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집값 하락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 폭락이와 폭등이|시사직격 156회 KBS 230317 방송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6 бер 2023
  • 방송일시 : 2023년 3월 17일 금요일 밤 10시
    지난 2022년 부동산 시장은 암울한 소식의 연속이었다. 모두의 꿈인 ‘내 집 마련’에 평생 모은 돈을 투자했던 사람들은 눈 깜짝할 새 폭락한 집값에 몸살을 앓았고, 청약시장과 건설사들까지 속수무책으로 무너졌다.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집값 더 떨어져야 한다는 이들을 ‘폭락이’, 다시 올라야 한다는 이들을 ‘폭등이’라 부르며 서로 배척하고 갈등을 빚기도 했다.
    그리고 올해, 7개월 만의 낙폭 둔화에 다시 반등의 기회를 노리는 이들도 있다. 이대로 ‘부동산 불패 신화’는 계속되는 것일까, 아니면 비로소 거품 붕괴의 서막이 오른 것일까. 오를까, 떨어질까. 모두가 궁금해하는 그 질문과 함께, 대한민국의 부동산 시장을 파헤쳐본다.
    ■ 하우스푸어와 무주택자, 두 청년의 ‘좋은 날’
    28살 장효근 씨. 그는 지난 8년간 고시원과 반지하 방을 전전하다가, 2021년 마침내 내 집 마련에 성공했다. 3억 5천만 원짜리 집에 2억 7천만 원이 대출금이었지만, 집값은 단 몇 개월 만에 매매가보다 1억 원 넘게 치솟았다.
    그러나 효근 씨도 갑작스럽게 찾아온 부동산 폭락 장을 피하지 못했다. 오르는 대출이자를 갚기 위해 낮에는 요리사로 일하고, 틈날 때마다 심부름을 하면 수행비를 주는 부업을 병행했다. 옷 살 돈이 없어 티셔츠 단 두 벌을 돌려 입으며, 난방도 켜지 않은 채 겨울을 나야 했다.
    집이 있어도 끝나지 않은 긴축 생활. 효근 씨는 방 한 칸을 옛 반지하 방과 똑같은 모습으로 꾸며놓았다. 매일 출근 전 들여다보며 힘들었던 시절을 떠올리고 더 열심히 살기 위해서이다. 고통스러운 시간을 견디면서도, 그는 집을 산 것을 한 번도 후회한 적이 없다고 말한다. 집이 있으면 언젠가는 반드시 또 좋은 날이 오리라 믿기 때문이다.
    작년 2월, 《시사직격 108회》 ‘대선과 부동산 - 너도나도 공급 확대, 문제없나’ 편에 출연했던 무주택자 김상우 씨(가명). 집을 사기 위해 반지하 고시원에서 긴축 생활을 하던 그를 1년 만에 다시 찾아가 보았다. 그 사이 800만 원을 더 모았다는 상우 씨는, 여전히 집을 사지 못한 채 적절한 때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한다. 지난 몇 년간 무섭게 치솟았던 집값은 폭락 장을 지나고도 무주택자에게 여전히 높은 벽이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이렇게 버티다 보면 또 좋은 날이 올 거예요. 그날은 반드시 올 거라고 생각해요. 항상 그래왔듯이.”
    - 장효근 씨(28) 인터뷰 中 -
    “거의 인생의 목표라고 해도 될 정도로 간절하죠. 제집에서 먹는 밥이 제일 맛있다고, 저도 한번 저의 집을 가지고 거기서 잠도 자고 밥도 먹고. 그렇게 해보고 싶어요”
    - 김상우 씨(가명) 인터뷰 中 -
    ■ 강남마저 흔들린다? 기회는 바로 지금!
    지난해 내내 이어진 가파른 금리 인상에, 금융위기 시절에도 유례없던 전세가 하락장이 이어졌다. 집주인이 계약만기를 유예하기 위해 계약 당시보다 떨어진 차액을 임차인에게 돌려주는, 이른바 ‘역전세, 역월세’까지 등장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전세가가 하락하면 집값이 하락하는 폭을 더 빠르게, 더 크게 부추길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집값 불패’라 여겨지던 강남 지역의 대장 아파트도 상황은 다르지 않았다. 박동철 씨(가명)의 아파트는 세입자도, 매수인도 구하지 못해 1년째 공실로 비어있었다. 그 사이 매매가는 3억 원이나 더 폭락했다. 모두의 꿈으로 여겨지는 이 아파트의 국민 평형 실거래가는 1년 만에 23억 8천만 원에서 13억 8천만 원으로 10억 원이 하락했다. 집값 등락의 바로미터로 여겨지는 강남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흔들리자, 인근 지역의 부동산 시장은 더욱 큰 두려움에 휩싸였다.
    한편, 지금과 같은 하락장이 오히려 적기라며 매수를 시도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법원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전국 부동산 임의경매 신청 추이가 작년 이맘때 1,477건에서 2,824건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시사직격》은 법원과 경매 매물 임장을 다니며 기회를 잡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사람들을 만나, 그들의 투자 철학을 들어보았다.
    “대한민국에서 부동산은 샤넬이죠.삼성동 88평 아파트가 100억 원이에요. 부동산은 소비재가 되는 것이 맞지만, 자산증식의 도구라는 사람들의 인식은 적어도 제가 죽을 때까지는 변하지 않을 겁니다.”
    - 박희철(파이팅팔콘) / 부동산 경매 전문가 -
    ■ 누구를 먼저 살릴 것인가?
    단군 이래 최대 재개발로 이슈를 몰고 온 둔촌주공아파트(올림픽파크 포레온). 우량사업의 자금난에 건설업계와 부동산 시장에 불안감이 커지자, 정부는 2023년 1월 3일 특단의 규제 완화 대책을 내놓았다. 이후 강남 3구와 용산을 제외한 지역에서 분양권 전매제한이 단축되었고, 실거주의 의무도 폐지되었으며, 분양가와 관계없이 중도금 대출 또한 가능해졌다.
    이른바 ‘둔촌주공 살리기’라 불렸던 이 1.3 대책의 영향이었을까. 그간의 우려와 달리 둔촌주공 무순위 청약 경쟁률은 46.2대 1을 기록했고, 이어 영등포에서 진행된 올해 첫 분양 사업도 예상치 못한 많은 인파가 몰려들었다.
    한편, 일각에서는 이렇게 성급한 규제 완화가 양극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놓는다. 청약 수요가 서울에 집중되는 만큼 지역의 미분양 시장이 악화되고, 다주택자의 투자 수요는 증가하는 반면 실거주를 원하는 무주택자의 이익은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이다.
    “솔직히 화가 많이 나죠. 실거주자보다 투자자의 입장이거든요.”
    - 박승철 씨(가명) 인터뷰 中 -
    “다주택자에게 전매제한도 다 풀어주고, 세금도 덜 매기면서 무주택자들은 딱히 이득 볼 게 없거든요. 저처럼 집이 없는 사람도 아파트도 사고, 빌라도 사고 주거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세상이 왔으면 좋겠어요.”
    - 김상우 씨(가명) 인터뷰 中 -
    《집값 하락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 폭락이와 폭등이》 편이 금요일 10시 KBS1TV 《시사직격》에서 방송된다.
    탐사 보도의 노하우와 정통 다큐멘터리의 기획력을 더했다! 《시사직격》
    일본 강제동원 손해배상사건과 제주 4.3 군사재판 희생자들의 재심사건 담당.
    거대한 국가 폭력에 항거하는 피해자의 곁을 묵묵히 지켰던 임재성 변호사와 함께합니다.
    매주 금요일 밤 10시, KBS 1TV 방송
    ✔ 제보 : 010-4828-0203 / 시사직격 홈페이지 / betterkbs@gmail.com
    ▶홈페이지 : program.kbs.co.kr/1tv/culture/...
    ▶트위터 : / kbssisajg
    ▶페이스북 : / kbssisajg1
    ▶인스타그램 : kbssisajg
    ▶저작권·이의제기 등 유튜브 영상문의 : ssjkkbs@gmail.com

КОМЕНТАРІ • 2,8 тис.

  • @haeun1206
    @haeun1206 Рік тому +1493

    투자한사람을 왜 우리가 걱정을 해줘야해? 돈없어서 투자생각도 못하는 사람 많지않나? 각자선택에 결과가 따르는건데 뭘..알아서 해야지

    • @qlsguswjd3
      @qlsguswjd3 Рік тому +152

      올라갈때는 웃다가 내려가니 징징 능력 안되면 지옥이지 ㅎㅎ

    • @user-je3wq1tr9k
      @user-je3wq1tr9k Рік тому +27

      @@bradguitarmusic6020 2008년 이후 은행들도 지급 준비율을 높여놨기 때문에 이 정도 가지고 무너질일 없습니다. pf대출때믄에 제2금융권은 시끄러울것이나 나라가 망할정도는 아닙니다. IMF, 2008년 위기 후 더 튼튼해진 국가경제를 생각해보면 터지는게 나을수도 있습니다.

    • @user-july-galbo
      @user-july-galbo Рік тому +1

      ​@@bradguitarmusic6020 나라안망해요 그런걸로 겁먹는시대도아니구요. 건설사,은행들 현금쌓아놓은거 많습니다. 몇군데파산한다고 망할나라는아니지만 지금 미친망나니하나가 나라팔아먹고있죠. 그거하나만 저세상보내면 이나라는 태평성대입니다.

    • @user-pq3wg2fl3h
      @user-pq3wg2fl3h Рік тому +4

      나라 망하니깐

    • @sosimin2022
      @sosimin2022 Рік тому +30

      @@bradguitarmusic6020 그럼 나라 망친 주범들이네?

  • @user-jd5ov6yt3i
    @user-jd5ov6yt3i Рік тому +314

    솔직한말로 ”갭투자“ 라는
    단어로 도박 한 사람들은 스스로 감당해야지.

    • @dark_teacher
      @dark_teacher Рік тому +3

      결국 전세세입자가 고스란히 그게 저
      써서날린것도 아닌데 억대 빚 아 죽고싶다

  • @voo6002
    @voo6002 Рік тому +286

    솔직히 말해서.. 영끌해서 내 실거주 집 사겠다고 들어간 사람들은 조금은 안타까울수도 있는데 갭투자 한 사람들은 자기가 한 행동에 책임도 질 각오를 하고 했어야 했다고 본다. 집값 떨어지면 못버티고 나가떨어질정도 였으면 수준을 낮춰서 주담대 안에서 끊을 집을 샀어야지 실거주 아니고 투기하려고 산거 인정하고 저기 영상 투잡하시는 분들처럼 책임을 져야함.

    • @user-ow1ve7dz6b
      @user-ow1ve7dz6b Рік тому +4

      애초에 내 실거주집 사는데 영끌하지는 않음 그런 무모한 짓을 왜 하겠어요

    • @meditationworld9763
      @meditationworld9763 Рік тому +8

      도박해서 저점갔다면 지책임이듯이 투기는 다본인책임이죠

    • @user-ur2xs6qj7m
      @user-ur2xs6qj7m Рік тому +9

      영끌 실거주도 동정할필요 없음 감당할 수 있는 리스크 설정하고 분수에 맞는 집을 사야지 왜 영끌을 함

    • @namefirst789
      @namefirst789 Рік тому +4

      @@user-ur2xs6qj7m 영끌의 의미가 감당할수 있는 대출이지. 감당못하는 대출은 은행에서 애초에 대출안해주는데 뭔개소리냐ㅋㅋ

    • @user-ur2xs6qj7m
      @user-ur2xs6qj7m Рік тому +4

      @@namefirst789 상황이 조금만 변해도 감당 못하지 영끌하면 은행돈만 빌리냐 주변지인이나 각종 담보대출 다끌어쓸건데 개소리는 너가 하는거같은데?

  • @badrukkkaptin902
    @badrukkkaptin902 Рік тому +123

    고점에 사신분들한테는 죄송하지만 애초에 집값이 너무 높다고 한 얘기가 2019년부터 나왔습니다.
    더군다나 대외환경이 대한민국에 상당히 불리하게 돌아가므로 이전 고점을 회복하긴 정말 어려울겁니다.

  • @julia-by4ef
    @julia-by4ef Рік тому +362

    영끌해서 집 한채 있는데 집값이 오르
    는 게 과연 좋은 건가요? 그 집 팔아도 다른 집은 더 오를 텐데요... 정상적으로 일하고 생활하면서 집을 마련할 수 있게 조정이 되는 게 맞겠죠.

    • @user_Ekfrnala
      @user_Ekfrnala Рік тому +39

      맞는 말씀이네요. 집 한채있는 사람이 집값 많이 올라도 팔고 다른데 갈 곳이 없습니다. 그냥 열심히 돈 모아서 내가 살집 마련할 수 있는게 정상이겠죠

    • @rucca_
      @rucca_ Рік тому +3

      그래서 상대적으로 오르는 집을 사는게 중요한거죠.그 집 팔아서 내 돈 더 보태서 더 좋은 지역 구축이라도 들어갈 수 있으면 성공한거죠.

    • @user-kf9bz8qg3y
      @user-kf9bz8qg3y Рік тому +44

      상대적으로 오르는집을 사는게 중요하다는게 ㅈㄴ 본질을 이해를 못하는게 의식주가 투자개념이 들어가니 지금 영끌족에 이사단난거고 1주택 실거주자들은 집값오르는게 세금만 더내고 좋은게없다니까.,

    • @user-dm4vj7lo2z
      @user-dm4vj7lo2z Рік тому +2

      집값이 모두다 똑같은 폭으로오르지 않기 때문에 영끌해서 가지고 있다가 팔아서 조금더 구축 조금더 하급지 쪽으로 내려가서 대출없이 집을 갖는게 영끌의 목적이기도 했고 그당시에는 현금만 들고 있으면 가치가 너무 떨어져서 그사람들도 선택지가 없었음

    • @user-pn6mi7bn9o
      @user-pn6mi7bn9o Рік тому

      이게다 문재인때문이죠

  • @jhkim5388
    @jhkim5388 Рік тому +320

    갭투자는 무슨 투기지
    다 없어져야 돼
    빌라왕도 갭투자를 이용한 사기였는데
    개인적으로 갭투자 하는 인간들 때문에 집값이 오른것도 한몫한다고 본다.

    • @user-vr6uw5lq9s
      @user-vr6uw5lq9s Рік тому +5

      ㅋ 그럼 전월세는 없어지고....전월세 사시는분들은 전부 내쫒기겠군요...

    • @gdtt6485
      @gdtt6485 Рік тому +7

      지금 갭투자하면 인생이 갭으로 뜰듯... 빛갚느라 인생 날리죠머... 돈날려봐야 정신번쩍듬.

    • @gwonyg
      @gwonyg Рік тому +13

      @@user-vr6uw5lq9s 전세는 차츰 없어져야죠. 전세가 없었으면 집값이 이렇게 오르락 내리락할까요.
      근데뭐 이미 타이밍이 지나갔을 수도 있겠네요. 있는사람들이 월세 무쟈게 비싸게 받으면 집값도 비싸질테니까요.

    • @miny1016
      @miny1016 Рік тому +1

      ​@@user-vr6uw5lq9s 갭투자에 월세가 있나여

    • @user-io4mg4yl7s
      @user-io4mg4yl7s Рік тому +17

      갭투기충들은 솔직히 하나도 안불쌍함ㅋㅋ

  • @user-rl7of3du4f
    @user-rl7of3du4f Рік тому +117

    다 떠나서 중간에 나왔던 저 경매강사 박희철...
    "강남..키야..강남.. 강남 비싸서 못갔지만, 이제는 갈 수 있잖아요. 그렇죠?"
    "20억 넘을땐 남의 얘기 같았는데, 13억 되니깐 갈 수도 있을 것 같죠. 그렇죠?"
    "우리가 인지는 못 하지만 왠지 친구를 만났을 때 너 집 어디야? 해서 강남이야 하면 얘 조금 신분이 다른 것 같아"
    "왠지 똑똑해 보이고 단정해 보이고"
    이게 사기꾼이지 제대로된 전문가인가??
    경매든 뭐든 고객들은 전생애 거의 가장 큰 금액으로 소비하는 행위 일텐데..
    인생의 엄청난 전환점이 될 수 있는 정말 정말 중요한 결정의 과정에서...
    소위 전문가라는 사람이 매우 객관적이고 통계적이고 논리적으로 현 부동산 주택경기 상황을 심도있게 설정하여,
    고객들이 정말 정말 심사숙고해서 가능한 현명한 선택을 하도록 도와줘야 할 자리에
    저딴 수준 낮은 감언이설로 아는 것 없는 순진한 사람들 꼬드겨서 수수료 장사하는 딱 사기꾼의 모습이다.
    무슨 근거로?? 20억은 안되고, 13억은 왜 들어갈 수 있는 금액인지??
    마치 강남을 가야 신분상승 할 수 있다는 식의 왜곡된 사고를 은근히 강요하는 듯한....
    결국 부동산도 거시의 큰 흐름을 역행할 수 없는바,
    반드시 이론적, 통계적, 역사적, 거시분석이 선행되야 함에도 기초적인 이론은 문맹에 가까운 인간들이 전문가랍시고 설레발 치는 정말 저급한 시장이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의 민낯이다.
    나는 저 사람은 전형적인 사기꾼의 모습으로 밖에 안보인다...

    • @lIIllIIIlIIIl
      @lIIllIIIlIIIl Рік тому +17

      와 내가 쓰고 싶은 말 여기 다 있음 ㅋㅋ

    • @Yjgopu00
      @Yjgopu00 Рік тому +16

      저두요 와 정리진짜 굿

    • @staytrue6632
      @staytrue6632 Рік тому +15

      완전 공감합니다. 저도 보면서 딱 이렇게 느꼈어요.

    • @sung-su7-3D-G
      @sung-su7-3D-G Рік тому +10

      모든 표현들이 핵심입니다.

    • @dannyoh8209
      @dannyoh8209 3 місяці тому

      본인이 이해못하면 사기꾼인가요?
      저분 얘기에 틀린말이 없어보여요 비판을 하고 비난은 지양하는것도 나쁘지 않아요

  • @user-mq8ri6tg4m
    @user-mq8ri6tg4m Рік тому +117

    그동안 집값이 계속 상승했던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인구가 계속 증가했기 때문임. 그러나 투기꾼들의 욕심으로 인해 집값은 미친듯이 상승했고 결국 결혼과 출산마저 포기하는 상황에서 인구가 계속 줄고 있음. 문제는 실제 체감이 느껴질 때에는 되돌리기에 너무 늦었다는 것임. 지금은 아이들이 적어 유치원이 문을 닫고, 산부인과나 소아과가 줄어드는 수준이지만 이 아이들이 성인이 되었을 10~20년 후엔 나라 전체적으로 타격이 심할 것이라고 생각함. 그나마 지금은 이번 1.3 대책처럼 정부가 정책을 input 하면 output이 바로 올 정도로 효과가 있었지만, 나중에는 어떤 정책을 내놔도 집을 구매할 실제 수요자가 없을 것이고, 자본을 가지고 있는 다주택자들 역시 부동산이 더 이상 돈이 안된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에 주택 수요 자체가 크게 줄어들 수 밖에 없음. 결국 수도권 요지에 위치한 신축 주택들 위주로만 수요가 있을 것이기 때문에, 지금처럼 건설사들이 휘청이는 것을 넘어 IMF를 잇는 줄도산이 있을 수밖에 없음. 결국 그런 사태가 오기 전에 집값을 안정시켜거나 최소한의 거주환경을 마련해줘야만 결혼과 출산을 통해 인구가 유지되겠지만, 정치인들은 당장의 이익에만 눈이 먼 족속들이기 때문에 결국 그럴 일은 발생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함. 결국 지금 청소년들이 청년들로 성장하는 시기... 늦어도 10년 안부터 지방부터 집값이 미친듯이 폭락할 것으로 예상됨. 아마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뛰어넘는 초경제불황이 오지 않을까 생각함. 우리나라 경제가 토건을 바탕으로 성장한 것이 크다보니 정부도 자꾸 부동산에 맛이 들린 것 같은데, 이게 마약 같은 것임. 당장에는 쾌락을 주더라도 종국에는 몸이 망가지는 것처럼, 나라 경제도 부동산을 통해 쉽게 일으킬 수는 있어도 집값이 계속 우상향하면 결국 기본적인 의식주를 마련조차 못하는 국민들의 삶이 피폐해져 조금씩 조금씩 나라 경제에 악영향을 줌. 그것이 피부로 느껴질 때 즈음이면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수준에 도달한 것임. 아무튼 지금 부동산 못 잡으면 일본보다 더 심한 타격이 있을 것임.

    • @user-su5fz9to3p
      @user-su5fz9to3p Рік тому +1

      지금 집값 다시 우상향임 ㅋㅋㅋ 인구 선동하는 무지성 폭락이 말 반대로 들으면 돈 번다.

    • @user-di7jy9eg8w
      @user-di7jy9eg8w Рік тому +9

      아래 댓글은 정말 무식한 댓글 이지요.
      부동산 시장과 주식 시장은 과연 다를까?
      몸이 타들어 가는줄도 모르고 불나방처럼 뛰어들었다가, 날개가 다 타서 추락할때 쯤 아 이게 죽는거구나,, 싶겠지.
      아 그럼, 부자들은 다 망하냐고?
      아니지. 부자가 아닌 당신이 망하지.당신은 부자가 아니잖아 ㅋㅋ

    • @user-di7jy9eg8w
      @user-di7jy9eg8w Рік тому +2

      @boon 지방에 2억짜리 등기치고 나는 1주택자 ~~~~ ㅋㅋㅋㅋㅋ 예끼 그지야 니가 낄 자리가 아니다

    • @user-dt7ob9hn7f
      @user-dt7ob9hn7f Рік тому +12

      저랑 같은 생각이네요! 저도 10년뒤에는 부동산 가치 폭락할거라 예상합니다

    • @EMKIM-cd6fm
      @EMKIM-cd6fm Рік тому +16

      ​​@@user-su5fz9to3p 대세하락중 잠깐 반등하는거 가지고 에휴~~
      누가 무지성인지 모르겠네.

  • @user-pj7yo8bm7u
    @user-pj7yo8bm7u Рік тому +74

    세입자 입장에선 깡통인데, 불안해서 그걸 연장 하겠나?
    갭투자는 없다. 갭투기만 있을 뿐.
    욕심도 적당히 내야지...

  • @rains2693
    @rains2693 Рік тому +685

    내 친구는 옛날부터 폭락론자다. 그는 집값이 너무 비싸서 폭락해야 서민들이 살수있을거라 말하곤 했다. 오랜만에 만났는데 얼마전 집을 샀다고 하더라. 그러더니 집값이 많이 떨어져서 집값이 이젠 올라야 하지 않겠냐고 말하더라. 가만들어보니 다른 집은 떨어져도 자기집은 올라야 한다는 논리다. 이게 대한민국 서민들의 일반적인 이중적 사고 방식임.

    • @user-pw7wv5mo4z
      @user-pw7wv5mo4z Рік тому +45

      ㅇㄱㄹㅇ..

    • @hyeoki6887
      @hyeoki6887 Рік тому +27

      폭락해서 개인판단에 구매타이밍이라 생각했으니 이제 올라야지;; 당연한 경제논리아님? 친구가 똑똑한거지

    • @dlssodmlapsxkf
      @dlssodmlapsxkf Рік тому +33

      그게 자본주의임.

    • @hjmarblecastle
      @hjmarblecastle Рік тому +12

      친구나 서민 뿐아니라 부자도 다 그런다

    • @keroone8907
      @keroone8907 Рік тому +7

      집을 샀다는 그 얼마전에도 서민이 못 살 가격이라고 생각들 가격이었을텐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그냥 도저히 못 버티겠어서 잡았겠지.. 그리고 자기가 샀으니 오르길 바랄뿐이고 ㅋㅋ 어느 때 이던지 간에 현재에 서있을 때 집은 비싸보이고 돌이켜보면 그게 싸게 느껴질 뿐임 폭락이의 이중적인 사고방식은 언제나.. 폭락만 외치면 떨어질 땐 손이 안 나가고 올라갈 땐 떨어져라 저주하느라 못 사고.. 궁극의 타이밍을 누구나 잡을 수 있다면 누구나 부자가 됐겠지..

  • @user-on1nh1du9r
    @user-on1nh1du9r 3 місяці тому +9

    십년만 지나면 집이 넘쳐납니다 절대 집 사면 안 되요 절대..! 현제도 집이 안팔려서 입주가 안되는 집이 넘치고 있다는 사실

    • @dnjddnjddl
      @dnjddnjddl 9 днів тому +1

      일본도 시골에 있는
      오래된 다 썩은 집 들이나 떨어지고 싸지
      모두가 살고 싶어 하는 수도나 수도권은
      좆도 비싸다! 하..

    • @dnjddnjddl
      @dnjddnjddl 9 днів тому +2

      집을 조금 지어서
      앞으로
      집이 부족 하다는데? ㅋ
      더구나 건축비가
      많이 올라서
      잘 짓지도 않음! ㅋㅋㅋ

  • @user-lx6er7mq4i
    @user-lx6er7mq4i 9 місяців тому +16

    대출없이 지방에 주택 구매해서 리모델링하고 살고있는데,텃밭도있구 애들학교,어린이집도 바로 앞이구 너무 좋습니다. 도시에서 내집없이 아파트 월에 생활만8년 했었는데 지금 생각하니 너무 끔찍 했네요 ㅜ월 수입 와이프랑 합쳐서 500 조금 넘는데 과소비안하고 조금 아끼면서 저금도하고 소소하게 주말 때는 애들 데리고 놀러도 다니고, 돈에 구애받지 않으니 마음이 편해집니다.

  • @user-ye4se3dp2m
    @user-ye4se3dp2m Рік тому +115

    본인일은 본인이 책임지세요 투자는 위험부담을 감수해야죠 갭투자는 특히
    요즘 전세사기로 난리고 금리도 높고 전세안하려하니 전세금 계속 떨어지지

    • @sjsiqk7848
      @sjsiqk7848 Рік тому +12

      그니깐요 누가 무리해서 대출내고 갭투자해래요????

    • @user-vr6uw5lq9s
      @user-vr6uw5lq9s Рік тому +4

      ​@@sjsiqk7848 마자요...감당가능한선에서 본인이 튼자하면됨...

  • @user-emiya_kookejja
    @user-emiya_kookejja Рік тому +38

    건설 경기 살려준다고 다주택자와 손잡은 이번 정책 때문에 출산율은 더 곤두박질겁니다. 정부의 근시안적인 정책은 반드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임. 문제는 그 대가를 대한민국 미래가 지어야한다는 것.

  • @user-kl5it4nj6t
    @user-kl5it4nj6t Рік тому +13

    영끌한 애들은 집이생겨서 좋은게아니고 그집값이 올라갈생각에 좋았던거겠지

  • @beastar901
    @beastar901 Рік тому +8

    우리가 놓치고 있는 가장 큰 전제는 인구감소중 이라는 겁니다. 그냥 심플하게, 수요가 줄고 공급이 늘고 있습니다. 결과는?

  • @user-jo1yu8th8y
    @user-jo1yu8th8y Рік тому +59

    금리 더 올려야 됩니다
    왜 정부는 관치금융으로 금리를 자꾸 찍어누를까요
    영끌족 빚투족 건설사들 살리겠다고 금리를 누르니
    물가만 자꾸 올라 전체 국민들이 고통받습니다
    환율이 올라 외국 투자 자본은 점점 빠져나가고
    산업경기 전체가 점점 나빠집니다
    미 연준에서 금리를 내리지 않는 한 한국의 금리가 내려갈일은 절대 없는데
    관치금융 때문에 오히려 금리가 내려갑니다
    지금보다 더 큰 댓가를 치루게 될겁니다

  • @user-ge2xh6dt8g
    @user-ge2xh6dt8g Рік тому +47

    노력없이 집으로 몇억씩 번다는 착각ᆢ
    대한민국 모두 부동산 돈놀이에 미쳐 거품에 놀아났다 아파트값 떨어져도 현금 많은 찐부자들은 타격이 없지ᆢ타격은 집 한 채에 올인한 사람들ᆢ
    돈은 적든 많든 내 손에 쥐어지기 전까지는 내돈이 아니다 ᆢ

  • @user-Woutvanaert
    @user-Woutvanaert Рік тому +7

    지금 우리가 겪는 상황은 과거의 상황을 그대로 갖다 대기에는 다른점들이 너무 많음

  • @makihara8
    @makihara8 7 місяців тому +9

    이거 방영된지 7개월전 .ㅋㅋ 지금현실은 ㅋㅋㅋ 더 망해가고 있다 ㅋㅋ

  • @user-cg2yh6vg4y
    @user-cg2yh6vg4y Рік тому +38

    역전세..맞아 보면 알아요.
    집주인님들 돈 없으면 그냥 팔아요.
    세입자도 죽어요.
    세입자가 부동산 20개 넘게 돌려서 3달만에 겨우 나갔긴 했는데 세입자도 죽어요..

  • @user-ji1vm6vw8r
    @user-ji1vm6vw8r Рік тому +42

    첫번째분 힘내세요! 그래도 아프거나 사기당해서 경제적 손실을 본게 아니라 다행이다 생각하시고 건강 잘 챙기면서 남은 꿈을 채워가시길 바랍니다.

    • @phssion
      @phssion 3 місяці тому

      첫번째분? 대출받아서 집사서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오르기만을 바라는 전전긍긍하는 모습..
      도박꾼이냐 참 그걸 딱하게 바라보며 응원하는 당신도 무슨생각인거냐

  • @jasonkid7488
    @jasonkid7488 Рік тому +13

    한국 사람들은 금융문맹율이 높다 보니 자신의 노후를 책임져줄 자산이 아파트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또한 남에게 보여지는 이미지 체면에 신경을 너무 많이 써서 지역에 집착이 심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한국 아파트 가격은 실제 한국의 경제 실력 즉 1인당 국민 소득 대비 너무 고평가가 되어있다 하지만 한국 아파트 가격이 100억이 되든 1000억이되든 한국의 경제가 성장하는데는 전혀 상관이 없다 한마디로 그들만의 리그인셈이다 이러한 결과물로 oecd 삶의 만족도 꼴찌수준 자살율 1위 전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 노인빈곤율 상위권 등등 한국 사회는 점점 구렁텅이로 빠져들고 있다...

  • @thunder6890
    @thunder6890 Рік тому +53

    돈도 없는데 풀 대출 받아서 집사면 이야~ 나이도 어린데 대단하다~ 하던 미친 시절.

  • @user-eu2pe2gq8c
    @user-eu2pe2gq8c Рік тому +156

    너무 다주택자를 위해 성급하게 규제를 풀고 있다는게 너무 공감감
    무주택자들이 얼마나 높은 집값에 힘들어했는데 그동안 아무런 규제나 조치도 없더니 이제 막 풀어버리네

    • @user-uo5kr5hx4d
      @user-uo5kr5hx4d Рік тому +10

      그런각종규제를해서 외국인들(중국인이대부분)이 우리나라 부동산을 많이사들였죠
      전정권때 우리나라사람들은 못사게 외국인들은 쉽게사게,,,, 규제를푸는건 사고싶은사람은사고 사기싫은사람은 사지마라 선택지가있는거지요

    • @illililillli
      @illililillli Рік тому +2

      형님들 내와이프는 서양엘프녀들도 안가는 산후조리원을 못갔다고 난리치는데 어쩌면 좋나요ㄷㄷ 남자가 6천을 가져오면 여자도 6천을 가져와야한단말에 동의하고 일본녀들처럼 더치페이도 당연하게 생각해서 결혼했는데 갑분 강남 산후조리원??이래서 외국녀가 답인가 봅니다 전세계중 한국만 산후조리원 가는거 아시죠? 아는형님도 요즘 25살연하 우ㅋ라이나 우ㅈ베키스탄 금발녀들이랑 선보는중임. 그여자분들은 남자가 200을 벌어도 감사할줄아는 여신님들임. 아님 20대초반녀 만나세요 20대초반녀는 50만원 식사만 대접해도 꺄르륵 웃었을거임. 내와이프는 100만원짜리 산후조리원가자고;; 남자는 하루 12시간 뼈빠지게 일하는데 여자는 한달월급 반이나 마사지받는데 쓴다니ㅋㅋ 니가 돈벌어하길

    • @pingping2216
      @pingping2216 Рік тому +2

      @@illililillli 시롸인가요

    • @user-uo5kr5hx4d
      @user-uo5kr5hx4d Рік тому

      @@pingping2216 남녀갈등 조장하는거자나 저런ㅅㅋ들때문에 남녀갈등이생기는거야 좌에서시킨 알바겠지

    • @user-eu2pe2gq8c
      @user-eu2pe2gq8c Рік тому +4

      @@illililillli 25살 연하.. 양심이 있음? 도둑놈이네;

  • @moneydogged
    @moneydogged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영상 잘 보았습니다

  • @user-dz9sv8pn4g
    @user-dz9sv8pn4g Рік тому +37

    지금이 기회라는 놈들 특징.
    지들은 안삼.

  • @chaitekon486
    @chaitekon486 Рік тому +55

    가장 짜증나는건 금리 인상으로 이제서야 집값이 조금 떨어지니까 정부가 또 다주택 투기 하라고 부동산 세금을 깎아주고 규제를 다 풀어준다는 거다.

  • @user-wg6dc4sy7j
    @user-wg6dc4sy7j Рік тому +7

    사실 완전 새로운 모먼텀이 아니면 앞으로 힘들듯
    가장 현실적인 모먼템은 통일이 아닐지
    인구 2배 증가
    저렴한 인건비
    개발 호재
    육로 운송수단 가능성
    이게 현실이 될수도...

  • @user-ni8ce3rz7y
    @user-ni8ce3rz7y Рік тому +8

    진짜 청년들 꿈이 집사는 거면 한참 잘못된 나라아니냐

  • @user-of2sw4wu7p
    @user-of2sw4wu7p Рік тому +187

    집을 깔끔하게 하지말고 가격을 내려야지 무슨 ㅋㅋㅋㅋ

    • @bitcoinbillion
      @bitcoinbillion Рік тому +20

      오르면 전세로 안하고 매매한 지 혜안 덕분이고
      떨어지면 정부탓? ㅋㅋㅋㅋㅋㅋㅋ
      한심한것들

    • @ttkk9040
      @ttkk9040 Рік тому

      ㅋㅋ 경제 라는 과목을배우지않은듯

    • @user-oj5sh9gm8m
      @user-oj5sh9gm8m Рік тому +1

      손해보 팔란 말인데
      그게쉽나

    • @papaya7777
      @papaya7777 Рік тому +1

      그러게요 집을 백날 청소해봤자 가격이 안 맞으믄 안나감. 차라리 집이 더러워도 가격이 맞으면 나감

    • @user-oj5sh9gm8m
      @user-oj5sh9gm8m Рік тому

      @@papaya7777 근데 집 10억 넘는 사람들 걱정은 하는게 아닌듯ㅋㅋㅋㅋ

  • @user-cg6ty4mg9o
    @user-cg6ty4mg9o Рік тому +7

    부동산 특히 아파트값이
    정상화 되지 않으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없습니다

  • @sinmengjun4668
    @sinmengjun4668 Рік тому +7

    앞으로 2~ 3년은 더봐야한다,,

  • @aedbbbb
    @aedbbbb Рік тому +35

    집가지고 돈벌거라 생각 하고 산거아님? 도박하는 사람이랑 생각이 같은거 아닌가 ?
    솔직히 부동산 갭투자 안불쌍함

  • @user-kw5pu5th7d
    @user-kw5pu5th7d Рік тому +109

    집 없는거는 떨어져야 한다고 하고 있는건 올랐으면 하고 진짜 부자는 오르던 말던 상관없고 양극화는 점점 더 심해질거고

  • @luckyjangsm
    @luckyjangsm Рік тому +1

    집값 상승률을 물가인상분에 즈음하여 제한하는 법을 만들어야 주거 개념이 확립될듯.

  • @daivdhong947
    @daivdhong947 Рік тому +6

    PF 대출로 중견건설사 몇 개 넘어지면 그 때가 고민할 때
    지금은 조금 이르다고 생각된다

  • @khj350
    @khj350 Рік тому +49

    부읽남님이 안나오니까 프로그램 신뢰도가 많이 높아진것 같네요

    • @lchanhee
      @lchanhee Рік тому +12

      부읽남 실력도 없

  • @uidesigner762
    @uidesigner762 Рік тому +140

    갭투기한 인간들아... 투기에 실패를 했으면 그만한 대가를 치뤄야지...
    욕심에 눈먼 자업자득이야..

    • @user-lw5tx6qm9g
      @user-lw5tx6qm9g Рік тому +11

      갭투기가집값올리는데도
      한몫을했죠..

  • @user-kd8pn3bo7z
    @user-kd8pn3bo7z Рік тому +1

    정답은 없는 것 같아요 찾아온 위기에 현명하게 대처해야죠 ㅠ

  • @user-ns8nc6jl8d
    @user-ns8nc6jl8d Рік тому +30

    역사적으로 볼 때 50년대 이후부터 출산율이 높고 지금은 상당히 떨어졌으니 당장에는 집 필요한 사람이 많겠지만 앞으로 20년 내에 빈집이 넘칠 것 같은데… 집값이 오를까 오른다면 화폐가치 하락이랑 관련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시사직격 참 유익한 프로같다ㅎㅎ

    • @user-tu3yn1qx7o
      @user-tu3yn1qx7o Рік тому +1

      이재명의 기본소득

    • @user-zr3ro2lt8v
      @user-zr3ro2lt8v Рік тому

      외국인들이 채우겠죠 베를린 런던 등등 처럼…

    • @user-to3uq3vr9i
      @user-to3uq3vr9i 10 місяців тому

      외국인들이 한국을 왜 와요 ㅋㅋㅋㅋ 중국인들만 득실대면 모를까. 런던일아 베를린이랑 비교하는 수준

    • @user-xz8ov7kn3f
      @user-xz8ov7kn3f 5 місяців тому

      ​@@user-to3uq3vr9i좀 더 지켜보시면 아실겁니다

  • @user-tb9cd1fs1s
    @user-tb9cd1fs1s Рік тому +200

    등기제로 해야 살거래로 보는게 맞다. 세금내고 매수자가 기입되야 거래로 보는게 정답.

    • @user-vr6uw5lq9s
      @user-vr6uw5lq9s Рік тому +2

      맞죠....근데 등기될라면 잔금치러야하는데...보통 잔금치르기까지 2~3개월걸리면....시세 반영이 늦어져서 그렇게 안할껄요????
      그리고....
      등기제로 할게아니라....취소거래 빼고 보면 되죠..
      요즘 실거래가 보면 취소인지 부동산끼고 거래한건지 다 나오는데....
      실거래가 한번 안긁어보신거 티나네요

  • @suemicellaire2857
    @suemicellaire2857 Рік тому +32

    그러길래 왜 남의 전세자금으로 집 살 생각을 하누 ㅉㅉ

  • @wantu8249
    @wantu8249 Рік тому +220

    갭투자꾼들을 왜 우리가 걱정해야하지?

  • @user-xq4jq9gw9z
    @user-xq4jq9gw9z Рік тому +5

    가족의 미래를 위해 집을 살거면 하나만 사야지 2채를 사놓고 힘들다고 하면 아무도 이해가 안됩니다.

  • @user-wq5y71po3q
    @user-wq5y71po3q Рік тому +3

    부동산은 명품이라는 말 맞아요.
    "아주 잘 고르면 2~3배는 뛴다, 잘못 고르면 값비싼 소모품이다" 라는 점에서요.
    그래서 전 부동산을 공격적인 자산 증식의 수단으로 보지 않습니다.
    그만한 수익률 나오는 투자처는 부동산 말고도 많이 있거든요.

  • @blue-ij4pk
    @blue-ij4pk Рік тому +125

    효근씨 젊은이가 넘 열심히 사시네요...건강도 잘챙기시고 화이팅하세요!!👍🌷

    • @yeone9887
      @yeone9887 Рік тому +1

      집값 떨어진다 설레발 치지마라 지금 원자제값 폭등으로 2021년 평당원가 860만원에서 2022년 1290만원으로 인상 됬다. 세금 한푼 안내고 열등감에 미쳐 날뛰는 무주택자 개돼지들은 망하기만을 기대하지만.. 과연.. 가만히 놔둘까 ㅋㅋ 내 주위에 다주택자나 돈 있는 사람들 현찰 쌓아두고 구매 시점만 바라보고 있는데 .. 니들에게 구매될 아파트는 단 한채도 없다.. 왜냐고 ? 돈없는 개돼지니깐 .. 아예 돈 도 없으니 살 기회도 살 수도 없지..

    • @mono-oo1qg
      @mono-oo1qg Рік тому +10

      참 바른 청년이네요. 앞으로 흥할 일밖에 없을 듯

    • @kimsonline376
      @kimsonline376 Рік тому +4

      ​@@mono-oo1qg 투기꾼을 옹호하나요?

    • @lucky7303
      @lucky7303 3 місяці тому +1

      효근씨 참 건실하고 긍정적인 젊은이네요.
      아무것도 하지않고 입으로만 이야기하는 그런 사람들 보다는 효근씨에 앞날이 더좋을겁니다~~^^

  • @JANGHUN
    @JANGHUN Рік тому +166

    레버리지의 공포
    빚무서운 줄 모르고 함부로 덤볏다가
    나락가는 케이스를 잘 보여주고 있는 영상

  • @jhk163
    @jhk163 Рік тому +4

    모든 사람들이 똑같은 마음이다.
    내가 사면 올라야 되고 사지 안으면
    떨어져야 된다 생각한다..

  • @user-eo6sq7gt5e
    @user-eo6sq7gt5e Рік тому

    금리.. 2023년도에는 계속 상승할텐데… 너무 많은 사람들이 힘들어 하고 있는데 앞으로도 살기 쉽진 않을 듯ㅜㅜ 행복하고 살기 좋은 시대에 살고 싶네요.. 나도..사람들도..예민할 수 밖에 없는 시기 😢 슬퍼욧

  • @brianchris4708
    @brianchris4708 Рік тому +25

    수도권은 고점대비 20~30% 빠져있고, 지방은 40~60% 빠져 있는데 거래도 안됨
    게다가 인구도 줄기 시작하면서 집값이 하락해도 더 들어올 수요도 제한적

  • @user-bo7mk7mk7y
    @user-bo7mk7mk7y Рік тому +2

    첫번째 나온 장면은 낯이 익다 했는데
    경기도 일산 풍동 숲속마을 8단지네여
    고점이 4억6천인가 한걸로 기억하는데
    현재는 1억정도 떨어졌져
    고액 거래 아파트가 아니니 큰 걱정은
    안해두 될 듯 거주용으로 생각하시고
    언젠가는 본전치로 회복될 꺼에여
    단 그 이상의 오름새는 기대하지 마세여 인프라가 조성이 미흡한게
    흠이지여. 백마역 원당역도 마을버스
    이용해야 하는 단점

  • @user-pb3fl7de8b
    @user-pb3fl7de8b Рік тому +55

    각자도생입니다 누구도 책임져 주지 않습니다 화이팅입니다

    • @darksnight23
      @darksnight23 Рік тому +6

      선택에는 본인이 책임을 지는게 맞는데 정작 본인이 선택한것에 돈 잃으면 나라탓하면서 국가가 대신 갚아라고 말하는 사람들 생각보다 많아요

    • @user-eo5ui4uv8q
      @user-eo5ui4uv8q Рік тому +2

      ​@@darksnight23 국가가 건설사 갭투자편이니까요~ 믿는 구석이 있는거죠 현정부는 부동산 가격 떨어지는걸 바라지 않아요

  • @hshsabsh7380
    @hshsabsh7380 Рік тому +38

    아직도 멀었어요
    미분양 아파트 속속 나오고 있고 금리 쉽게 안떨어질겁니다. 올해까진 관망만 하셔야됩니다. 인터뷰에 나온 사람이 본인이 될 수도 있어요.

    • @user-fv2ho5rg8h
      @user-fv2ho5rg8h Рік тому +1

      지방만 떨어지지 서울이떨어지겠냐? 생각좀해
      돈도 적당히벌어서사야지 감당할일을해야지
      그리고언론은 믿으면안되 절대믿으면 안되는게 언론 뉴스고 반대로만 살아도 돈번다

    • @user-ei8cz2ul9b
      @user-ei8cz2ul9b Рік тому

      @@user-fv2ho5rg8h 그럼 사요. 왜케 화나있음? 적정가격이면 다 알아서 사고 팔고 함

    • @user-fv2ho5rg8h
      @user-fv2ho5rg8h Рік тому

      10년전에샀다

    • @user-ei8cz2ul9b
      @user-ei8cz2ul9b Рік тому +2

      @@user-fv2ho5rg8h 10년전이면 헌집이네 요즘 새집 좋음 새집 ㄱㄱ

  • @sinmengjun4668
    @sinmengjun4668 Рік тому +3

    아니 앞으로 거품이 쌓였던 집값은 본래의 가격이 되찾을때까지 떨어져야 할 것이 맞다고 믿습니다.
    경제가 앞으로 제대로 돌아가는 길을 찾는것이 중요하죠,
    산업이 변하고 있습니다.

  • @user-df7xs1pv5t
    @user-df7xs1pv5t Рік тому +18

    2-3억대 아파트들은 코로나때보다 현재 40%나 올랐습니다. 투기 목적으로 능력도 안되는 애들이 무리하게 대출 끼고 사서 고생하는걸 왜 안타깝게 봐야하는건지..? 깜냥도 안되는거 언능 파시고 쉬는날 없이, 가족없이, 친구없이, 여유없이 일만 하셔서 빨리 갚으시길 기원합니다.

  • @user-gi7ry4dj1w
    @user-gi7ry4dj1w Рік тому +45

    부동산으로 갭투자로 큰돈 한방얻으면
    본인들 좋은차사고 고급식당가서 밥먹고
    하려한거니 그로인한 도박한 책임도 본인들 스스로 가지는게 맞습니다
    2잡3잡4잡 해서 스스로 해결보시면 해결될겁니다

    • @con-hw8tv
      @con-hw8tv Рік тому

      ✅🎈💋장난아냐......수위 개지림 💋

  • @user-hz8kh7nt1k
    @user-hz8kh7nt1k Рік тому +101

    어휴 집살려는분들 적어도 2년은 기다리세요. 시간이 지나서 돌이켜보면 2021 22년은미친해였지 하고 이야기할날 금방옵니다.
    저희동네 1000세대 조금넘는 신축입주 단지에
    매매가 350건 전세가700건 입니다. 이게 현재
    얼마나 많은 투기목적으로만 들어와있는지 기가막히더군요.

    • @maximum11245
      @maximum11245 Рік тому +10

      아직도 유튜버에 꼬여 ㅋㅋㅋ 사는놈 있으면 개 호구

    • @user-fw2ii7go5i
      @user-fw2ii7go5i Рік тому +2

      ㅋㅋㅋㅋ호구들 지금 집사서 금리 감당못하고 급매로 내줘~~
      현금 왕창 보유중~~ㅋㅋ내년 초는 되야 아~~지금이 약반등후 폭락오고 그후 급매로 가격 떨구고 횡보장이 보인다 그때다

    • @user-sd6je2np8s
      @user-sd6je2np8s Рік тому +2

      전세비율보면 답없는게 보임

  • @cool_ma02
    @cool_ma02 Рік тому +2

    이겨내실겁니다!!!

  • @inj4570
    @inj4570 Рік тому +3

    살기 위해 산 집은 여유가 있지만 무리한 갭투자로 산 집은 여유가 없다.
    이게 이 영상을 보고 나온 결론입니다

  • @islamunion4163
    @islamunion4163 Рік тому +28

    그렇지만 갭투기꾼은 1프로도 동정심이 안생김

  • @sammy5030
    @sammy5030 Рік тому +343

    다들 각자도생의 자세로 단단히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앞날이 매우 험합니다... ㅜ.ㅜ

    • @sososo9357
      @sososo9357 Рік тому +35

      맞아요 부동산 솔직히 3억으로내려가야합니다 강남

    • @user-hh4ej7fc9g
      @user-hh4ej7fc9g Рік тому +7

      되겠냐?

    • @user-jgsiefgttet
      @user-jgsiefgttet Рік тому +24

      그러게요 ㅠㅠ 지금은 버텼다가 민주당 집권하면 그때 사면됩니다

    • @bluemargarita3687
      @bluemargarita3687 Рік тому +3

      우리집은 전세만기 11월인데. 인제 4년지나서 시세대로 받음. 한 6천 올려받을생각이야;;;;; 참 진짜 말은 쉽지. 6천이 어디서 나오누.

    • @user-sk1nx6uu5f
      @user-sk1nx6uu5f Рік тому

      @@sososo9357 북한이나 짐바브웨처럼 화폐 개혁하면 되겠네요. 30억을 3억으로 만들면 되죠. 그럼 1달러가 150원이 되는거고 모든 자산의 액면가가 1/10. 봉급도 1/10 이 되는거죠.

  • @user-hi1mi2gu5v
    @user-hi1mi2gu5v 6 місяців тому +4

    투기목적으로 영끌한 애들 버릇 고쳐놓으려면 대폭락 한 번 더 해야함.

    • @_6974_
      @_6974_ 5 місяців тому +2

      대폭락 한번 더옴ㅋㅋㅋ 금리인하 예고하고, 주식 폭등시작이라 현금필요한 부동산투자자들은 던질거임

  • @user-dd8ec6vp3e
    @user-dd8ec6vp3e Рік тому

    첫번째분 유뷰버 TV러셀에 나오신 분이네요!

  • @user-wb1us4ht6c
    @user-wb1us4ht6c Рік тому +19

    내집마련이아닌 투기의 목적으로 집을 구매해서 전세두고 하는게 웃긴거임. 투자하고 집값떨어지나 나라탓하고 아주 난리야

  • @user-rb9wf6nv2j
    @user-rb9wf6nv2j Рік тому +21

    1년째 무역수지적자에 첨으로 경상수지도 적자로 돌아선 마당에 부동산만 오를 수 있을까요? 우리나라 대기업, 중소기업이 신규채용도 거의 제로에 가깝운데 소득이 늘어나야 부동산도 구매하지,

  • @30gamelife
    @30gamelife Рік тому

    강남 및 몇몇 지역 제외하면 부동산 가격이 오를수 있나요?
    인구도 줄어드는데....

  • @user-kf4ul3zn6c
    @user-kf4ul3zn6c Рік тому +26

    고준석..박원갑..ㅋㅋ
    은행 출신..죽을때까지 오른다고 주장할수밖에 없는 숙명적인 노예들...
    안그러면 밥그릇을 잃거든
    먹고사는게 제일 중요한 거니까..
    요즘세상에..

  • @user-cj6if1go8n
    @user-cj6if1go8n Рік тому +2

    미국 일본이 2000년때 겪었던 깡통 아파트시절이 왔네요 현재 영국 미국 모든 선진국이 불황 이런불황이 몇년갈까요 궁굼하시죠 일본 경제역사를보면 우리와 같을겁니다 한마디로 10년동안은 완전불황 10년후부턴 불황 회복기 불황을 빠져나올려면 앞으로 20년후면 회복입니다

  • @islamunion4163
    @islamunion4163 Рік тому +29

    폭락이나 폭등이나 지금 집값이 비정상적으로 높다는건 다 알죠 손바닥 뒤집듯 바뀌는 정책때문에 고통받는 청년들 안타깝네요
    집을 사도 거지 집을 못사도 거지
    적절한 가격까지 떨어진후 안정되엇으면 좋겟습니다
    투기꾼놈들 전세사기꾼 놈들 못된짓못하게 하고

  • @user-tz7or2bd8c
    @user-tz7or2bd8c Рік тому +23

    고점 대비 반값, 현재 대비 20~30% 더 하락해야 겨우 정상가입니다.

  • @user-gn5gr1mu7r
    @user-gn5gr1mu7r Рік тому +4

    6:57 에 나오는 부동산 문구 보니까 .... 2014년이 생각나네... 그때 중국 주식 및 펀드 열풍이 한창이었지.. 금융사들은 너도나도 상품 만들어서 팔고 사람들도 중국 주식이 지구 뚫는 줄 알았다. 그리고 2015년 하반기경 중국주식 개떡락하고 다들 마이너스 50% 다 찍었을 때... 연신내역 사거리 홈플러스가 있었던 건물 어느 금융지점에 걸려있던 현수막이 생각난다. '중국 주식/펀드 지금 사야할 때 아닌가요?' ..그리고 더 떨어졌다. 그리고 10년째 횡보를 하고 있다.. 미래는 아무도 모른다...

  • @user-fl8xr3mx6o
    @user-fl8xr3mx6o Рік тому +2

    30대 중반에 집을 대출없이 사긴했는데 그러다 보니 하급지에 매입했고
    폭등장에 절망적으로 적게 오르더군요. 대출을 조금이라도 받고 중급지정도로 갈껄
    아주 미치는줄 알았네요. 정말 상급지,중급지들 폭등하니깐 떠밀려서 오르긴 하는데
    넘사벽이고 그냥 집 없는사람보단 낫다... 이런 생각으로 정신승리하게 되더군요.
    갈아타기 생각하는 사람들은 떨어지는거 환영할듯. 어차피 상급지가 많이 오른만큼 더 떨어지니..
    하급지야 떨어질것도 별로 없고.. 이자가 높아서.. 지금은 전세보다 월세가 싼게 맞고 더군다나 전세사기때문에
    더 꺼려지니 구하기 힘들듯. 확실히 서울이 많이오르고 방어도 더 잘하고... 그냥 전세로 이사가고 서울에 집 사놔야
    할거 같네요.

  • @jjpark5994
    @jjpark5994 Рік тому +23

    세상이 장난인 줄 아네.. 돈은 명줄이다 지 목숨 내놓고 도박했으니 겸허히 받아들여야지

  • @user-tx5xh1vg9u
    @user-tx5xh1vg9u 11 місяців тому

    부동산을떠나서 효근씨 젊은나인데 긍정적이고 열심히사시는게 이뻐보이네요.

  • @user-vj8ki2xy4q
    @user-vj8ki2xy4q Рік тому +8

    오래 실거주한 집 하나 있는데 전에 부동산이 급등한다 할때는 이사갈 집들이 너무 높아져서, 급락한다는 요즘은 지금 집이 떨어져서 불안했는데 그냥 분수에 적당히 맞는 정도로 실거주하고 있다면 뭐든 상관없다는 결론에 이르고선 맘이 편해지더라구요. 누군가는 나약하고 용기없다고 하겠지만 전 주어진 선 안에서 소소한 행복을 쥐는게 저 답고 좋은 것 같아요.
    무주택자도, 빚없는 실거주자, 빚없는 실거주자도 각자 자신의 생각과 선택, 기준에 따라 나름 잘 살아보겠다고 이러고 있는 걸텐데, 사기 친다거나 하는 일을 벌인 거 아니라면...그래도 각자가 적당히 괜찮은 결말을 맞이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자살율도 높고 행복도도 낮은 나라가 한국인데 열심히 살다보면 적당히는 행복할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ㅎㅎ

  • @user-sp7bs9kl2o
    @user-sp7bs9kl2o Рік тому +120

    지금 처분하는게 최소 손실이다.

    • @junhokim66
      @junhokim66 Рік тому

      ㅈㄹ하네 ㅋㅋ

    • @user-fm3lq8jz7c
      @user-fm3lq8jz7c Рік тому

      빙고 근데 가격을 안낮추니 팔릴까요??
      출생률 보면 향후 어떻게 될지 나오죠^^

  • @user-sj4qi1yn3n
    @user-sj4qi1yn3n Рік тому +100

    노골적으로 둔촌주공 살리겠다고 너무 성급하게 규제를 한번에 풀어버리는 바람에 지방에 미분양은 더 쌓이게 됨

    • @Min-ds5ko
      @Min-ds5ko Рік тому +7

      ...걍 공급과수요의 법칙에 의해 지방이 더 미분양 심한거죠.. 둔촌주공이랑은 관계없습니다만,,

    • @user-og9hr2nx2g
      @user-og9hr2nx2g Рік тому +4

      둔촌주공과는 별상관이, 없습니다. 언론에서 부각시키니 인과 관계가 겹쳐서 그렇게 보일뿐입니다. 정책은 급상승 급하락을 방지하는게 우선 목표입니다.

    • @rucca_
      @rucca_ Рік тому +2

      어차피 그래도 안 살 사람들은 안사요.. 뉴스를 너무 맹신하면 안됩니다.

  • @user-px6uq2ec9y
    @user-px6uq2ec9y Рік тому +2

    효근이 열심히 살면서 집도샀는데 참잘살았다

  • @user-uu7et4vs1z
    @user-uu7et4vs1z Рік тому +2

    저출산 인구감소 내생각엔 대한민국부동산 집값이 가장큰문제라고본다….

  • @user-sr9me2cr4f
    @user-sr9me2cr4f Рік тому +19

    거품이였죠. 더 떨어져야됨
    23억때 아파트 사는 사람은 뭐하는 사람인가?
    국개의원인가?
    거품가 빠지고 다시 시작해 천천히 오르던 지랄을 하던 해야됨

    • @0Bae
      @0Bae Рік тому

      응 안떨어져ㅎㅎ 평생 반지하살다가 폐에 곰팡이 펴봐야 정신차리지ㅎㅎ

  • @user-ev2hk7lt3r
    @user-ev2hk7lt3r Рік тому +518

    일단 이 주제를 다뤄준 시사직격 너무 애정합니다. 부동산 불패신화는 지폐와 은행에 대한 신뢰처럼 언제든지 흔들릴 수 있는 믿음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처럼 인구 초박살나면 이건 뭐 부양책으로도 감당이 안될 것임. 은행 뱅크런 나듯 수직하강하는거지. 게다가 애만 안낳나 이제 베이비부머 세대들도 60대 초입이고 향후 20년 안에 상당수가 사라질텐데 그 사람들이 거주중인 집들도 예비공급량에 포함시켜야함. 자동화로 일자리는 빠르게 사라지고 경제의 허리인 중산층은 끊어진지 오래. 언제까지낰 공룡 다주택자들에 의해 실수요가 견인될 수 있다고 봄?? 솔직히 반도체부터 시작해서 우리나라 경제도 매우 매우 매우 위기고 절대로 예전과 같이 생각하면 안됨 판도 자체가 다르게 바뀌고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단순 imf시기와 비교하면서 위기가 기회고 머잖아 오를거다?? 이만큼 순진한 소리하는 전문가들은 부동산 거래공부만한건 아닌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거시적 안목이 0점임.
    아무튼 절대라는 건 없음... 과학철학자들도 과학에서 절대라는 말은 안쓰는데 무슨 하드 사이언스도 아닌 경제영역에서 100퍼센트를 말하는분들 보면 과학적 사고는 확실히 아니다 싶음

    • @user-sk1nx6uu5f
      @user-sk1nx6uu5f Рік тому +11

      고려 말에 거란, 여진, 몽골이 계속 쳐들어와 경제가 박살나고, 인구가 감소하고 나라가 망할 뻔 했을때,
      토지를 소유하고 내땅을 지키기 위해 싸운 사람들은 후에 권문세족- 양반이 되었고,
      땅을 버리고 도망친 사람들은 대부분 노비가 되었죠.
      뭘 선택하는지는 본인의 선택이지만 후손의 앞날을 잘 생각해 보세요.

    • @user-pl6fd1ff5w
      @user-pl6fd1ff5w Рік тому +27

      ​@@user-sk1nx6uu5f ㅋㅋ

    • @kcc853
      @kcc853 Рік тому +14

      지금 출산율이 집값 때문에 떨어진 판이지만, 50년 정도 후에는 오히려 “공룡 다주택 소유자들”이 늘어날 거임. 사람들이 자녀들을 하나만 낳거나 아예 낳지 않는데, 그럼 그 집들은 결국 후세대의 적은 사람들에게 유산으로 남겨질것이고. 프랑스에서 젊은이들이 집을 4채 정도 소유하는 사람들이 많다는데, 30-40년 후 한국도 그렇게 될거 같이 보임

    • @user-ow9ie6iq7m
      @user-ow9ie6iq7m Рік тому +16

      @@user-sk1nx6uu5fㅋㅋㅋㅋㅋㅋㅋ 양반잼 ㅋㅋㅋㅋㅋㅋㅋㅋ😂😂😂😂😂😂

    • @zfkdc
      @zfkdc Рік тому +13

      ​@@user-sk1nx6uu5f 백투더 퓨처 정신차려

  • @user-qc1hy1ue8v
    @user-qc1hy1ue8v Рік тому +3

    우리나라는 특히 신축을 선호하고 피도 잘붙죠. 이제 집값이 더떨어지긴 어려울겁니다. 분양률도 15프로 미만인곳이 대부분이고 분양가보면 말도안나와요 지방인데도 4억대라고 가보니 깡통만팔고 전부다 옵션추가에 기본 1
    억은 추가됨.
    건설사는 손해보는 돈을 받아먹으려 어떻게든 수를 쓰고잇습니다. 앞으로 분양은어려울거같고. 10년이상 구축은 거래가 이뤄지지않고 빈집으로 전략하거나 자녀들에게 물려지며 또 양도세,증여세 내야하니 이중돈들어가겟죠 어쩌면 금리올라 힘들엇던 사람들이 마지막차를 탄거일수있을듯합니다. 무주택자들은 계속 전월세 전전해야할거같아요

  • @louis7174
    @louis7174 Рік тому +1

    앞으로 5년은 지나야 될것같은데...
    미국에서 달러를 그렇게 풀고 달러를 그렇게 걷어 들이니 일단 올해 금리동결 후 지켜봐야 할듯한데 깊은 조정이 올것같네요

  • @goolgooool
    @goolgooool Рік тому +96

    효근이는 바람직한 사례🎉

  • @user-mo3di6ow9r
    @user-mo3di6ow9r Рік тому +110

    뭐라 하기가 힘든 상황들이네요 정신줄 놓지 마시고들 이겨내시고 현명한 판단들 하시길

    • @user-hu6uo4mb1r
      @user-hu6uo4mb1r Рік тому +3

      일은 열심히 했을 지 모르겠으나 금융 공부는 게을렀나 보네.

  • @user-ns5fr1hx7r
    @user-ns5fr1hx7r Рік тому +8

    신혼 시절 전세 살땐 폭락론자였습니다.
    내 집 첫 장만했을땐 주변 집 시세에 민감했습니다.
    아이들 입학하고 큰 평수로 옮기니 무덤덤해졌습니다.
    최소 10년 정도 살 생각으로 구입한 실거주 1채는 시세 별로 신경 안쓰게 되더라구요.

  • @user-ut1zx9co1y
    @user-ut1zx9co1y Рік тому +3

    레버리지를 감당 가능하게 써야한다.. 교훈영상

  • @user-wg9cq5lv8d
    @user-wg9cq5lv8d Рік тому +159

    IMF, 금융위기 때 말해 봐도
    지금까지 단 한번도 인구 감소 시기가 없었음
    그만큼 인구 증가로 인해서 집 값을 받쳐 줬는데 이제는 그렇지 않음
    다들 처음 겪는 인구 감소 시기를 너무 무시 하는 것 같음

    • @muzik3026
      @muzik3026 Рік тому +7

      맞죠.. 한 20년만 지나도 집값 엄청 떨어져있을듯

    • @dogtrollololl
      @dogtrollololl Рік тому +5

      20년 딱 남앗다는 이야기죠 ㅋㅋ

    • @user-vr4zp7gb3g
      @user-vr4zp7gb3g Рік тому +1

      외국인 매수를 금지 하지않는 이상 대한민국 인구감소와 집값의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않을수도.

    • @gdtt6485
      @gdtt6485 Рік тому +16

      인구 감소가 얼마나 무서운지 모르는거임. 이렇게 떨어졌을때? ㅋㅋㅋㅋ. 한번 크게 웃는다. 삼성전자가 안떨어지냐? ㅎㅎㅎ.
      어차피 수요 공급의 역활이 얼마나 무서운지 모르지... 이제는 하락이다. 왜냐고? PF 대출이 안돼거든... 집을 잘못 분양받으면 입주도못하고 부도나는 아파트도 생긴다는것... 보통 집값은 최소 5년 하락한다. 장난치는것도 아니고 쯧쯧..

    • @tqqq7989
      @tqqq7989 Рік тому +29

      그동안 K-부동산은 폰지사기 구조와 비슷했죠.
      내가 이 가격에 팔테니 너는 다음 세대에게 더 비싼가격에 팔아라... 계속 떠넘기는....

  • @kai-pf1uj
    @kai-pf1uj Рік тому +170

    아직까지 대한민국 집값은 비정상입니다 한 평생 벌어도 집 하나 못사는 현실이 정상은 아니죠 떨어져야 사람들이 결혼도하고 애도 낳고 서민들도 사람답게 살지않겠습니까

    • @user-hh4ej7fc9g
      @user-hh4ej7fc9g Рік тому

      야이 무식아 전세계 어디를 가도 수도권 집값은 근로소득으로 못사는데 현실파악좀해라 박근혜때도 근로소득으로 못산다고 징징댄거 기억안나냐? 그때 3억이였는데 ㅋㅋㅋㅋㅋㅋ

    • @sangan77
      @sangan77 Рік тому +18

      싼집 많아요 구축 아파트나 빌라 등등 신축만 사려하미 비싸보이지

    • @user-zp4oy6ih8e
      @user-zp4oy6ih8e Рік тому +18

      @@user-sk6pv2ew9p 님이 잘버는거죠 중위소득이 연 3-4천인데요..

    • @user-os9gv4xc9u
      @user-os9gv4xc9u Рік тому +1

      내가산다음에는 떨어지면 안되는게 한국집값이라 폭락을 없을겁니다ㅋㅋ

    • @ionnmino
      @ionnmino Рік тому +16

      @@user-sk6pv2ew9p ㅋㅋㅋㅋㅋㅋㅋㅋ말같지도 않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대한민귝 평균소득이 연4500만원 중위소득이 3600만정도인데 망상하냐?ㅋㅋㅋ

  • @lucky7303
    @lucky7303 3 місяці тому

    효근씨 젊은분이 건실하고 긍정적이라 지금보다 앞날이 더 잘될겁니다.
    뭐든 실천하고 실행하지 않으면 삶에 변화는 없습니다.
    실패도 경험입니다.
    님에 앞날은 밝아보입니다~~^^

  • @emilyyo436
    @emilyyo436 Рік тому +1

    이렇게 아파트가 많은데
    반평생살았는데
    아직도 내집이 없다

  • @user-fl1rl1fj4u
    @user-fl1rl1fj4u Рік тому +42

    대한민국 자체가 도박장이 된거같네요.. 재산 증식을 목표로 두기보다는, 재산보호를 최우선으로 삼고 움직여야겠습니다.

    • @user-oe2kx7yd6i
      @user-oe2kx7yd6i Рік тому +2

      어딜봐서 도박장이라는건지요? ㅋ 집을 사서 비싸게 되팔아 시세 차익을 기대하는게 문제라면, 집을 안 사고 버티다가 집을 최대한 싸게 사려는 것도 엄연히 시세 차익을 노리는 행위 아닌가요? 근데 둘 다 정상적인 경제활동으로 보입니다만, 대체 어떤 점이 문제라는건가요?

    • @user-oe2kx7yd6i
      @user-oe2kx7yd6i Рік тому

      재산보호 최우선이라는게 대체 무슨 말인가요?? 혹시 집을 안 사겠다는 뜻,.. 맞나요? 그게 재산보호인가요? ㅋㅋ 그렇다면, 그래서 지금까지 무주택자들 재산보호가 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 지나가다 안타까워서 글 좀 써 봤습니다. 공부 좀 하셔야 할 듯....

  • @user-hw4xu9wt1m
    @user-hw4xu9wt1m Рік тому +27

    전세금 돌려줄돈이없어도 손해보기싫어서 안판다 급매로 팔아야 해결되는되도 버팀 ㅋㅋ그래서 실제 집값은 별로안떨어진거처럼보임

  • @user-bk6de2op2n
    @user-bk6de2op2n Рік тому +20

    아직도 다주택자 필승인 현 상황에서 각종 1주택 제한 규제를 다 풀어버렸는데 정말 미친 정책이죠 양극화 악셀을 밟은거네요 다른건 풀더라도 그것만은 남겼어여 했는데...

  • @user-cg3zt6co8c
    @user-cg3zt6co8c Рік тому

    부동산 공부하는곳은 카페 같은게 있는건가요???

  • @nooooon3995
    @nooooon3995 Рік тому +12

    기회라는분께 모든 기회를 드릴께요 열채 백채 사세요

  • @user-cc1nk8wn3v
    @user-cc1nk8wn3v Рік тому +3

    자식 3~4명씩 놓으면 무이자대출에
    주택지원금 5천씩 1억씩 찔러주면 저출산도
    해결되고 부동산시장도 조금씩 살아날거라봄

  • @dubu5995
    @dubu5995 Рік тому +4

    폭락을 해도 옛날만큼 폭락할것 같진 않음. 난 90년대생인데 라떼는 아버지 혼자 외벌이 하셔서 생활도 하고 집도 샀는데. 이젠 꿈도 못 꾸지. 맞벌이 해도 집을 살까말까 하니 결혼을 포기하네 마네 하는건데..2-3억은 해야 둘이 갚는단 미래가 있을텐데 그 가격까지 절대 안떨어질것 같은데? 떨어져봐야 10몇억 하던 아파트가 8-9억일듯

  • @user-pc8ng9cd2z
    @user-pc8ng9cd2z Рік тому +21

    이번 영상보고 확신이 들었다
    절대 아직 바닥이 멀었구나....
    핏덩이가 영끌해서 살정도로 '개나소나' 집을샀고
    또 '박봉' 200대월급쟁이가 집 살 준비를 하고 있다고 하니 정말 바닥은 한~참이구나
    생각들었다
    '가치'란 특별한 이들이 만드는거지 흔한 인간들이 만드는게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