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과 취준생으로써 하나 글 남겨드린다면 전자나 코딩 같은 분야랑 결합할 수 있는 분야로 진로를 쌓으시길 바랍니다. 순수 기계공학으론 비전이 안 보입니다. 이제는 4차 산업혁명에 알맞게 4대역학 뿐만 아니라 위에 적힌 전자/sw 같은 분야도 학습해서 스마트한 기계공학도가 되고자 노력하시기 바래요. 단적으로 스마트팩토리만 봐도 기계장치에 전자제어+컴공(ai) 기술이 모두 결합되있잖아요? 이러한 지식들을 모두 배우고 다룰 수 있는 기계공학자가 되면 퍼펙트입니다
이 글을 쓰는 필자는 상위권 공과대 기계공학과 졸업(1998년)하고 석사, 박사 마치고 시스템 제어, 성능 평가 R&D Engineer 23년차 입장에서 보는 산업계에서 기계공학과는 전반적인 베이스를 가지고 있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분야임... 정부 과제나 기술 개발 프로젝트에서 기계공학과가 가지는 핵심적인 역할이 있고, 소재나 전자, 컴퓨터가 가질 수 없는 하드웨어 구조와 시스템 구동, 성능 특징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없다면 아무리 제어를 잘한다고 해도 의미 없음. 필자가 학부를 졸업하던 시기에도 기계공학과는 다 죽었다고 하던 말이 있고 지금도 그런 말이 나오는 것으로 아는데 제품을 설계하고 제조 생산 구현하는데 모든 베이스가 기계공학임. 지금의 AI니 딥러닝, 자율주행이니 배터리니 하는 것들이 과연 10년, 20년뒤에도 중점적인 트렌드가 될 수 있을까?? 내 대답은 No 라고 하겠다. 그만큼 산업계 근간을 이루는 게 기계공학이기 때문에.... 23년여의 학교와 산업 현장에서 느낀 기계공학과 출신들의 진로를 구분하면 5가지라고 보면 됨. 1. 학부/석사 졸업하고 대기업, 공기업 취직해서 설계/개발, 제조 생산 엔지니어로 근무하다 대기업 50~55세, 공사 55~60세 즈음 퇴직하는 것 (가장 흔하고 대다수 공대 졸업 케이스)... 2. 자기 전문 분야로 10년 이상의 실무 경력을 쌓아서 기술 장인(기능장) 또는 기술사(Professional Engineer)의 기술 자격증을 따서 전문 기술의 장인이 되는 것. 3. 3~4학년때부터 기술고시 준비해서 패스하고 기술 공무원(산자부, 정통부, 중기청 등의 기술 관련 공무원)으로 사회 첫발 내딛음. 보통 7급에서 시작해 5급만 되어도 대기업 사장들이 와서 인사하고 국가 기술 정책 입안하고 좌우하는 핵심 위치가 됨. 4. 변리사 시험을 준비해서 변리사, 특허 기술 분석하고 검토하여 승인 내주고 하는 특허청 등에 근무하면서 특허 심사 업무 담당하는 것. 5. 석사 졸업하고 특정 분야에 더 깊이 공부해 박사(Ph.D) 취득해서 학교 교수 또는 연구 기관에 가는 것. 우리나라는 학력에 대한 뿌리 깊은 풍조가 있어 어디가든 Ph.D면 더 없이 좋은 점이 많음. 위의 5가지 분류는 20대 후반에 학부를 졸업하면서 지금까지 23년간 지켜본 학교 동기, 선후배들과 내가 직장 생활(중소기업 5년 대기업 10년 근무)하면서 겪은 케이스들을 종합한 결과로 1번, 5번 케이스가 많긴 하지만 2번, 3번, 4번 케이스도 은근히 많아서 다양한 진로를 모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기계과에 대해서 알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학생들이 위와 같은 좋은 영상을 통해 기계과에 대해서 올바르게 이해하여 진로 선택에 도움을 받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지거국 기계공학생입니다.
기계공학과 진짜 적성이 아니어도
버틸 만한 건지 다른 진로 찾아야 하는지
고민되네요.
좋아요
기계공학과를 가고 싶었던 고등학생인데 아주 큰 도움이 되었어요...!! 기계공학도가 되어 돌아올게요 !!!!
전 재수해서 기계과 가는게 목표에요!
기계과 취준생으로써 하나 글 남겨드린다면 전자나 코딩 같은 분야랑 결합할 수 있는 분야로 진로를 쌓으시길 바랍니다. 순수 기계공학으론 비전이 안 보입니다. 이제는 4차 산업혁명에 알맞게 4대역학 뿐만 아니라 위에 적힌 전자/sw 같은 분야도 학습해서 스마트한 기계공학도가 되고자 노력하시기 바래요.
단적으로 스마트팩토리만 봐도 기계장치에 전자제어+컴공(ai) 기술이 모두 결합되있잖아요? 이러한 지식들을 모두 배우고 다룰 수 있는 기계공학자가 되면 퍼펙트입니다
아직 대학에 들어가지않은 학생인데요, 기계과에 들어가서 전자나 코딩같은 분야랑 결합할 수 있는 길은 무엇이 있나요? 기사를 따거나 복수전공을 해야하는 건가요?!
혜원언니 진짜진짜 제 롤모델인 거 아냐구여ㅠㅠㅠㅠ여러분 이 언니가 진짜 찐으로 멋진 언니입니다👏언니 날 그만 말려 죽여,,,,태양같이 눈부셔서 탈수왔습네다
갓혜원의 강의를 듣고 기계과로 전과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 귀중한 강의 감사합니다!
서울대 여학생의 답변에 깊이가 느껴집니다.
선배들에게 멘토링 받는 기분이에요~ 너무 좋습니다:)
멋져요 홧팅요👍👍
이 글을 쓰는 필자는 상위권 공과대 기계공학과 졸업(1998년)하고 석사, 박사 마치고 시스템 제어, 성능 평가 R&D Engineer 23년차 입장에서 보는 산업계에서 기계공학과는 전반적인 베이스를 가지고 있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분야임...
정부 과제나 기술 개발 프로젝트에서 기계공학과가 가지는 핵심적인 역할이 있고, 소재나 전자, 컴퓨터가 가질 수 없는 하드웨어 구조와 시스템 구동, 성능 특징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없다면 아무리 제어를 잘한다고 해도 의미 없음.
필자가 학부를 졸업하던 시기에도 기계공학과는 다 죽었다고 하던 말이 있고 지금도 그런 말이 나오는 것으로 아는데 제품을 설계하고 제조 생산 구현하는데 모든 베이스가 기계공학임.
지금의 AI니 딥러닝, 자율주행이니 배터리니 하는 것들이 과연 10년, 20년뒤에도 중점적인 트렌드가 될 수 있을까??
내 대답은 No 라고 하겠다. 그만큼 산업계 근간을 이루는 게 기계공학이기 때문에....
23년여의 학교와 산업 현장에서 느낀 기계공학과 출신들의 진로를 구분하면 5가지라고 보면 됨.
1. 학부/석사 졸업하고 대기업, 공기업 취직해서 설계/개발, 제조 생산 엔지니어로 근무하다 대기업 50~55세, 공사 55~60세 즈음 퇴직하는 것 (가장 흔하고 대다수 공대 졸업 케이스)...
2. 자기 전문 분야로 10년 이상의 실무 경력을 쌓아서 기술 장인(기능장) 또는 기술사(Professional Engineer)의 기술 자격증을 따서 전문 기술의 장인이 되는 것.
3. 3~4학년때부터 기술고시 준비해서 패스하고 기술 공무원(산자부, 정통부, 중기청 등의 기술 관련 공무원)으로 사회 첫발 내딛음.
보통 7급에서 시작해 5급만 되어도 대기업 사장들이 와서 인사하고 국가 기술 정책 입안하고 좌우하는 핵심 위치가 됨.
4. 변리사 시험을 준비해서 변리사, 특허 기술 분석하고 검토하여 승인 내주고 하는 특허청 등에 근무하면서 특허 심사 업무 담당하는 것.
5. 석사 졸업하고 특정 분야에 더 깊이 공부해 박사(Ph.D) 취득해서 학교 교수 또는 연구 기관에 가는 것.
우리나라는 학력에 대한 뿌리 깊은 풍조가 있어 어디가든 Ph.D면 더 없이 좋은 점이 많음.
위의 5가지 분류는 20대 후반에 학부를 졸업하면서 지금까지 23년간 지켜본 학교 동기, 선후배들과 내가 직장 생활(중소기업 5년 대기업 10년 근무)하면서 겪은
케이스들을 종합한 결과로 1번, 5번 케이스가 많긴 하지만 2번, 3번, 4번 케이스도 은근히 많아서 다양한 진로를 모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기계과 화이팅~~
좋은 프로그램이네여. 4대역학
우와아앙~~ 영상 보고나니 미래자동차학제에 관심이 가네요!!
우왕 미래자동차학제 많은 관심이 가네요 :)
와.. 기공과 필수팁이네요
혜원씨 너무 예뻐혀!
👍👍👍
사투리 개극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