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7 чер 2024
  • #티전드 #알쓸인잡 #tvN
    00:00:00 오프닝
    00:00:07 물리학적으로 바라보는 귀신?
    00:08:14 찰스 다윈의 연구와 도전
    00:29:52 물리학자가 사랑하는 리처드 파인만
    00:59:30 유쾌한 과학 이야기
    01:11:40 과학에서의 예술
    회차 정보: 알쓸인잡 1, 3, 4, 5, 6, 8, 9회
    we’re :DIGGLE family
  • Розваги

КОМЕНТАРІ • 647

  • @I_love_290
    @I_love_290 3 місяці тому +7

    김상욱 교수님 너무 좋아요!! 목표가 없던 제게 과학과 관련된 장래희망이 생겼습니다.

  • @pple-rq1yd
    @pple-rq1yd Рік тому +447

    ??? : 어떻게 지평좌표계로 고정하셨죠?

  • @martinicandy3
    @martinicandy3 Рік тому +275

    이런거 보면 항상 생각나는 말
    '어떻게 지평좌표계를 고정하셨죠?'

    • @didirami
      @didirami Рік тому +18

      와 궤도! 안될과학 아시는구나!

    • @vvater7
      @vvater7 Рік тому +18

      사실 그들은 자전과 공전 속도를 모조리 따라잡는 비탄소계 영체였던거임 ㅎㄷㄷ 근데 이논리면 우리는 영영 귀신을 볼수없음..

    • @BraveJson
      @BraveJson Рік тому +5

      과학의 영역 밖에 것들이 몇이 있지 ㅎ

    • @beomkun
      @beomkun Рік тому +11

      @@vvater7 전자기력과 상호작용하지 않는 암흑물질 귀신 ㄷㄷ

    • @user-mb7zd7jb3m
      @user-mb7zd7jb3m Рік тому +14

      어? 싸패다

  • @user-hp5wm1sx3g
    @user-hp5wm1sx3g 7 місяців тому +4

    너무 재밌고 흥미로운 설명입니다. 감사해요😮

  • @qwertykey105
    @qwertykey105 Рік тому +7

    와,,,당신의 새 주소를 아직 몰라... 너무,,,말이 너무아름답고 슬픔...

  • @ActOfValor235
    @ActOfValor235 Рік тому +6

    나도 귀신이 없길 바라지만, 한번도 귀신에 대한 이야기나 무서운 영상과 사진을 본 적도 없는 5살 아이가 갑자기 집 끝방의 허공을 보며 '저기 무서운 얼굴을 한 사람 있어서 무서워... 입이 왜저렇게 커?' 라며 무서워하다가, 잠시 후에 '이제 사라졌어... 안보여' 라는 말을 들어서 소름돋았던 거 생각하면, 지평좌표계 뭐시기 들먹이며 귀신 존재 자체를 나도 부정하고 싶네요..

  • @user-dp7or5ol3u
    @user-dp7or5ol3u Рік тому +18

    이 재미는 뭐지~ 내가 이런쪽에 흥미를 보이게 되다니..김상욱교수찾아서 다보고싶어진다.. 감사합니다~

  • @4_Riiip_c10ver
    @4_Riiip_c10ver 10 місяців тому +71

    와... 김상욱 교수님 이야기들이 물리학이나 과학들을 쉽게 잘 풀어주시는 것으로만 알았는데,
    사진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화두를 꺼내는 스타일에서 진짜 사람의 이목을 끄는 스토리텔러시라고 느꼈네요...
    말과 이야기는 저렇게 해야 하는 거구나 싶을 정도....

  • @user-fl3qv9fm6j
    @user-fl3qv9fm6j 7 місяців тому +15

    51:24 "저는 과거를 보고 싶어요" 소름;;; 이호 법의학교수님 너무 멋지십니다 👍 👍 👍 👍 👍

  • @user-uh2sr1mq8c
    @user-uh2sr1mq8c Рік тому +16

    김은희작가의 상상력을 제한해버리는 ㅋㅋㅋㅋㅋㅋㅋ

  • @engdive
    @engdive Рік тому +55

    알쓸인잡 정말 재밌게 다 챙겨봤어요
    김상욱 교수님과 김영하 작가님 캐미가👍
    다음 알쓸 시리즈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 @user-ll2kp5zx4x
    @user-ll2kp5zx4x Рік тому +2

    너무 재밌다 !!!

  • @ruheeby
    @ruheeby Рік тому +51

    김상욱교수님진짜 멋있어요.완전팬입니다

  • @navyguy410
    @navyguy410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내용 자체가 진리를 다루니 새롭네.

  • @user-td5js6yg5k
    @user-td5js6yg5k 10 місяців тому +12

    김상욱 교수님 덕분에 리챠드 화인만 책 구입해서 읽다가 초반에 포기 한책 .
    흥미 진진 할줄 알았은데 이름은 확실히 인정 합니다. 😂😂😂😂.
    교수님 설명은 정말 최고 👍

  • @Rinew474
    @Rinew474 Рік тому +10

    와 나 2시간 끝까지 안멈추고 다봣어 ㄷㄷ

  • @JAZZMANCOOL
    @JAZZMANCOOL 6 місяців тому +2

    뒤샹 얘기 재밌었어요~

  • @user-xh3ez1gj9f
    @user-xh3ez1gj9f Рік тому +91

    어우 이런 교수님만 있으면 학교가고싶을듯

    • @SLee-vh2jw
      @SLee-vh2jw 9 місяців тому +6

      저 교수님들도 밑의 대학원생들한텐 악몽임ㅋㅋㅋㅋ아닐것같지?

    • @user-fb3iy7us7k
      @user-fb3iy7us7k 5 місяців тому

      님 교수님도 수업이아닌 사석에서는 김상욱 교수님처럼 재미있으신분일지도 몰라요

  • @user-kg6zf6cb2l
    @user-kg6zf6cb2l Рік тому +56

    화학 좋아해서 그것만 파고 직업도 그 방향인데 이 프로그램 보고 물리도 나름 재밌는거 같다고 생각이 되네요 ...♥︎♥︎

    • @rosibalfusdk
      @rosibalfusdk Рік тому +1

      @@user-cr8md6ri4f브레이킹 배드에서도 월터가 만든게 순도가 좋았던거지 핑크맨같은 애도 만들잖아

    • @user-gr5vc6ii3u
      @user-gr5vc6ii3u Рік тому

      ​@@user-cr8md6ri4f 재료만 있다면 랩실에서 쌉가능입니다

    • @smallsmithh
      @smallsmithh 9 місяців тому

      @@user-cr8md6ri4f 화학과나 화공과는 못 만드는 게 아니라 안 만드는 거라던데..

  • @nownow3798
    @nownow3798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좀더 시간의 노예에서 벗어나는 생활로바꾸고 있습니다.감동적인 내용에 감사드립니다.누굴 가르칠수는 있지만 바꾸게 한다는건 진실의 글 한줄 인듯 십습니다.감사합니다

  • @user-ml6kw3kk6q
    @user-ml6kw3kk6q Рік тому +236

    귀신이 어떤 원리로 떠있는지가 언제 나오는지 한 시간째 보고 있는 나.

    • @imk5752
      @imk5752 Рік тому +6

      몇분에 나옴?

    • @seomoon2
      @seomoon2 Рік тому +1

      ​@@imk5752ㅏ33ㅓ3ㅏ3ㅓ3ㅓ3ㅓ3ㅓ3ㅘㅇ

    • @antonioyoung4630
      @antonioyoung4630 Рік тому

      귀신은 떠 있지 않아요
      그냥 사람모습 단지 ,복장이 구식이든가 계절에 상관없는 옷을 입었고 표정을 읽을 수 없고 올 때는 어느새 앞에서 있으며 갈 때는 전혀 기억이 나지 않는다 스르륵하고 연기처럼은 아니고 그냥 화면에서 사라지 듯 , 하여간 기억 나지 않음
      근데 무섭지는 않다
      전설의 고향처럼 하얀소복에
      산발에다 피를 흘리거나 눈이 무섭거나는 아님

    • @TV-od9vx
      @TV-od9vx Рік тому +3

      ㅋㅋㅋㅋ실재하지않는데 어떤원리로떠있는지 뭔수로알아내요
      투명드래곤이 왜 투명한지 원리가 뭔가요ㅋㅋㅋ

    • @user-iu6wx9pc9o
      @user-iu6wx9pc9o Рік тому +3

      ​@@TV-od9vx ㅋㅋㅋ 귀신이 떠있고 그러니까 과학자의 눈으로는... 떠있는다면.. 지구가 자전과공전을 하는대.. 떠있는게 이상해보일수바껰ㅋㅋ

  • @user-vf1hb3vl1s
    @user-vf1hb3vl1s Рік тому +63

    김상욱 교수님 넘 좋아요~ 물리학을 너무 재미있게 풀어주심 ♡ 항상 감사히 시청하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 @yunsookim8350
    @yunsookim8350 7 місяців тому +4

    심채경 교수님은 웃는게 너무 예쁘시네요

  • @MrPark850217
    @MrPark850217 Рік тому +4

    시간때우기 최고

  • @rifjfjdfjfjjdjdj
    @rifjfjdfjfjjdjdj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아ㅜㅜ 재밌어 너무재밌어 ㅠㅠㅠㅠㅠㅠ😂😂😂

  • @Iwnlfye
    @Iwnlfye Рік тому +11

    1:38:10 왜 저렇게 귀여우신거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qn8wj6vs8l
    @user-qn8wj6vs8l Рік тому +5

    파인만ㆍ
    찐 과학자의 사랑 대단하다

  • @user-si6lx6od3r
    @user-si6lx6od3r Місяць тому +1

    귀신 얘기 6:02

  • @user-ki7lw1it1c
    @user-ki7lw1it1c Рік тому

    이거보고 궤도영상보면 딱이겠군

  • @user-vm5vg7pv3l
    @user-vm5vg7pv3l Рік тому +2

    이 세상의 모든 것은 생각이 옴겨 붙우면서 만들어짐.

  • @hihellooooooooo
    @hihellooooooooo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51:24 아 진짜 멋있으시네 진심

  • @NEVERBEENTOTHEMOON
    @NEVERBEENTOTHEMOON Рік тому +10

    김상욱교수님과 소주한잔 하면서 내 세상의 모든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싶네요 꼭 연락 드릴 수있기를...

  • @-emotionalletter-
    @-emotionalletter- Рік тому +1

    에너지! 중요하군요. 파인만을 잘생기도 했네요.
    소통. ㅎㅎ 아주 사소한 일, 나를 소중하게 존중하는 일.
    어느 한 분야에 몰두하면 내것이 다 소중하게 생각될 수 있군요. ㅎㅎ

  • @madarada4793
    @madarada4793 Рік тому +7

    만화 arms에서 인류를 가장 많이 죽인게 다윈의 진화론이라고 얘기했던게 생각나네요.ㅋㅋ 재밌었는데 ㅎㅎ

  • @user-id5pj6zl1z
    @user-id5pj6zl1z Рік тому +5

    내가좋아하는 교수님ㅎ

  • @user-qf6hp1cb5s
    @user-qf6hp1cb5s Рік тому

    실체가 없는것은 모두 갬성이죠.ㅎㅎ

  • @user-gd2cp6yy4v
    @user-gd2cp6yy4v Рік тому

    재밌다 재밌어

  • @TV-ok8ik
    @TV-ok8ik Рік тому

    현재와 지금과 찰나와의 차이점을 공식으로 알려주세요

  • @dongkyulim342
    @dongkyulim342 3 місяці тому

    감사합니다.

  • @user-qn8wj6vs8l
    @user-qn8wj6vs8l Рік тому +4

    양자역학을 컨텍스영화로설명

  • @jjbbk5676
    @jjbbk5676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세상은 진화론이 맞아요 진화론이라면 뚜렷한 육체의변화를 이루어야만 증명된다고 생각하겠지만 사실 어제와다른 오늘의 삶에 변화가 있다면 그것이 진화이며 제행무상이죠.즉 의식의변화로 시작하여 현재의 삶이 달라진다면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무한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증거가 됩니다.하지만 진화는 진행형일뿐이고 종교적인 절대신을 말한다면 애초에 신은 자연을 이렇게 설계를 했을수도 있다는거.저는 신의영역도 생각할수있고 현재의 삶 이 자체에도 의심없이 살아갈수 있어요^.^

  • @user-yg7hu5mf8z
    @user-yg7hu5mf8z 2 місяці тому +1

    더 큰 문제는 인간이 진화해서 뭐가 된다는 것인지

  • @youtubo2309
    @youtubo2309 Рік тому +26

    01:11:40
    과학에서의 예술 여기서 뒤샹에서 인공지능으로 넘어가는 부분이 진짜 명작이네요
    김상욱 교수님 진짜 최고

  • @user-pe7es6et9o
    @user-pe7es6et9o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6:03 지금 보니 이때부터 악귀 생각하시고 질문하신걸까 …?!ㅎㅎㅋㅋㅋㅋㅋ

  • @user-np7gt7yg3p
    @user-np7gt7yg3p Рік тому

    재밌다.

  • @mumu-nn1tf
    @mumu-nn1tf Рік тому

    ㅋㅋㅋ시작부터 창조론줘패는 진화론에다가 귀신의 진위여부까지 흥미롭네

  • @ycyc8893
    @ycyc8893 9 місяц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너무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user-qn8wj6vs8l
    @user-qn8wj6vs8l Рік тому +11

    파인만 교육자로도 유명
    칼텍에 근무
    안식년때 브라질에서
    포루투갈어로 천천히 강의

  • @user-qn8wj6vs8l
    @user-qn8wj6vs8l Рік тому +1

    물체가 직선으로만 떨어질까
    해밀턴이 제안
    작용량이 작은게 실제 경로다

  • @user-xt1hd4tv1d
    @user-xt1hd4tv1d Рік тому +2

    1:45:05 빨래개면서 듣다가 오류난줄 ㅋㅋㅋㅋㅋㅋㅋㅎㅋㅋㅎ

  • @user-qn8wj6vs8l
    @user-qn8wj6vs8l Рік тому +46

    물리학 깊이들어갈수록
    도를 깨닫게되면 모든걸
    알수있다는 ㆍㆍ
    18세계때 과학자들은 다 철학적으로 같이 연결되있던

  • @user-nd7hc7mq3f
    @user-nd7hc7mq3f 4 місяці тому

    김상욱 교수님은 한국의 칼...칼쎄건
    칼국수 쎄게 먹는 건아
    존경합니다

  • @user-qn8wj6vs8l
    @user-qn8wj6vs8l Рік тому

    말할수 있는것고
    말할수 없는것은 말하지않는다
    비트겐슈타인 말 !

  • @JE-tw9or
    @JE-tw9or Рік тому +6

    ㅋㅋㅋㅋㅋㅋ전 그냥 빨리 물릴거에요 ㅋㅋㅋ 저분 너무좋다 ㅋ

  • @frankkim3012
    @frankkim3012 Рік тому

    사랑을 가지면 다 갖는 것이다.

  • @moru1737
    @moru1737 Рік тому +2

    8:18 진화론에 대한 오해가 생기기 정말 쉬운 그림

  • @pp0ppoable
    @pp0ppoable 8 місяців тому +1

    과학계 심은하 심채경박사님은 갈수록 예뻐지시네..나이도 있으신걸로 아는데

  • @INTP_1004
    @INTP_1004 Рік тому +2

    10:50
    찰스다윈은 INTP
    4차원 똘끼 충만한 천재형
    그리고 혼자 놀기 대마왕^^!

  • @user-vu8xm1ub5p
    @user-vu8xm1ub5p 19 днів тому

    원래의 좀비는 뛰지 않고 천천히 걸었는데 최근에 빠르게 뛰는 설정으로바뀜. (영화에서)

  • @roze-spirit
    @roze-spirit Рік тому +2

    5:52 부부가 많이 닮았다 🥹

  • @our4em
    @our4em Рік тому +1

    1:00:30 여기부터 설명해 주실 분 ㅜㅜ 저도 자세하게 알고 싶어요

  • @hongaijeon3581
    @hongaijeon3581 2 місяці тому

    이 프로그램은 영어자막 어디서 제공하나요? 넷플릭스엔 없던거 같은데요

  • @user-di8rt1rs4t
    @user-di8rt1rs4t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와 제가 고등학생때 평생 아이디로 하고 싶었고 현재도 쓰고있는것이 약자로 litmitil 인데
    love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life 입니다. 문법이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 감동적이네요 ㅎ 파인만이 남긴 어록이랑 같은 뜻이라서 ㅎ

  • @user-zo6lb4ji3j
    @user-zo6lb4ji3j Рік тому +79

    이렇게 좋은 프로그램 계속 하길 바래요❤

  • @user-zt7fo5rw2l
    @user-zt7fo5rw2l Рік тому +15

    중간에 산타가 얼마나 빨라야 하는지 계산 하시는 부분 뭔가 신기하면서도 웃김ㅋㅋㅋ

    • @rosibalfusdk
      @rosibalfusdk Рік тому +1

      산타가 아이들이 자는 오전12시 부터 6시까지 6시간 선물을 준다고 가정하면 산타는 지구 위 아래로만 움직이고 자전 하면서 모든 면을 훑을수 있음 그러면 6시간이 아닌 31시간의 상대시간을 확보하고 산타가 탄 썰매의 속도가 1050km/s가 되어야 한다고 영국에서 실제로 연구함 영상에서 교수님이 계산한건 음속의 5000배로 나오지만 영국에선 가구수를 적용해서 3000배라고 하네요

    • @Maseemaro
      @Maseemaro 10 місяців тому

      @@rosibalfusdkㅋㅋ 근데 점점 아이가 줄어들어서 필요한 속도도 줄겠네요

    • @user-eo8jw9en5q
      @user-eo8jw9en5q 3 місяці тому

      산타는 사람 지금은 없음

  • @sungchulpark9830
    @sungchulpark9830 2 місяці тому

    사랑은 자비입니다 우리모두가 하나라는 사실을 아는것

  • @user-jp5xz8bg1d
    @user-jp5xz8bg1d Рік тому

    원리,이해,이유의 생성에 대해서?

  • @user-zx1cm2dc4x
    @user-zx1cm2dc4x Рік тому

    박사누나 나 죽어😍😄

  • @user-lo9hp2vo4h
    @user-lo9hp2vo4h Рік тому +1

    신은 물리적으로 말이 되나요 ㅎㅎ

  • @user-ir6kv5ge8f
    @user-ir6kv5ge8f Рік тому +3

    심채경 천문학자의 눈빛이 매력적이다. 빠져들게 만드는 매력이 있다.

  • @user-my5xd2nt9v
    @user-my5xd2nt9v Рік тому

    진화란 막힘의 우회요... 넘침이다...
    우주의 모든 것이 진화를 합니다... 단지 속도와 거리의 문제만 있을 뿐...

  • @user-xc9vk3mk5j
    @user-xc9vk3mk5j Рік тому

    👍👍👍👍👍👍

  • @shores7099
    @shores7099 Рік тому

    지정좌표계를 어떻게 고정하셨죠?

  • @omijaaa
    @omijaaa Рік тому +5

    어떻게 지상좌표계로 고정하셨나이까...

  • @user-lf1qz9wr2m
    @user-lf1qz9wr2m Рік тому +4

    어떻게 지평좌표계로 고정을 하셨죠??

  • @WATANGKA2580
    @WATANGKA2580 Рік тому

    주4일쉬는거에요?
    교대근무 잘몰라서요

  • @Iwnlfye
    @Iwnlfye Рік тому

    오 .. 로봇세

  • @user-pp8fo5cu9d
    @user-pp8fo5cu9d Рік тому +1

    모든사물은 인간의 상상력이 만들어 낸거지요
    인간도 ᆢ

  • @user-kl4rq4zr9s
    @user-kl4rq4zr9s 6 місяців тому

    1:08:00 초전개구리

  • @user-ug6pr5hb3t
    @user-ug6pr5hb3t Рік тому

    채경누나 너무이쁘다 웃는얼굴 보기만해도 안구가 정화되네 배우 정소민이랑 닮으심

  • @user-nb2wc2xg7j
    @user-nb2wc2xg7j 3 місяці тому

    기적은 아직 인간이 풀지못한 과학

  • @user-rc3nv7dm9l
    @user-rc3nv7dm9l Рік тому +1

    악마를 실제로 마주하니 모든 의문이 풀리던데 ㅎㅎㅎㅎ

  • @o_neul_0
    @o_neul_0 Рік тому +2

    나도 귀신영화같은거 볼때 왜 땅으로는 안꺼지지? 2층에는 어떻게 있을수있는거지 생각했었는데ㅋㅋㅋㅋ

  • @user-qn8wj6vs8l
    @user-qn8wj6vs8l Рік тому

    긴장은 3분 그때 유머

  • @sskim5912
    @sskim5912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모르시는게 없는 김상욱교수님,,,오염수 방출에 대한 과학은 뭔지도 강의해 주세요

  • @user-uw9vd3le6r
    @user-uw9vd3le6r Рік тому +3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성경의 한 구절을 부인하여서 평생 죽을때까지 집밖으로 못나오는 가택연금 처분을 받고 죽어서도 제사 묘비 비석 등등 갈릴레이를 기릴수있는 어떠한 행위도 금지시켰는데 만약 그 당시에 다윈이 있었다면 어떤 처벌을 받았을지 가늠도 안되네요

  • @user-dl9bh4tj8t
    @user-dl9bh4tj8t Рік тому

    갈릴레오가 피사의사탑에서
    구낙하 실험에서 작은구슬이나 큰구슬이 동시에 지상에 떨어졌다는데 그럼 크기는 똑같고 무거운구와 가벼운구는
    무거운구가 먼저 지상에 떨어질것 같은데~

  • @Andy_J_
    @Andy_J_ 2 місяці тому

    이은희 작가님.. 부부가 어쩜 저리 닮을수 있을까 ㅋ

  • @mazurei13
    @mazurei13 Рік тому +1

    작가님 이번엔 귀신드라마 준비중이신가....

  • @user-vg9he5jo5s
    @user-vg9he5jo5s Рік тому +1

    귀신이 떠있는 이유는
    "내가 여기 있다" 라고 알려주기 위해서
    눈이 마주쳐야 놀래킬수 있으니까요..

  • @playcar1091
    @playcar1091 Рік тому

    그냥 그들의연구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면 안됩니다

  • @Black.PingDu
    @Black.PingDu Рік тому

    이런이야기는 유익한데.
    똑같은이야기를 궤도가하면 듣기가힘듬 ㅋㅋ

  • @user-zt9up1rz8l
    @user-zt9up1rz8l Рік тому +2

    ??? : 어떻게 지평좌표계를 고정하셨죠?

  • @user-yf2qo6ru9k
    @user-yf2qo6ru9k Рік тому +1

    자연의 위대함을 , 신의 전지전능함이 아니면 무엇으로 설명가능할까요?

    • @user-dt9do7gt7l
      @user-dt9do7gt7l 11 місяців тому

      자연의 위대함이 뭔지를 먼저 정의해주셔야ㅎㅎ

  • @kaligula2235
    @kaligula2235 Рік тому

    어떻게 지평 좌표계로 고정 하셨어요?

  • @user-mj4jh3zf8n
    @user-mj4jh3zf8n Рік тому +3

    ???:어떻게 지평좌표계를 고정하셨나요?

  • @user-hm9qz6iu7i
    @user-hm9qz6iu7i Рік тому

    연가시가 저런 종류죠

  • @DDangkkul
    @DDangkkul Рік тому

    1:05:10 이그노벨상 이야기

  • @user-mo7dw1fi4z
    @user-mo7dw1fi4z Рік тому

    인간의 본성은 선한것도 악한것도 아니며.. 근본적으로 선과 악도 인간이 만든 개념일 뿐입니다.
    서로 이득을 줄때 선하다 하고
    피해를 줄때 악하다고 하는데
    자연이 주는 재난에서 피해를 당할때 자연보고 악하다고 하지 않거든요.

  • @Galaxy_halo_
    @Galaxy_halo_ Рік тому

    이제 진짜 귀신이야기만 나오면 지평좌표계만 생각나..ㅋㅋㅋㅋㅋ
    6:55 어떻게 지평좌표계로 고정을 하셨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