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a90980 수용체는 G단백질 연결 수용체구요 당연히 단백질이겠죠 ㅋㅋ 누가 그걸 모르나요? 요건 신호전달계에서 가잘 보편적인 수용쳅니다 결국 감칠맛을 인식하는건 변형된 글루탐산을 인식하는 수용체라고 알려죠있고 이건 단백질이 아니라 아미노산이죠^^ 단백질과 아미노산을 같은 선상에 두시면 대화가 안될듯하네요 열을 가하면 단백질의 아미노산이 변성되고 구조가 변성되며 미뢰에서 미세포로 전달되는 과정과 미세포에서 미각을 담당하는 뇌로의 측부억제가 달라져 맛이 다름을 인식하는건데 제 말이 어디가 틀렸나요? 아는척을 하시는건지 전공자신지 대화 좀 해보고싶네요
감사해용🎉
굴 잘씻어야 되는디요 영양.맛 참 좋은디요👍👍
두분다 너무 좋아해요
두분. 내가 사랑하는거 아실나나용!❤❤😂 우정 변치 마시고. 좋은 영상 부탁함다🎉🎉🎉
내두...두분 좋아서 보는데 어찌 조회수가 안나올까??? ㅎ
사과가 집에 없어서 아쉽네요 대체할 간단한거 없을까요
영상 잘봤습니다
발사믹 써도될까요?
생굴은 뭔 노로바이러스인가?그거 겁나서 걱정했는데 삶는거라 다행이네요 ㅎ 만들어먹어봐야겠네요
망상은 영상으로만 결론은 그냥 찌거나 구워서 찬바람 맞으면서 손가락 디어가며 껍데기까서 호호 불어 먹는 굴이 제일 맛잇음
배철수와 이용식
안정환 닮음
정호영 쉐프님 뜬금없지만 냉제육 고기 삶을때 끓는뭏에 앞다리살 넣고 바로 10분간 삶기인가요 아님 고기 넣고 다시 끓기 시작해서 10분간 삶아야 하는건가요? 꼭 답변 부탁드려요^^
굴을 익히는 순간 단백질 등의 성분이 비가역적으로 바뀌는데 그걸 본연의 맛이라고 표현하는게 맞는지 의문이 들곤함.
결국 미세포에서 6가지맛을 인식하는 수용체는 단백질을 인식하지않음 단백질이 변성됐다고 들었다는 의문은 안드셔도 될듯
돼지 고기 생으로 씹어드셈
@@꾹꾸기-b7t 감칠맛이 단백질 수용체에서 인식하는 맛입니당...그래서 대표적인 반응이 마이야르인거구요. 생굴이랑 익힌 굴이랑 맛이 다르잖아요. 그럼 둘중에 뭐가 재료 본연의 맛일까요.
@@ska90980 수용체는 G단백질 연결 수용체구요 당연히 단백질이겠죠 ㅋㅋ 누가 그걸 모르나요? 요건 신호전달계에서 가잘 보편적인 수용쳅니다
결국 감칠맛을 인식하는건 변형된 글루탐산을 인식하는 수용체라고 알려죠있고 이건 단백질이 아니라 아미노산이죠^^ 단백질과 아미노산을 같은 선상에 두시면 대화가 안될듯하네요
열을 가하면 단백질의 아미노산이 변성되고 구조가 변성되며 미뢰에서 미세포로 전달되는 과정과 미세포에서 미각을 담당하는 뇌로의 측부억제가 달라져 맛이 다름을 인식하는건데 제 말이 어디가 틀렸나요? 아는척을 하시는건지 전공자신지 대화 좀 해보고싶네요
@@ska90980 본연의 맛이라는 자체에 대햐 딴지를 걸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뜻 입니다 미각 자체가 많이 연구되어있지않아요
가끔 드는 생각이 본연의 맛이란 것의 기준을 모르겠음...걍 자기 입맛에 맞는게 본연의 맛인건가...
재료본연의맛
많이먹어보면 자연스레 앎
그냥 초장에 찍어 먹는 게 돈 아끼는 거
안먹으면 더 아낄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