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댓글중에 여대여서 취업 비선호를 말씀하시는데 반하는 예시를 말씀드리자면 현대자동차 출신 대학 순위가 공개 됐는데 남자와 여자가 328:15인 와중에 이화여대에서 10명이 배출 됐습니다 나머지 여성 5명은 서울 연세 홍익 건국 경희에서 각각 한 명씩이고요 어느 정도 숫자 차이면 여자들의 능력 부족이라고 볼 수 있겠지만 이런 극한의 성비는 우리나라 유리천장의 결과로 밖에 볼 수 없습니다 이러한 결과들이 여대가 존속해야하는 이유이고 그 이상의 가치를 가집니다 저도 계약학과여서 성균관대 입학했다가 취업을 해도 한계가 있는 이러한 현실을 알고 반수해서 치대왔습니다
이러한 결과만 봐도 여자라면 본인의 생존권을 위해서라도 페미인게 당연합니다 다들 페미니스트의 정의는 알고 욕하시는 건가요 그냥 남성 혐오하는 여성들을 페미로 알고 계시는거 같네요 ㅋㅋㅋ 서구권에서는 양성평등을 위해 역차별도 감행해야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무려15년전에. 실제로도 총리의 성비를 딱 맞추는 국가도 여러 존재했고요 근데 우리나라는 15년이 지난 현재에도 양성평등은 무슨 서로를 못 물어 뜯어서 안달나있고 깊이 들어가지 않아도 여성 혐오 남성 혐오가 만연합니다 과거만 해도 남자들이 페미니스트는 받아 들이고 남혐을 하는 꼴페미를 싫어하고 배척하는 분위기 였는데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 건지 과학 기술은 방전하는데 사상은 점점 쇠퇴해가네요
치대생까지 폐미하는거보면 우리나라 망했네 대체 어디까지 감염된거냐 생존권 얘기하시는거보니 94년도 이화여대생 5명이 군가산점 폐지하라고 헌법소원넣었던 논리랑 똑같네 여자는 공무원합격하기 힘들다며 직업 생존권 타령하던데 군생활26개월 뺑이치는동안 여자들은 3%의 성적도 못올린다는거임 폐미들이 문제인건 지들이 유리한건 입닫고, 불리한것만 유리하게 바꿔서 챙기려고 한다는거임 그렇게 여성인권 향상시키고 싶으면 의무를 먼저 이행하고 권리를 요구해야지 본인들의 안전은 99%의 남자군인들한테 다 맡겨놓고는 여자 사병군입대하게 해달라고 시위는 일절 안하면서 혜화역에서 쓸데없는 시위는 ㅈㄴ함 결국 떼써서 여자 장교, 부사관 군입대는 가능하게 해줬는데 헌재소 논리가 좀 이상함 사병입대는 생리로 군사훈련 불가, 근력부족으로 전투병과 부적합, 상명하복 체계하에서 성범죄노출가능성때문에 여자입대 위헌을 때려놓고는 (짬밥 가성비가 떨어진다는거임) 장교 부사관 입대는 또 가능함. 직업선택의 자유, 양성평등을 지켜준다면서 여경 여소방관 여군 전부 비슷한 맥락임 문통때는 여경할당제합격률 27%까지 뛰어올라서 여경무용론도 화두에 올랐지. 양평 중국인 흉기난동에서는 여경이 비명지르면서 시민들보다 뒤쪽으로 도주함. 시민의 안전은 안중애도 없었음. 인천 여경도 현장에서 테이저건을 꺼내는게 아니라 도주함. 대림동여경은 50대취객조차 제압못해서 남자시민이 대신 해줌 자격이 안되는 사람이 그 자리에 있으면 결국 모두가 피해보게 되는거임 꼴페미고 그냥 페미고 둘다 똑같은 뷔페니즘인데 대체 뭐가 다른건가요? 전쟁나면 전시근로역조차 면제라서 아무것도 안하고 피난만 가면서 뭔 생존권타령하는지 모르겠네 나도 생존권을 위해서 전시에 예비군동원령거부하고 여자랑 같이 피난간다 여자들은 야간경비원으로 근무안하고 야간편의점도 근무안함 광부로도 여자는 고용이 금지되어있음 야간숙직도 안함 생리휴가도 다 없애야지 학교다닐땐 생리휴가 없어도 학교 잘만 다니더니 직장가니까 갑자기 생리휴가가 필요하다네 이런거에 대해선 폐미들은 불만 일절없음 어차피 폐미들은 힘든거 하기 싫으니까 그러니까 뷔페니즘 소리들으면서 욕먹는거임 개강총회가서 저 폐미니스트입니다 해보셈 바로 걸러진다 그게 사회의 인식임
성균관대 공대다니다가 반수해서 치대 왔습니다 입시 많이하고 잘 아는데 이화여대가 예전에 비해 낮아진건 맞지만 인터넷에 언급되는 정도의 레벨 절대 아니에요 ㅋㅋㅋㅋㅋㅋ 아무리 낮아진다고 한들 인문은 아직 성한급이고 공대는 중앙대 밑 경희대시립대 위 이게 가장 팩트입니다 어딜봐도 여자도 아니고 성적도 안되는 사람들의 왈가왈부 솔직히 같잖아요 진짜 믿는 사람이 있나요?
@@우우-z5p 입결은 학생들 성적으로 잡는거라 과탐 베네핏 환산안하는 이화여대가 당연히 낮아질 수 밖에 없을거에요 학교 레벨이 입결로만 결정되는건 대학 입학하고 다녀본 사람이면 말 안되는거 다 알거에여 학교의 아웃풋 환경 입결 이런 총체적으로 따지만 서성한 라인 맞는거 같습니다
정말 서동요의 끝판왕이죠~ 당장 24 입시에서 중대 인문계열 (다군 경영제외) 7~8칸, 이대 인문통합 6칸이어서 이대로 갔는데 사람들이 여전히 경희대니 외대니 떠드는거 보면 참.. 이대도 못써볼 성적인게 보입니다 😢 이번 재판연구원(=예비판사)이랑 검사 모두 전국 1위 이화여대고요, 아웃풋은 딱 서성한이랑 겹칩니다~
대한민국이 페미니스트를 보는 시각이 전과 다르게 냉정해졌음... 더 이상 여성이 약자도 아니고, 보호 해야 할 객체도 아니고, 사회생활의 주체가 됐음... 대학까지 여대로 나눠서 혜택을 줘야 하나 싶음... 로스쿨, 의대, 약대등... 60~70년대에 태어난 세대는 여자들에 대한 마음의 빚이 있는 게 사실임... 그 당시 까지만 해도 남녀차별이 분명이 있었음... 그런 연유로 여자에 대해 배려하고 보호해야 하는 인식이 강했는데... 요즘 아이들은 오히려 역차별에 대한 불만을 토로함... 이게 여성 혐오로 번짐... 남자 대학이 없듯이... 여자 대학도 이제 없어지는 게 맞는 거 같음...
님, 특이할수있으나 1970년도 예비고사 여학생 전체수석여학생이 (장남순양, 이화여고)(예비고사는 오늘날 수능시험, 학력고사 전과목을보니 체력장도 봄) 이대식픔영양학과 진학 1972학년도 예비고사 여학생전체수석이 이대영문과 진학(전경희양, 경기여고) 여담이지만 1972학년도 전체수석은(남여통합) 나의 중학교 선배님이신 한태숙선배님입니다. 혜화국민학교 , 서울 중앙중(경기중학입학 실패), 경기고 수석졸업, 서울대수석입학의 한마디로 공부의 신입니다. 예비고사 여학생 전체 수석이면 장담할수없으나 대부분의과 서울대 진학 가능합니다. 물론 본고사도 존재는 했습니다만, 당시에는 여학생중 서울대갈수있는데도 이대가는경우 종종있고 아마도 연고대 갈성적인데 이대가는경우는 비일비재합니다. 물론 님이 대학 다닌 80년대는 그런현상은 거의 희박하고 교수요원등 특혜성 진학은있을지 몰라도 본인이 대학 다닌 1970년대에만 해도 이대의 위상은 높았었습니다. 1970년대에는 5개대학이 명문의 이미지가 강했는데 즉 당시에는 대학 벳지를 달고다녔는데 뱃지 달고 자랑할만한 5개대학은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서강대, 이화여대 였습니다.
5년뒤엔 더 떨어집니다. 학생수준, 이상한 풍토, 졸업후 짧은 근속년수등 전부 개선되지 않으면 가망이 없습니다. 특히 대학원의 경우 성별 50%를 빼고 여자만 뽑다보니 교수님들도 학생 구하기가 어렵고, 조금 힘들다고 느끼면 학위과정 중간에 그만두는 경향도 커져서 학교평가의 절대적 기준인 연구성과도 크게 하락하고 있죠. 예전에 연대랑 통합하여 서울대를 넘어설 기회가 있었음에도 양 학교의 재단간 이해관계 때문에 그 기회도 놓치고, 학교의 소위 잘나가는 과라고 하는 일부 문과계열 교수님들의 반대로 이공계에 대한 지원이 적고, 학교가 성장할 아젠다도 없고 뭐 그런상황이죠. 문과에서 이공계가 전기를 너무 많이 쓴다고 불만을 터뜨린다하니 뭐…
1. '여대' 이미지 자체가 안 좋아지고 있음 (페미니즘) 2. 30년 전 과거 영광을 들먹이며 여초 + 이대생들은 이대가 서성한급 이라고 주장하지만 현실은 중앙대, 경희대한테도 밀리고 이제 건국대한테도 곧 뒤쳐질 위기임(아직까지는 이대가 조금 더 위지만 5년 뒤라면 건국대가 더 위일걸로 예상) 3. 여대 자체가 취업이 잘 안 됨 4. 정부에서도 공대 + 남녀공학 대학에 지원을 최우선적으로 해주지 문과위주인 여대한테는 지원이 약함
여대는 앞날이 어둡다. 여대중 1위에 만족하고 페미니즘 학풍을 유지하는한 계속 떨어지는 것은 자명하다. 시대착오적인 여대로 여러가지로 남녀 불평등이 야기되는 것 또한 사실이다. 징집으로 복무하는 군인들에게 주어지는 가산점 폐지는 가장 뼈아픈 오점이다. 가산점 자체가 위헌이라기보다 가산 정도를 조정했어야 했다. 가산점 폐지로 명단도 공개하지 않고 있는 518가산특혜자들이 대거 공무원 사회로 진출해 사회를 혼란하게 만들었다. 앞으로도 쭉 여대를 고집한다면 입결은 계속 떨어질 것이다.
이대 졸업생들 입장에선 충분히 억울할만 하다고 생각함. 하지만 교대 사관학교 여대 문과중심대학 이러한 대학들은 시대적 흐름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낮아진거임. 특히 이대랑 교대는 20학번 21학번까지는 그래도 입결이 방어가 됐는데 22, 23학번부터 많이 내려갔음. 객관적인 입결은 서성한>중앙>시립>경희 이대 건대>외대고 수험생 선호도 역시 중앙대를 넘지 못함. 그렇다고 이대가 안 좋은 학교냐? 당연히 아님 좋은 학교고 공부 잘해야 들어가는 학교인 건 맞지만 위에 언급한 학교들 모두 1~2등급대 학생들만 갈 수 있는만큼 이대가 낮아진 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임
개인적인 생각으로, 이대는 서성한 라인은 절대 아니고... 중앙, 경희 사이라고 생각함. 즉, 중앙보단 약간 아랜데 경희보단 그래도 위? 중앙 > 이화 > 경희 느낌임.. 당연히 입결로만 치면 경희보다 떨어지고 건국이랑 비비겠지만.. 기존 선배들이 활동해서 만들어놓은 아웃풋 및 사회평판도, 인식을 반영한 결과값이 중앙, 경희 사이라고 봄.
@@성이름-q2x7t 쓴 댓글보니까 이대 올려치기 엄청 하는 페미 같은데 작작하세요. 같은 여자로서 부끄러워요. 2024년 입결이 이과든 문과든 이대가 중앙 경희 시립보다 아래인걸 보여주는데 왜 계속 거짓 주장을 하세요. 그리고 다른 댓글에선 성대 공대에서 치대로 반수하셨다면서요. 애초에 치대생이면 이대에 관심 ㅈ도 없을 것 같은데 계속 그러는거보니까 페미티 팍팍 나네요
현실적으로 보자면 이대 보내는 부모님이나 여자들 속내는 시집 잘가려고 가는학교에 가깝습니다. 옛날분들은 아직도 마담뚜가 졸업앨범 들고 따라다니며 의사사위 줄서고 대기한다 생각하시죠. 지금 이대 이미지는 7년 전부터 페미 양성소에 피해야 하는 지뢰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멀쩡한 여자도 이대가면 페미가 돼서 나오는데 누가 좋아하겠어요. 의사사위건 변호사사위건 페미와이프 떠받들고 살고자 하는 남자는 없습니다. 제가 이제까지 봐온 여대출신들은 둘중 하나입니다. 꼴페미이거나 페미 아닌척 하는 페미.
이번 입시 하면서 수만휘 들락거렸지만 건대랑은 비교도 못봤고 대부분 중대나 경희대였고 중대가는분 좀 있었고 경희대가는분은 적어보였네요 이대떨어졌다 떨어졌다 하지만 막상 원서쓸때보면 성적 안됨 못쓰는 대학이에요 이제 좀 이런말들 그만좀 했음 싶네요 특히나 여대에는 더욱 더 심해요
이대 등급 봤는지
대부분 기본 1~2등급입니다.
이대 지원조차 못하시는분들이
너무 폄하하네요
과거의 영광이 너무 찬란했으니 그때에 비해서 하는말이죠. 연고대도 우습던 여자서울대가 이렇게 됐으니. 물론 인서울 상위권 대학인건 변함없지만요
공부, 정치질 잘하는 페미일뿐이지ㅋㅋ
지금은 그냥 페미 양성소에 불과하죠. 엄마들이 시집 잘보내려구 보냈는데 아빠사진 불태우는 꼬라지 보면 속이 타들어 갈겁니다.
내 딸도 1등급
@@DKS-m4g 1등급 페미가 됐네요
여기 댓글중에 여대여서 취업 비선호를 말씀하시는데
반하는 예시를 말씀드리자면
현대자동차 출신 대학 순위가 공개 됐는데 남자와 여자가 328:15인 와중에 이화여대에서 10명이 배출 됐습니다
나머지 여성 5명은 서울 연세 홍익 건국 경희에서 각각 한 명씩이고요 어느 정도 숫자 차이면 여자들의 능력 부족이라고 볼 수 있겠지만 이런 극한의 성비는 우리나라 유리천장의 결과로 밖에 볼 수 없습니다
이러한 결과들이 여대가 존속해야하는 이유이고 그 이상의 가치를 가집니다
저도 계약학과여서 성균관대 입학했다가 취업을 해도 한계가 있는 이러한 현실을 알고 반수해서 치대왔습니다
이러한 결과만 봐도 여자라면 본인의 생존권을 위해서라도 페미인게 당연합니다 다들 페미니스트의 정의는 알고 욕하시는 건가요 그냥 남성 혐오하는 여성들을 페미로 알고 계시는거 같네요 ㅋㅋㅋ
서구권에서는 양성평등을 위해 역차별도 감행해야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무려15년전에. 실제로도 총리의 성비를 딱 맞추는 국가도 여러 존재했고요
근데 우리나라는 15년이 지난 현재에도 양성평등은 무슨 서로를 못 물어 뜯어서 안달나있고 깊이 들어가지 않아도 여성 혐오 남성 혐오가 만연합니다
과거만 해도 남자들이 페미니스트는 받아 들이고 남혐을 하는 꼴페미를 싫어하고 배척하는 분위기 였는데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 건지 과학 기술은 방전하는데 사상은 점점 쇠퇴해가네요
치대생까지 폐미하는거보면 우리나라 망했네 대체 어디까지 감염된거냐
생존권 얘기하시는거보니
94년도 이화여대생 5명이 군가산점 폐지하라고 헌법소원넣었던 논리랑 똑같네
여자는 공무원합격하기 힘들다며 직업 생존권 타령하던데
군생활26개월 뺑이치는동안 여자들은 3%의 성적도 못올린다는거임
폐미들이 문제인건 지들이 유리한건 입닫고, 불리한것만 유리하게 바꿔서 챙기려고 한다는거임
그렇게 여성인권 향상시키고 싶으면 의무를 먼저 이행하고 권리를 요구해야지
본인들의 안전은 99%의 남자군인들한테 다 맡겨놓고는
여자 사병군입대하게 해달라고 시위는 일절 안하면서 혜화역에서 쓸데없는 시위는 ㅈㄴ함
결국 떼써서 여자 장교, 부사관 군입대는 가능하게 해줬는데 헌재소 논리가 좀 이상함
사병입대는 생리로 군사훈련 불가, 근력부족으로 전투병과 부적합, 상명하복 체계하에서 성범죄노출가능성때문에 여자입대 위헌을 때려놓고는 (짬밥 가성비가 떨어진다는거임)
장교 부사관 입대는 또 가능함. 직업선택의 자유, 양성평등을 지켜준다면서
여경 여소방관 여군 전부 비슷한 맥락임
문통때는 여경할당제합격률 27%까지 뛰어올라서 여경무용론도 화두에 올랐지.
양평 중국인 흉기난동에서는 여경이 비명지르면서 시민들보다 뒤쪽으로 도주함. 시민의 안전은 안중애도 없었음. 인천 여경도 현장에서 테이저건을 꺼내는게 아니라 도주함. 대림동여경은 50대취객조차 제압못해서 남자시민이 대신 해줌
자격이 안되는 사람이 그 자리에 있으면 결국 모두가 피해보게 되는거임
꼴페미고 그냥 페미고 둘다 똑같은 뷔페니즘인데 대체 뭐가 다른건가요?
전쟁나면 전시근로역조차 면제라서 아무것도 안하고 피난만 가면서
뭔 생존권타령하는지 모르겠네
나도 생존권을 위해서 전시에 예비군동원령거부하고 여자랑 같이 피난간다
여자들은 야간경비원으로 근무안하고 야간편의점도 근무안함
광부로도 여자는 고용이 금지되어있음
야간숙직도 안함
생리휴가도 다 없애야지
학교다닐땐 생리휴가 없어도 학교 잘만 다니더니 직장가니까 갑자기 생리휴가가 필요하다네
이런거에 대해선 폐미들은 불만 일절없음
어차피 폐미들은 힘든거 하기 싫으니까
그러니까 뷔페니즘 소리들으면서 욕먹는거임
개강총회가서 저 폐미니스트입니다 해보셈 바로 걸러진다
그게 사회의 인식임
생산성이 좋으면 원숭이도 고용하는 곳이 기업인데, 여자가 남자에 비해 숫자가 월등히 적다는 의미는 그만큼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뜻이죠.
밖에서 볼 땐 저도 그런줄알았는데 입시를 앞두고 바라보는 이대~~~절대 쉽지 않네요~~~
온라인상 으로는 욕많이 해도 현실은 아무나
가기 힘든대학이 맞음 .
팩트!
입결이 만만치 안아요 ㅋ
그래도 막상 원서 넣어 보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성균관대 공대다니다가 반수해서 치대 왔습니다
입시 많이하고 잘 아는데
이화여대가 예전에 비해 낮아진건 맞지만
인터넷에 언급되는 정도의 레벨 절대 아니에요 ㅋㅋㅋㅋㅋㅋ 아무리 낮아진다고 한들
인문은 아직 성한급이고
공대는 중앙대 밑 경희대시립대 위
이게 가장 팩트입니다 어딜봐도
여자도 아니고 성적도 안되는 사람들의 왈가왈부 솔직히 같잖아요 진짜 믿는 사람이 있나요?
최근 시대인재 입결 찾아보세요. 배치도에서 문과는 중앙대 다음에 이과는 경희대 다음에 있네요.
@@우우-z5p 입결은 학생들 성적으로 잡는거라 과탐 베네핏 환산안하는 이화여대가 당연히 낮아질 수 밖에 없을거에요 학교 레벨이 입결로만 결정되는건 대학 입학하고 다녀본 사람이면 말 안되는거 다 알거에여
학교의 아웃풋 환경 입결 이런 총체적으로 따지만 서성한 라인 맞는거 같습니다
@@성이름-q2x7t과탐 가산점을 안주니 오히려 이과침공이 없어서 평백이 높게 나오는거 아닌가요? 서강대인데 문과는 이대랑 겹치는 과가 없었어요. 삼전 임원출신이신 저희 아버지도 이젠 중경외시급으로 인사팀에서 본다는데 서성한급이라는건 잘 이해가 안되네요
@@관악을향해더위로가자 아니죠 국수는 이과가 높은게 통계로 나왔는데 서강은 인문이 높으니까 안 겹치고 성한은 겹치는게 사실이에요 자연계열은 중밑경시위인게 사실이고요
@@성이름-q2x7t개인적으로 말씀하신대로 이과가 중밑이라서 절대 서성한급은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점점 이공계가 메인이 되는 사회적 분위기상 각 학교에 이공계가 중요한 상황이라..
정말 서동요의 끝판왕이죠~ 당장 24 입시에서 중대 인문계열 (다군 경영제외) 7~8칸, 이대 인문통합 6칸이어서 이대로 갔는데 사람들이 여전히 경희대니 외대니 떠드는거 보면 참.. 이대도 못써볼 성적인게 보입니다 😢 이번 재판연구원(=예비판사)이랑 검사 모두 전국 1위 이화여대고요, 아웃풋은 딱 서성한이랑 겹칩니다~
찐팩트.
@@Davywscddd 중대 경영이랑 비교해야죠. 이대는 인문통합이라 경영도 포함인데 둘이 비교하면 되나요.
솔직히 내가 여자라도 서성한 안되면 이대갔을듯. 입결많이떨어졌어도 여전히 전통있고 자부심있는대학맞음
메가 러셀 장학기준보면 서성한이중 이렇게 묶어놨던데 ..
참 동덕도 그렇고 이화도 그렇고 여자도 아니고 갈 일도 없는 사람들이 이래라 저래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인생이 한심하기 짝이 없네요
ㄹㅇ 간사람들은 너무 만족하고 자랑스러워해요 저도 중대에서 이대 높과로 반수 준비중입니다
@@운동합니다 이대 많이 떨어졌다고 들었는데 중대 이대 하면 당연히 중대 아닌가요..? 이대 내려치기 아니고 정말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정말 중대에서 이대로 갈만한 편차가 있나요?
이화그린은 절대 빛바래지 않는다.
아직도 이대입결평점 거의 모든과가 1.5정도입니다. 아웃풋도 5위 이내입니다. 인터넷 이런 잡설이 정설인양 분위기 만드는게.그리고 그걸 그대로 믿어버리는게 악영향을 미칩니다. 인터넷믿고 응시햇다간 망하기 딱 좋습니다.현실은 입결.아웃풋 5위 이내임!
아자아자 화이팅
입결이 5위 이내면 위에 서연고성이라는건가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자료는 거짓말을 하지 않습니다... 정신차리세요
@@하하호호-k6u 한성서랑 이화여대 붙으면 80%이상 한성서고름
입결 많이 떨어졌어요..그정도 아니예요..
이대 가기 얼마나 어려운대요 ㅠ
그건 맞아요
성한서 보다는 쉬움
어려운 것 인정합니다.
예전엔 최상위학교였던것도 인정합니다..
다만 자꾸 서성한급이라고 하니까 짜증나는거죠
@@DjSjsk-jj6ow 성균관대 학생인데 전혀 기분 안 나쁜데 왜 성한서 학생도 아닌분들이 대신 기분나쁜지 모르겠어요 ㅋㅋㅋㅋㅋㅋ 이대 써봐서 아는데 기분 나쁠정도로 낮지않아요
@@성이름-q2x7t24학번 한양대 공대생인데 짜증나기보단 별 생각 안 듦. 차피 요즘 이대랑 서성한은 차이가 꽤나 나니까
이대. 붙여만 주면 앞구르기 하고 들어감.
여대라서 훅 간게 아니라
외대처럼 문과 중심 대학이였기 때문에 내려간거임....물론 페미 사건도 한 몫 했구
일베는 남녀 안가리고 욕처먹기라도하지
여대 페미 동아리는 ㅈㄴ 당당함
@@DjSjsk-jj6ow 페미도 욕먹어요 ㅎ
@@DjSjsk-jj6ow아빠사진 불태워야 들어갈수 있는 동아리로 유명하죠. 여성학 교수가 들락거리는 유명한 페미동아리가 그정도 입니다.
이대 화이팅 입니다. 심리학과 울딸 화이팅!!
입시 댓글에 학교 서열 거품무는 사람들은 그정도 실력이 다 되는 사람들인지 항상 의문이다.
직접 공부해서 원서 넣고 면접도 보고 당사자들은 진짜 노력 많이합니다.
이런 컨텐츠로 관심끌어 돈버는 상술 그만좀 하세요 컨설턴트가 왜 학교들을 자꾸 비교하고 어디에 비비네마네 그럽니까 그러고도 컨설턴트 자격이 있는겁니까?
이대가 서성한중경외시 라인중에서는 아웃풋이 가장 좋음 부정할수 없는 사실
아웃풋은 성대 한양대가 제일 높고 그 다음이 서강대 중대 경희대임.
왜냐면 여대원탑+여성할당+페미학연
때문에 노력한것에 비해 높은 평가를 받거든
@@DjSjsk-jj6owㅋㅋ 뭔 학교 다녀본 것처럼 말하네
그건 4~5년전 입한한 애들이니까 그렇지
최소한 서성한엔 선넘지마시죠~
할머니가 이대 정외 나오셨는데... 그 시절엔 여자가 서울대 말고 이대를 갔고, 여자들은 의대보다 약대를 선호하여 이대약 가장 높았다고 합니다. 경희 법대이신 할아버지께서 할머니께 취집했다 수준이었다고 하네여.... 저도 중대, 이대 최초합으로 이대 선택하였슴댜
이대 가고 싶으다 ㅜ.ㅜ
화이팅
페미 예정? 실업자 예정?
@@진짜공상당히싫어요 강남권 여학생과 부모님들은 중경외시 붙어도 무 조건 이대 보내려는 풍조 같은게 있단다... 서울 외곽 경기도 사는 애들은 모르는…
@@user-forestmfa강남8학군 진짜 많았는데. 8학군의 마지노선. 지금도 그렇군요.
맞아요 이대개낮은학교에요 그니까제발붙여주세요 제발ㅠㅠㅠㅠㅠ제발너무가고싶어요
현실 검사 시험 합격자 1위 이화여대.
응 아니야. 서연고성한 보다 밀림
아웃풋으로 비교하면 끝도없음
고졸인 노무현은 대통령까지 했으니까
고졸은 최상위 스펙이겠네?
정확히 할려면 입결로 해야지 ㅋㅋ
@@alphyfish뭔소리야 니 뇌피셜말고 검사임용시험 결과를 보도록해 학사학과입결이 아니고. 댓글 목록보니까 그냥 애잔하다 이대여자한테 처맞았나 ㅋㅋ
@@alphyfish 2024 검사 임용 출신 대학순위 학부기준으로는 이화여대 4위고 로스쿨기준으로 이대로스쿨이 1위임. 응 팩트임 반박 못받음. 팩트니까. 통계자료 보고오셈ㅋㅋ
@@alphyfish 너가졋어임마
그래도 공부를 잘해야 갈수있는 대학교
예체능은 걍 라인 잘타면 가요
현실에서는 이화여대라 하면 좋아하고
인정해주는 분위기든디 ㅋ
대한민국이 페미니스트를 보는 시각이 전과 다르게 냉정해졌음...
더 이상 여성이 약자도 아니고, 보호 해야 할 객체도 아니고, 사회생활의 주체가 됐음...
대학까지 여대로 나눠서 혜택을 줘야 하나 싶음... 로스쿨, 의대, 약대등...
60~70년대에 태어난 세대는 여자들에 대한 마음의 빚이 있는 게 사실임...
그 당시 까지만 해도 남녀차별이 분명이 있었음... 그런 연유로 여자에 대해 배려하고 보호해야 하는 인식이 강했는데...
요즘 아이들은 오히려 역차별에 대한 불만을 토로함... 이게 여성 혐오로 번짐...
남자 대학이 없듯이... 여자 대학도 이제 없어지는 게 맞는 거 같음...
그런적은 없었어 이사람아
옛날에는 여성들 4년제만 나와도 고급신부감 특히 학교 타이틀만 있어도 괜찬았지 요즘 여성들도 직업가지고 사회적 경쟁 치열 고로 대학만 들어가는게 목적아닌 시대죠
5060 세대에서 이대는 여자들이 입학하는 서울대였지요.
아니에요...저 91학번인데..우리때도 안그랬어요. 70년대 학번이라면 모를까 ㅎㅎㅎ 그냥, 알려진 성적 인플레이션이 엄청날 뿐...
@@바람돌이-n4j마자여 할머니께서 65학번인가 그러신데 그때가 여자가 가는 서울대 느낌이었대요ㅋㅋㅋ
솔직히 이대는 아직 이름빨 프리미엄 있어서 중대급 같음. 특히 강남8학군에선 선호도가 높은듯
@@inunine1115 중대보다높음
@@우우-z5p저는 출신 고등학교 1/5가 이대가는데, 모두가 중대 붙어도 이대갑니다. 중대 간다하면 학교 자체에서 이대가야지 왜 가냐고 말리는 분위기입니다
그리고 이대는 수시로 온 학생들이 자부심이 높은듯ㅋㅋㅋ 정시는 갈수록 성적떨어져서 반수 은근 많다고..
원래 그정도라인에서는 반수많이함
수시 최초합인데... 학교 안에서도 수시
최초합이라그러면 놀라긴 함ㅋㅋㅋ
서울대 붙고도 이대 갔다는말 말에 수긍하기가 조금 어렵네요.
한두건의 특이한 사례가 있을진 몰라도 그런일은 없었습니다.
80년대 대학생활 한 사람입니다.
이대가서 4년제 장학금 받으려고~~
님, 특이할수있으나
1970년도 예비고사 여학생 전체수석여학생이 (장남순양, 이화여고)(예비고사는 오늘날 수능시험, 학력고사
전과목을보니 체력장도 봄)
이대식픔영양학과 진학
1972학년도 예비고사 여학생전체수석이 이대영문과 진학(전경희양, 경기여고)
여담이지만 1972학년도 전체수석은(남여통합)
나의 중학교 선배님이신 한태숙선배님입니다.
혜화국민학교 , 서울 중앙중(경기중학입학 실패), 경기고 수석졸업, 서울대수석입학의 한마디로 공부의 신입니다.
예비고사 여학생 전체 수석이면 장담할수없으나 대부분의과 서울대 진학 가능합니다.
물론 본고사도 존재는 했습니다만,
당시에는 여학생중 서울대갈수있는데도 이대가는경우 종종있고
아마도 연고대 갈성적인데 이대가는경우는 비일비재합니다.
물론 님이 대학 다닌 80년대는 그런현상은 거의 희박하고
교수요원등 특혜성 진학은있을지 몰라도
본인이 대학 다닌 1970년대에만 해도 이대의 위상은 높았었습니다.
1970년대에는 5개대학이 명문의 이미지가 강했는데
즉 당시에는 대학 벳지를 달고다녔는데
뱃지 달고 자랑할만한 5개대학은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서강대, 이화여대 였습니다.
80년대 이전, 60말 70초중반까지 많이들 그랬다고 들었어요. 결혼때문에 부모들이 강요했다는.
이대 그래도 거의 모든과가 입결평점 1.5정도 입니다. 다만 스펙트럼이 조금 넓을뿐임. 지금도 아웃풋은 5위 이내입니다.
50~60 년대
남자가 공부 잘하면 서울대
공부 잘하는 여학생은 이대로...
70년대~80년대 극초반시절엔, 여학생들은 연고대 정도는 가볍게 제끼고 이대갔다고 함. 말은 제주도에 사람은 서울로 여학생은 이대로 쭉. 우리이모도 81년도에 고대 영문과와 이대 문리계열에 동시 합격햏는데, 일고의 여지도 없이 이대감ㅡ 지금은 개후회 하는 걸로
그때 여자들에게 고대가 이미지가 안좋았나요ㅋㅋ
@considerate2121 안 좋다기 보다 이대의 위상이 엄청났다고 봐야하지 않을 까요? "나 이대나온 여자야" 이런 드라마 멘트도 있는 걸로 봐서 우리 이모 프라이드가 과장은 아닌듯요. 지금은 이해가 안 되지만 태고적 일이라 저도 그랬었구나 하는 정도.죠
이공계가 부진하고 인식이 안 좋아져서 기업이 기피하기 때문에 회복 어렵다고 봄
페미 이슈와 문과 중심의 한계라고 봅니다
페미 이슈는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나 난리지 현실에선 아무도 신경안씀 이대 입결대비 아직도 기업선호도 높은건 사실
@@Hyeon_1342 뭔 커뮤에서만 난리야 ㅋㅋㅋ당장 학교만 가도 이대하면 완전 페미 얘기뿐인데 ㅋㅋㅋㅋㅋ
@@Hyeon_1342 이대,외대
솔직히 여대면 높은 확률로 페미지
@@2PK-SM 건홀
5년뒤엔 더 떨어집니다. 학생수준, 이상한 풍토, 졸업후 짧은 근속년수등 전부 개선되지 않으면 가망이 없습니다. 특히 대학원의 경우 성별 50%를 빼고 여자만 뽑다보니 교수님들도 학생 구하기가 어렵고, 조금 힘들다고 느끼면 학위과정 중간에 그만두는 경향도 커져서 학교평가의 절대적 기준인 연구성과도 크게 하락하고 있죠. 예전에 연대랑 통합하여 서울대를 넘어설 기회가 있었음에도 양 학교의 재단간 이해관계 때문에 그 기회도 놓치고, 학교의 소위 잘나가는 과라고 하는 일부 문과계열 교수님들의 반대로 이공계에 대한 지원이 적고, 학교가 성장할 아젠다도 없고 뭐 그런상황이죠. 문과에서 이공계가 전기를 너무 많이 쓴다고 불만을 터뜨린다하니 뭐…
지금시대에도 여전시절의 사고 가진 학도 있다면 진심 인정합니다..
하지만 그게 아닌 사람에겐 공부 수준보다는 올바른 정신이 중요한 것 같아요.
교과목 성적만으로 인정받는다고 착각하는건 사회성이 없는거지.
서울대도 안그러는데 이대에서 유난히 사회를 이끌 여성리더가 될것을 강조 하는지 이해가 안되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sky 기타 상위권 대학 여자들이 페미니즘에 적극적이지 않으니 사회 구서구석에서 페미 그룹을 이끌라는 의미가 아니었나 싶음.
이대 분명 좋은 학교 맞아요 하지만, 동일학과 기준 서성한 점수받고, 이대가는 학생은 음~~~ 10명중 1명정도 되려나... 중경외시는 얼추 5:5 정도 될 듯...
서성한은 6명중 1명꼴로 이대선택 중경외시는 좀 차이가 크더군요 통계자료상으로 중앙대와 이화여대 391명중 328명 이대 선택으로 경희대 포함
5명중 4명이 이대선택
건국대와 이화여대 동시합격자 155명중 153명 이대 선택 이정도라네요
얼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통계보신후 댓달면 좋겠습니다. 역시나 안보셔서 윗분이 친절히 댓글 적어드렸네요
@@성이름-q2x7t동일과인가요? 원댓은 동일과라고 쓰긴했는데 말씀하신 상세 내용이 궁금하네요
@@ovr457 동일과는 한 해밖에 공개안됐는데 비슷한 수치였습니다
@@성이름-q2x7t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따지는게 아니라 그냥 궁금해서 그래요!
1. '여대' 이미지 자체가 안 좋아지고 있음 (페미니즘)
2. 30년 전 과거 영광을 들먹이며 여초 + 이대생들은 이대가 서성한급 이라고 주장하지만
현실은 중앙대, 경희대한테도 밀리고 이제 건국대한테도 곧 뒤쳐질 위기임(아직까지는 이대가 조금 더 위지만 5년 뒤라면 건국대가 더 위일걸로 예상)
3. 여대 자체가 취업이 잘 안 됨
4. 정부에서도 공대 + 남녀공학 대학에 지원을 최우선적으로 해주지 문과위주인 여대한테는 지원이 약함
그래 건대생 오늘도 고생한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영상 잘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건강지키미PM로얄패밀리
미국; 여 대는 남녀 공학으로, 아니면, 폐교로 가고~,
여대는 앞날이 어둡다.
여대중 1위에 만족하고 페미니즘 학풍을 유지하는한 계속 떨어지는 것은 자명하다.
시대착오적인 여대로 여러가지로 남녀 불평등이 야기되는 것 또한 사실이다.
징집으로 복무하는 군인들에게 주어지는 가산점 폐지는 가장 뼈아픈 오점이다. 가산점 자체가 위헌이라기보다 가산 정도를 조정했어야 했다. 가산점 폐지로 명단도 공개하지 않고 있는 518가산특혜자들이 대거 공무원 사회로 진출해 사회를 혼란하게 만들었다. 앞으로도 쭉 여대를 고집한다면 입결은 계속 떨어질 것이다.
서울대 대신 이대 갔던 시대는 70대 이상...여자는 이대가 절대적.60 대부터는 서울대에 비비지도 못함.
이대보내줘. ㅠㅠ
서울대 붙고도 이화여대 가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웃기지도 않네요
50~70년도.
60대인데 우리땐 여대 아니면 대학 안보내준다는 부모도 있었어요
지금으로선 이해못하겠지만
울집도 아들은 서울대 딸들은 다 이대보냄요
강제는 아니지만 어머닌 은근 유도하시고
아버지는 이대가 최고라고 부추기시고
연대붙고 이대간 사람 있었어요 81년생ㅋ 부모강요도 있었고 장학금 받는 조건..
이젠 여자대학들이 의미가 없죠. 사실상 불평등이죠. 입결은 나날이 떨어져가고..
이대 졸업생들 입장에선 충분히 억울할만 하다고 생각함. 하지만 교대 사관학교 여대 문과중심대학 이러한 대학들은 시대적 흐름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낮아진거임. 특히 이대랑 교대는 20학번 21학번까지는 그래도 입결이 방어가 됐는데 22, 23학번부터 많이 내려갔음. 객관적인 입결은 서성한>중앙>시립>경희 이대 건대>외대고 수험생 선호도 역시 중앙대를 넘지 못함. 그렇다고 이대가 안 좋은 학교냐? 당연히 아님
좋은 학교고 공부 잘해야 들어가는 학교인 건 맞지만 위에 언급한 학교들 모두 1~2등급대 학생들만 갈 수 있는만큼 이대가 낮아진 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임
여성이 교육 차별 받던 옛날과 다르기에... 사실 더 이상 여대의 존재 이유가 없음
정답..
교육만 차별없어지면 뭐하나 사회나가서 유리천장인데
와 예전에 입시설명회 할 때 거기 있던분이 요즘 추세가 yes 연세 이화 서강 이러는거 보고 그정도인가? 했던기억이 ㅋㅋ
개인적인 생각으로, 이대는 서성한 라인은 절대 아니고... 중앙, 경희 사이라고 생각함. 즉, 중앙보단 약간 아랜데 경희보단 그래도 위? 중앙 > 이화 > 경희 느낌임..
당연히 입결로만 치면 경희보다 떨어지고 건국이랑 비비겠지만.. 기존 선배들이 활동해서 만들어놓은 아웃풋 및 사회평판도, 인식을 반영한 결과값이 중앙, 경희 사이라고 봄.
지원하려보니 이대 서성한 라인 맞아요
입결표가 서성한 라인이 아니라고 하는데 ㅋㅋㅋ
@@msy1011 혼자만 80년대에 계시나요?
@@hamzzinyang_0103뭐 미래에서 오셨나요?? 인문은 성한 라인 맞는데 이쪽 라인 써보시긴 하시고 왈가왈부하시는건가요.??ㅋㅋㅋㅋㅋㅋ
@@성이름-q2x7t 쓴 댓글보니까 이대 올려치기 엄청 하는 페미 같은데 작작하세요. 같은 여자로서 부끄러워요. 2024년 입결이 이과든 문과든 이대가 중앙 경희 시립보다 아래인걸 보여주는데 왜 계속 거짓 주장을 하세요. 그리고 다른 댓글에선 성대 공대에서 치대로 반수하셨다면서요. 애초에 치대생이면 이대에 관심 ㅈ도 없을 것 같은데 계속 그러는거보니까 페미티 팍팍 나네요
숙대도 이제 국숭한테 입결 밀림 ㅋㅋㅋ
성신도 단국광운에리카한테 밀림..
그래도 이대보단 굳건할듯. 건동홍숙 인식은 건재하더라
@@bskskj82 숙중경외시아니였어?
@@사람-t5q6h이건 무슨 쌉소리
@@0066-d8o맞는데 예전에는 건동홍숙 이라고 불렀어요
저희때 30년전에 이대갔다 하면 여학생중엔 최고였는데 현재 저희애 고3인데 안간데요 다들..ㅠ
제 친구가 고등학교 선생님이라 상담하면서 만족도 조사하면 연세대 서울대 고려대 성균관 한양 서강 이화 중앙 이순서로 선호한다고 하던데요
실제 통계상으로도 이대 중대 동시합격자 391중 328명이 이대 등록한 통계도 있고요
이화여대가 만약에 공학으로 바뀌어서 이화대학교가 된다면, 어느 급으로 올라갈까요? 위치 + 아웃풋 + 전문직 등등 아웃풋을 봤을 때여
급간이 오를거같진않음
더 하락.. 이대만의 고유성 정통성이 없어짐
그냥 중경외시나 건동홍숙쯤 될듯
문과대학 + 여자원툴 이라는 두 치명적인 단점 때문에 이건동홍 라인으로 확실히 굳어질듯
이대 왜가
나다
회복 가능성의 근거는요?
이대 엄마들이 맨날 붙고나서 말하라던데. 서울대까지는 생각하지 않음.
이대 교육이면 홍대 미대는 나와야지 예체능이어도.
편의점 알바들이 퉁치던데 자기가 거품인지조차 모름.
아무리 옛날이라도 서울대 붙고 이화여대를 왜 가요.. 말이 되는 소리를
60대인데 우리땐 부모들이 반강제로 이대 많이 보냈음
울집도 아들은 서울대 딸 3명 이대가라하심
현실적으로 보자면 이대 보내는 부모님이나 여자들 속내는 시집 잘가려고 가는학교에 가깝습니다. 옛날분들은 아직도 마담뚜가 졸업앨범 들고 따라다니며 의사사위 줄서고 대기한다 생각하시죠. 지금 이대 이미지는 7년 전부터 페미 양성소에 피해야 하는 지뢰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멀쩡한 여자도 이대가면 페미가 돼서 나오는데 누가 좋아하겠어요. 의사사위건 변호사사위건 페미와이프 떠받들고 살고자 하는 남자는 없습니다. 제가 이제까지 봐온 여대출신들은 둘중 하나입니다. 꼴페미이거나 페미 아닌척 하는 페미.
당연하지 여성 전국 1워도 이대를 갔었음...요즘은 중대 아래임 ~서울시립대 이화여대임 아집은 건국대 경희대보다 높음 서윤교대보다 눂고
합격 등급 기본 1~2등급이던데
제대로 알지못하시는듯
요새 공부 좀 하는 여자가 누가 이대가냐? 정신나감?
몇살이세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입시도 모를 것 같은데
내 주변 여자애들 수시때 무조건 이대 넣는다 ㅇㅇ
근데 이대 인식은 씹창남 ㅋㅋ 내가 설대 전기정보인데 과 친구들 이대 나왔다하면 소개팅 바로 거부함
현실에서는 다들 겉으로 내색안하지
여대라 그러면
속으로는 '페미인가?'100퍼 이생각한다
지금 윤석열이 지지율 망해서 다음 대통령은 이재명이 확정이라 더더욱 페미 밀어줘서
여대 인식은 앞으로도 씹창날 예정
@@cecil6320 당장 제 친구가 이대인데 설대랑 미팅을 얼마나 했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서울대붙고 이대ㅋㅋㅋㅋㅋㅋ
이미 입결은 처박는데 어쩌라는건지 ㅋㅋ
ㅎㅎ 페미라고 왜 말을 못해
이대 1.6내신으로도 추합 문닫고 합격입니다.
여대는
김명신의 쑥대
이대 상권 죽었다
보이루~
회복? 희망사항이겠지...
군가산점 없앤 히양니언들
서서히 여대는 역사속으로 사라질것이다
ㅋㅋㅋㅋ 문과 예체능이 답이다 저긴
이대 나온 여자들 비호감들 많은것도 크게 한몫 할 것 같은데..ㅋㅋ
진짜 건대와 이대 붙으면 고민하더라
개소리에요
통계적으로 이대 건대 동시 합격자 155명중 153명이 이대가는데 고민하는건 바보아닌가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건대 극상위 공대 vs이대 낮은 공대 정도가 아니면 모를까 ㅋㅋㅋㅋ
인문인데 고민하는거면 그냥 진짜 바보맞고요
이번 입시 하면서 수만휘 들락거렸지만 건대랑은 비교도 못봤고 대부분 중대나 경희대였고 중대가는분 좀 있었고 경희대가는분은 적어보였네요
이대떨어졌다 떨어졌다 하지만 막상 원서쓸때보면 성적 안됨 못쓰는 대학이에요 이제 좀 이런말들 그만좀 했음 싶네요 특히나 여대에는 더욱 더 심해요
입결은 그냥 건대수준인건 팩트 ...
ㅋㅋㅋㅋㅋㅋ 더 밀릴거임ㅋㅋㅋㅋ 한 삼육대 정도까진 밀려야지 누가 취업할수있는데ㅋㅋㅋㅋㅋㅋ
이제 영화 대사를
나 메갈 페미대 나온 여자야~~
이걸로 바꿔야함.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보현 딱대
동덕여대 사태 보고 달려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