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외선전공인데요.... 허용전류 저딴거 별 의미 없습니다 온도가 25도 일때 허용전류량입니다 날이 뜨꺼우면 급격하게 허용전류가 낮아져요 너무 빡빡하게 여유없게 전선 선정해놓으면 괸히 망하는 경우가 생겨요 내선이라서 실내 온도가 적게 올라가니 그러시는 모양이신데요 외선은 40도씩 넘게 올라가기 때문에 별의미가 없어요
@@eng0715 늦은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답변을 주시니 고맙습니다 기사책에서 델타는 루트3배 선전류와 루트3배의 전압으로 배웠습니다 그러나 모터를 보면 델타에서 저전류 스타에서 대전류 처럼 표기가 되서 같은 출력처럼 정격이 표기되어 헷갈려서 기준에 대한 확신이 필요했어요 고맙습니다
잘 정리된 실무 핵심!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직원들 셀프 학습용으로 매우 유용합니다!!
그럼, 항상 건강하시고 즐거운일 가득 하세요~~~
영상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기능공이라 오려운 내용 보다는 현장에 맞는 내용을 중점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자주 와 주세요. ㅎ
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ㅎ
저도 쌍기사 취득하고 현장 들어가는데 유익한 영상이네요👍👍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ㅎㅎ 쌍기사 축하 드립니다. 억수로 힘드셨을덴데 고생하셨습니다. ㅎㅎ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이재아교관님!!! 단결!!
전동기는 산정부하표가 따로 있습니다.
전력간선 산정부하표로 적용 하시면 큰일 납니다.
[전기 쌍기사 +전기공사 현장 소장 짬밥 10년+대기업 기전업무 4년 + 전기공사 총 짬밥 17년 올림]
전동기 부하 산정표를 배워 보겠습니다.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ㅎㅎ
@@eng0715 요즘 어깨너머로 전기배우신 분들이 유튜브로 잘못된 정보를 많이 알려서 정확하고 올바른 정보를 알려줘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내용 감사 합니다.. 조금씩 배워가네요,..
저도 다른전공분들을 통해 아직도 배워갑니다. ㅎㅎ
모든 전기 종사자들 송캠핑님, 변전남님, 전기혁명님, 찌릿전기님등을 통해 매번 배워 갑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아직은 너무 어렵습니다. 차차 이해되겠지요😊
천천히 멈추지 않고 하는게 중요합니다.
건승 하시길...
선생님 질문하나 드리겠습니다. 전동기 정격전류산정은 단상모터를 기준 하신것인가여?
3상모터는 i=10000/루트3*380 이런식으로 하던데 , I=10000/220으로 하셔서
궁금해서 여쭙니다.
단상 삼상 기준 이전에 전기 용량 기준입니다.
ㅎㅎ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오랜동안의 노하우를 공 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 마지막 정리부분의
전동기부하일때 설계전류 * 1.3 = 차단기 용량
차단기 용량 * 1.1 = 전선용량
이 내용 은 어디서 나오는 이론 인가요? 아님 이재아님의 경험에서 가져온 공식인가요?
전기 설계 기준에 나와 있습니다. ㅎㅎ 기능사 공부 할 때 배우기도 합니다.
전동기 용량 50a 이하ㅣ.25배 50 초과? 1.1배 아닌가요?
전 외선전공인데요....
허용전류 저딴거 별 의미 없습니다 온도가 25도 일때 허용전류량입니다
날이 뜨꺼우면 급격하게 허용전류가 낮아져요
너무 빡빡하게 여유없게 전선 선정해놓으면 괸히 망하는 경우가 생겨요
내선이라서 실내 온도가 적게 올라가니 그러시는 모양이신데요
외선은 40도씩 넘게 올라가기 때문에 별의미가 없어요
Ow전선이 여름에는 40도 넘게 올라 가는군요...
내선이라 우리는 전선 온도가 40도로 올라가지 않습니다.
KEC 규정으로 바뀌면서 전선의 허용전류표도 변경되었습니다. 지금 영상의 표는 예전 것입니다. 지금의 것은 허용전류가 기존표 보다 낮게 규정되어 있습니다. 또한 모터 부하의 차단기, 전선 선정 시에 사용하는 식도 달라졌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선생님
표를 해석 할때 차단기 용량 x 1.1 해서 전선의 허용 전류를 구한 다음 그 이상 값을 선정 하면 되는 거네요?
네!!!! ㅎㅎ 감사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그런데 허용전류표는 어디서 구할 수 있나요? 전기안전공사에 있다고 들었는데 찾기가 어렵네요
아... m.blog.naver.com/nc_system/100050533273
여기를 참조하십시요.
@@eng0715감사합니다!
전선을 선정할때 차단기 용량의 AF를 기준으로 잡아야하는지 AT를 기준으로 잡아야 하는지 정확한 기준이 있을까요?
당연하게도 AT를 기준 잡는것이 맞습니다.
@@eng0715 AF가 차단기가 버틸수있는 최대전류로 알고있는데 이상전류 발생시 고장이나서 AT가 제대로 동작되지않았을 경우는 너무 과대한 생각일까요??
잘못 알고 계신것 같습니다.
AF는 차단기의 프레임을 나타 냅니다.
AF가 높을수록 최대 단락 전류는 커지는것은 맞습니다만 최대 단락 전류와 정격전류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AF로 전선을 선정하신다면 지나친 공사비 증가로 이어집니다.
@@eng0715 그렇군요... AF는 단순히 차단기 크기를 선정하기 위한 프레임크기라 생각하고 실질적인 차단용량이나 전선 굵기는 AT를 기준으로 가야 하는게 맞겠네요 ㅎㅎ
답변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아~
복잡해!
전기공사는 허가업체 전문가에게~
어렵지 않아요.ㅎㅎ
궁금한게 있습니다
25sq 단상 으로 106A 인데
선당 적용인가요? In 106 out 106 이렇게 맞나요?
3상이면 선당 95A 맞나요?
만약 거기에 모터를 정격 10 마력을 부하로 둔다면
와이든 델타든 10마력인가요?
와이에서 저압 대전류 델타에서 고압 저전류
또이또아 돼서 같은 출력인지
아니면 델타기준 출력인지 그러면 Y에서는
정격보다 1/3이하인지 기준을 모르겠습니다
답변 주신다면 감사히 듣겠습니다
1. 굳이 인 아웃으로 표현 하자면 맞습니다.
흔이 한가닥으로 들어와서 나간다고 표현하긴 합니다.
2. 와이든 델타든 전력량이 변하는건 없습니다.
이 또한 표현은 다르나 맞습니다.
@@eng0715 늦은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답변을 주시니 고맙습니다
기사책에서 델타는 루트3배 선전류와
루트3배의 전압으로 배웠습니다
그러나 모터를 보면
델타에서 저전류 스타에서 대전류
처럼 표기가 되서 같은 출력처럼
정격이 표기되어 헷갈려서
기준에 대한 확신이 필요했어요
고맙습니다
차단기 차단기 그놈의 차단기를 말씀하실 때 그게 배선용 차단기인지 누전(분기)차단기인지 구분해서 말씀해 주세요 참 답답하네요
차단기 용량산정에는 배선용과 누전의 구분이 없습니다.
배선용과 누전의 구분은 메인차단기는 배선용을, 분기인경우 누전차단기를 사용합니다.
--------------------------------------------------------------------------------------------------------------------
예)전기실 저압 수배전반 내부에
1번)
수배전반 1층용 100A 차단기 > 1층 분전함 100A차단기
수배전반 2층용 100A 차단기 > 2층 분전함 100A차단기
2번)
수배전반 1층용 125A차단기 > 1층 분전함 100A차단기
수배전반 2층용 125A 차단기 > 2층 분전함 100A차단기
1번 같은 용량 차단기를 설치 해야된다.
2번 수배전반쪽으로 한단계 up 차단기를 설치한다.
관련기술기준 못 찾겠습니다. ㅜㅜ
전기설비 기준중에 어떤게 맞는지 궁굼해서 여쭤볼께요 ^^
전선의 거리 , 전선의 굵기, 부하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전기 안전공사 홈페이지에 가서 전선의 굵기와 차단기 선정을 확인 해 보세요.
일반적으로는 1번의 조건이 맞습니다.
전선의 거리가 부하에 의해 전압 강하가 일어난다면 2번이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