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 50년 난제 해결한 인공지능 '알파폴드', 생물학,의학 패러다임의 대전환?! [안될과학-초긴급과학]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лют 2025
  • 생물학에서 단백질의 구조를 분석하는 것은 어렵고도 중요한 일입니다.
    얼마전 인공지능(AI) 알파고를 개발한 구글 딥마인드에서 생물학의 50년 난제를 해결한 알파폴드2의 성과를 발표하였는데요.
    생물학,의학의 패러다임을 바꿀 인공지능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알파폴드 #인공지능 #AI #구글 #딥마인드 #단백질 #구조
    ◆ Thanks to
    Written by 김현정
    Directed by Medicine
    Editor: 유건우
    Reference:
    [1] deepmind.com/b...
    [2] deepmind.com/b...
    [3] deepmind.com/r...
    [4] deepmind.com/r...
    [5] predictioncent...
    [6] • Protein folding explained
    [7] • AlphaFold: The making ...
    [8] Turoňová et al., Science 370, 203-208 (2020).
    ◆ Music
    Storm Time by Muciojad / muciojad
    Creative Commons - Attribution-ShareAlike 3.0 Unported- CC BY-SA 3.0
    creativecommons....
    Music promoted by Audio Library • Storm Time - Muciojad ...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 unreal.science
    ◆ 안될과학-모어사이언스 스마트스토어 (과학굿즈)
    smartstore.nav...
    ◆ 안될과학 문의
    E-MAIL : MoreScience2018@gmail.com

КОМЕНТАРІ •

  • @박지요-s1l
    @박지요-s1l 6 місяців тому +163

    김승리 수강생 슬쩍 개추ㅋㅋ

  • @gingan.official
    @gingan.official 4 роки тому +348

    와 오늘은 진짜 인사 할 시간 없었나보다ㅋㅋㅋㅋ

    • @jocmos
      @jocmos 4 роки тому +3

      내가 잘못 들은줄ㅋㅋㅋㅋ

    • @js2540
      @js2540 4 роки тому

      초긴급과학 임ㅋㅋ

  • @흰긴수염고래-f6n
    @흰긴수염고래-f6n 4 роки тому +88

    0:09
    지금부터 긴급히 전해드립니단백질은

  • @dongheon_lee
    @dongheon_lee 4 роки тому +52

    0:23 ㅋㅋㅋ 날걀달 ㅋㅋ 초긴급과학 매력 엄청난 거 아니냐구요 ㅋㅋ 오프닝도 한 50번 보고, 날걀달 20번 보고 ㅋㅋ

    • @Catpicker
      @Catpicker 4 роки тому +1

      와씨 ㅋㅋㅋㅋㅋㅋ이거안봤으면 몰랐다

    • @김현수-c6q8q
      @김현수-c6q8q 4 роки тому

      왜요?

  • @kimgajuk
    @kimgajuk 4 роки тому +299

    인사할시간이 이렇게 없어짘ㅋㅋㅋㅋ

    • @ChoiZe-t9m
      @ChoiZe-t9m 4 роки тому +3

      인사할시간도없!

    • @소풍-e2r
      @소풍-e2r 4 роки тому +1

      음네?

    • @hotpolarbear
      @hotpolarbear 4 роки тому +1

      난뭐 내가 잘못들은줄ㅋㅋ

    • @효니-z7u
      @효니-z7u 4 роки тому +1

      혀깨문거 가탕 : P 헿

    • @kimgajuk
      @kimgajuk 4 роки тому

      나 왜 따봉맨 되어있엌ㅋㅋㅋㅋㅋ

  • @ffii__1118
    @ffii__1118 4 роки тому +112

    01:50 대학원생의 노동력 ㅜㅜ

    • @ZebraKnight_
      @ZebraKnight_ 4 роки тому +6

      저부분에서 눈물이 왈칵 흘렀다. ㅠㅠ

    • @TheCar1129
      @TheCar1129 4 роки тому

      ㅜㅜㅜㅜㅜㅜ

    • @invink6716
      @invink6716 4 роки тому +1

      ㅋㅋ

    • @Kevin-re7kt
      @Kevin-re7kt 4 роки тому

      AI땜시 그 노동력조차 개 쓸모없어지는중;; 우리애들은 커서 뭐시켜야하나;;

    • @먹을
      @먹을 4 роки тому

      영상에 답이 있는데요? 유투버;; 음 김주하 AI앵커처럼 유투버도 알파버가 하려나

  • @kitaiklee5837
    @kitaiklee5837 4 роки тому +18

    해당 연구분야 박사이고 현재 스위스에서 박사후 연구과정 중입니다. 알파폴드2가 획기적인 성능을 보여준것은 사실이나 영상에서 언급된 것처럼 아직 세상을 바꿀 정도에는 크게 못미칩니다. 원리가 다른, 이미 규명된 단백질구조 db를 바탕으로 유사성을 활용한 골격구조 예측 또한 이미 상당한 수준에 올라와있으나, 사실 단백질 기능연구 및 신약개발의 핵심 정보인 곁가지 구조라든지, 단백질-단백질, 단백질-리간드 결합구조 예측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인공지능 발전속도로 보아 10년내로 이러한 한계가 극복될 수도 있어보이는데..
    그러면 저는 뭐먹고 살아야 하나요...

    • @콜라-g6g
      @콜라-g6g 4 місяці тому

      이번에 3년만에 노벨화학상이 이 분야에서 나왔는데 요새는 더 나아졌나요??

    • @kitaiklee5837
      @kitaiklee5837 4 місяці тому +2

      @@콜라-g6g네.. 지난 3년간 알파폴드 2.3 을 거쳐 올해 알파폴드3가 출시되어 훨씬 더 강력해졌고, 제가 언급했던 한계는 이미 상당부분 해결되었습니다. (아직 기술적인 부분에서 약간의 논란이 있긴 합니다.) 왜 노벨“화학”상을 받았는지는 의문입니다만, 어쨌든 노벨상을 받기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이 충분합니다.

    • @콜라-g6g
      @콜라-g6g 4 місяці тому

      @@kitaiklee5837 A.I.분야는 하루가 다르게 빨리 발전한다던데 다른 분야까지 실제로 이렇게 영향을 끼치는 게 대단하네요..

    • @dogyunkwon
      @dogyunkwon 4 місяці тому

      ​@@kitaiklee5837 순수 생물학 분야 노벨상이 없어서 그런듯 합니다...

    • @Sejong-r2j
      @Sejong-r2j 3 місяці тому

      3년전 댓글에 답이 달리다니

  • @nidana
    @nidana 4 роки тому +126

    궤도님은 편하게 빠르신데 약님은 숨이 이미 넘어가신것같아

    • @먹을
      @먹을 4 роки тому +13

      약님은 구수하잖아여. 전 약님이 더 편안한디

    • @이스터12
      @이스터12 4 роки тому

      2배로 들어보세요

    • @invink6716
      @invink6716 4 роки тому +1

      아멘

    • @publicst
      @publicst 4 роки тому

      ㅋㅋㅋ

    • @Martin-ur7mc
      @Martin-ur7mc 4 роки тому

      요즘 쇼미 나오는 머쉬베놈 톤이랑 비슷하신것 같기도 하구... ㅋㅋㅋ

  • @gyeongilkwak4611
    @gyeongilkwak4611 4 роки тому +2

    우와 정말 오랜만에 왔는데, 너무 너무 흥미있는 주제라 시간가는줄 모르고 봤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 @박지원-t1q2s
    @박지원-t1q2s 2 роки тому +5

    알파폴드가 다른 단백질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아는 걸 어려워한다고 하지만. 그렇다고 딱히 인간도 쉽게 아는 게 아님. 전에 무슨영화에서 인간이 AI한테 "인간은 작곡도 하고 미술도 해 AI는 못하지?"라고 하니까 AI가 인간한테 "넌 할수있어?" 라고 물은 게 생각나네...

  • @고완석-x9p
    @고완석-x9p 2 роки тому +1

    좋은내용입니다

  • @shoelaces7100
    @shoelaces7100 4 роки тому +1

    보기 전에 댓글 남겨요
    언제나 재밌는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rickyrhee5905
    @rickyrhee5905 4 роки тому +3

    이제 과학의 발전을 인간이 예측하는게 불가능 해지는 시대가 곧 진짜 곧 도래하겠군요. 그나저나 우리 약님도 이렇게 말을 빠르게 많이 하고 싶으실텐데 궤도님과 함께일때는... ㅋㅋㅋ 두분 사랑합니다!!

  • @섬혁
    @섬혁 4 роки тому +16

    '초'긴급과학이라 그런가 인사도 그냥 생략해 버리시네ㅋㅋㅋ
    1:53 구조가 알려진게 10만개라 하니 많아보이는데 1억개에 비교하니...
    2:45 ㄴㅇㄱ
    확실히 인공지능의 두뇌 회전이면 단백질 구조를 파악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인공지능의 끝은 어디란 말인가...

  • @주최자-g9s
    @주최자-g9s 4 місяці тому +5

    결국 데미스 허사비스가 노벨 화학상을 타게 되었습니다..

  • @굿데이-m6q
    @굿데이-m6q 4 роки тому

    크으~~~~ 오늘도 안될곽햇다 하루가뿌듯

  • @이루어진다아
    @이루어진다아 4 роки тому +3

    재밌게 잘읽었습니다~
    인류미래를 가장 대표하는 분야가 인공지능이라서 그런지 아주 흥미로웠어요.

  • @daesenglim4524
    @daesenglim4524 8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말씀하시는 어조도 상당히 신뢰할 듯한느낌으로
    바뀐듯 합니다.
    좋은 주제, 내용
    다시 감사 드립니다

  • @mk_yuniq
    @mk_yuniq 4 роки тому +42

    0:23 날걀달 ㅋㅋㅋ 엄청 긴급하네요 오늘 ㅋㅋㅋㅋㅋ

    • @jocmos
      @jocmos 4 роки тому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덕분에 알았네요ㅋㅋㅋ

  • @Nal0083
    @Nal0083 4 роки тому +1

    진짜 초긴급이네요 헉헉 흥분된다

  • @다섯숟갈유자청
    @다섯숟갈유자청 4 роки тому +30

    5:52 알파문구 ㅋㅋㅋㅋㅋㅋㅋ

  • @llilyaa
    @llilyaa 4 роки тому +5

    단백질을 활용한 연구를 전공으로 하는 사람으로서 이런 기술이 앞으로의 연구 결과를 빠르게 앞당길 수도, 보다 정확한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도 있겠다 라는 생각도 들지만 한편으로는 조금 무서운 생각이 들기도 하네요.
    앞으로의 활용성이 기대 됩니다.

  • @TwiNi0827
    @TwiNi0827 4 роки тому +1

    인사할 시간도 없다고 말할 시간도 없는 초긴급과학인가
    ㅗㅜ~ 너무 좋네

  • @최정식-x5i
    @최정식-x5i 4 роки тому +4

    안녕하세요
    바빠도 인사는하고살아요
    수고하세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роки тому +4

      안녕하세요
      바쁘다는 핑계로 사람답게 살지 못했던 자신을 반성합니다
      현실에서만큼은 인사 열심히 하면서 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4 роки тому

    빠른진행이 좋네요^^
    플랫어스도 다뤄주세요
    이왕이면 긍정적으로 다뤄 주세요

  • @Kelthica
    @Kelthica 4 роки тому +20

    ㄹㅇ 인사할시간이 없다니 ㅋㅋ

  • @riialee3859
    @riialee3859 4 роки тому +4

    1:50 대학원생의 노동력 ㅠ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약님 영상재밌게 보고갑니다 ㅎㅎ

  • @파송송계란탁-n5o
    @파송송계란탁-n5o 3 роки тому

    지금까지 본 유튜브 중에 제일 유익

  • @blog0501
    @blog0501 4 роки тому +1

    와.. 이런 소식 정말 감사합니다 싸랑해요ㅠㅠㅜ

  • @개구쟁이유나-y8o
    @개구쟁이유나-y8o 4 роки тому

    귀에 쏙쏙! 들어오네유!

  • @신병-k2t
    @신병-k2t 4 роки тому

    안될과학!! 사랑합니다!!

  • @rvlove4910
    @rvlove4910 5 місяців тому +5

    알파문고 폼 미쳤다 -팀 김승리

  • @alsrbvkdlsjf
    @alsrbvkdlsjf 4 роки тому +1

    배속으로 보는 사람들이 있어서 의도적으로 빨리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전 전의 약님이 좋네요.

  • @성이름-g3q
    @성이름-g3q 4 роки тому +6

    5:03 이 목소리는 게임지식백과 그 채널인데??

  • @다냐니라
    @다냐니라 4 роки тому

    넘나 재밌어.. 자주 보고싶어..

  • @v키보드워리어v
    @v키보드워리어v 4 роки тому

    와 인트로도없고 속도도 빨라서 구독좋아요합니다 ...다른 과학유투버는 시간 질질끄는데 맘에 들어용

  • @Yuna_daddy89
    @Yuna_daddy89 4 роки тому +12

    단백질 구조 예측을 게임으로 만들어 플레이어에게 풀어내려고 했죠 ㅎㅎ

  • @지용-v8r
    @지용-v8r 4 роки тому

    아 안될과학 요즘 잘 올라와서 너무좋다

  • @allegrorisoluto3728
    @allegrorisoluto3728 4 роки тому +3

    정말 대단합니다. 딥러닝 기술을 앞으로 개발될 엑사스케일 컴퓨터에 적용한다면 무섭겠군요.. 인류의 미래는 인공지능에 달린 것 같습니다.

  • @hawk8873
    @hawk8873 4 роки тому

    알파 땡땡,,,,, 근데 진짜 인사할 시간도 없었군요. 켁~

  • @Melki-zedek
    @Melki-zedek 4 роки тому

    딥마인드 충성충성 ^^>

  • @SATELLITECASTIEL
    @SATELLITECASTIEL 3 місяці тому +3

    오 이거 4년 뒤에 노벨상 받습니다

  • @HLIDEAinc
    @HLIDEAinc 4 роки тому

    와 엄청 궁금했었는데 이런 초긴급과학 감솨합니다

  • @편람-h2p
    @편람-h2p 4 роки тому

    ㅋㅋㅋㅋㅋㅋㅋㅋ 더욱더 긴급해지니 듣기가 즐겁습니다.

  • @민경민-h7p
    @민경민-h7p 4 роки тому +16

    0:34 이거 실제 영상인가요??

    • @OrangeNet
      @OrangeNet 4 роки тому +1

      실제 맞음..인간의 뭔 물질을 운반하는 세포라던데..

    • @shcraft94
      @shcraft94 4 роки тому +2

      세포는 아니구 키네신이라는 단백질입니다! ㅎㅎ
      위에 동그란 물질을 운반해준답니당
      유튜브에 쳐보시면 자세한 설명 많습니다.

    • @알비노
      @알비노 4 роки тому +1

      엑소솜인지 엑소좀인지 기억안나네요 세포가 만든 물질이나 불순물 같은걸(엑소좀에 담아서) 옮기는 겁니다 dna같은것도 너무작아서 분자현미경으로 본다고 하는거보면 저건 관찰한걸 그래픽으로 재현한거일겁니다

  • @ojijy94
    @ojijy94 4 роки тому +1

    진짜 이정도 발전 속도면 나중에는 인간 행동 예측 가능할듯.. 마이너리티 리포트 현실화;;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4 роки тому

      마이너리티 리포트는 초능력자를 가두고 미래예측시키는 인권유린 문돌이 드라마고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으로 범죄예상 인물을 지목하면 걔네들이 왜 지목됐는지는 알 수 없으니 수사팀이 파악하고 범죄 예방하는 드라마는 얼마 전 나왔더군요. 딥러닝 특성상 도출과정은 인간이 알 수 없으나 예측은 정확 ㅋ

  • @shchung4135
    @shchung4135 4 роки тому

    항상 재밌고 유익하게 잘 보고 있습.....

  • @남태원-g5c
    @남태원-g5c 4 роки тому

    오늘은 정말 긴급하셨나봐요
    덕분에 오늘도 과학지식하나 머리속에넣습.

  • @kwanyoung978
    @kwanyoung978 4 роки тому +1

    단백질의 구조를 밝히는 게 중요한 이유는 단백질의 기능이 화학적인 반응 보다는 물리(기계)적인 반응에 가깝기 때문이죠. 구조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 단백질의 기능과 특성을 밝히는데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 @fhylla309
    @fhylla309 4 роки тому +2

    5:52 알파문구..?🤣

  • @hyo3377
    @hyo3377 4 роки тому

    인간의 지식이 이제 인간만으로는 해결되기 어려운 수준 가까이까지 와버린느낌인데 새로운 인공지능이라는 도구를 만들어 그걸 극복하는느낌이네요. 이대로가다가 또다시 한계에 다다르면 인간 스스로가 자신을 변형하는 때도 오겠죠.

  • @태화리버
    @태화리버 4 роки тому +2

    이렇게 빠른 영상을 더 빨리 보고 싶어서 1.25배로 올려 보는... 저는 과연 정상일까요?

  • @wjc9612
    @wjc9612 4 роки тому

    고체 재료 전공자인데 저 X-ray 장치 안에 분석하려는 시료는 오로지 Single crystal이어야만 분석이 가능해서 크리스탈 만드는데 시간 드럽게 오래걸리고 X-ray 장치에서 나온 데이터들도 원소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딱 알려주는게 아니라 전자 밀도를 알려줘서 사람이 unitcell의 원자들을 지정해서 풀어야함 ㅋㅋㅋ ㄹㅇ 대학원생의 로동력 착취

  • @jere121213
    @jere121213 4 роки тому +2

    와 이건 진짜 속보급 긴급과학이네😳

  • @Martin-ur7mc
    @Martin-ur7mc 4 роки тому +3

    AI가 정말로 새로운 기술을 낳는 특이점의 시대가 오고있다는게 실감이 되네요...

  • @benjaminjung94
    @benjaminjung94 4 роки тому

    현직자입장에서 이뉴스 처음 접했을때 지렸습니다. 유전자가위 (crispr/CAS9) 나 iPSc 줄기세포 이상가는 임팩트에요.

  • @dandi8970
    @dandi8970 4 роки тому

    목소리 너무 좋아.

  • @ullysiss1
    @ullysiss1 4 роки тому +25

    '~다'가 없음
    너무 긴급해 ㅋㅋㅋ

  • @오함마의현인-m1n
    @오함마의현인-m1n 4 роки тому +1

    인공지능 소재가 제일재밌어 ㅎㅎ

  • @qpwoqpwo5154
    @qpwoqpwo5154 4 роки тому

    이제는 정말 사람을 능가하는 인공지능이 나오는 중이군요..
    그럼 어떻게 이런 구조를 예측했는지 알아서 이론을 만들어야 하겠군요

  • @이경순-j7y
    @이경순-j7y 4 роки тому

    빨라서 좋으네요

  • @롱초-v4y
    @롱초-v4y 4 роки тому +1

    인공지능이 세상을 바꿀것이니라

  • @헬턴트-f5w
    @헬턴트-f5w 4 роки тому

    초긴급이라 그런가 오늘은 인사부터 긴박감 넘치네요

  • @대학원생인것
    @대학원생인것 4 роки тому +1

    01:49 저요???

  • @pkilhwan
    @pkilhwan 4 роки тому

    새로워서 잼있었어요 ㅋㅋ

  • @user-ht2gd3lu8d
    @user-ht2gd3lu8d Рік тому +6

    2년 지났는데 뭐가 달라진 게 있나요?

    • @hyunbinpark8537
      @hyunbinpark8537 4 місяці тому +1

      3년 지나서 노벨상 탐ㅋ

    • @Redeption-y2b
      @Redeption-y2b 3 місяці тому +2

      2024년 노벨 물리/화학상 수상하였습니다..
      대상자는 구글 CEO와 알파폴드 개발자들 입니다.

  • @panxc_220
    @panxc_220 4 роки тому +1

    이거 과학동아에서도 봤는데...ㄹㅇ 혁신적인가보네

  • @Seoul-scu
    @Seoul-scu 4 роки тому +7

    0:23 날걀달 ㅋㅋㅋㅋㅋㅋㅋ

  • @henryn7060
    @henryn7060 4 роки тому +4

    5:52 Alpha문구...?

  • @정정-w2p
    @정정-w2p 4 роки тому +10

    와 급한컨셉 너무 웃겨옄ㅋㅋㅋ

  • @js2540
    @js2540 4 роки тому

    좋은 영상 감사합

  • @fumi_
    @fumi_ 4 роки тому

    한 삼년 후면 인공지능이 만드는 이슈 유튜브 채널도 생기지 않을까? 현존하는 그 어떤 싸이버렉카보다 더 빠르고 더 넓은 시각으로 정보 전달이 가능할 것 같은데

  • @webdong
    @webdong 4 роки тому

    1분전ㅇ0ㅠ올라온 긴급과학? 이거뉴정맣 귀하군요

  • @chika_chika_ing
    @chika_chika_ing 4 роки тому

    넘 재밋당

  • @ridingmellow2190
    @ridingmellow2190 4 роки тому

    초긴급이면 말 끝맺음마저 생략하는 안될과학 클라ㅆ

  • @w-jk8699
    @w-jk8699 4 роки тому +2

    아아... 우리 대학원생들은 어디로 가야한다는 것인가?
    우리의 노동력은 이제 저 알파가 뻇어가 우리의 사용처들은 없어진다는 것인가? ㅠㅠ
    현직 대학원생은 원합니다!! 우리 분야에도 얼른와라 알파야~~~!

    • @hawk8873
      @hawk8873 4 роки тому

      안돼에에에~~ 우리 몽땅 실업자 만들일 있냐?

  • @서켜니-z5x
    @서켜니-z5x 4 роки тому +2

    ㅋㅋㅋㅋㅋㅋㅋ 인트로보고 처음 터졌네요 ㅋㅋㅋ

  • @bedeadnaver4228
    @bedeadnaver4228 4 роки тому

    이영상때문에 알고리듬이 아웃사이더 영상 추천해줄듯

  • @붉은빛의폭풍
    @붉은빛의폭풍 4 роки тому

    코로나 백신에 대한 논문들을 다룬 언박싱 사이언스 (바쁘고 정신없으신건 이해합니다만 ㅠㅠ) 도 조만간 만나볼수 있기를 아기다리고기대합니다.

  • @MADunknown666
    @MADunknown666 4 роки тому

    최근 몇달전부터 든 생각인데
    AI 그리고 기계들, 인간이 만든것들이지만
    결국엔 인간은 바이러스나 자연에 의해 소멸할 가능성은 크고
    AI와 기계들은 그것들을 이겨낼수 있다고 봅니다.
    그래서 생각을 한게 인간이 AI로 진화를 하는게 아닌가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곤 합니다. 결국 나 자신이 죽기전 뇌의 데이터를
    무엇인가로 옮겨놓고 그걸 기계로 로딩을 한다면 그게 정말 나 인지
    아니면 그냥 기계가 로딩만 하는거인지 라는 논쟁도 생기겠지만
    제가 생각하는건 인간이 AI와 기계로 진화 한다고 느껴집니다.
    다른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 @user-jw9tk9tt9k
    @user-jw9tk9tt9k 4 роки тому

    와 인공지능이 이런것도 가능하군요!

  • @centurionkwk
    @centurionkwk 3 роки тому

    그럼 언젠가 미래엔 과학자들도 실업자가 되는 건가요?
    이 영상 1.5배로 들어도 들을만하네요.

  • @domuklee9594
    @domuklee9594 4 роки тому

    약 아재 실력이 많이 늘으셨네

  • @phh2491
    @phh2491 4 роки тому

    초 긴급과학.. 새 컨텐츠인가요 ㅋㅋㅋ

  • @taegeuk82
    @taegeuk82 4 роки тому

    데이터 분석 예측시스템 알파벳의 딥런닝은 계속된다!! 데이터만 계속 때려 넣으면 적절한 패턴을 찾아낼게다... 이건 과학임.

  • @freemoonnight
    @freemoonnight 4 роки тому

    이젠 인공지능이 규칙성을 발견하고 과학자들이 그것의 타당성을 검증하기위한 로직을 제안하는 세상이 올 수 있겠네요

  • @haqww5777
    @haqww5777 4 роки тому

    인공지능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는걸 지켜만 볼수 없던 인류는 인공지능을 직접 뉴럴링크로 연결에 머리에 칩을 삽입하게 되지 않을까?
    뉴럴링크 보안분야를 조금씩이라도 파봐야겠다

  • @pigeon1091
    @pigeon1091 4 роки тому +1

    아미노산구조와 구부러짐이유 및 연결의 규칙성부터 연구마렵다 그럼 더 많은 단백질을 만들 수 있을탠데

  • @uhappy3996
    @uhappy3996 4 роки тому

    평가는 알아서 할테니 빨리 코드나 공개해줬으면...

  • @jupiterj2969
    @jupiterj2969 4 роки тому +2

    안될과학 너무 감사한 체널입니다. 어려운 과학도 술술 쉽게 설명해주시니..❤❤❤

  • @donghyunoh1521
    @donghyunoh1521 4 роки тому

    오늘따라 유난히 인사할시간이 없으시네, 인트로가 짤렸어 ㅋㅋㅋㅋ

  • @구자현-c8u
    @구자현-c8u 4 роки тому

    알파과학의 알파입니다.

  • @NastyPnk
    @NastyPnk 9 місяців тому

    신속히 연구가 이루어져서 프리온에 의한 광우병, 크로이츠펠트 야콥병 그리고 백신연구가 힘든 에이즈가 빨리 해결되면 좋겠군요

  • @hyunchaesim5019
    @hyunchaesim5019 3 роки тому +2

    그렇게... 알파폴드가 오픈소스로 풀린 지금.. 용량은 2.2 테라바이트 이다.

  • @tjwn789
    @tjwn789 4 роки тому +1

    최초로 노벨상을 인공지능에게 주어지는 날이 올 수도...

  • @TheDigitist
    @TheDigitist 4 роки тому +1

    AI가 어려워하는게 아니라.. 인간이 규칙을 명확히 정의해주질 못하는 것이겠죠

  • @mini1735
    @mini1735 4 роки тому

    인사할시간없........ㅋㅋㅋㅋㅋㅋㅋ 습니다에서 니다는다 생략되는건가요.ㅎㅎㅎㅎㅎㅎㅎㅎ

  • @tskim1580
    @tskim1580 4 роки тому

    뭐야 너무 빠르

  • @Kim_HyungGon
    @Kim_HyungGon 4 роки тому +1

    와..... 진짜 대박이긴 하다 ㅋㅋㅋㅋㅋㅋ

  • @Lee_Won_Jae
    @Lee_Won_Jae 4 роки тому

    특이점이 정말 멀지않았다 ㄷㄷㄷ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