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도를 한다면 꼭 알아야 하는 "발목 각' 만들기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лют 2025
- #역도 #발목각 #데드리프트
'구독'과 '좋아요'는 다짐 TV 채널에 큰 도움이 됩니다.
다짐 인스타 : spiritmoon01
안녕하세요.
올해의 다짐은 꼭 실현하자!
운동하는 직장인 다짐입니다.
역도를 하면서 정말 많이 들었던 티칭 중 하나가 바로
"발목 각" 입니다.
영상 보시고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아서 제작해봤습니다.
도움되시기를!!
항상 건강하게 운동하세요~!!
11년차 헬스인의 역도 성장기! 흥미롭지 않으신가요?
기대 많이 해주세요 ^^
구독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Keep Motivation"
▬▬▬▬▬▬▬▬▬▬▬▬▬▬▬▬▬▬▬▬▬▬▬▬▬▬▬▬▬▬▬▬▬▬▬▬▬▬▬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눌러주시고 앞으로 업로드 되는 영상들 많이 시청 부탁드립니다.
다시 한번 시청하여 주신 모든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다짐 TV 드림
▬▬▬▬▬▬▬▬▬▬▬▬▬▬▬▬▬▬▬▬▬▬▬▬▬▬▬▬▬▬▬▬▬▬▬▬▬▬▬
오늘도 감사합니다 건강 조심하시고 좋은 하루 되십쇼!
헉 저도 모르게 잘못하고 있었던 자세네요! 내일부터 한번 다시 자세 잡고 해봐야겠어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오늘도 굿입니다!
다짐 님 질문 드립니다.
본 영상에서 중심을 유지하면서 최대한 발목과 무릎을 접으라고 하셨는데, 그렇게 많이 접으면 어깨가(상체가) 무릎 뒤에 위치하고, 끌기 시작할 때 무릎이 뒤로 자연히 좀 밀리고 어깨가 바 너머로 나갑니다.
다른 영상에서 정한솔 선수분께서는 시청자 분의 무릎이 앞으로 너무 나와서 상체가 뒤로 빠져있는 시작자세를 지적하시네요.
그리고 같은 선수 분께서 다짐 님의 끌기 자세 봐주실때도 앞벅지 말고 뒷벅지, 엉덩이, 복압으로 힘을 쓸 수 있도록 하라고 살짝 엉덩이를 들고 상체가 좀 더 앞으로 나가는 자세 만들어주시더군요.
제가 배웠던 코치님은 하프 스퀏 정도 위치에서 뒷벅지랑 엉덩이 긴장감 유지하고 끌기를 하라고 하셨습니다. 체형이 모두 다르니 허리각은 사람마다 덜 숙여지고 더 세워지고의 차이는 있지만, 상체가 뒤로 빠지는 시작자세는 무게 올라가면 끌다가 허리 다칠 위험이 높다고 하셨어요.
또 피지컬갤러리에서 이상연 선수님도 심으뜸 님에게 어깨가 살짝 더 앞으로 나가야 힘을 더 잘 쓸 수 있다고 어깨 위치를 수정하시더군요.
이상연 선수님도 시작자세는 스퀏 스럽지만 끌기 시작하면 무릎이 살짝 빠지면서 끄시고, 다짐님께서도 끌기 시작하는 그 순간에 멈춰보면 어깨가 무릎 너머로 나가있거든요.
좀 더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제가 놓치고 있는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 부분은 지도자분들마다 다 이야기가 다르고 말씀하신 것 처럼 체형이 모두 달라서(팔다리 길이 등..) 사람마다 동작하는걸 보고 수정 작업이 들어가야지 그것 없이 이게 맞다 저게 맞다 라고 하기가 참 어려운 부분이기도 합니다. 저 또한 2년넘게 역도를 배우고 있지만 지도자나 선수분들마다 의견이 달라서 조금씩 수정해나가고 있구요.
핵심은 무릎이 뒤로 밀리지 않고 고정시켜놓은 자세에서 무릎위까지 끌기 편한 자세가 가장 이상적이며(무릎과 발목각이 최대한 많이 살아있어야만 세컨풀에서 힘을 많이 쓸 수 있으니)
하체는 이러하구요.. 상체각은 무거운 중량을 끌면 어쩔 수 없이 상체각도 딸려가면서 조금 무너질 수는 있으나.. 핵심은 명치가 바라보는 방향이 바닥면이 되는 것은 최대한 피하고 명치가 바라보는 방향이 최대한 앞을 바라볼 수 있도록 끄는 자세가 나와야 이또한 세컨드풀에서 힘을 최대한 많이 쓸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려나 모르겠네요 ㅠ.ㅠ 선수분들 시합영상 말고(시합영상은 기록에 가까운 중량을 다루다보니 자세가 완벽하지 않습니다) 인스타그램 통해서 훈련영상 많이 찾아보시면 도움 되실거에요. 특히 본인이랑 체형이 비슷한 선수분을 찾아서 보시면요! ㅎㅎ 저 또한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tvdagym1134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다짐님 끌기 영상도 참고 많이 하고 있어요 체형이 비슷하셔가지고ㅎㅎ 혹시 대댓으로 하나 더 여쭤봐도 된다면, 다짐 님께서는 끌기 하실때 복압을 어떻게 잡으시나요? 허리디스크 다쳤다가 다시 시작하는데, 스퀏 때는 꽉 배가 물려서 뱃심으로 쭉 미는 느낌이 많이 돌아왔어요. 근데 유독 끌기할때만 복압이 꽉 물리는 느낌이 안 돌아와서 많이 답답합니다ㅜ 다짐 님께서 활용하시는 큐가 있다면 가르쳐 주세요!
@@너나들이-h4j 저도 이건 선수분들한테 배운 팁인데.. 스쿼트도 마찬가지지만 데드립에서 오히려 상체는 잡아두고 그냥 스쿼트하듯 바닥을 쭉 다리로 민다는 느낌으로 하는게 중요하더라구요. 복압을 억지러 잡고 동작을 하는 느낌보다는 복압은 버티는 정도로하고 다리로 미는 느낌에 집중하시면 훨씬 더 잘되실거에요.!
@@tvdagym1134 허리가 무서워서 자꾸 붙잡는게 나오나봐요ㅜㅜ 쭉 미는 느낌 찾도록 조심조심 해봐야겠습니다 답변 주셔서 감사해요! 코로나 조심하시고 항상 건강하세요!
@@너나들이-h4j 감사합니다 :) 겨울철 안전하게 운동하세요!! ㅎㅎㅎ
발목각의 중요성!!! 도움이 됐습니다ㅎㅎ
몸이 역도만으로도 더 좋아지신거 실화십니까😁
발목각 맞추다보면 미드풋보다 바벨이 앞으로 가던데 그건 상관없나요??
신발 사발레오인거같은데
기존의 역도화들이랑 비교해서 어떤가요??
궁금합니다 :)
발목각 중심 메모🏋🏻 다함께 역도를 화이팅!
다짐님, 제가 스쿼트를 막하다가 이제야 잘못된 거 깨닫고 다시 자세 교정중인데요. 하강 시 하체의 긴장(무릎과 엉덩이)을 최대 10이라 했을 때, 몇의 힘을 주고 앉아야 하나요? 그리고 힘 주면서 내려올 때 무릎에서 뭔가 막히는 느낌이 들면 발 너비도 넓혀주면 좀 편하던데 이 너비가 제게 맞는 건가요?
바벨은 미드풋쯤에 위치시키고 발목각을 최대한 많이 가져가면 될까요?
다짐님 역도를하려면
컨벤셔널데드리프트말고
클린데드리프트를해야되는건가용?
아그리고 클린데드는 맨발로는 힘든가용?
혹시 역도 선수들도 스트롱리프트처럼 주기화 훈련같은게 있나요?
장애인실업팀 훈련장에서 역도배우고 있는 사람이에요.
역도 선수들은 따로 프로그램을 돌리지 않고
그 날 그 날 코치님이 스케쥴을 짜주십니다.
저같은 경우는 일반인이기때문에 무게도 정해주십니다. 코치님께서 짜 주신 훈련스케줄대로 그 날 운동을 진행합니다.
스케줄만 진행해도 기진맥진합니다.
허리보호대는 몇키로부터 쓰시나여?
피드백 감사하고 영상도 잘보고 갈게요!!! =)
영상 보내주신 분이 계신 곳 glgym 아닌가요??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