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러 주택은 시공전 내부구조와 디자인을 정해진 규격안에서 바꿀수 있어요. 뭔 샘플 하우스를 가지고 아파트 보듯이 좁네 마네 따집니까, ㅋㅋ 그리고 요즘 목조 주택 잘나와요, 자이 뿐 아니라 다른 곳도 목조 주택 콘크리트 집보다 단열 우수하고 튼튼하게 잘 뽑습니다. 내장재 외장재 좋은 거 쓰면 아파트 보다 단열 더 잘 됩니다. 기밀성이 문제인데 이 기밀성이 패시브 주택들이 당연히 더 우수해서 냉난방비 그렇게 많이 안 나옵니다.
원래 주택 짓고 사는 유럽이나 미국 일본의 많은 주택들도 천편일률적인데 똑같은 디자인 똑같은 구조 그래야 설계, 공사비를 줄일 수 있어서 똑같은 거 여러 채 지어 놓고 후분양함. 이건 그걸 더 빠르게 지을 수 있으니 좋은 거고 외국이나 우리나라나 어차피 특색 있는 자기 주택 지으려는 사람들은 저런거 안삼.
@@freefalling346 자이가이스트 가격 책정과는 완전 별개로... "평당 시공비의 함정" 이라는 주제로 한번 검색해보시면 관련 영상 아주 많으니 한번 보시면 좋습니다. 그리고 집 지으면 10년 늙는다는 말이 보통 평당 시공비의 함정에 빠져서 이것저것 계속 추가하고 늘어나는 게 주요 원인이죠.
그건 광고용이고 제가 하고 있는데 실제 들어가는건 평당 1천만원 넘어갑니다... 모듈러 주택도 추가비용이 엄청납니다. 비용적인 측면에서는 싸지하고 담당자 수십명 상대하게되어 더 피곤합니다. 그리고 원하는 디자인과 공간구조 설계에 한계가 있습니다. 장점은 건물본체의 시공의 품질이 일정하고 건물자체는 단기간에 만듭니다. 그렇지만 건축은 많은 변수들이 있어 공사기간이 단기간에 끝나는것은 아닙니다...
ㅇㅣ것도 철근빼먹나요
자이가이스트에 건축상담을 원하시는 분들은 하단의 링크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해주세요~
www.xigeist.com/main/
전원주택을 지으면 땅값이 녹아들어 가기 때문에 현재는 설득력이 좀 떨어져 보입니다 앞으로 대량 생산 체계가 잡혀서 가격만 착해 진다면 상당히 괜찮아 보입니다
시도 자체가 신선해 보이네요🤘🏻
집이 이쁘네요. 사계절을 잘 버틸 수 있을 지와 눈, 비, 바람, 습기에도 강한지와, 냉난방 정도가 궁급합니다. 아파트 구조로 5층까지 올릴 수도 있을까요?
모듈러 주택은 시공전 내부구조와 디자인을 정해진 규격안에서 바꿀수 있어요. 뭔 샘플 하우스를 가지고 아파트 보듯이 좁네 마네 따집니까, ㅋㅋ 그리고 요즘 목조 주택 잘나와요, 자이 뿐 아니라 다른 곳도 목조 주택 콘크리트 집보다 단열 우수하고 튼튼하게 잘 뽑습니다. 내장재 외장재 좋은 거 쓰면 아파트 보다 단열 더 잘 됩니다. 기밀성이 문제인데 이 기밀성이 패시브 주택들이 당연히 더 우수해서 냉난방비 그렇게 많이 안 나옵니다.
철근 없는 나무집 ❤❤❤❤❤❤❤❤❤
뭐야 모든게옵션같아 ㅠㅠ 아파트가낫겠다생각드네요
설명좀 적극적으로 해주시면좋겠습니다
와 👍. 중소 기업과 경쟁시대 ! 가격대가 ?
방금 뉴스보니 기존 건설보다 10% 저렴하다고 하는데 생각보단 가격매력은 없는듯 단지 공장 상품이라 믿을만한 상품이라 집지을때 고생 안하고 왜 10%뿐일까 궁금하네
실제로 주택 공사를 해부면그부분이 크더라구요 건축 일해보면 화병남
기우와 기후를 구분 못하는 전문가?의 설명 잘 들었어요
제가 보기에는 동영상 편집하는 분이 착각했거나 아니면 기우와 기후를 몰랐을 듯 싶습니다. 설명하는 분은 잘 아시는 것 같습니다.
단독사는데 이건 원.. 공간을 이렇게 빼다니 ㄷㄷ
엘리베이터는 설치가 가능한가요?
blog.naver.com/young2lee/223133795012
주택건축시 별도로 지하 및 엘리베이터등은 철근콘크리트로 짓고 나머지는 모듈러주택으로 건축한다고 합니다. 링크 걸어두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네요~
아파트 기둥 철근 휘어버린 회사랑 같은 회사죠?
ㅇㅇ
주방이 안쪽에있는걸 옆에 냉장고 공간이랑 바꾸고 ㄷ자형으로 개조해야 좋을거 같은디 ㅋ
아무리 좋은자재로 튼튼하게 시공 한다 하더라도 우리나라같이 여름 겨울 일교차가 크고 특히 덥고 습한 여름 기후를 과연 목조주택이 견뎌낼수 있을까? 몇년간은 괜찮을지 몰라도 그 이후에는.. 분명히 내구성에 문제가 있을것 같은데...
우리나라 기후에는 철근콘크리트가 답이다
제주지역도 설치 가능한지요
넵 가능하나 현재 제주도는 준비중이라고합니다
26분10초. 기후에 가까워요가 아니라, 기우
작은평수 20평대도 있나요?
면적은 조절가능합니다
경량목조기반 모듈러주택이 평당 700이면 ㅋㅋㅋ
왜요? 그럼 얼마여야 하는지
400
제주도는 안된다고 하네요 갠찮은 모듈 목조주택 업체 없을까요?
하루홈에서 제주도 여러채 한거 같아요
공간제작소가 가성비
중정 굳이 두느라고 주방이 너무 좁게 빠진 듯.. 평형대비 너무 좁아보여요. 중정 창 때문에 열손실도 크겠네요
구멍가게도 아니고 지금 이집이 얼마인지는 알려줘야지
이제 단독주택까지 천편일률적인 공산품에 살아야하나...
원래 주택 짓고 사는 유럽이나 미국 일본의 많은 주택들도 천편일률적인데
똑같은 디자인 똑같은 구조
그래야 설계, 공사비를 줄일 수 있어서 똑같은 거 여러 채 지어 놓고 후분양함.
이건 그걸 더 빠르게 지을 수 있으니 좋은 거고
외국이나 우리나라나 어차피 특색 있는 자기 주택 지으려는 사람들은
저런거 안삼.
주택 보다 창고 느낌…중정 눈 내린뒤 녹을 때까지 어떤 모습일지…리뷰인지 광고인지…
Mdf.. 본드 범벅 ~! 새집증후군 원인중에 한종류..
MDF도 친환경 접착제 사용하고 건조하면 유해물질 거의 안나옴.
MDF 문제라기 보다 접착제 문제라
@@tksdiqkdhtnzdmnqa 접착제 문제긴한데 GS건설에서 무해한 접착제를 썼다는 보장이 있으려나?
내구성이 의심 된다. 처음에 겉만 번지르르 하고 5년만 지나면 비새고 썪은 냄새 나고 하면 문제가 되겠지 그리고 시골 주택은 2층을 지을 필요가 없다. 지금 50대 이상의 무릅은 갈수록 안좋아진다
순살은 안사요
영화 찍ㄱ 딱 좋은집
대체로 부정적인 코멘트들이 많네요. 근데 대기업에서 이런 부분까지 진출하네요, 중소업체들한테 맏기고 아파트 품질 개선에 집중하면 좋은텐데 말입니다.
자이 요즘 상태 모름 ??
저건 건물값임
세금 토지 기타비용 제외하고
하려면 시공부터 인허가까지 다하던가
그리고 자재도 주택인데 창호는 아파트용 벽지 실크 레알 ㅋㅋㅋ
지금 가격보다 50%로 다운해도 안팔이거임 ㅋㅋ
엘지가 아니고 gs라서 믿음이 안감
아직은 무지 비쌈. 지금 사지 마셈...
완공 하는데...총비용 3억 정도,,,,,예상 하셈
@@쟝콜롭 평당 1000???😊
@@세상의모든치과지식 평당 800
목조 현장 시공이 평당 450 인데
저런 가격 책정은 도대체 어떻게 나오는거지 ???
@@iredmoon0009 양평에 전원주택 시공하는데
문의 하니 목조 현장 시공 평당 450 부르더군요
물론 현장 상황에 따라서 약간 변동 가능하고….
평당 450이 다가 아닐수도 있으니 잘 알아보세요. 저희 누님도 공사비가 이런저런 명목으로 계속추가되고 항의하면 공사안하고... 속많이 썩었습니다
@@freefalling346 자이가이스트 가격 책정과는 완전 별개로... "평당 시공비의 함정" 이라는 주제로 한번 검색해보시면 관련 영상 아주 많으니 한번 보시면 좋습니다. 그리고 집 지으면 10년 늙는다는 말이 보통 평당 시공비의 함정에 빠져서 이것저것 계속 추가하고 늘어나는 게 주요 원인이죠.
450은 자재값 오르기전에 하급 품질
@@freefalling346 지금은 평당450 절대 안나옵니다!
자이가 단독주택 시장에 들어오는건.. 좋은건가..???
내생각에 가격만 졸라 올린다.에 한표...
왜 이리 답답해 보이는건 내 생각일까
너무 비싸요
순살자이스트
순살자이
철근없이 집짓기 전문업체
김병만이 광고하는 공간제작소는
평당 400-500선이던데
그건 광고용이고 제가 하고 있는데 실제 들어가는건 평당 1천만원 넘어갑니다...
모듈러 주택도
추가비용이 엄청납니다.
비용적인 측면에서는 싸지하고 담당자 수십명 상대하게되어 더 피곤합니다.
그리고 원하는 디자인과 공간구조 설계에 한계가 있습니다.
장점은 건물본체의 시공의 품질이 일정하고 건물자체는 단기간에 만듭니다. 그렇지만 건축은 많은 변수들이 있어 공사기간이 단기간에 끝나는것은 아닙니다...
@@이기덕-z8v 목조가 무슨 천만원이 넘어갑니까ㅋㅋ
저도 3년전까지 빌더였고 지금도 많은 지인들이 하고 있어요
3년전에 현장에서 지어도 600에 지었습니다ㅋ
프리패브는 절감되니 500이면 충분하죠
근데 3년전하고 지금이랑 공사비 차이 엄청나요
@@신호-i2q 3년은 아니고 2년조금넘었어요 코로나 20년 말쯤? 코로나 팬데믹이 피크일때고 자제값도 오른 상태였어요
그후로 러우전쟁때 원자제값 폭등에 자제값이 많이 올랐죠
지금은 조금 안정화됬어요
제가 빌더접을때랑 비슷할겁니다
@@user-hg5vr8sp3t추천해 주실만한 모듈러 업체 있으신가요?
순살순살 ㅋㅋ
가격이 궁금하네요
가격은 비공개요청이잇어서 직접 홈페이지 대표번호를 통해 문의하시면됩니다
기반공사하고....설계비.부가세 하면,,,더럽게 비쌈
자재비 안정되면 코로나 이전 가격인 400-450대로 내려오면
딱 좋겠네요.
땅값까지 더하면 부담되니까요.
경량목조에 패시브가 아니어서
비쌀 이유가 없지요.
평당 800 시공 품질임
700. 짜리 농막... 을 ..누가?
옵션이 기본옵션인지 선택옵션인지를 이야기 해주야지 자기들끼리 옵션인가요? 네. 이러면 어쩌냐고
계속 드는 생각이 디자잇을 왜 저렇게 뺐지?
공간의 분절이 너무 많고 조잡해 보인다.
너무 비싸네. 조립식 맞나.
인건비+자재상승비
비싸지 않나요
유리창이 많아서 난방비 졸라 많이 들겠다
집이 왜이리 약해보이냐...
내 눈에는 너무 답답한데..
우리나라와 안맞음.
지금도 전원주택 팔구 큰병원 옆으로 이사옴.
그리고 너무 비쌈...
돈에 눈먼 대기업들 ㅉㅉㅉ
아 영상질이 바닥이네
디자인은 참.. 멋없다
그냥
네모나고 박공지붕
기본형 모델 있으면 안될까?
LG에서 한다면
처마길고, 하자없을만한 디자인으로 판매한다면
20~30% 비싸도 선택할 사람 많을것 같은데
자이가이스트의 30퍼센트 가격으로 훨씬더 예쁘고 기능도 더좋고 가성비 극강의 건축사는 많아요 . 굳이 비싼돈 LG라는것에 현혹되어 과소비 하지않는 현명함을 갖으세요.
너무 비싸 콘크리트 주택보다... 딱히 좋지 않다....기초 공사 건축주가 하는데....420~520만원 정도가 적당한듯
순살자이가 무섭다 분양가도 너무 비싸다 돈 되는 건 다 하려는 구만
거실이 왜저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