 배우는 것이 습관이 되면 자기표현에 장애를 갖게 된다.

    • @hoonchoi7262
      @hoonchoi7262 3 роки тому +4

    • @flaneurleon750
      @flaneurleon750 2 роки тому +2

      하,..... 절대 바로 다가오는 뜻이 아니라.
      계속 배우고, 공부하며 무언가를 깨달아 가면서.
      오히려.
      제 주장은 '자기표현(주장의 확신)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상대방과의 관계 걱정에 참...
      그런데.
      때때로.
      너의 모든 주장을 다 파괴시켜 버리겠어/ 하고 관계를 끊을 생각으로
      터지진 않고. 한 2~3년 소소하게 살고 있습니다..ㅋㅋㅋ

  • @user-sf6ei6oh3q
    @user-sf6ei6oh3q 5 років тому +218

    놀라운강의
    교수님의 강렬한눈빛에 놀라고
    강의 내용에 놀랍고,
    이강의를 들을수 있어서 아주 감사하네요.

  • @SinZik
    @SinZik Рік тому +21

    범불안장애 공황장애를 극복하는데 이 영상이 가장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user-mu8iq8su6t
    @user-mu8iq8su6t 11 місяців тому +21

    다시 들어도 자아를 돌이켜 세상을 살아 가는 에너지를 제공해 주는 훌륭한 강연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 @user-rp7vc9lj7g
      @user-rp7vc9lj7g 9 місяців тому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그야말로 주식의정석을 보여주고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 @Ann-wj8jd
    @Ann-wj8jd Рік тому +51

    최진석 교수님의 강의는
    최고의 명강의입니다 10 여년 전이나 지금이나
    여전히 빛나는 눈빛과 열정, 카리스마 그리고 여유와 유함
    정말 감사합니다 교수님^^

  • @Digital_Nomad_1004
    @Digital_Nomad_1004 4 роки тому +207

    태어나서 이러케 깊고 넓은 통찰력을 가진 인문학자는 난생 첨봄..!
    최진석 교수님은 어느 대단한 종교 지도자보다 더 위에 존재함을 인정합니다 ~ 쵝오 !! 짱 !!! 존경합니다 ~♡

    • @user-gm3hn5sr1d
      @user-gm3hn5sr1d 3 роки тому +10

      인정

    • @jasmine9206
      @jasmine9206 3 роки тому +8

      me too 100%

    • @user-ep2vy4yl7j
      @user-ep2vy4yl7j 2 роки тому +6

      천프로 만프로 공감 인정
      최고이십니다👍👍👍👍

    • @jsahn1042
      @jsahn1042 2 роки тому +4

      네 안철수 선대위원장이었죠.

    • @b.i.h156
      @b.i.h156 Рік тому +1

      별로 공감안감

  • @GentleRain
    @GentleRain Рік тому +66

    보편화된 이념과, 주체적인 생각을 분리하는 방법, 그리고 이를 반복적으로 연습하면서 익숙해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끼는 요즘입니다.
    내가 극적으로 '무언가 엄청나게 달라져야'만 지금의 심리적인 아픔으로부터 탈피할 수 있겠다는 믿음을 근본적으로 깨부수는 방법을 계속 이야기해왔는데요. 비슷한 시각의 영상이라서 반가웠어요. 경계에 선 목소리로 힘 있는 강의를 해주신 최진석 교수님께 감사 드립니다.

  • @user-qs8gh4ie6j
    @user-qs8gh4ie6j 4 роки тому +53

    나를 표현하는것.. 나의 존엄을 침해하는것에 저항하라..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 @chai9268
    @chai9268 2 роки тому +24

    자신에 대한 무한한 신로
    자신에 대한 무한한 사랑.
    눈물나게 와닿는 말씀입니다
    고맙습니다 교수님

  • @user-bo2yn8hv8j
    @user-bo2yn8hv8j 5 років тому +13

    나는 누구인가?
    사회의 기준과 타인들의 시선에 맞추게 위해서 살아왔다. 결국 나는 사회에 필요한 존재가 되어가고 있지만 동시에 망가지고 있다는게 느껴진다. 내가하는 모든 행동들은
    사실 강력한 힘이 없다. 내 스스로의 욕망이 없기 때문에 결국 나는 타인을 위해 일하고 있는 것 같다. 나는 점점 무기력해지고 교수님 말씀처럼 모든것이 이삿짐처럼 느껴진다. 이제 내려놓아야겠다. 너무 힘이 든다. 내 인생의 주인공이 된다는 것 그것만큼 내인생에서 중요한게 있을까?...
    타인을 기분좋게하고 인정받기위해 노력하는 사람은 타인이 조금이라도 안좋아 보이거나 회사에서의 약간의 실수만 해도 몇일동안 불안해하고 고통스러워한다... 과연 그게 나를 위한 인생인가.....?
    넌 곰곰히 생각할 필요가 있다.
    모든건 너의 기준점 니 마음속 욕망을 똑바로 바라보지 못했기 때문일거다..
    몸도 힘들고 지치지만 나는 내 인생의 주인공이 되보려고 한다.
    나는 나를 믿겠다. 내가 원하는 욕망을 찾아보겠다. 이미 죽어버린 내 욕망을 되살릴 수 있도록 나에게 집중하겠다.
    나는 나고 너는 너다. 내인생을 선택하는건 나고 나만이 내 인생을 바꿀 수 있다. 가보자

  • @kelly-nj1fw
    @kelly-nj1fw Рік тому +10

    나다움을 지켜 나가는 것이 때론 모난 돌처럼 느껴지곤 했습니다. 경계인의 유연함이 강점으로 느껴지면서도 때론 어디에도 온전히 속하지 못하는 외로움도 절감해야 했는데요.
    약해지지 않도록 스스로를 격려하며 살아가야겠습니다. 어디에서도 듣지 못한 중요한 깨우침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ex1dx7vw8q
    @user-ex1dx7vw8q 10 днів тому

    생각날 때마다 듣고, 그 때마다 새로운 깨달음을 얻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m2178910
    @m2178910 3 роки тому +51

    내 인생에 들어본 강의중에 단연 최고다!!!!!!! 난 지금 나를 표현하고 싶다!!!!!!!!! 최진석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 @dukeunchung3379
      @dukeunchung3379 3 роки тому +1

      !!!!많이 쓴다고 강조 되나?졸렬해보이지

  • @knutpark1003
    @knutpark1003 Рік тому +25

    최교수님의 예리한 삶에대한 철학적 관찰력 많은 깨달음을 줍니다. 8년전 강의임에도 오늘도 살아 움직입니다. 감사합니다.

  • @Kim-qv7hd
    @Kim-qv7hd 4 роки тому +123

    나를 침해하는것에 저항해야한다..
    자기 자신에대한 무한신뢰
    자기 자신에대한 무한 사랑..
    감사합니다...

    • @user-hv4py8vs6v
      @user-hv4py8vs6v 4 роки тому +2

      자기 기준이 없으니 한국인의기준이 없으니 자신의 간판두영어두 기재하시나봐요.
      혹시 검은머리 외국인신가요?

  • @azureluna7
    @azureluna7 2 роки тому +16

    잘 봤습니다. 좋은 강의입니다. 오늘날의 개인들애게도 사회에게도 역사에게도 반드시 필요한 강연 내용입니다.

  • @user-qe2hf9dx4b
    @user-qe2hf9dx4b 7 років тому +108

    정말 수십번을 보고 또 봐도 질리지 않는 최고의 강의~!!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user-vu2cg3kr6x
    @user-vu2cg3kr6x 4 роки тому +24

    교수님과 동시대에 산다는것
    감사합니다

  • @user-wn4rb9hp5u
    @user-wn4rb9hp5u Рік тому +23

    힘들고 지쳐있을때 들으면
    교수님 강의 최고입니다
    교수님 우리곁에 오래도록
    건강하게 계셔주세요♡ ()()

  • @user-hc3il6hk7k
    @user-hc3il6hk7k 2 роки тому +14

    좋은 강의 정말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주체적인 삶이 무엇인지에 대해 더 깊게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제는 저 자신으로서 살아간다는게 무엇인지 알 것 같습니다.

  • @jsrkim307
    @jsrkim307 2 роки тому +10

    새해를 시작하며 이 강연을 듣게 되어 감사합니다. 이 말씀이 저 자신을 반드시 움직이는 동력이 되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 @user-rq5ib6vq4j
    @user-rq5ib6vq4j 4 роки тому +6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우리는 늘 " 나로 살아가는 기쁨 "을 위해 나의 내면의 소리에 늘 귀기울여겠습니다.

  • @themindfulnessstudio2701
    @themindfulnessstudio2701 2 роки тому +13

    교수님에 대한 무한신뢰..
    몇년전 부터 반복해 듣습니다.

  • @user-rc7pu8kh2f
    @user-rc7pu8kh2f 4 роки тому +8

    몇 번 들어도 명가의 입니다.
    주인으로 살아야하는 통찰의 시간을 느끼게 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vb1ej2ox5b
    @user-vb1ej2ox5b 4 роки тому +7

    살아있는것은 유연하다
    라는 말씀에 다시한번 자신을 돌아보게되어서
    참감사합니다

  • @user-np4fn1ml9s
    @user-np4fn1ml9s 2 роки тому +7

    교수님 강의 너무 좋아요
    깨달음을 주네요.
    많이 배웠습니다~

  • @TV-zb5jo
    @TV-zb5jo Рік тому

    최진석 교수님 최고의 강의에 감사합니다. 철학을 알게 해주신 교수님을 존경합니다. 사랑합니다.늘 건강하시길 기도 드립니다.

  • @user-tf8xt6hs9z
    @user-tf8xt6hs9z 3 роки тому +14

    인간이 존재하는 그 본질 내지 그 지향을 갈파한 강의라 생각됩니다. 교수님의 열강! 감사합니다.

  • @dct725
    @dct725 5 років тому +40

    좋은 강의 볼수 있어서 감사합니다~ 저는 언제나 보편적 이념에 비교해 괴로워한던 일인이었는데 주체적인 삶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수 있는 계기가 된거 같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합니당!!

  • @user-im3ce2my3b
    @user-im3ce2my3b 2 роки тому +53

    저의 심장이 빠르게 뛰고 숨이 벅차오르는 이 경험 와우~뭐죠 명강의입니다~ 교수님 눈빛에서도 힘이 느껴지고 시작부터
    끝까지 압권 !
    감사합니다~

  • @user-qc9wj1xj1l
    @user-qc9wj1xj1l Рік тому +12

    명강의, 지혜롭고 이치를 깨닫는 강의 고맙습니다

  • @user-wp4dv8re6i
    @user-wp4dv8re6i 2 роки тому +5

    참 나를 찾게하고 알게 하면서
    오직 내 삶의 주인공으로 살게 합니다 감사합니다 덕분입니다 행복합니다 희망입니다 고맙습니다 기적입니다 축복입니다 🥰

  • @user-ex1jx2ln7z
    @user-ex1jx2ln7z Рік тому +9

    4년전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2022년 12월에 다시 듣습니다
    나에 대해 돌이켜 보는시간이 필요할때 교수님 강의가 필요하더군요
    좋은 강의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 @user-ny4wj6jq4b
    @user-ny4wj6jq4b 3 роки тому +3

    너무나 훌륭하신강의 정말 감사드리고, 나의소중한 존엄성 꼭 지키면서 살아가겠읍니다.

  • @user-cl1md8lu6j
    @user-cl1md8lu6j 4 роки тому +11

    저도 강의를 정말 많이 듣는 사람인데 댓글은 처음 달아 봅니다. 명강의 잘 듣고 갑니다.
    교수님 강의 듣고 또 듣고......,
    들을때마다 새롭습니다. 마음다해 고맙습니다

  • @sujunglee8154
    @sujunglee8154 3 роки тому +95

    제가.. 요즘 고민하는것이 있는데 우연히 최진석 교수님의 강연을 듣고는.. 아 마음으로 눈물이 맺힌거 같은 기분입니다. 좋은 지성 나누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fh8kk6kb7z
    @user-fh8kk6kb7z Рік тому +12

    최교수님~~
    수많은 강의 들었지만 ㅠㅠ
    창조적입니다
    고민했던 부분들이 해결 되어서
    감사합니다~~
    당신은 진정 살아 있습니다

  • @davidkim5500
    @davidkim5500 5 років тому +41

    현재의 나를 점검하는 계기가 되는 뜻깊은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oes1954
    @oes1954 3 роки тому +10

    새하늘과새땅을
    살아가게된기쁨으로
    내영혼을춤추게하는
    명강을하신교수님께깊히감사드립니다!!!

  • @user-nv4st7yk4f
    @user-nv4st7yk4f 4 роки тому +3

    교수님 강의 아주 좋은마음으로 잘듣고갑니다 감사합니다...

  • @rns7996
    @rns7996 5 років тому +75

    이런 강의를 감명깊게 들을수 있는 사람이 많다는 게 놀랍네요.
    경계에 서 있다는 것이 회색분자로 몰릴수도 있고 줏대없는 사람으로 보일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몰릴수 있는 것까지 감수할수 있는 용기와 행동이 필요하기때문에 쉬운일이 아닙니다.
    욕망의 주체로 산다는 것도 비윤리적인 사람으로 보일수 있습니다.
    내 기준으로 산다는 것은 정말 어렵고 용기가 필요한 겁니다.
    남들이 '예'라고 말할때 '아니오'라고 말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입니까!!!
    그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경계에 서서 내 기준으로 사는 것의 보상은 지금 죽어도 여한이 없다는 생각으로 옵니다.

    • @prbm5668
      @prbm5668 4 роки тому +1

      그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경계에 서서 나로 사는 것의 보상은 지금 죽어도 여한이 없다는 생각. 정말 와닿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nb9dm6kq2k
      @user-nb9dm6kq2k 3 роки тому +1

      경계에 선 사람이라는 바른 뜻은, 修己治人 중, 수기가 확립되어 사람을 뜻하는데, 최진석 교수도 그 말뜻을 명료하게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강의를 하다보니, 강의 내용이 부실하네요. 그러므로 그 분의 말을 액면 그대로 받아 들이면 안 됩니다. 자연의 이치에 어두고 세상물정도 알지 못하면서, 함부로 욕망의 주체가 되고자 하면 사회적으로 매장될 수밖에 없습니다. 공자도, 70이 되어서야, 종심소욕불유구라고 했습니다.

    • @Gotnani
      @Gotnani Рік тому

      저도 남들기준에 맞춰 사느니 살날이 하루가 남았다해도 나 자신으로 살고 죽는게 낫다고 항상 생각합니다

  • @chekorea
    @chekorea 9 років тому +58

    이 강의가 개인적으로 가장 좋았습니다.

  • @user-uz5fr7wv8o
    @user-uz5fr7wv8o 3 роки тому +3

    다시 들어서 더욱 새로운 명강의, 심혈을 기울인 강의에 다시 깨어납니다.
    나자신을 먼저 개혁하라는 말씀 명심합니다.
    감사합니다~~

  • @MyoungJu-xy1bh
    @MyoungJu-xy1bh 3 роки тому +90

    아, 진짜 명강의, 경계에 서 보신 분만이 하실 수 있는 말씀들입니다. 교수님의 눈빛에서 인간의 존엄과 위엄이 느껴지네요. 감사합니다~

    • @user-ht3yy1dw3j
      @user-ht3yy1dw3j Рік тому

      맞습니다.
      명강의~!

    • @user-zz7bk3gn5v
      @user-zz7bk3gn5v Рік тому

      알레루야 ~찬미예수님 ~참으로 ~귀한말씀~명강~교수님~강렬한 눈빛~경계 에~선사람들만이~느껴질 ~호소력~감사합니다 ~눈물이나고~심장이~두근두근 ~성령님음성으로~느껴짐니다~몇년전~들었지만~오늘~다른느낌으로%들려옴~인문학#철학#과학적~통찰력~장자이야기~대붕을~만난듯~기쁜소식 ~놀랍고~놀라움~주님안에서 ~정의와평화로 ~우리사회가~더욱더~아침해처럼~태양의맛 처럼~환하게~비취지길~기원합니다 ~좋은세상~시편1편~8편~주님의손가락으로~그려진세상~역대상4장~말씀~야베스기도처럼~존귀한자로~하느님께서~허락해주시길~청하며~찬미예수님 #찬미부처님~모든성인들과함께~우리주예수그리스도를통하여비나이다 ~아멘~성령님함께#동행하시고~역사하소서~고맙습니다 ~알레루야 ~샬롬 (*♡*)@

  • @suxk2969
    @suxk2969 5 років тому +66

    죽은자의 말은 죽어 뻣뻣하여 움직일 수 없고 산자의 세상은 쉴 틈 없이 유연하게 움직이죠 그러니 죽은자의 이론에 치우쳐 살면 안되고 이론과 일상의 경계에서 나의 삶에 이로운 이론들을 조금씩 활용하며 살아야 자신은 유연한 사고를 갖게되어 진정 나의 삶을 살 수 있는거 같네요

  • @user-tb3hs5uc1s
    @user-tb3hs5uc1s 5 років тому +72

    감사합니다. 언제나 자기 자신이 하찮아 보였고 그것때문에 괴로웠습니다. 남들과 비교하면서 항상 저자제로 자신을 사랑하지 않고 돌보지 않았었어요.. 경계에 선 다는 것 자유를 위해 운동하겠습니다. 46분 영상을 처음 보기 시작했을땐.. 넘 길다 요약같은건 없나?
    했는데.. 놀라운 이야길 듣다보니 영상이 순식간에 끝났어요. 오늘은 제 인생에 있어서 정말 좋은날이예요~!

  • @user-mq6yp8tt2r
    @user-mq6yp8tt2r 4 місяці тому +1

    71세인데 처음 듣는 강의인데 참 명 강의네요
    엣날 국민 학교만 나왔지만 강의 내용이 이해가 잘 되네요
    가끔 들어야겠어요
    선생님 강의 잘 듣겠습니다.

  • @cutty4998
    @cutty4998 3 місяці тому +1

    정말 오랜만에 다시 듣습니다 나는 나를 무한히 사랑합니다. 나는 나를 무한히 신뢰합니다.
    교수님 사랑합니다.

  • @phoenix2718Utube
    @phoenix2718Utube 8 років тому +105

    "배우는 것은 아름다운 일. 하지만 습관이 되면 자기표현의 장애를 갖게 된다."

  • @user-ex1jx2ln7z
    @user-ex1jx2ln7z 5 років тому +25

    평소 존경하는 최진석 교수님의 명강의
    정말 감명깊게 들었습니다
    노자의 경계에 선다라는 의미를 다시한번 느끼게 되었습니다
    장자편도 아주 인상 깊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qr6oj9hq5i
    @user-qr6oj9hq5i 3 роки тому +2

    듣고 듣고 또 들어도 늘 새로운
    진리의 말씀에 왜 나는 늘 힘이 나는지요
    한 말씀 한 말씀이 어찌 그리 반가운지
    모르겠습니다.

  • @user-ym3jr3wh9r
    @user-ym3jr3wh9r 4 роки тому +44

    정말 멋진 강의십니다. 귀에 쏙쏙 가슴에 팡팡! 어쩌면 그렇게도 어려운 말들을 쉽게 설명해주시는지.. 한마디 한마디 열정을 담아 꼭꼭 씹어서 들려주시는듯!
    다시 들어도 집중해서 듣게 되네요.

  • @user-zk6go8uz4g
    @user-zk6go8uz4g 3 роки тому +22

    몇 번을 경청했는데 들을때마다 세포가 살아납니다. 고맙습니다~!

  • @user-rz7zf3he5k
    @user-rz7zf3he5k 4 роки тому +69

    최진석교수님 존경합니다. 2020년 시작하는 시점에 이렇게 좋은 강의 듣게되서 영광입니다 .보다 더 온전한 나로 살기위해 노력하겠습니다 .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 @danyesophia
    @danyesophia 2 роки тому +1

    나는누구인가의 담론에 대한 최진석교수님의 강의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

  • @k-azime3384
    @k-azime3384 4 роки тому +4

    아름답고, 가치이고, 강하고, 자유로운 모든 분들께 좋은 일들이 자꾸자꾸 일어납니다 ~🎶☘️😁🍀

  • @user-xl5gq9tn3x
    @user-xl5gq9tn3x 4 роки тому +125

    ***요약***
    사회에서 통용되는 기준을 자기기준으로 잡았을때 우리는 조심스럽고 두려워핢. 그래서
    * 항상 왜소한 존재로 자기를 인식하고
    * 이념을 잘 지키느냐로 자신의 지위와 가치를 결정한다.
    (이 기준은 보편성, 객관성을 띄기 때문에 자신과 끊임없이 비교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기기준을 한쪽으로 치우쳐지지 않는 기준(경계)을 가져야함.
    *경계
    읽기와 쓰기의 경계
    배우기와 표현하기의 경계
    듣기와 말하기의 경계
    (좋고 나쁜 모든 이념은 편향적이기 때문에 중립을 유지하라는 말)
    그렇다면 생각 이상으로 강하고 자유로워지며 야성이 깨어나며 욕망하게 된다.
    *욕망
    (욕구와 달리 가질 수 없는 것들)
    ***절대 해서는 안될 것 ***
    1. 충고하기
    2. 남의 충고 듣기
    (충고를 듣고 내 길을 바꾸는 미련한 짓은 하지마라)
    ***절대 버려서는 안될 것***
    1. 자기 자신에 대한 무한 신뢰
    2. 자기자신에 대한 무한 사랑
    ***이야기편 ***
    1. 윤편 수레바퀴 생산자
    책을 열심히 읽는 왕에게 수레바퀴를 만드는 윤편이라는 사람이 한마디건넴
    "왕이 읽는 책들은 다 찌꺼기 입니다"
    그 이유는 수레바퀴를 만들기 위해선 오로지 느슨하게,빡빡하게도 아닌 적당히 깍아야 합니다.
    오로지 손의 감을 통해서만 만들수 있기에 제자에게 자신의 기술을 전수 해줄수가 없습니다.
    오로지 제자 스스로가 시행착오를 통해 알아내야 하는 것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백날 왕이 읽는 책들은 그저 지난 찌꺼기에 불과하고
    스스로 경험하고 생각해 얻게 되어 누구에게도 전수할수 없는
    유일무이한 본인만의 감각만이 진리입니다.
    2. 장자 철학자
    초나라 위왕이 장자에게 재상(부통령급)을 권유함
    하지만 장자는 거절함
    장자 왈
    " 재상자리는 화려하지만 결국 제물로 바쳐져 죽게 되는 화려한 제삿상 전용 소와 같지 않습니까?
    저는 차라리 진흙탕 속에서 스스로 즐기는 삶을 택하지 천하에 얽매이는 삶은 선택하지 않겠습니다"
    (천하를 따르지 않고 내 욕망을 따르겠다는 소신)
    3. 양주 철학자
    양주 왈
    " 내 정강이의 털 한올을 뽑아서 천하가 이롭다 하더라도 정강이에 난 털 한올을 뽑지 않겠다."
    (양주는 개인의 자발성에서 나온 힘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사회는 약하다 라고 봄
    즉 개인들의 자발적인 생명력으로 이루어진 사회가 무너지지않는 진리라는 뜻)
    4. 노자 철학자
    노자 왈 " 자기자신을 천하만큼 사랑하는 사람에게 천하를 맡긴다고 말함 "
    ( 나와 천하를 동급화 시킨 자발성을 통한것이 진정한 천하지
    이념이 지배하는 틀에 갇힌 나로 이루어진 사람은 답도없다는 말)
    5. 함석헌 철학자
    자기혁명 주장
    함석헌 왈
    "세계에서 학생운동을 가장 많이 했던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
    그러나 정의, 도덕을 외쳤던 횟수만큼 정의와 도덕이 발전했나?
    아쉽지만 아니다
    그 이유는 학생들은 혁명하는 개별자들이 혁명되지 않은채 혁명을 외쳤기 때문이다"
    ( 자발성,독립성,주체성,주체력이 상실했다는 뜻)
    * 자발성,독립성,주체성,주체력, 이것은 개인적인 범위안에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회의 변혁, 발전, 품격, 직접적으로 기원이 되는것이라 함
    6. 60살 미대교수에게 최석헌 교수가 한마디
    60대 교수 왈
    " 내나이 60인데도 배우는 즐거움이 여전하다네
    "최석헌 교수 왈
    " 교수님 예술을 하긴 글렀네요 "
    (이제 그만배우고 자신을 표현하라는 말,
    배우는것은 아름다운 일이지만 습관이 되면 자기표현의 장애를 갖는다)
    *** 마무리 ***
    우리가 살아간다는 것은
    정해진 것 수용하는 것이 아니다.
    학습하는데 제한된 것이 아니다.
    정해진 것 실천하는 것이 아니다.
    그저 내가 한 번은 정해보는것
    이자 나를 표현하는 것이다.
    2020.3.22
    영상ㅈ라 기네

    • @boksooson5330
      @boksooson5330 3 роки тому +3

      너무 잘 요약하여 감사합니다 최진석 교수님강의 처음듣고 무한반복해 내걸 만들어 볼까하여 경계에 서지않고 강한 사람이 되고자 합니다

    • @minseon1226
      @minseon1226 3 роки тому +1

      감사요~ㅎㅎ

    • @LJJ.5551
      @LJJ.5551 3 роки тому +1

      감사합니다.

    • @user-ye7xb5xf4w
      @user-ye7xb5xf4w 3 роки тому +1

      감사합니다

    • @Outof-representation
      @Outof-representation 3 роки тому +1

      감사합니다

  • @user-mm6qq4uw2y
    @user-mm6qq4uw2y 6 років тому +25

    계속듣고 싶은 교수님의 강의 많이좀 올라왔음 좋겠네요.. 이시대의 진정한 철학자

  • @user-lg4yb7hc7l
    @user-lg4yb7hc7l Рік тому +5

    참으로 감사한 강의입니다
    명강의는 마음에 남아 열매를 맺습니다
    감사합니다 ♥️

  • @user-gg7bg1ub6t
    @user-gg7bg1ub6t 2 місяці тому +1

    교수님 강의를 듣게 된지 5년이 되었는데 이제야 이해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 @danaedutainer9024
    @danaedutainer9024 6 років тому +17

    모든 창조적 동력의 출발점..
    나는 잘났다
    조금 눈치채고 있었지만 앞으로는 더 괜찮은 나로 내가 키우겠다
    하루에도 열두 번 넘어지겠지만 경계를 잊지 않겠다
    나는 나의 존엄을 상기한다
    최진석 선생님 감사합니다...

  • @user-fq1iu8vy6p
    @user-fq1iu8vy6p 4 роки тому +11

    저를 다시 돌아보며 피해의식을 가지고 두려워하며 자신을 비관했는데 교수님 말씀에 새로운 나를 발견했습니다
    창조적 동력의 출발점에서 다시 서게 하는 힘 주심 감사합니다

  • @seungmyoungkateyoo2448
    @seungmyoungkateyoo2448 4 роки тому +9

    명강의입니다. 끝까지 보시면서 즐기신 분들과 이 기쁨을 나누고 싶습니다.

  • @user-uo9fn1ce9i
    @user-uo9fn1ce9i 3 роки тому +5

    멋진 강의 감사합니다🎁🎉10번도 더 들었는데 항상 감동입니다😍무한신뢰 무한 사랑😘 나는 진정 존엄하고 멋진 존재입니다

  • @user-vz7es3bo5q
    @user-vz7es3bo5q Рік тому +9

    와~~~오래전 영상이지만
    가슴에 많이 와 닿습니다
    좋아하는 분인데...
    역시 최고의 명강의 입니다

  • @emjoo27
    @emjoo27 Рік тому +6

    제가 제 아이를 바라보며 지난 3년간 겪고 있는 고민과 딜레마를 너무 명료하게 해결해 주셨습니다.
    이제부터라도 제 아이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는 연습을 해보고자 합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user-xx7tw1pd7g
    @user-xx7tw1pd7g 2 роки тому +37

    삶의 기준에 맞춰 살려는 제 삶에 한 줄기 새 물길을 터주신 최진석 교수님. 강의력에 반하고 강의 질에 반하였습니다. 제 자리에서 무한신뢰와 사랑을 기반으로 자발과 존엄으로 뭉쳐 자력으로 살아나 살아가도록 확인하는 삶 시작할게요! 건강하세요.

  • @user-pf9mv5wf4b
    @user-pf9mv5wf4b 2 роки тому +5

    아주 좋은 인생가치를 가르켜 주셔서 미스터 최진석교수님께 감사하고 수고하십니다!

  • @imagine7071
    @imagine7071 7 місяців тому +3

    강의를 듣고 또 듣게 됩니다. 들을 때마다 새로운 깨달음이 들어옵니다. 최진석 교수님 좋은 강의 너무 감사드립니다.

  • @user-gk8mi1wy2j
    @user-gk8mi1wy2j 4 роки тому +26

    내 삶의 주인으로 내가 살아간다는 것
    최진석 교수님의 명강의에 박수를 보냅니다 유튜브의 순기능이 바로 이런 강의를 손쉽게 접한다는 것이죠

  • @user-wo5kc1zk7p
    @user-wo5kc1zk7p Рік тому +1

    최고에
    명강의 에
    감사드립니다 ^^
    정신이 번쩍 하고
    눈망울을 빛나게
    합니다 ^^
    감사드립니다 ^^

  • @user-ej2xf4lc3m
    @user-ej2xf4lc3m 2 роки тому +1

    최진석님 강의는
    살아가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ptalove
    @ptalove 8 років тому +152

    교수님 눈빛이 열정 자체입니다. 좋은 강의 듣고 갑니다.

  • @gracecho219
    @gracecho219 3 роки тому +3

    최고! 내가 생각했던것들 표현하지 못했던것들 이강의속에 다 있네요.

  • @user-ru7ou2to8q
    @user-ru7ou2to8q 3 роки тому +1

    최진석 멘토님 무결점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 @hoyoungjang5767
    @hoyoungjang5767 4 роки тому +8

    살면서 이렇게 뜨거운 눈물을 흘린적이 있을까 싶습니다.
    경계의 자아로 운동하겠습니다!

  • @user-wo6zz3md2v
    @user-wo6zz3md2v Рік тому +25

    진짜 내 인생을 변화하게 만들어준 최고의 강의!!!!

  • @user-ye8rx5kv8b
    @user-ye8rx5kv8b 3 роки тому +7

    왜케...눈물이 나려하는지...감동입니다.
    깊이있게 느껴지는 깨달음...감사합니다.

  • @user-sk2sy1gy7h
    @user-sk2sy1gy7h Рік тому +9

    이런 명강의를 32살에 유튜브를 통해 알게 되어 너무나도 감사하고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거의 50분 남짓이지만 저 자리에 앉아있는 사람들처럼 집중하며 가슴에 새기고 또 새기는 시간이 되네요

    • @user-hd5uc3du2l
      @user-hd5uc3du2l Рік тому

      정말로 훌륭한 강의이고, 그안에 담긴 메시지도 교훈이 크지만. 전 의구심이 듭니다.
      경계에 서서.. 타인이 아닌 자신을 주체로 놓는것이 강의의 주요메시지인데,
      애초에 이강의 자체도 하나의 거대한 충고하기 아닐까요? 이미 제가 강의를 듣는 순간 주체성을 잃고, 충고듣는 입장이 된것일수도 있지 않을까요? 인간이 능동적으로 생각하고, 주체적으로 생각한다고 했는데,
      이 "능동적으로 생각하고, 주체적으로 움직인다"는 생각조차도, 그행위조차도 학습되고 피동적인 행태가 아니라고, 어떻게 장담할수있습니까?

    • @user-hd5uc3du2l
      @user-hd5uc3du2l Рік тому

      또한 저는 의문이 듭니다. 과연 인간은 자신의 주체성과 자유의지만으로. 도덕과 윤리에 다가갈수있는가?
      또한, 인간의 행위 즉, "운동"이라는 단어를 이미 인간이 머릿속에서 생각해낸 시점에서 그것이 이론이 아니라고 장담할수있는가?

  • @bianchi1108
    @bianchi1108 2 роки тому +12

    7년전에 아주힘든 시기에 선생님강연을듣고 펑픵울었던게생각이납니다
    지금 다시검색해서
    내속에 숨막힘이무엇인지 찾아주시네요
    제진정존경하는 철학자세요
    선생님덕분에 고정관념에갇혀사는 따라쟁이가아니라내삶을위햐 살아가야할 끈기힘 정말 머리가맞는순간이었어요

  • @ysj7899
    @ysj7899 3 роки тому +7

    교수님, 감사합니다 철학적인 강의라 처음에는 어려울 것 같다고 느꼈는데, 잘 설명해주셔서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이 동영상을 통해 제가 누구인지를 알아가는 것에 많은 도움을 받은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xn5ss2kz5t
    @user-xn5ss2kz5t 2 роки тому +12

    저는.이런 저런 종교를 공부하는 사람으로써 이분은 정말 그 어려윤 개념들을 명쾌하게 설명하십니다!!!
    정말 늘 최고의 강의를 하십니다!!!

  • @caringandloving2261
    @caringandloving2261 3 роки тому

    많은 강의중 최 진석 교수님의 이 강의가 저에게 “eureka moment” 안겨주었어요. 감사합니다 🙏🙏

  • @peachlover5609
    @peachlover5609 2 роки тому +4

    많은 동기부여,위로의 글과 영상을 찾아보아도 해소되지않던 무언가가 탁 트이는 기분이 들게하는 영상이네요 ㅎㅎ 잊지않고 살아가고 싶습니다~ 좋은강연 감사합니다^^

  • @afewgoodman3306
    @afewgoodman3306 Рік тому +3

    이런 강의 이제야 듣게 됐네요. 정말 제가 생각하는 삶의 지표와 너무 똑같습니다. 제가 오히려 놀랄 정도입니다.
    내 삶이 틀리지 않았다는 걸 이제야 증명받았네요. 감사합니다.

  • @juliebae1069
    @juliebae1069 2 роки тому +8

    노자관련 교수님 책을 읽다가 머리가 아프도록 충격적이어서(놀라움의 연속으로) 이번에는 강의를 처음 보았는데... 정말 놀랍습니다...정말 벅찬 강의 입니다..또 머리가 깨지네요 ㅋㅋ소름이 돋습니다..교수님의 눈빛과 말속에 보이지않는 메시지가 내용에 시너지를 내는 것 같습니다..영상이 더 쉬울 줄알았는데 영상 속 메세지는 더욱 강력합니다. 감사합니다..새로운 세상을 열어주셨습니다!!

  • @user-js4th3fw3e
    @user-js4th3fw3e 2 роки тому +6

    최진석 교수님의 철학에 많은 공감이 가네요~♡

  • @user-mp4mu7gh4v
    @user-mp4mu7gh4v 4 роки тому +3

    내가 들은 강의 중 최고입니다. 감사합니다.

  • @Bohemian_LEE
    @Bohemian_LEE 6 років тому +5

    자리에 서서 강연하시는 것을 보며, 강연자리에서 충고와 알려주기를 치우치게 생각하는 사람 또한, 이해하게금 해주는 강연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tg5td3zy4n
    @user-tg5td3zy4n Рік тому +5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나를 아는 것은 참 힘든 것 같아요. 저는 제가 저를 잘 안다고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고 낯선 모습을 겪을 때가 많아요.내가 나의 주인으로 사는 것, 주체적으로 삶을 이뤄나가는 것은 중요한 것 같아요. 좋은 강연을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덕분에 제가 누구인지, 그리고 앞으로 삶을 살아감에 있어서 어떤 자세와 태도를 취해야하는지 많이 생각할 수 있었어요. 감사합니다.

  • @user-ip6eu1fv5m
    @user-ip6eu1fv5m 2 роки тому +4

    유튜브는 정말 너무 경이롭고 정말 감사한 것이라는.것을 감동하게 되는 강의..ㅜㅜ 이런 강의를 반복적으로 들을 수 있다니~감동적이고 너무 감사합니다.

  • @namastang1492
    @namastang1492 4 роки тому +6

    학연 지연 혈연을 따지는 꼰대가 되고 싶지 않지만 이 분이 광주 월산 국민학교 선배라는 사실을 알고 얼마나 뿌듯했는지 모른다. 책도 이해하기 쉽게 잘 쓰여져 있었는데 강의 역시 생각의 흐름이 꼬이지 않게 천천히 눌러서 표현해 주시는구나. 많은 말씀을 하지 않고도 어떤 생각을 가지고 살아야 하는지를 적확한 예를 들어 간단히 알려주시는 것을 보면 이 분이 얼마나 똑똑한지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