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관사상 1시간만에 쏙쏙 이해하기 [김성철 교수의 마지막 강의 15강 - 인도불교를 다시보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1 лют 2025
  • 김성철 교수의 마지막 강의. 중관학의 반논리학편입니다.
    복잡하고 난해해서 이해하기 힘들었던 중관학을 국내 최고 권위자인 김성철 교수가 1시간에 걸쳐 쉽게 정리해주는 강의입니다.
    중관학은 반야 공사상을 논리적으로 증명하는 불교논리학입니다. 김성철 교수는 중관학의 논리는 네가지 패턴으로 분석된다고 강조합니다. 증익, 손감, 상위, 희론의 4구 비판이 그것입니다. 400여개의 게송중 논리학의 여러 패턴을 직접 하나 하나 분석하면서 김성철 교수 스스로 내린 결론입니다. 그런데 이같은 연구의 증명을 탄허스님이 설했던 원효의 대승기신론소에서 확인하고, 또 다시 이를 대만의 전자대장경인 C Beta 에서 확인하고 크게 놀라셨다고 합니다.
    복잡하고 난해해서 이해하기 힘들었던 중관학을 국내 최고 권위자인 김성철 교수가 1시간에 걸쳐 쉽게 정리해주는 강의입니다.
    중관사상 1시간만에 쏙쏙 이해하기 [김성철 교수의 마지막 강의 15강 - 인도불교를 다시보다] 15강
    #김성철교수 #중관학 #불교논리학
    ◇ 불광 블로그(공식) :
    blog.naver.com...
    ◇ 불광 페이스북 페이지 :
    / bulkwang
    ◇ 불광 뉴스레터 구독하기
    page.stibee.co...
    ◇ 불광미디어 인스타그램 :
    / bkbooks79
    ◇ 불광미디어 홈페이지
    www.bulkwang.co...

КОМЕНТАРІ • 59

  • @김용진-s5m1e
    @김용진-s5m1e 27 днів тому +4

    천재이십니다. 속세의 도인이십니다. 불교는 스님들만 깨닫는 것으로 알고있었는데 교수님 강의듣고 우리네 삶속에 불교의 진리가 들어있다는걸 알게되었읍니다. 우리네 삶이 모두가 열반을 향한 여정이라는 걸 알게하셨읍니다. 가만히앉아 수행하는것만이 선인줄만 알았었는데 모든 선입견이 깨지고 불교의 진리가 더욱 가깝게 느껴지게 해주셨읍니다.
    감사드리고 이미깨달으신분이니
    저의 앞길도 환하게 밝혀주시겠지요. 멀리서 교수님강의를 접해서 아쉽지만 부디 다음생에 뵐수있으면 영광이겠읍니다.

  • @suyeonjae293
    @suyeonjae293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 @쿵푸팬더-j5j
    @쿵푸팬더-j5j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감사합니다.

  • @구도점돈
    @구도점돈 11 місяців тому +25

    오늘도 깊은 깨우침을 주는 가르침을 배우며 다시금 김성철 교수님의 극락왕생을 축원합니다

  • @보연박-f2y
    @보연박-f2y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교수님 덕분입니다 감사합니다()()()

  • @philsoolee1703
    @philsoolee1703 11 місяців тому +7

    감사합니다

  • @Giant대왕판다Panda
    @Giant대왕판다Panda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

    감사합니다. 나무관세음보살🙏🪷

  • @jungjalee6479
    @jungjalee6479 11 місяців тому +11

    감사합니다. . 진심으로. .
    이런 강의를 더이상 들을수 없
    다는 아쉬움을 어찌할수가 없
    군요. .왕생극락 속환사바하시길~~

  • @상도향
    @상도향 11 місяців тому +9

    귀한 가르침 감사합니다 🙇‍♀️🙇‍♀️🙇‍♀️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 @mkseo9778
    @mkseo9778 11 місяців тому +15

    잘 보겠습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

  • @moon-r3o
    @moon-r3o 11 місяців тому +14

    안녕하세요 교수님
    감사합니다 🙏

  • @올레-b3m
    @올레-b3m Місяць тому +2

    다시 듣습니다.
    교수님 감사드립니다.

  • @삶이어떻게더완벽해
    @삶이어떻게더완벽해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

    감사합니다 🙏 🙏 🙏

  • @ugwangho02
    @ugwangho02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감사합니다 김성철 교수님.

  • @프라즈냐
    @프라즈냐 11 місяців тому +8

    🙏🙏🙏

  • @길없는길에서길을묻다
    @길없는길에서길을묻다 11 місяців тому +15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김성철교수님
    불광미디어
    🙏🙏🙏

  • @김중원-k7i
    @김중원-k7i 2 місяці тому +2

    좋은 가르침을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고맙습니다

  • @능소화정원주인
    @능소화정원주인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

    김성철 교수님 감사합니다 오늘도 즐겁게 듣습니다 😊

  • @suokkim8234
    @suokkim8234 11 місяців тому +7

    김성철 교수님,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 @버크만메소드
    @버크만메소드 9 місяців тому +9

    이땅에 오셔서 온몸으로 가르침을 주고 가셔서 감사드립니다. 교수님 강의를 찾아듣는 과정에서 삶이 조금씩 변해감을 체험합니다.

  • @carpediem8193
    @carpediem8193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김성철 교수님 감사드립니다.

  • @이판도-s1v
    @이판도-s1v 2 місяці тому +2

    불교승가의 권위와 독선에 비해 ,말씀은 평이하고 지식은 바르고 그 뜻은 얼마나 친절한지요
    모습 자체가 우리네 승가에 대한 비판
    입니다
    진실 되고 바른 불자를 뵙습니다~()

  • @famyoon9765
    @famyoon9765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참 감명깊게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용준-i9r
    @이용준-i9r 7 місяців тому +4

    감동입니다!

  • @박동재-q7l
    @박동재-q7l 8 місяців тому +6

    강의내용 들으면 들을수록 대단합니다 열정과 수고로움을 느낄수 있어요

  • @이재광-o4z
    @이재광-o4z 9 місяців тому +5

    감사드립니다.

  • @VAJRA_TATHATA
    @VAJRA_TATHATA 2 місяці тому +3

    교수님 덕분에 불교의 가장 뿌리가 되는 사상인 중관사상을 조금이나마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 @박봉규-p6n
    @박봉규-p6n 11 місяців тому +14

    김성철교수님 감사 감사합니다
    늘 메타법계에 살아 게싶니다

  • @user-kk3qh1ut
    @user-kk3qh1ut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진리를 무지한 이몸이 신근 할 수 있게 은혜 주심에 나무아미타불관세음보살

  • @타키온힉스
    @타키온힉스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감사합니다.❤

  • @김경숙-r1m9z
    @김경숙-r1m9z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

    드디어 저한테 이름이 생겼습니다.
    저는 중관학파 입니다.
    우ㅡㅡㅡ와
    대학교를 들어간 느낌이 듭니다.
    대학교 공부는 무슨무슨 철학자도 많고 주의도 많고 전문적 지식도 많고 부러웠는데 저는 이제부터 중관학파 입니다.
    스승님 감사합니다.
    중도에서 관망하다.
    저의 지적 해석은 늘 거기에 있습니다.

  • @철우-h9g
    @철우-h9g 11 місяців тому +11

    감사합니다 선생님
    불생불멸
    나무아미타불🙏

  • @김병건-j5z
    @김병건-j5z 11 місяців тому +12

    얼마나 공부륻 많이 하셨으면 범인들은 단어 하나만 가지고도 그 깊은 뜻에
    함몰될터인데, 평소 차분하게 강의를 이끌어 나가시는데 이강의는 거의 달변에 가까울만큼 함차게 느껴집니다.. 너무 그립습니다..

  • @푸른솔-x3w
    @푸른솔-x3w 7 місяців тому +3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 @이규흔-s3w
    @이규흔-s3w 2 місяці тому +2

    여전히~
    멋있으심
    심지어~
    열공하고있음

  • @progressiveskydivingschool7569
    @progressiveskydivingschool7569 11 місяців тому +8

    교수님 너무 그립습니다. ()()() 속히 사바세계로 어서 다시환속하셔서 중생교화 해주세요.()()()

  • @ASMR-dt3ce
    @ASMR-dt3ce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흑백논리가 생기는 조건
    흑백논리가 사하는 조건
    조건=인연
    조건 따라 흑백논리 생기고
    조건 따라 흑백논리 사한다
    모든 건 인연 따라 생사~
    모든 건 조건 따라 사생~
    흑백논리 개념도 인연 따라 생사~
    흑백논리 개념도 조건 따라 사생~

  • @혜명혜명-z7g
    @혜명혜명-z7g 11 місяців тому +11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범자재
    @범자재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

    무량수 무량광 나무아미타불~()()()

  • @두산베어스-z6i
    @두산베어스-z6i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중도
    양극단 비판
    고행주의,삼매주의
    흑백논리에 대한 비판
    불교는 흑백논리 초월한
    생사에 대한 주제
    흑백논리로 흑백논리를 벗어난다.
    곰곰히 관찰
    生이 있으므로 老死가 있다.

  • @shaft_jb
    @shaft_jb 11 місяців тому +21

    "인간의 처음 크기는 0.1mm이다. 쥐, 고양이. 사자, 코끼리 모두 다 처음 크기는 같다. 자라면서 점차 커다랗게 부풀려져서 마치 그것이 자기 몸인 양 착각하고 일생을 욕망만 쫒다가 간다. 사후에 식(영체)이 되어서 교미하는 곳에만 가서 놀다가 수정란에 들러붙어 착상이 되니, 지옥몸이나 짐승, 벌레 몸이 될 가능성이 99.9999999%로,(인간들은 피임을 함) 다시 인간 몸 받기가 하늘에 별따기요, 맹구우목이다. 이 사실을 안다면, 어찌 공부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

    • @유용기-i2d
      @유용기-i2d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럼, 피임을 안하면 되나요?

    • @비둘기-q6f
      @비둘기-q6f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더러운 침 엄청튀겨요.마스크 써야합니다. 초고속 카메라 실험영상에서 기침하면 침만 나오는게 아니라 입안에 이물질도 튀어나오고 목에 가래가 많이 낀 사람이 쌔게 기침할 경우 가래가 툭 튀어나와서 내 몸에 묻을 수 있으니 마스크 안낀사람 항상 경계해야 합니다.내 몸에 이런것들이 튀지 않을려면 서로 마스크 착용하는게 바람직합니다.

    • @비둘기-q6f
      @비둘기-q6f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개념없는 인간들이 많아서 입도 안가리고 고개도 안돌리고 사람몸을 향해 기침하는 인간들 엄청 많습니다.혀 안쪽에 똥내나는 편도결석도 기침하는 순간 툭 튀어나와서 내 몸에 묻고 혹여 내가 먹는 음식에다가 기침하면 똥내나는 다른사람의 편도결석을 내가 모르고 먹는거랍니다.정말 역겹고 오바이트 쏠립니다.

    • @비둘기-q6f
      @비둘기-q6f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큰 병원은 아직도 마스크 착용하는 이유가 더러운 침 튀기는거에 대한 거부감과 역겨움 때문에 의사들이 해제를 반대해서 아직 의무로 하고 있는거랍니다.의사들은 코로나 전에도 침 튀기는거 때문에 스트레스 많이 받았다고 해요.직업의식 때문에 겉으로 티를 안냈을 뿐이지 속은 타들어 간다고 했습니다.아마 지금이 기회구나 생각하고 대형병원은 평생 마스크착용 의무화 할것같네요.(정부의 개입만 없다면) 의사들이 심적으로 상당히 편안함을 느낀다고 합니다

    • @shaft_jb
      @shaft_jb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유용기-i2d 피임은 해야죠. 건강한 성생활 하십시요. ()

  • @최선식
    @최선식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배가 고프면 밥을 먹습니다.
    그리고 배가 차면 흐뭇함이 오고
    몸을 움직일수 있는 힘이 생깁니다.
    그런데 밥을 먹을때 어디서 생산되고
    크기가 얼마만하며 칼로리는 얼마고
    무슨 색깔이고 몇개더라. 라고 알 필요는 없습니다.
    그런데 이것들을 하나하나 분해하는
    사람들이 소위 지식인 이라고자처합니다. 김교수님의 철저한 분석에 대한 노력은 높이 평가합니다.
    하지만 법은 수행을 해보지 않은 사람은 상상을 할수가 없습니다.
    눈이없다.
    없습니다 하지만 수행하면 생깁니다.
    이마에 나타납니다. 부처님상의 이마에
    있는것 처럼요. 나의 내부를 보는 눈입니다. 피안을 봅니다.하늘을 봅니다.
    진리를 봅니다.
    제3의눈. 호르스의눈..영안
    중관
    몸 가운데를 보라.
    몸의 가운데를 호흡으로 여십시요.
    단전이며 차크라입니다.
    그러면 아시게 됩니다.

  • @이상진-f4r
    @이상진-f4r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사두 사두 사두 () () ()

  • @송영숙-v5s
    @송영숙-v5s 5 місяців тому +2

    테라와다 남방 상좌부라고 표현합시다

    • @길상화-w4r
      @길상화-w4r 4 місяці тому +2

      강의 중에 소승불교라 함은,
      인도 불교역사 흐름에서 대승불교가 형성되던 당시를 설명하는 강의 이므로
      그 당시에 대승불교 운동을 주도하던 흐름에서 아비달마불교의 법의 실체성을 비판하려는 의미로 소승불교라 칭했다는 것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 @Wqsmh
    @Wqsmh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감사합니다

  • @bubanbohaeng
    @bubanbohaeng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

  • @choisoorim
    @choisoorim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감사합니다

  • @hayun5896
    @hayun5896 9 місяців тому +4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