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엔지니어별 연봉은 어떻게 되나요? (연봉이 낮다는 말을 너무 많이 들어서;;) 2.엔지니어가 꿈인데(방송이나 영상의 소리 믹싱등) 직업으로 삼기에 안정성이 있나요?(고정수입이라던지 실수하면 회사에서 잘린다던지) 3.전공은 크게 상관이 없다고 하셨는데 방송국 내에서 대학 나온거에따라 비교나 무시당하는등의 차별된 대우가 있나요? 4. 음향엔지니어의 승진이 음향감독인가요? 5. 만약 고등학교 필수 내신이있다면 약 몇등급 이상이 가능성이 있을까요??
1. 엔지니어, PD, 기자, 방송경영, 아나운서 등 공채 출신의 기본 연봉은 모두 동일 합니다 :-) 기본 방송사 처우는 연봉이 낮다 라고 할 정도는 아닙니다 2. 회사에 따라 다르겠지만 안정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현재 KBS에서 실수를 했다고 잘리지는 않습니다 3. 대학 나온거에따라 무시를 하는것을 본적이 없습니다만 일을 못하면 무시를 당할지도 모르겠습니다 4. 그렇게 보셔도 무방합니다만 보통 음향엔지니어들을 음향감독이라고도 부릅니다 5. 사실 방송계에서는 고고익선이라는 말이 있는데, 고등학교 내신보다는 입사 시험 및 면접이 더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음향전공인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전기전자 관련된 공부가 많다고 들어서 편입을 해야할지 고민입니다.. 편입공부를 또 해야하는데 그만큼 가치가 있는 시간일지 아니면 차라리 편입 공부 할 시간에 기사자격증을 준비해 공채를 볼지 고민이네요.. 또 계속 공채가 안떠서 약 2년 이라는 시간을 방송국 채용에만 올 매진하는게 맞는건지 걱정됩니다.. 선배님들은 그 시간들 어떻게 버티셨나요?
안녕하세요 현재 방송국 엔지니어를 꿈꾸고 있는 고1 학생입니다 저는 대학교 보다 진흥원쪽을 알아보고 있고 부모님께서는 반대가 심하시지만 꼭 합격해서 이 일을 하고 싶습니다 제 자세한 꿈은 방송국 음향감독 인데 대학교 말고 진흥원을 나왔다고 정말 다 무시할까요 그리고 면접 볼때 어떤 걸 준비해가면 더 좋을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기다릴게요ㅠㅠㅠ
방송기술직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요즘 유튜브나 다른 매체들도 많아지고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방송산업이 많이 줄어들것이라는 말들이 많아서 방송기술직을 준비하는 것이 맞나하는 불안함이 있는데요.... 이런 점에 대해서는 방송국자체에서는 어떻게 극복하고 있는지? 기술엔지니어로써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ㅎㅎ
사실 방송국의 입지가 좁아진것은 사실입니다. 그래서 고품질의 콘텐츠 생산으로 경쟁력을 유지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현재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것도 이때문이지요 과거 기술엔지니어는 기술 분야에만 국한되어 근무를 했다면 지금은 능력에 따라 타 직군과도 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의 다양성은 무궁무진 하다고 생각됩니다.
지금 특성화고에 다니는 고3인 학생입니다 중학교때부터 방송부는 지금까지 동아리로 열심히 활동 중이고 엔지니어 일도 여러번 손대다 보니까 방송엔지니어에 관심이 많아서 질문합니다 1. 고졸이라고 무시하거나 대학교를 꼭 나와야 한다는 그런 편견을 가지고 있는지? 2. 고졸이지만 엔지니어에 일에 경험이 많고 일을 잘하면 무시는 안당하는지? 3. 고졸과 대졸 초봉 차이가 엄청 많이 나는지?
1. 공채 자격 요건을 보시면 연령, 국적, 학력에 제한을 두고있지 않습니다 2. 공채로 입사한 직원이라면 학력때문에 무시를 당하는일은 경험상 전혀 없습니다. 일은 입사후 배우면 되는것이고 물론 일을 못하면 어디서든 무시를 당하겠지요? 3. 고졸 대졸과 상관없이 신입사원 공개 채용이라면 전부 연봉이 같습니다(물론 남자인 경우 군복무기간을 호봉으로 처주기때문에 여성 입사동기와 연봉이 조금 차이는 납니다)
기승전 아이돌은 복지 ㅋ 소변 참는 스킬은 다들 패시브구나 ㄷㄷ 확실히 요즘 IT쪽에 여성 비율이 상당히 높아진듯 직업 난이도 차이 때문인지 세분 다 답변이 조금씩 다른것도 흥미롭네요
학업에 열중해서 자랑스러운 후배로 뵙겠습니다!
1.엔지니어별 연봉은 어떻게 되나요?
(연봉이 낮다는 말을 너무 많이 들어서;;)
2.엔지니어가 꿈인데(방송이나 영상의 소리 믹싱등) 직업으로 삼기에 안정성이 있나요?(고정수입이라던지 실수하면 회사에서 잘린다던지)
3.전공은 크게 상관이 없다고 하셨는데 방송국 내에서 대학 나온거에따라 비교나 무시당하는등의 차별된 대우가 있나요?
4. 음향엔지니어의 승진이 음향감독인가요?
5. 만약 고등학교 필수 내신이있다면 약 몇등급 이상이 가능성이 있을까요??
1. 엔지니어, PD, 기자, 방송경영, 아나운서 등 공채 출신의 기본 연봉은 모두 동일 합니다 :-) 기본 방송사 처우는 연봉이 낮다 라고 할 정도는 아닙니다
2. 회사에 따라 다르겠지만 안정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현재 KBS에서 실수를 했다고 잘리지는 않습니다
3. 대학 나온거에따라 무시를 하는것을 본적이 없습니다만 일을 못하면 무시를 당할지도 모르겠습니다
4. 그렇게 보셔도 무방합니다만 보통 음향엔지니어들을 음향감독이라고도 부릅니다
5. 사실 방송계에서는 고고익선이라는 말이 있는데, 고등학교 내신보다는 입사 시험 및 면접이 더 중요합니다.
으아..해외에서 음향기술을 배우고 있습니다ㅜㅜ 방송국에 취직하고 싶네요 ㅜㅜ
강민경 화이팅!!
안녕하세요! 음향전공인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전기전자 관련된 공부가 많다고 들어서 편입을 해야할지 고민입니다.. 편입공부를 또 해야하는데 그만큼 가치가 있는 시간일지 아니면 차라리 편입 공부 할 시간에 기사자격증을 준비해 공채를 볼지 고민이네요.. 또 계속 공채가 안떠서 약 2년 이라는 시간을 방송국 채용에만 올 매진하는게 맞는건지 걱정됩니다.. 선배님들은 그 시간들 어떻게 버티셨나요?
안녕하세요 현재 방송국 엔지니어를 꿈꾸고 있는 고1 학생입니다 저는 대학교 보다 진흥원쪽을 알아보고 있고 부모님께서는 반대가 심하시지만 꼭 합격해서 이 일을 하고 싶습니다 제 자세한 꿈은 방송국 음향감독 인데 대학교 말고 진흥원을 나왔다고 정말 다 무시할까요 그리고 면접 볼때 어떤 걸 준비해가면 더 좋을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기다릴게요ㅠㅠㅠ
그냥 대학교 4년제 전기공학과 같은데 나오세요... 진흥원 그런데는 진짜 비추예요 공부못하시면..어쩔수없이 가는거지만,, 잘하면 대학 가세요 꼭..
부조에서 기술감독이나 방송장비를 운용하는 일을
희망하는데 학과는 전자공학 전공하고
4년제 대학이 필요하겠죠?
현재 엔지니어 출신들이 전자공학 전공출신들이 많이 있다보니 아무래도 전공을 살려 준비하시기 편하실 듯 합니다 :-) 2차 필기시험 과목들이 전자공학 전공했을때 배우는 과목들이 많이 있습니다!
플레이버튼PLAYBUTTON 감사합니다
방송기술직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요즘 유튜브나 다른 매체들도 많아지고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방송산업이 많이 줄어들것이라는 말들이 많아서 방송기술직을 준비하는 것이 맞나하는 불안함이 있는데요.... 이런 점에 대해서는 방송국자체에서는 어떻게 극복하고 있는지? 기술엔지니어로써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ㅎㅎ
사실 방송국의 입지가 좁아진것은 사실입니다. 그래서 고품질의 콘텐츠 생산으로 경쟁력을 유지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현재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것도 이때문이지요
과거 기술엔지니어는 기술 분야에만 국한되어 근무를 했다면 지금은 능력에 따라 타 직군과도 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의 다양성은 무궁무진 하다고 생각됩니다.
김기남학원은 왜 비추하는지 알수있을까요?
실음과 레코딩 전공인데 방송국 음향 엔지니어엔 전자과가 더 적합한가요? 그리고 방송국 엔지니어로 들어가면 음향만 할 수 있는게 아니라 영상이나 조명같은 다른 분야도 해야 되는건가요?
현재는 엔지니어 통합으로 채용을 진행합니다.
영상이나 조명, 시스템, 송출 등의 여러 분야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도 있기 때문에
채용 시에는 여러분야에서 적응할 수 있는 인재를 원할 것 같아요!
김기남 학원 왜 비추인지 ㅠㅠㅠ 얘기좀 해주실분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혹시 k학원을 비추하시는 이유를 여쭤봐도 될까요?
스타벅스 셔츠 감독님 잘생겼다!!!🍀
realsuzi 공감합니다
기술직군은 아무래도 공학을 기초로 해서
수학을 어느정도 해야 도전해 볼 수 있나요?
학창시절 수학 포기자들에게는 쫌 많이 힘든가요?
가끔 문과출신 엔지니어분도 계시다고 합니다 :-) 하지만 대부분 엔지니어분들은 이공계출신이십니다!!!
내용중에 아랑이라는 카페라는 말이 있는데 혹시 주소 좀 알려주실수 있을까요?
답글이 많이 늦었습니다. ㅠ 다음카페 아랑 검색하시면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방송국 음향엔지니어를 꿈꾸고 있습니다! 학력은 고졸이지만 음향일에 대한 경력도 좀 있고 여러가지 행사도 많이 해봤는데 자격증 정도만 준비해서 방송국 음향엔지니어로 지원이 가능할까요?
제가 지금 전기기사를 준비하고 있는데 스펙에는 무선설비나 정보처리기사 보다는 스펙이 떨어지는지 궁금합니다ㅜㅜ
예전엔 방송기술 조명이나 전기 등 공채를 한적도 있으나 근래엔...
방송국에서 영상만 전문적으로 하는 엔지니어가 있나요?
영상감독 업무가 있습니다. 음향감독이 오디오 품질, 송출 전반적인 부분을 담당한다면 영상감독은 비디오 품질, 송출 전반적인 부분을 담당합니다 :-)
영상이라고 말하면 어떤분야인지 모르겠지만 카메라 잡는 역할은 카메라 감독 직무가 있고, 엔지니어로 영상 편집과 영상신호처리 등의 역할이 있습니다
@@colorbar39 영상편집은 방송되는 영상을 PD가 아닌 영상감독이 직접 편집하는 건가요?
@@Hari-bc6bh 편집감독이 하는 부분도 있고 피디가 하는부분도 있습니다
컴공과도 많이 있나요!?
정보처리기사 하나만 따도 합격 할수 있을까요?? 무선은 없는데..
자격증은 가산점이 될 수 있어도 필수조건은 아닙니다 ^^
기사 자격증 없이도 합격하시는 분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자신감을 가지고 도전하세요!!
일주일 내내 일을 하시나요 ? 공휴일에는 쉬나요 ?
영상 넘기는 일을 하는 사람은 뭐라고 하나요 ?
신입사원은 요즘에 안뽑는다는데 KBS는 계속 뽑을 예정이신가요 ?
직무에 따라서 공휴일에도 업무를 하는 엔지니어들이 있습니다 (방송은 24시간이니까요!) 엔지니어 역할이 다양하다보니 9-6도 있고, 교대근무도 있고, 주말 휴일에 근무하기도 합니다
@@강낭콩-p4w 영상을 넘긴다는 표현이 Cutting 이라는 것이면 기술감독이 비디오 스위처를 운용해서 이루어지게 됩니다.
자격증을 꼭 취득해야하나요?
필수는 아니지만 가산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 기사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금 특성화고에 다니는 고3인 학생입니다 중학교때부터 방송부는 지금까지 동아리로 열심히 활동 중이고 엔지니어 일도 여러번 손대다 보니까 방송엔지니어에 관심이 많아서 질문합니다
1. 고졸이라고 무시하거나 대학교를 꼭 나와야 한다는 그런 편견을 가지고 있는지?
2. 고졸이지만 엔지니어에 일에 경험이 많고 일을 잘하면 무시는 안당하는지?
3. 고졸과 대졸 초봉 차이가 엄청 많이 나는지?
1. 공채 자격 요건을 보시면 연령, 국적, 학력에 제한을 두고있지 않습니다
2. 공채로 입사한 직원이라면 학력때문에 무시를 당하는일은 경험상 전혀 없습니다. 일은 입사후 배우면 되는것이고 물론 일을 못하면 어디서든 무시를 당하겠지요?
3. 고졸 대졸과 상관없이 신입사원 공개 채용이라면 전부 연봉이 같습니다(물론 남자인 경우 군복무기간을 호봉으로 처주기때문에 여성 입사동기와 연봉이 조금 차이는 납니다)
오신 준비하시면 잘 될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