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분 최상위권을 위한 관찰과 정당화 [2008 교토대]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ис 2024

КОМЕНТАРІ • 5

  • @조민석-z4g
    @조민석-z4g Місяць тому

    f(x)=lnx-px-q라 하자.
    (i) pinf 일때 f(x) -> inf
    x->0+일때 f(x) -> -inf
    f’(x)= 1/x-p이므로
    x>0 => f’(x)>0 이므로
    구간(0,inf)에서 f(x)는 증가한다.
    따라서, 직선 y=px+q와 곡선 y=lnx가 교점을 가진다.
    (ii) p=0 일때
    함수 y=lnx의 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므로 q값에 상관없이 직선 y=px+q와 곡선 y=lnx가 교점을 가진다.
    (iii) p>0 일때,
    f’(x)=1/x-p
    00
    x>1/p => f’(x)0+ 일때, f(x) -> -inf
    x->inf 일때, f(x)-> -inf …(*) 이므로
    f(x)는 x=1/p에서 극대이자 최댓값을 가진다.
    따라서, 직선 y=px+q와 곡선 y=lnx가 교점을 가지지 않기 위해서는
    f(1/p) 1/e^(1+q)이다.
    미천한 실력이지만 재밌게 풀고갑니다.

    • @조민석-z4g
      @조민석-z4g Місяць тому

      (참조)
      (*)의 증명
      ln(x)-px-q= (px-q){lnx/(px+q)-1)에서
      x->inf 일때, {lnx/(px+q)-1)-> -1 …(**)
      x->inf 일때, (px+q)-> inf (∵p>0) 이므로
      x->inf 일때, ln(x)-px-q -> -inf 증명끝
      (**)의 증명
      1. 로피탈의 정리를 배웠다면 로피탈의 정리로 보이면 됩니다.
      2. 로피탈의 정리를 배우지 않는다면 다음의 증명과정을 보여주면 됩니다.
      g(x)=sqrt(x)-lnx라 하자.
      g’(x)={x-2sqrt(x)}/2xsqrt(x)
      x>4 => g’(x)>0 이므로
      x>4인 x에 대하여 다음의 부등식이 성립한다.
      0

  • @카르비젤
    @카르비젤 2 місяці тому

    저는 구해주신 두 함수가 접할 때의 직선의 방정식 y-lnt = 1/t(x-t) 에서 이 경우보다 기울기(p)가 크면 된다는 생각 전에 q로 먼저 생각했습니다. 엄밀한 증명은 모르겠지만 그래프 상 직관적으로 '접할 때의 q값보다 q가 크다면 둘은 만나지 않는다' 라고 판단했고 y-lnt = 1/t(x-t) --> y = (1/t)x+(lnt-1) 에서의 y절편이 q값이므로 q > lnt-1 . 한편, p=1/t 이므로 q > -ln(p)-1 이다. 로 풀었습니다. 저는 처음에 풀이보고 틀린 줄 알았는데 저걸 정리하면 p > 1/e^(1+q)가 돼서 둘이 동치일거라 파악했습니다. 이게 맞다면, 'ln(x)와 임의의 일차함수가 만나지 않는다면 접했을 때 일차함수보다 기울기가 크거나, y절편이 크고 이 둘은 같은 조건이다.' 하고 정리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건 개인적인 의견인데 px+q에 대해서 p,q를 가지고 놀아야 할 때, 같은 결과가 나오더라도 영상 속 풀이처럼 p 위주로 보는게 더 좋다 혹은 자유?롭다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p는 방향, q는 높이에 관여하기에 p는 360도 전방향을 고려할 수 있는 변수인 반면, q는 x,y축 양방향만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특정 이차함수와 임의의 일차함수가 만난다 (혹은 만나지 않는다)는 경우에도 선생님 풀이 그대로 풀면 될 것 같아보여서 해보다가 뭔가 오래걸리고 이상해서 찾아봤더니 원,이차함수와 일차함수의 위치 관계는 연립해서 이차방정식 판별식 쓰는게 정석이었네요..
    오류가 있거나 조언해주실게 있다면 알려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좋은 풀이 감사합니다.

    • @poiecis
      @poiecis  2 місяці тому

      저는 취향차이로 보이긴 하는데, ln(p)를 상정하기 위해 p가 양수여야 한다는 것을 밝히긴 해야할 것 같아요!

    • @카르비젤
      @카르비젤 Місяць тому

      ​@@poiecis 조금 쓸데없는 짓(?)으로 비춰질 순 있지만 이 영상 이후 저는 한동안 lnx와 ax+b (a0 , a≠0)
      lnx-ax=b ⭢ lnx - ln(e^(ax))=b ⭢ ln(x·e^(-ax))=b ⭢ x·e^(-ax)=e^b ⭢ -ax·e^(-ax)=-a·e^b
      이때, 함수 f(x)에 대하여 g(x)=f(x)·e^f(x)라 하자. W(g(x))=W(f(x)·e^f(x))=f(x)이다. < 단, W는 람베르트 W 함수 >
      < * y=xe^x의 역함수를 W(x)라 하며 정의에 의거, x=W(x)·e^W(x) 또한 성립 >
      이를 활용해 이어서 정리하면 ⭢ W( -ax·e^(-ax))= -ax =W(-a·e^b) ⭢ " x = W(-a·e^b)/(-a) " 가 된다.
      1) a0 , -a·e^b>0이다. 한편, W(x)의 그래프를 찾아보면 0보다 큰 k에 대해 단 하나의 양수인 W(k) 값이 존재하므로 lnx와 ax+b (a0도 분석할 수 있지만 a>0 일 때 -a·e^b0 일 때, i) b > ln(1/(ea)) ⭢ lnx와 ax+b는 만나지 않음. ii) b < ln(1/(ea)) ⭢ lnx와 ax+b는 2개의 교점을 갖는다. iii) b = ln(1/(ea)) 일 때 ⭢ lnx와 ax+b는 한 점에서 만난다(접한다) 가 됩니다.
      영상 속 문제의 요구사항은 (i)이고 b > ln(1/(ea))에서 a를 p, b를 q로 바꾸면 q > ln(1/(ep))이며 정리하면 p > 1/e^(1+q)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선생님의 풀이가 참인걸 다시금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관련 내용은 인터넷이나 계산기 등에 잘 나와있습니다. + 입시 대비를 위해 이 문제를 공부하실 땐 지엽적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