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건축은 속으로 내면으로는 공든탑이 없어서 외면의 아름다움이 제법 깃들어 간다고해도 끝내는 허망할 것 입니다 주인공만 되고 싶어하는 안달로 실리만 쫒고있지 누구하나 후대를 위해 희생하려는 앞선자들이 없습니다 창의에 점수를 매기는 일은 부질이 없으려면 겨루는 창의의 수준이 어지간하게 비슷해야합니다 대한민국의 건축인들은 세계수준과는 상당히 뒤떨어져 있고 감히 쳐다볼 수도 없는데 감히 세계적인 수준과 어울리고 있는 듯한 발언을 서슴치 않고 있습니다 안타깝고 속상합니다
입만 살았네요^^;; 건축으로 보여주고 아주 간단하게 간략하게 말하면 끝인데.. 안타깝네요^^:: 언어의 대부분으로 고상함을 자아내려고 무척이나 애를 쓰십니다 마치 최면을 걸거나 가스라이팅 하는 것처럼.. 우리가 세계거장을 보고 꿈을 키웠잖아요 헌데 어느정도 수준이 올라가려고하면 이 시점에서 대한민국의 선배들을 답습하는 불가사의한 상황이 벌어질까요.. 가던길 가시지 어찌하야 빠꾸하시는지요? 건축으로 보여주고 말은 중요한 말로 적게 하세요 학연으로 눈치보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spiritap.420 조금만 아쉬운소리를 지껄이기라도 한다면 그렇게 견디기 힘들어하는 그쪽같은 사람들때문에 건축문화발전이 이따위밖에 안되는 거에요~ 대한민국의 가짢은 선배나 지삐밖에 모르는 대한민국의 건축과 교수들에게 가스라이팅이나 당하지말고 자기주제는 자기스스로 잘 진단해서 실제로 못난게 무엇인지 잘 파악하고 반성해 나가도록 하세요~
@@diefa5367 건축은 설계하기 전까지는 증명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왜 이런 형태/재질/공간/구조 등의 요소를 사용했는지를 설명해야만 합니다. 당신은 ddp를 처음봤을 때 이게 지어지기 힘들다고 생각하셨을 겁니다. 이 건물을 짓게 만든 원인은 이 형태에 대한 논리와 건물 프로젝트에 맞는 언어였습니다. 해체주의 철학기 들뢰즈의 이론과 건축가 다니엘 리베스킨드의 논쟁은 아직까지도 건축에서 회자되는 텍스트고, 아마추어 시나리오 감독 출신 렘 콜하스의 저서 정신착란의 뉴욕은 건축계에서 도시맥락 내에서의 설계에서 유의미한 저서임을 넘어서 준 교과서적인 서적으로 남았습니다. 또한 만화가 지망생 비아케 잉겔스는 건축만화 yes is more를 쓰며 결국엔 21세기 최고의 건축가 중 하나로 성장했죠. 물론 님의 말대로 건축은 보여주고 형태적으로 증명해야 한다는 의견에는 일부 동의하지만 텍스트의 중요성이 없다?는 아무리 봐도 건축계를 찍먹만 했다고밖에 설명을 못하겠네요... 그리고 약대를 제외하고 가장 학연이 없는 곳이 건축이라는 사실은 아시나요? 저는 딱히 좋아하지 않는 하버드 출신인 유현준 교수도 10년간 허덕였다고 하는 곳이고, 충북대, 전북대 정도 수준의 졸업생도 간삼 정림 등등 국내 대형 건축사사무소에 합격하는 곳이 건축입니다.
기능적이고 본연에 충실한 기초부터에 충실할 것이지.. 이거 진짜 건축교육이 문제일세..
대한민국의 건축은 속으로 내면으로는 공든탑이 없어서
외면의 아름다움이 제법 깃들어 간다고해도 끝내는 허망할 것 입니다
주인공만 되고 싶어하는 안달로 실리만 쫒고있지
누구하나 후대를 위해 희생하려는 앞선자들이 없습니다
창의에 점수를 매기는 일은 부질이 없으려면
겨루는 창의의 수준이 어지간하게 비슷해야합니다
대한민국의 건축인들은 세계수준과는 상당히 뒤떨어져 있고 감히 쳐다볼 수도 없는데
감히 세계적인 수준과 어울리고 있는 듯한 발언을 서슴치 않고 있습니다
안타깝고 속상합니다
창작이라는 감옥에 갇혀
노예가 되거나
빚쟁이가 되거나
사기꾼이 되거나
가난한 작가가 되겠지
입만 살았네요^^;;
건축으로 보여주고 아주 간단하게 간략하게 말하면 끝인데..
안타깝네요^^::
언어의 대부분으로 고상함을 자아내려고 무척이나 애를 쓰십니다
마치 최면을 걸거나 가스라이팅 하는 것처럼..
우리가 세계거장을 보고 꿈을 키웠잖아요
헌데 어느정도 수준이 올라가려고하면 이 시점에서
대한민국의 선배들을 답습하는 불가사의한 상황이 벌어질까요..
가던길 가시지 어찌하야 빠꾸하시는지요?
건축으로 보여주고 말은 중요한 말로 적게 하세요
학연으로 눈치보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참 못됐다.
@@spiritap.420
조금만 아쉬운소리를 지껄이기라도 한다면 그렇게 견디기 힘들어하는 그쪽같은 사람들때문에 건축문화발전이 이따위밖에 안되는 거에요~
대한민국의 가짢은 선배나 지삐밖에 모르는 대한민국의 건축과 교수들에게 가스라이팅이나 당하지말고 자기주제는 자기스스로 잘 진단해서 실제로 못난게 무엇인지 잘 파악하고 반성해 나가도록 하세요~
@@diefa5367 건축은 설계하기 전까지는 증명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왜 이런 형태/재질/공간/구조 등의 요소를 사용했는지를 설명해야만 합니다. 당신은 ddp를 처음봤을 때 이게 지어지기 힘들다고 생각하셨을 겁니다. 이 건물을 짓게 만든 원인은 이 형태에 대한 논리와 건물 프로젝트에 맞는 언어였습니다. 해체주의 철학기 들뢰즈의 이론과 건축가 다니엘 리베스킨드의 논쟁은 아직까지도 건축에서 회자되는 텍스트고, 아마추어 시나리오 감독 출신 렘 콜하스의 저서 정신착란의 뉴욕은 건축계에서 도시맥락 내에서의 설계에서 유의미한 저서임을 넘어서 준 교과서적인 서적으로 남았습니다. 또한 만화가 지망생 비아케 잉겔스는 건축만화 yes is more를 쓰며 결국엔 21세기 최고의 건축가 중 하나로 성장했죠. 물론 님의 말대로 건축은 보여주고 형태적으로 증명해야 한다는 의견에는 일부 동의하지만 텍스트의 중요성이 없다?는 아무리 봐도 건축계를 찍먹만 했다고밖에 설명을 못하겠네요... 그리고 약대를 제외하고 가장 학연이 없는 곳이 건축이라는 사실은 아시나요? 저는 딱히 좋아하지 않는 하버드 출신인 유현준 교수도 10년간 허덕였다고 하는 곳이고, 충북대, 전북대 정도 수준의 졸업생도 간삼 정림 등등 국내 대형 건축사사무소에 합격하는 곳이 건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