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공식이 달라졌다 - 혼돈의 재건축 | 추적60분 1363회 KBS 240412 방송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1 кві 2024
  • 방송일시 : 2024년 4월 12일 금요일 밤 10시
    재건축 현장이 혼돈에 휩싸였다. 부동산 경기침체 속 공사비까지 치솟으며 공사비 인상을 둘러싼 갈등이 커진 상황. 막대한 추가 분담금을 내게 된 조합원과 공사비 인상을 포기할 수 없는 시공사 간 입장차가 커지며 공사를 시작조차 못한 곳도 있다. 과거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리던 재건축은 왜 ‘돈 먹는 하마’로 바뀌었을까.
    이번 주 《추적60분》에서는 현재 재건축 시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지각변동을 추적해 본다.
    ■ 20년 넘게 산 내 집, 새 집 되면 “살아볼 수나 있을까”
    대구에 사는 한성수(가명) 씨는 매일 아침 거실 창밖을 확인한다. 한 씨는 20년 넘게 살던 A아파트가 재건축에 들어가고 재건축 공사 현장이 잘 보이는 근처의 아파트로 이주했다.
    새 집에 이사 갈 꿈에 부풀어 설렜던 시간도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4억 원 넘는 분담금 낼 걱정에 한숨만 커지고 있다. 시공사가 지난 1월 기존보다 49.6% 인상된 공사비 변경을 조합에 요청했기 때문. A아파트 조합원들은 시공사가 공사비 인상 외에도 계약 방식, 착공 조건 등 기존의 계약과는 완전히 다른 내용을 제안했다고 주장한다. 그 제안대로라면, 입주가 어려울 것 같다고 말하는 한 씨. 시공사의 안대로라면 한 씨가 내야 하는 추정 분담금은 4억 원이 되기 때문이다. 얼마 전 정년퇴직한 한 씨로서는 막막한 액수다.
    “(원래대로라면 분담금이) 1억 9,100만 원인데
    지금 A시공사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계산해 보니까
    (추가 분담금이) 4억 원이 돼 버립니다.
    그 돈 있으면 차라리 일찍 새 집을 분양받아서 갔죠.”
    - 대구 A아파트 조합원 한성수(가명) 씨 -
    서울도 예외는 아니다. 고미선(가명) 씨도 분담금 걱정에 밤잠을 설치고 있다. 고 씨가 2003년 마련했던 서울 송파구의 B 아파트는 내년 말 준공을 앞두고 있다. 재건축을 추진하던 때만 해도 고 씨는 분담금을 내야 할 것으로 생각하지 못했다. 오히려 고 씨는 7~8천만 원을 환급받을 것으로 기대해 취득세, 이사 비용 등으로 사용하겠단 계획도 세웠다. 하지만 상황이 달라졌다. 시공사가 처음보다 3.3㎡당 공사비를 300만 원 이상 인상하면서 약 2억 5천만 원 정도를 내야 입주가 가능하다.
    고 씨와 같은 아파트 조합원인 김은영(가명) 씨는 기존 집보다 넓은 집을 분양 받았기에 앞으로 부담해야 할 금액을 6억 원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들은 답답한 마음에 조합 집행부와 시공단에게 공사비를 급격히 인상하는 이유에 대해 물었지만, 답은 듣지 못했다고 말했다.
    “(재건축 추진 당시에는) 환급이었죠.
    7~8천만 원 정도? 그럼 환급받는 걸로
    취득세하고 이사 비용까지 다 할 수 있겠구나.
    ‘추가로 들어갈 비용은 없겠구나’ 생각한 거죠.
    시공단에서 제안한 공사비로는 (분담금이) 2억 5천만 원 정도?
    2억 원 이상 대출 받으면 이자 감당하기도 너무 힘들어요.
    새 집 들어가 살려다가 살아보지도 못하고 팔고 나오게 생긴 거죠.”
    - 서울 B아파트 조합원 고미선(가명) 씨 -
    “무슨 신발가게에서 신발 사는 것도 아니고
    시공단에서 이렇게 (공사비를 인상)하는 건 완전 갑질인 거죠.”
    - 서울 B아파트 조합원 김은영(가명) 씨 -
    ■ 1.10 대책으로 쪼개진 주민들, ‘리모델링파 VS 재건축파’
    정부는 지난 1월 10일 국민 주거 안정을 내세워 재건축 규제를 완화 정책을 발표했다. 재건축 첫 걸림돌이었던 ‘안전진단’ 과정을 뒤로 미뤄준 것. 정부의 ‘재건축 패스트트랙’ 도입으로 지어진 지 30년이 넘은 노후 아파트들은 안전진단을 통과하지 않고도 재건축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전국의 주거용 건축물 중 49.1%가 30년 이상 된 건물이다. 우리나라 주택 절반 가까이가 안전진단 없이 우선 재건축 사업에 뛰어들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 ‘쉽고 빠르게’ 재건축이 된다는 정부의 발표에 수많은 아파트 단지에는 “재건축 추진”이 적힌 플래카드들이 걸렸다.
    문제는 기존에 리모델링을 추진하던 단지들이다. 경기도 안양의 C아파트는 16년 넘게 리모델링을 준비했던 단지다. 1.10 대책이 나온 후 C아파트에는 재건축 추진위원회가 결성됐다. 지난달 공사비 등을 결정짓는 리모델링 조합 총회장 앞에선 주민 간 고성이 오갔다. ‘리모델링파’ 주민들이 “지금부터 재건축을 하면 언제 되냐!”고 묻자 ‘재건축파’ 주민들은 “이제 시대가 바뀌었다!”고 답했다.
    ■ 경매 안내장을 받은 조합원들... “누구를 믿어야 하나”
    경기도 남양주의 E아파트 재건축 조합원들은 사업의 난항을 겪으면서 지난 2월 법원으로부터 경매 안내장을 받았다. 조합원들은 이미 6년 전 이주를 마쳤고, 곧장 그들이 살던 5층짜리 아파트는 철거됐다. 하지만 공사 현장은 그때에 아직 멈춰 있다. 집터를 둘러싼 공사장 가림막에 붙어 있는 플래카드는 빛바랜 지 오래다. 아직도 삽도 못 뜬 이유는 조합원들 간 내홍 탓이다. 일부 조합원들이 조합 집행부에 반대하며 비상대책위원회를 만들어 집행부를 쫓아내는 일이 반복됐다. 더군다나 시공사도 여러 번 바뀌어 소송 등에 밀려 정작 재건축 공사는 지연됐다. E아파트에 고등학생 때부터 27년을 살았다는 서문희(가명) 씨는 이를 두고 아래와 같이 말했다.
    “사실은 욕심이에요. 욕심.
    일단 첫째는 조합원들의 욕심이에요.
    ‘아 우리가 이렇게 (입지가) 좋은데~’
    둘째는 시공사들의 욕심이에요.
    ‘우리가 여기 들어가면, 대박 나면...’
    조합원들의 욕심, 무지.
    시공사들의 욕심,
    이것들이 반복된 거예요.”
    - E아파트 재건축 조합원, 서문희(가명) 씨 -
    현재는 조합 집행부도 없는 상태다. 제작진이 만난 E아파트 조합원들은 “누구를 믿어야 하냐”며 입을 모았다. 조합 집행부가 결성되더라도 조합도, 시공사도 못 믿겠다는 게 그들의 심정이다. 각자의 이해관계가 있는 수백 명의 사람이 모여, 중재자 없이 사업을 추진하는 게 과연 ‘쉽고 빠르게’ 가능할까?
    《공식이 달라졌다 - 혼돈의 재건축》 편은 4월 12일 밤 10시 KBS1TV에서 방영된다.
    Since 1983, 대한민국 최초의 탐사 프로그램
    상식의 눈으로 진실을 추적한다
    매주 금요일 밤 10시 KBS1 《추적60분》
    ✔ 제보 : 010-4828-0203 / 추적60분 홈페이지 / betterkbs@gmail.com
    ▶홈페이지 : program.kbs.co.kr/2tv/culture...
    ▶카카오톡 채널: pf.kakao.com/_fxgiyxj

КОМЕНТАРІ • 3,8 тис.

  • @sgjo8582
    @sgjo8582 Місяць тому +554

    조합장 월급 5-6백만원.. 얘네들은 아파트 늦게 지어질 수록 앉아서 년 6천만원씩 버는거 아니냐.. 진짜 제일 좋은 직업이다..

    • @youwannatakebloodshit
      @youwannatakebloodshit Місяць тому +39

      겨우 6천 가지고. 그거 받자고 조합장 하는 사람 없어요 이십억 이상 챙깁니다.

    • @user-sq4rh6xl4m
      @user-sq4rh6xl4m Місяць тому +49

      조합장이 세명은 감방에가야지 재건축은 지어지는거지

    • @yourmajesty5726
      @yourmajesty5726 Місяць тому +40

      최소1억에다 비공식 커넥션 고려하면 2-3억임

    • @user-xp6ko2et5r
      @user-xp6ko2et5r Місяць тому +20

      나 재건축 할때 조합장 3번 바뀜 처음조건 환급도 받는 조건이엇는데 입주할때 본 분담금 까지 내고 입주
      재건축이 이런거임 재건축은 무조건 시간 싸움 속도전

    • @andyjj5789
      @andyjj5789 Місяць тому +27

      6천 ㅎㅎ
      보통 억단위입니다

  • @Thekevo1224
    @Thekevo1224 Місяць тому +596

    재건축으로 돈 버는 시대는 끝났다고 봐야죠~

    • @user-00dog
      @user-00dog Місяць тому

      국짐을 지지하는 깽상도는 모든 문제의 책임이 있습니다.

    • @user-kz2lu8ec3x
      @user-kz2lu8ec3x Місяць тому +21

      당연하죠

    • @user-pisuhdbsa224
      @user-pisuhdbsa224 Місяць тому +15

      생각해보면 이상하긴했어요

    • @in_1130_haha
      @in_1130_haha Місяць тому +33

      헌집줄께 새집다오 시대는 끝났지. 지금 경기불황이고 인구감소하지 이미 아파트는 미친듯이 지어놨는데 계속해서 아파트만 올린다고 돈이 되나

    • @user-fd3yc8eg4d
      @user-fd3yc8eg4d Місяць тому +29

      이젠 집한채로 그냥 편하게사는용도로만

  • @im-ug4he
    @im-ug4he Місяць тому +195

    마지막쯤 5분이 킬포임.. 조합원들의 무지와 자기들 욕심때문에 결국 늦어져서 삽한번 못푸고 행정빚더미에 앉고, 시공사는 서로 계약 따내려고 온갖 감언이설로 꼬시다가 경기 안좋아지니 기업답게 이기적으로 발빼는거임.

    • @ghkdtmdwn200
      @ghkdtmdwn200 14 днів тому +8

      기업의 존재 이유는 “이윤 추구”임을 간과한 것 같습니다.

  • @sanghoomlee5500
    @sanghoomlee5500 20 днів тому +8

    저 때 7억에 팔고 나간 사람들이 승자군....

  • @user-nu8ii9rz3s
    @user-nu8ii9rz3s Місяць тому +152

    둔촌주공사태에서... 시공사가 갑이라는 것을 증명해버려서... 조합은 끌려갈 수 밖에 없음.

    • @hejjj-qs6qk
      @hejjj-qs6qk Місяць тому +15

      사실 그전부터 그러긴함 전국적으로 대못을 박은게 둔촌이지만

    • @user-tl3ky9jx7z
      @user-tl3ky9jx7z Місяць тому

      당연히 기술자가 갑이지...

    • @hoonjeong3514
      @hoonjeong3514 14 днів тому

      동의합니다. 정부도 묵인함 그 사태를

  • @chog1019
    @chog1019 Місяць тому +597

    철거 끝나면 시공사는 급할게 없다
    주민은 떠돌이 건설사는 느긋하게 공사비 추가요구
    조합원은 빚쟁이 이자만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세상에 공짜가 없다

    • @user-us3gq5oz8y
      @user-us3gq5oz8y Місяць тому +32

      진짜 지옥 이네

    • @user-nl4dx5em2v
      @user-nl4dx5em2v Місяць тому +66

      저기서 승자는 재건축 뜨자마자 프리미엄 가격으로 4억 올랐을 때 팔아 먹고 다른 집으로 이사간 사람들이다. 그리고 가장 패자들은 재건축 뜨자마자 프리미엄 각격으로 4억 더 내고 매수한 사람들임. 기존 주민은 2억 더 내도 솔직히 건축만 잘 해준다면 손해는 아님.

    • @user-rs2qs2pl7t
      @user-rs2qs2pl7t Місяць тому

      ​@@user-nl4dx5em2v ㅇㄱㄹㅇ

    • @user-00dog
      @user-00dog Місяць тому

      국짐을 지지하는 깽상도는 모든 문제의 책임이 있습니다.

    • @jayyoon7578
      @jayyoon7578 Місяць тому +26

      @@user-nl4dx5em2v 재건축을 안해주는게 문제.
      평균 15년 걸린다고 합니다. 제일 빨랐던게 13년?인가 그랬고 20년은 생각해야 되는게 재건축.
      그리고 말씀처럼 2억 내고 재건축 해주는 경우는 이젠 앞으로 절대 없습니다. 절대.

  • @happy_happy_travel
    @happy_happy_travel Місяць тому +40

    조합장, 시공사, 하청업체, 비대위, 부동산업자 등 암묵적 카르텔에 속아서 손해만 보는 입주자들 끝없는 욕심. 자업자득이다. 분양가만 올리는 재건축은 악의 카르텔이다

  • @user-vh9kj8lc4f
    @user-vh9kj8lc4f Місяць тому +23

    역시 GS입니다.이젠 유리로 사기치네요. 서울이니까 메스컴으로 알려지지 대구 상인동송현주공재건축 주민은 이주한지 3년이 넘게 떠돌고 있지만 착공도 못하고 있습니다.수주 당시 계약은 어디가고 차일피일 미루며 공사비만 올리고 있습니다.공정한 방송으로 1000세대가 넘는 조합원들에게 조그만 힘이라도 보태 주세요...

  • @lawlietl2504
    @lawlietl2504 Місяць тому +1155

    조합원아파트 공부하면서 느낀건데 십몇년전부터 '착공이후 공사비 인상없음' 이란 문구를 주의하라 였는데... 착공을 안하고 공사비 인상 요구할수있다고... 이걸 당하네

    • @user-ku7hh8qx8g
      @user-ku7hh8qx8g Місяць тому +164

      와우.. 잔머리 오지네요..... 한줄로 건축판을 요약한듯..

    • @kimsophie6771
      @kimsophie6771 Місяць тому +33

      욕심..

    • @user-xg9xd6gg8x
      @user-xg9xd6gg8x Місяць тому +88

      조합측에서 계약서 작성할 때 이런 디테일을 놓치니 그 다음부턴 끌려다닐 수밖에... ㅠㅠ

    • @user-zv9nw1cj3i
      @user-zv9nw1cj3i Місяць тому +69

      반대로 생각 하면 누가 자기돈 으로 남의집 지어 주나요 ㆍ

    • @user-mr8rg4lx1g
      @user-mr8rg4lx1g Місяць тому +35

      알아도 애기해 줄수가 없내 믿을넘 없다는거
      그말만 해드림

  • @thm1583
    @thm1583 Місяць тому +1150

    이제 재건축은 쳐다도 보지말아야 정신건강이라도 챙길듯.

    • @passenger2407
      @passenger2407 Місяць тому +168

      바보들 시공사의 전략은 하나야. 빨리 재건축 띄워서 조합원들 이주시키고 집 때려부수면, 그때부터는 시공사가 갑이 되는거야. 시공사는 시간이 지체되도 아쉬울것이 없고, 집에서 쫒겨난 조합원들만 시공사에 농간에 끌려다니게 되는거지. 그러니 시공사의 말만 믿고 함부로 이주하지 마세요. 재건축 찬성한 죄로 벼락거지뒵니다.

    • @user-kr1ec3xi9c
      @user-kr1ec3xi9c Місяць тому

      ​@@passenger2407재건축 동의 조합 설립 되는 순간부터 온갖 사기꾼 날강도 양아치 부양 시작되지요 도장 찍는순간 빨대 꽂히는것 ㆍㆍ

    • @user-rm7ds5sl1f
      @user-rm7ds5sl1f Місяць тому +36

      ​@@passenger2407이래나 저래나 똑같지 무슨 전략은 ㅋㅋ 건물 때려부시는 던 공사 과정 중 하난데 그럼 안 나갈래?. 초반 시공사 선정할 때 말고는 현재 분위기 선분양 제도 상에서는 절대 조합이 갑이 될 수가 없다. ㅋㅋ

    • @lIllIlIlllIlIlI
      @lIllIlIlllIlIlI Місяць тому +21

      애초에 입찰 당시 시공사가 내건 조건들이 집값이 계속 오른다는 전제 하에 집값을 선반영해서 이익금 계산기 두들겨보고 제시한거니 집값이 반이 떨어진 지금은 조건 안 바꾸면 미래가 뻔히 보이니 이주비 등 지급한거 돈 쌩으로 날리더라도 드랍하겠다는거죠. 아마 공정률 낮은 지역 조합현장은 지금 다 똑같은 상황일거임

    • @uhhytfffffddssthgffrrdh
      @uhhytfffffddssthgffrrdh Місяць тому +22

      일단 재건축으로 돈버는것도 쉽지않지만 기다리는동안 시간 다가고 스트레스에ㅜㅜ

  • @user-uh5cx7uo4w
    @user-uh5cx7uo4w Місяць тому +106

    24년4월12일 추적60분 방영된 달서구 송현주공아파트 입니다 시공사로 선정된 gs건설은 흙막이 핑게되며 2년간을 착공지연하며 수주때 제안한 약속을 180도 저버리고 양아치 갑질을 일삼고있어 1080세대가 고통받고 있습니다 양아치기업 gs건설을 고발합니다

    • @user-xt5yj9wb9s
      @user-xt5yj9wb9s 28 днів тому +3

      헉 거기인가요? 어릴때 가족이 살아서 자주 놀러가고 추억이 있었는데.. 안타깝네요

    • @kimjiuk87
      @kimjiuk87 25 днів тому +2

      아........ 여기였습니까? 저도 대구 살면 여기 갈 생각이여서 계속 보고있던곳인데 왜 분양안하지? 했는데 이유가 있었군요...

    • @user-oq3gs3jr5b
      @user-oq3gs3jr5b 24 дні тому +5

      조합원들이 Gs건설에 손해배상 청구 소송 내세요

    • @user-ne9uk5ef3h
      @user-ne9uk5ef3h 14 днів тому

      조합원들이 문제인가요?

    • @SJ-gn9ph
      @SJ-gn9ph 14 днів тому +4

      건설비가 오른건 오른거고
      계약은 지켜야지
      이렇게 바꿀거면 계약서는 왜쓰는거임

  • @user-is2gv1mh9v
    @user-is2gv1mh9v Місяць тому +20

    GS건설~~제발 법대로 원칙대로 상식선에서 서로 협상합시다.

  • @user-gv3ns7xp2m
    @user-gv3ns7xp2m Місяць тому +354

    계약서는 휴지 조각 이라는
    건설업체 주장 잘들었습니다

    • @cyrus3839
      @cyrus3839 Місяць тому +7

      코로나 기간 동안 조합원들도 월급 50%씩은 올랐을 텐데 자기들 월급 오른 거는 당연하고
      그동안 폭등한 물가를 반영해 공사비 올려달라는 건설사의 정당한 요구는 왜 거부하려는가
      공짜로 새집 얻으려는 탐욕 때문입니다

    • @errorunknow7394
      @errorunknow7394 Місяць тому

      @@cyrus3839 와우~ 당신같은 사람들이 이나라에 많아져야 합니다

    • @hsteve5402
      @hsteve5402 Місяць тому

      @@errorunknow7394 와우 ㅋㅋ평생알바같은 일이나할듯한 고졸들은 없어야할텐데요 당신같이

    • @hsteve5402
      @hsteve5402 Місяць тому +13

      계약서에 엄연히 명시되있느넫요?ㅋㅋㅋㅋㅋ 물가상승 고려 설계변경 , 님 계약서가뭔지 모르는듯

    • @user-gv3ns7xp2m
      @user-gv3ns7xp2m Місяць тому

      @@hsteve5402 영상 내용에는 계약서에 물가상승 및 원자재 상승, 설계변경에 따라 분담금이 상승할수있음
      이라는 내용이 안보이니
      계약서는 무시한다 라고 한겁니다
      내용이 나온다면 몇분에 나오는지 알려 주십시요
      놓쳐서 못봤으면 제 잘못이고
      그게 아니면 당신은 니 영상에 나오는 시행사 직원이겠죠

  • @user-gt9yv5ll2r
    @user-gt9yv5ll2r Місяць тому +189

    추적 60분은 KBS에서 유일하게 보는 프로그램입니다. 피디, 제작진분들의 열정과 수고가 느껴집니다. 알콜, 도박 중독 시리즈에 이어 모처럼 관심있게 시청했네요.

    • @user-ho8wg8xo6x
      @user-ho8wg8xo6x Місяць тому +7

      저는 그것이알고싶다까지 같이봤는데, 피프티피프티 편파보도하는거보고 개실망해서 이제 이것만 보는듯요

  • @cocoranliz1339
    @cocoranliz1339 День тому +3

    5층이하 아파트 재건축이 15층~25층으로 올렸을때 사업성이 있었지만 15층 이상된 아파트는 재건축이든 리모델링이든 사업성이 없어졌어요.
    고층으로 올릴수록 건축비는 천정부지로 올라가죠. 외국처럼 내부 각 세대들이 새로 인테리어하고 외부는 보수작업으로 꾸며야죠.
    대대적으로 리모델링, 재건축 없이도 잘 가꾸고 유지하는 외국아파트들을 본받았으면 좋겠네요.

  • @thecutzz
    @thecutzz Місяць тому +24

    분담금이 6억 금융비용까지 감안하면 7억 지금도 이런데 앞으로는 더 심각해지겠죠.
    대치 은마아파트 공사 끝나고나면 진짜 부자들만 살고 있겠네요 ㅎㅎ

  • @tvtabaco6184
    @tvtabaco6184 Місяць тому +116

    살려고 집을사는건지? 돈을 벌려고 집을 사는건지? 제발 정신들좀 차리세요

  • @kim8807
    @kim8807 Місяць тому +140

    헌 집 줄게 새집 다오 하는 시절은 다 흘러간 듯 합니다.
    정신들 차려야겠어요.

  • @user-ne4ty8ij6z
    @user-ne4ty8ij6z Місяць тому +54

    진주아파트 진짜... 방이동 인근 지역은 백제 유적지라 땅파면 유적 발견 되는 지역

    • @user-te4lp6lf8w
      @user-te4lp6lf8w Місяць тому

      그러게요.. 그래도 어찌어찌 힘든 과정 거치고 아파트 올리고 있네요

  • @user-ne9si9ri9t
    @user-ne9si9ri9t 8 днів тому +3

    원상복구 해라. 빌라로 다시 지어놔

  • @user-np9vj3cm2e
    @user-np9vj3cm2e Місяць тому +290

    다 지어진 걸 사세요
    세상에 공짜는 없습니다.
    욕심이 화를 부르는 겁니다.
    시공사와 조합장만 돈 버는 재건축
    그래서 항상 철거 완료 후 1년 안에 착공을 해야만 한다는 조항을 넣어야 함
    미 착공 시 시공사에게 손해배상의 부담의 줘야지 배째라 못함

    • @user-ln6pe5md8t
      @user-ln6pe5md8t Місяць тому +16

      맞습니다. 돈 없으면 그냥 썩다리 구축 에서나 살아야지..

    • @user-hz8mt1ge6o
      @user-hz8mt1ge6o Місяць тому +8

      나라가 잘못된 시스템임니다 이게나란가

    • @user-ln6pe5md8t
      @user-ln6pe5md8t Місяць тому +6

      맞아요 돈없으면 구축에서 빈대떡이나 부쳐먹어야지요.

    • @user-pn6mi7bn9o
      @user-pn6mi7bn9o Місяць тому +21

      맞아요 조합원들은 부동산 급등기엔 정부가 개입하면 사유재산인데 왜 정부가 간섭하냐? 라고 지껄이던것들이😊 지금은 정부가 나서달라

    • @user-ws7ey9kg2u
      @user-ws7ey9kg2u Місяць тому +2

      기한내 지었는데 부실이면 ㅡㅡ

  • @sideplanet4723
    @sideplanet4723 Місяць тому +141

    철거 하는 순간 건설사 말 들어야 함.
    분담금 5억 내라면 5억 내야하고
    말 안들으면 공사 중단하고 수억 이자만 더 나감.

  • @vit0729
    @vit0729 Місяць тому +25

    시공사는 정확한 산출근거에 의해서 공사비만 인상해야지..... 무슨 기성불인지 분양불인지 그런 계약부터 모든걸 새로 하는지... 이거 완전 시간끌기 아닙니까? 정말 대단합니다. 대구 시공사님!!!

  • @user-ht6co7ie1n
    @user-ht6co7ie1n Місяць тому +9

    참고할만한 영상

  • @tykim96
    @tykim96 Місяць тому +534

    한 출연자가 핵심을 말했네요 조합원의 무지와 욕심 시공사의 욕심으로 인한 문제라고 .. 공사비가 급등한 원인 이 크지만 핵심은 무지와 욕심입니다

    • @stereopony9421
      @stereopony9421 Місяць тому +24

      근데 사실 물가, 인건비, 자재비, 금리 오를 줄 아무도 몰랐겠죠. 그리고 시공사들이 PF사업만 안 했어도 재건축 진행 잘 됐을겁니다. 그 누구도 예측하지 못한 경제위기 때문이에요.

    • @user-iz7ih9bo1n
      @user-iz7ih9bo1n Місяць тому +5

      아니거든요

    • @user-xd1bw1qu2e
      @user-xd1bw1qu2e Місяць тому +29

      @@stereopony9421놀구있네 욕심이야

    • @rglz9024
      @rglz9024 Місяць тому +42

      5억이면 공사비만이 아닌데? 지들 부실경영까지 메꿀 계획인가 본데?

    • @user-zi3br1gb6y
      @user-zi3br1gb6y Місяць тому +6

      ​​@@stereopony9421예측햇는데?그리고 시공사는 예측하고 덤빈거 아님? 아니면 님처럼 예측도 안하고 바보처럼햇다? ㅋㅋ

  • @hero-ant
    @hero-ant Місяць тому +636

    GS건설은 2021년 이미 계약했음에도 불구하고 자기들 멋대로 계약사항 위배해서 다시 계약하자고 하고 그대로 안하면 공사 못한다고 하는 시공사 협박 및 갑질 행위를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조사했으면 좋겠습니다.

    • @user-wn9fh7mm5y
      @user-wn9fh7mm5y Місяць тому +26

      게약 이행안하는게 당연힌게 아니죠.....건설사 대변인인가,,ㅋㅋ

    • @user-fn3qi7dy4w
      @user-fn3qi7dy4w Місяць тому +27

      어디지역인가요
      저희도gs인데 상황이 똑같네요ㅠ

    • @hyijgfxsrtgvvvbjhu876h
      @hyijgfxsrtgvvvbjhu876h Місяць тому +32

      대구 달서구 상인 센트럴 자이

    • @SSM-wq9ul
      @SSM-wq9ul Місяць тому +12

      에효 좋다고 자이 들이더니 ㅋㅋㅋ

    • @user-cn8cz6ql5o
      @user-cn8cz6ql5o Місяць тому

      ㅣ​@@user-wn9fh7mm5y

  • @tracksjjang
    @tracksjjang Місяць тому +10

    시공사를 이길수있는 조합은 없다. 그아무리 둔촌주공같은 대단지라 할지라도.
    조합원은 을 이다.

  • @yeonggeunpark8940
    @yeonggeunpark8940 23 дні тому +5

    혼자해도 될까말까인데 천명이 마음을 맞추기 쉽지 않지 ㄷㄷ

  • @user-zb8yy8lj8m
    @user-zb8yy8lj8m Місяць тому +440

    아파트에 제일 쓸데없는게 수영장임...ㅡㅡ;; 있으면 좋을줄 아는데 그거 관리비가 더 많이 듦..헬스장 정도만 있는게 제일 나음

    • @rglz9024
      @rglz9024 Місяць тому +48

      동네 주민들 다 오는데, 거기서 203호 607호 몸매 인증할 일 있나

    • @user-dn2mi3ps7z
      @user-dn2mi3ps7z Місяць тому +44

      주민보다 다른놈들이 와서 시설 더 사용함. 우리 아파트는 배드민턴장 지하에 있는데 동호회놈들 다른단지 놈들 다와서 사용해요. 그래서 지금은 지문으로변경했음.

    • @user-qj4dt9ny4b
      @user-qj4dt9ny4b Місяць тому +28

      헬스장 텅텅비어서 혼자하기 외롭고 심심해서 가지도 않아요 어쩔땐 무섭기까지 하던데 아무도 없어요 그냥 관리비 돈만 내고있어요

    • @westbrook2559
      @westbrook2559 Місяць тому +13

      @@user-qj4dt9ny4b 헬스장해봐야 관리비에서 만원 나가던데 공짜나 마찬가지죠

    • @user-do7xe9eo9b
      @user-do7xe9eo9b Місяць тому +9

      휘트니스, 골프연습장은 있어야죠.

  • @jayhan9477
    @jayhan9477 Місяць тому +308

    서로 피해자라 우기는데... 본인 돈 안들이고 혹은 덜 들이고 새집 받으려는 사람들과 코로나로 원자재 인건비 어쩌고를 말하며 수정 공사비에 은근슬쩍 마진 더 녹여 넣었을 건설사... 제3자 입장서 볼 때 여기 과연 피해자가 있나싶은 생각이.. 영상서도 나왔듯 상황이 바뀌었는데 서로 손해 안보려는 욕심의 싸움일뿐..

    • @Anonymous-ub8jw
      @Anonymous-ub8jw Місяць тому +133

      그러게요... 집값 한참 오를때는 조합원, 시공사 둘 다 사유재산을 왜 정부가 상관 하냐며 하더니, 이제 잘 안되니까 정부가 나서서 해결해 달라니...
      진짜 서로 욕심만 많아서, 자기들이 자초한 일이죠...

    • @ehrtlswk
      @ehrtlswk Місяць тому +11

      빙고

    • @user-xf4tu8yp3n
      @user-xf4tu8yp3n Місяць тому +9

      이렇게생각하는 사람이 있구나
      대단하다.
      세금을 왜내고 법이 왜존재하고 언론의존재이유는 알까

    • @user-kc5qo3uk7b
      @user-kc5qo3uk7b Місяць тому

      ​@@user-xf4tu8yp3n 넌 왜살어?

    • @leewon5256
      @leewon5256 Місяць тому +49

      ​@@user-xf4tu8yp3n 그러는 사람들이 종부세는 왜 싫어함? 그 주변 인프라는 국가가 다 깔아놓은건데? 그 혜택때문에 집 값오른거니까 세금 내야지. 근데 그건 또 싫죠?

  • @yskim3193
    @yskim3193 Місяць тому +8

    재건축 계약서는 휴지조각. 시공사 횡포에 놀아나는꼴. 기존 주택을 다 철거해놓고 계약서에는 착공전에 공사비를 올릴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놓고 착공을 안하고 버티면 기존 주민들만 독박쓰고 길거리에 내 앉게 되는 구조네요. 앞으로 재건축 계약서는 저런 어이없는 조항들을 싸그리 다 없애고 작성해야합니다. 철거 손대기 전에 공사비 확정. 계약서 작성후 시공사 준공 보증시공등. 국토부는 저런 문제점이나 해결좀 해라.

  • @junyshin5843
    @junyshin5843 Місяць тому +18

    재건축이 아니라 요즘의 공사비로는 사실상 모든 건축이 수지타산이 맞지를 않음.....

  • @darkrok6948
    @darkrok6948 Місяць тому +226

    재건축으로 돈을 버는 시대는 끝이 났다 5층 미만 용적률 100프로 미만을 재건축 하는게 아니라 15층 이상 용적률 200프로 정도의 건물을 재건축
    전에 비해 대지 지분이 엄청나게 적고 전엔 땅값에 비하여 인건비가 저렴 했지만 현재는 아님 당연히 분담금이 수억이 나올수밖에 없음

    • @jacklee4713
      @jacklee4713 Місяць тому +9

      그건 시골이고... 핵심지는 다름

    • @olando3528
      @olando3528 Місяць тому +6

      시골 분양이 안되니 핵심지에 건설비가 오르는 겁니다. 원래는 서울이 홍보기 때문에 싸게해준 겁니다. 수도권 집중화가 지속되는한 건설비는 계속 오를겁니다.

    • @cyrus3839
      @cyrus3839 Місяць тому +3

      건축비 왕창 올라서 재건축 꿈도 못 꾸게 해야 함

    • @user-zl5hr9qo5
      @user-zl5hr9qo5 Місяць тому +3

      서울 경기 인천 아니면 다힘들다..

    • @John-fh9us
      @John-fh9us Місяць тому +4

      서울 핵심지 (강남3구, 마용성)는 다름.

  • @JLee-np2sp
    @JLee-np2sp Місяць тому +351

    은마 재건축 기다리던 어르신들 다 승천하시겠네...

    • @user-ct1ud7wf7e
      @user-ct1ud7wf7e Місяць тому +21

      은마 무산됐다는
      우리 체제가 말하던데..

    • @user-js7bi8sy2c
      @user-js7bi8sy2c Місяць тому +14

      은아 추분 융단 폭탄터진다,

    • @user-js7bi8sy2c
      @user-js7bi8sy2c Місяць тому +6

      은아 추분 융단 폭탄터진다,

    • @Vehicle.evaluator-donghoon
      @Vehicle.evaluator-donghoon Місяць тому +2

      ㅋㅋㅋ

    • @a_00.614
      @a_00.614 Місяць тому +30

      재건축의 여러가지 문제점
      1. 아무것도 모르는 목소리큰 백수(?) 소유자가 주도(직업이 있고 바쁜 사람들은 문제가 생기기전까지 큰 관심이 없음. 초기 주도권은 대부분 그런분들이 가지고 시작)
      2. 정부가 공공의 이름으로 빼앗아가는게 너무 많음.(용적률 상향의조건으로 기부채납 요구하는데 나중에보면 조삼모사인경우가 많음 그러나 허가권자가 원하는데로 따라갈수밖에…)
      3. 추가분담금관련 건설사(전문가) 조합원(경험없는 아마추어) 의 대결이라 계약서상에 불합리한 조건이 숨겨져있눈경우가 많음. 그러나 조합관계자는 모름. 자문변호사가 있지만 조합편보다는 건설사 편인경우가 많다고 느낌. 왜냐 지속적인 변호사를 필요로한쪽이 조합보다는 건설사.
      4. 감정평가 이것도 건설사쪽입김이 강한느낌.
      5. 재건축 진행하며 느끼지만 누가 아군인지 적군인지 모를때가 많음.
      6. 비대위-재건축은 속도전 비대위 생기면 바로 추가분담금 생긴다고 봐야함.(비대위 생기면 건설사는 뒤에서 박수찰수도 있을것같다는 생각이듬)
      7. 재건축 한번하고나면 다시는 재건축아파트 안처다봄.

  • @Apink703
    @Apink703 Місяць тому +68

    고작 몇억짜리 옛날 아파트로 몇십억 차익 볼려다 그리 된걸.. 엄청나게 피해자인척

    • @yujw9944
      @yujw9944 Місяць тому +3

      윤정권이 재건축법바꿔서
      입주민 70%가 반대해도 30%가 찬성하면 재건축들어가버린다고...
      재건축 반대파는 무슨죄니...

    • @user-il6yd7uj1s
      @user-il6yd7uj1s Місяць тому

      @@yujw9944근데 보통 70%가 반대하진 않음ㅋㅋㅋㅋㅋ그 반대지

    • @user-lj1gp2uk3i
      @user-lj1gp2uk3i 29 днів тому +1

      여기 대구에 무슨 몇십억짜리 아파트냐?
      니가 뭘 알아

    • @Apink703
      @Apink703 29 днів тому

      @@user-lj1gp2uk3i 저 방송이 대구만 해당되냐?
      너 대구삼?
      준표 부여잡고 잘살아라!

  • @shinchanghang4415
    @shinchanghang4415 Місяць тому +7

    지금 하는 재건축은 처음이자 마지막입니다.
    30층 이상 재건축하고나면 40~50년후에 절대 재건축 못합니다.
    그 아파트 나중에 철거도 못합니다. 돈 없어서..
    그냥 버리고 나와야합니다.

  • @user-cn4qs1oz3j
    @user-cn4qs1oz3j Місяць тому +212

    대형건설사가 배째라식으로 약속을 저버리고, 소송을 해도 돈많은 건설사에게 유리할텐데, 이런 문제 많은 재건축, 선분양 그만둬야 하네요. 아파트공화국 그만해야합니다. 언론사사주 다수가 건설사니 이런일이 여론화가 안되는거 같네요

    • @user-qv5vb3de9e
      @user-qv5vb3de9e Місяць тому +1

      약속을 저버리는게 아니라 세상이 바뀌엇다.급등햇다.

    • @user-cn4qs1oz3j
      @user-cn4qs1oz3j Місяць тому +8

      @@user-qv5vb3de9e 궤변이다. 뻔뻔하다

    • @user-qv5vb3de9e
      @user-qv5vb3de9e Місяць тому

      @@user-cn4qs1oz3j 궤변이라니?이 아파트들은 극히 일부 사고 사업장들일 뿐인데.전부 그렇다면 아예 재건축 자체가 없는 것이겟지.지들끼리 쿠테타에 쿠테타하느라 돈인 시간 다 까먹고.예비비 다 땡겨쓰고.전부한테 재 뿌리는 것이지. 우크라이나 전쟁같은 초대형 악재가 나오기 전 착공햇어봐.지금 모두 히히하하하고 잇을텐데.지들 말대로 전재산인 집 하나 가지고 너무들 한 값.돌려받는 것.2017년에 계약하고 뭐하다 이제 착공하네마네?
      콩고물 주워먹기 바쁜 일부 조합원들 때문에 그런거지.지금도 LH재건축잇슴.아주 유리잔처럼 투명하게 해줌.안 맡기자나?니들이 바라는 불로소득의 끝은 그 끝이 어디냐?

    • @andytrumph0110
      @andytrumph0110 Місяць тому

      정부와 한 몸입니다 조합원들 거지로 만드는 대한민국

    • @user-yw8ns2ww2u
      @user-yw8ns2ww2u Місяць тому +1

      자동차 급발진 ~~~운전자가 증명해라.
      똑같은거임.

  • @user-ii8ls5yh6d
    @user-ii8ls5yh6d Місяць тому +454

    법 자체가 사기를 조장. 생산성 없는 부동산에 전 국민이 달려드네.

    • @narodo_ro
      @narodo_ro Місяць тому +2

      그래서 어디에서 살고 싶은데••
      무슨 집을 생산성 따지고 있구만

    • @user-ii8ls5yh6d
      @user-ii8ls5yh6d Місяць тому +25

      @@narodo_ro 어디서 사는게 핵심이 아니잖니. 공사비 사기를 이야기 하는데 뭔 뚱단지 걑은 소리냐.

    • @seongjinshin892
      @seongjinshin892 Місяць тому +5

      이게 정답.
      정책이 계속 바뀌니.

    • @user-ut3zw1qm8m
      @user-ut3zw1qm8m Місяць тому

      부정 선거에 침묵하는 너 같은 무개념이 법을 논한다고?? 에라이~

    • @user-kd7zk7qb1j
      @user-kd7zk7qb1j Місяць тому +2

      근데 도약찍고 계약을했는데 저렇게 구라치고 바꿔도 법이랑 상관없는거임??

  • @user-zt9bc5jv5b
    @user-zt9bc5jv5b Місяць тому +18

    계약할땐 을, 집 부숴놓으면 갑

  • @user-ue6hl5zw4b
    @user-ue6hl5zw4b Місяць тому +26

    불로 소득을 바라다 안 되니 충격이라...... 재개발 하면 건축비를 부담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고 아파트가 낡아지면 그 만큼 가격이 떨어져야 맞는 것인데 ... 모든 것이 정상으로 돌아가고 있는 상황..

  • @user-cg8id3eg2f
    @user-cg8id3eg2f Місяць тому +361

    Gs건설 왜 저래요?
    검단 자이 지하주차장 붕괴하고
    이미지 쇄신한다더만
    검단진이 손실 본거 대구에서 만회 할려고 하는거로 보입니다.
    Gs건설 횡포,갑질 멈추세요

    • @user-qy6ty8ee5o
      @user-qy6ty8ee5o Місяць тому +6

      안그래도 저기는 일분은 거의 안나오는 곳이였고 대부분 조합원분들인데.. 만회? 절대 불가능할듯요 지금도 무기한 연장이라던데..

    • @user-cw2tx8er8g
      @user-cw2tx8er8g Місяць тому

      ​@@user-lo5wq2qk4j이새끼야 복붙좀 그만해라 댓글마가 도배하고 다니네

    • @user-hs5ki4ko1h
      @user-hs5ki4ko1h Місяць тому +9

      이게 팩트네.보상나간거 어디선가 메꾸려고 하는거지

    • @user-qv5vb3de9e
      @user-qv5vb3de9e Місяць тому +3

      계약 후 엄청 올라버렷는데.

    • @user-qv5vb3de9e
      @user-qv5vb3de9e Місяць тому +1

      환경변화는 냅두고 안 변햇건 시기 그대로 지어라하면 도둑놈이지

  • @KK-mq1zr
    @KK-mq1zr Місяць тому +238

    결론이 왜 저렇게 났냐???
    재건축은 집주인들이 하고싶어서 하는 민간 사업임. 그렇기 때문에 돈도 자기들이 버는거고 일반분양으로 막대한 수익 창출하는건 말안하고 공사비올라서 사업성 안좋아진걸 정부 탓을해???
    재건축은 투기세력이 정말 많기때문에 세금투입하고 도와주면 집값폭등 원인됩니다. 절대 지원이나 구제 해주면 안됨. 집 없는 서민들한테 그럼 싸게 분양하던가. 분양가는 비싸게 받고 자기들 분담금은 줄이겠다?? 이게 도둑아니고 뭐냐

    • @user-be2kp7pm8e
      @user-be2kp7pm8e Місяць тому +25

      맞는말이요 자업자득

    • @hon-maguro
      @hon-maguro Місяць тому +38

      이익나면 자기들이 다 먹을거였으면서 손해나면 손실도 본인들이 감수해야죠
      세금투입해서 손실을 구제해주는 노다지 사업은 부동산 가격을 폭등 시키게 될겁니다

    • @user-th4pr1wh5p
      @user-th4pr1wh5p Місяць тому +6

      ㅉㅉ 한심한 뇌피셜 한 둘이 아닙니다.강 건너 불구경이니 화려한 불빛만 보이고 잿더미 위의 피눈물은 못 보는게지.

    • @user-th4pr1wh5p
      @user-th4pr1wh5p Місяць тому +4

      시공사가 일반분양 쉽게 하려고 조합원에게 덤탱이 씌우려는 작전에 돌입했다는 게 진실이라는 걸 알 턱이 없겠지요.

    • @user-od2fm9qz5f
      @user-od2fm9qz5f Місяць тому +2

      계약사항 미이행이 주 요지 아닌가요? 조합원 욕을 왜하는지 모르겟네

  • @mckinseyand2022
    @mckinseyand2022 Місяць тому +70

    인구가 줄어요….
    인구가 줄어요….
    이것으로 설명끝

    • @user-pz1ee1yj4q
      @user-pz1ee1yj4q Місяць тому

      아닌데 뭐 그거야 지방이나 그렇지

    • @korea006
      @korea006 Місяць тому +1

      ​@@user-pz1ee1yj4q서울 출산율봤냐?

    • @user-pz1ee1yj4q
      @user-pz1ee1yj4q Місяць тому

      @@korea006 그걸 왜봐 인구 없으면 이민받으면 되지 멀 걱정해 난민을 받던지
      지구에 인구가 얼마나 많은데

    • @korea006
      @korea006 Місяць тому

      @@user-pz1ee1yj4q 이민만 우구장창 받으면 해결된다는뜻이네?

    • @user-pz1ee1yj4q
      @user-pz1ee1yj4q Місяць тому

      @@korea006 주구장창이지 우구는 모냐 인구 없으면 수입하는거지 먼 걱정이야

  • @soongnyoong2017
    @soongnyoong2017 Місяць тому +50

    저희가족이 15년 살다가 저희는 재건축 입주 원하지않아서 귀촌 했는데 이렇게 될지는 상상도 못했네요 …..

  • @junhoko8956
    @junhoko8956 Місяць тому +218

    상식적으로 자기집 부셔서 새로짓는데 부담금 안들어가는게.이상햇던거죠 일본처럼 아파트는 감가상각되는거고 수선비 모아서 고처가면서 써야죠. 아파트 광풍의 변곡점이라고 봐야죠

    • @user-th4pr1wh5p
      @user-th4pr1wh5p Місяць тому +20

      한심합니다.조합원들이 분담금 내지 않겠다고 한 적 없어요.공사비 안 주겠다고 한 적 없어요.확정공사비 계약했지만 물가가 올랐으니 인상해주겠다.하지만 바가지 씌우지 말고 다른 계약 내용 시공사 득보겠다고 멋대로 바꾸지 말라는 요구입니다

    • @user-sb8hh5uf8v
      @user-sb8hh5uf8v Місяць тому +4

      그렇죠 2017년 입주했는데 3년 지나니 수선충담금 부과하더라구요

    • @user-bm6li9iw1r
      @user-bm6li9iw1r Місяць тому +3

      땅값은 오른다 부린이 ㅉㅉ

    • @cheetahmen123
      @cheetahmen123 Місяць тому +10

      @@user-th4pr1wh5p건설사가 왜 그래야하죠? 욕심에 눈멀어 있는 사람들 합법적으로 등쳐먹을수 있는데, 그걸 안하면
      주주들은 호구인가요?

    • @user-wj7jx7dp7n
      @user-wj7jx7dp7n Місяць тому

      아파트가 차냐? 감가상각되게 무식 ㅉㅉ

  • @Hyun.Min.Choi.
    @Hyun.Min.Choi. 8 днів тому +1

    이제는 선시공후 분양을 해야...물건도 않보고 수억짜리 집을 산다는것이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음. 그리고 인구 감소로 계속해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을 짓는 것은 추후에 건설업 기반이 무너지는 현상 초래...

  • @sjmgr
    @sjmgr 23 дні тому +4

    재개발 털고 나오길 잘했네요. 21년도에 털었는데 그때 가격보다 2억떨어짐

  • @user-mw6rn4hv4m
    @user-mw6rn4hv4m Місяць тому +172

    재건축은 쉽지 않을겁니다. 돈도 많이들고 시간도 많이 걸리고 물론 재건축으로 건설사 경기는 좋겠지만, 미래 인구감소적인 측면과 입구집중현상이 있는 도시정도의 핵심 동네만 재건축이 할만할듯

    • @user-oh3zx2wm3p
      @user-oh3zx2wm3p Місяць тому +14

      태영이 이미 시범케이스 보였고 지금 롯데나 GS전부 흔들리고 있습니다. 부동산 경기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데
      건설사 경기가 뭐가 좋습니까

    • @ghkfkdwkd2417
      @ghkfkdwkd2417 Місяць тому +3

      정부가 조장하는듯

    • @gd9209
      @gd9209 Місяць тому +8

      5층짜리 주공이야..재건축이 쉽겟지만..15~20층짜리 재건축은 이제 힘들다고봐야죠

    • @cyrus3839
      @cyrus3839 Місяць тому +4

      50년 안 된 아팟은 재건축 못 하게 헌법에 규정해야 함

    • @rglz9024
      @rglz9024 Місяць тому +2

      당연한 거 아니가? 저밀도 재건축할 때부터 난 그렇게 투자해 왔는데? 어떻게 지방에 아파트가 재건축 대상이 되겠어? 그러니 농촌에 아파트 높게 올리는 거 보면 뭔 생각이지 싶은 나중에 어쩌려고?

  • @do0329
    @do0329 Місяць тому +354

    저기다 무슨 국가세금으로 지원해준다고? 참나 ㅋㅋ 건설사와 조합원 욕심때문인걸

    • @user-js8yy2bs6m
      @user-js8yy2bs6m Місяць тому +24

      세금 지원은 왜 하나? 어버리하지 못하게 법을 가지고 정리할 것은 규정을 딱 정해야죠 아무리 민간 건설사라해도 냅두면 안되죠 ㆍ그럼 세금 지원도 민간 건설사에 명분없지

    • @KK-mq1zr
      @KK-mq1zr Місяць тому +70

      악어의 눈물입니다.
      저들은 집가진 부자들입니다.
      무주택자들에게 책임 전가할 심보.
      집값 오르면 자기가 투자 잘한거고
      분담금 오르면 나라탓 하는 꼬라지.
      일반분양 엄청 비싸게 팔거면서
      절대 공권력으로 도와주면 안되는 집단임.

    • @user-rk4jq7ci3u
      @user-rk4jq7ci3u Місяць тому

      세금 못내는 거지들이 꼭 세금타령하더라고. 대한민국 재건축 재개발 리모델링 사업중에 세금을 들인건 없어. 전부 기부채납, 취득세, 지방세 상승요인만 가져왓는데 뭔 개소리 지껄이는 댓글들이 여럿보이냐? 하여간 저소득층 인간취급하면 나라가 망조가 드는거야. 소득세 한푼도 못내는 빌빌이들이 전국의 60%인데 여기 댓글창 두세마리 보이네

    • @user-xb5mm5bj3f
      @user-xb5mm5bj3f Місяць тому +14

      ​​​@@KK-mq1zrㅋ 저 사람들도 평생 안 입고 안 쓰고 모은 돈으로 겨우 집 한 채가 전부인 사람들인데 니가 집도 없는 거지라고 저 사람들 비난하는 건 웃긴 거 아니냐?? 계약 안 지키는 건설사가 문제지 저 사람들 잘못이 아닌데 넌 보나마나 1찍인 거 같노 ㅉ 세금 투입해서 도와 주란 게 아니라 계약불이행 하는 건설사를 처벌하든 민사책임을 지우는 게 맞는 거 아님? 조합원들 욕심이 어쨋든 계약을 했으면 지키는 게 맞지 단서조항도 없이 물가 올랐으니 돈 더 내라는 건 강도질이지

    • @KK-mq1zr
      @KK-mq1zr Місяць тому +27

      @@user-xb5mm5bj3f 그럼 일반 분양도 계약시점 가격으로 받아야지 ? 지들이 체결한 계약서는 중요하고. 나중에 잉반분양할때는 폭등 가격으로 처 메기면서 무슨 피해자 코스프레야 .. 건설사들은 땅파서 집짓냐?? 공사비 올려주기 싫으면 조합에서 직접 평당 400만원으로 짓던가.. 투기세력에 공권력 쓰는거 절대반대다

  • @ebayunitysendss
    @ebayunitysendss 15 днів тому +2

    최저임금인상으로 모든비용 인상에 다망하는거여...

  • @jyh790804
    @jyh790804 Місяць тому +21

    학군 ㅠㅠ 아이도 안낳기 때문에 인구도 줄고 그럼 구지 비싼 아파트 관리비 엄청 내면서 까지 아파트 구매 안하죠 .

  • @user-ib1sh4do2c
    @user-ib1sh4do2c Місяць тому +70

    정말 사회에 필요한 추적프로그램을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건축의 규제를 풀어주는게 아니라
    국민의 행복을 추구해야하는 국가가 공정하고 국민을 위한 재건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강한 행정력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기입니다.
    집한채 가지고 살던 국민이 이길수 없는 부당한 일들이 당연하게 이루어지는 재건축의 현실을 직시해주세요.

    • @cyrus3839
      @cyrus3839 Місяць тому +3

      지돈은 땡전 한푼 들이고 불쌍한 무주택자들 돈으로 새집을 가지려는 조합원들을 도와주는 데에 공권력을 낭비할 순 없다

    • @user-kz2lu8ec3x
      @user-kz2lu8ec3x Місяць тому +2

      깡통차는거 시간문제

    • @cowheadmoon
      @cowheadmoon Місяць тому

      ​@@cyrus3839무슨 헛소리야 임대주택 지어주고 기부채납 하고 이게 다 무주택자들 위해서 재건축조합이 하는 일이다 그렇게 양심이 없으니 계속 무주택으로 사는거다

    • @user-vg3pz9jh5s
      @user-vg3pz9jh5s Місяць тому

      강한 행정력은 없음..
      국토교통부고 장관이고 국민들은 철밥통 무능력자로 보기 때문에..
      옛날에야 고시출신 능력자들 많았지 지금은 패배주의 무능력자들이고 의지도 많이 줄어든거 같음..

  • @kyunghwankim56
    @kyunghwankim56 Місяць тому +268

    녹물 나오면 이제 헐값으로 팔아야 하는 시대가 옵니다. 용적률 최고로 올려줘봐야 조합원이 감당 못하는 금액 나오면 다 GG.

    • @homedadpooh
      @homedadpooh Місяць тому +7

      배관 교체하면서 사는거죠

    • @user-md7bl2oo4n
      @user-md7bl2oo4n Місяць тому +5

      ​@@homedadpooh콘크리트에 묻힌 배관이 교체가 가능한가요? 일부분만 가능한거 아님요? 그럼 일부분만 교체해봐야 소용없다는 결과?

    • @user-ps2to3kk8b
      @user-ps2to3kk8b Місяць тому +3

      @@homedadpooh 저기 안양 배관 교체 불가능입니다

    • @user-gv5nu5ln8x
      @user-gv5nu5ln8x Місяць тому +6

      @@homedadpooh 배관은 콘크리트 안에 매입되어 있어요, 그 배관을 바꾸려면 집을 허물어야 합니다. 이게 가장 큰 문제이죠.

    • @user-gv5nu5ln8x
      @user-gv5nu5ln8x Місяць тому +3

      어...? 근데 생각해보니 리모델링은 배관 어떻게 하는거지..? ㅎㅎㅎ 골때리네?

  • @hawkeye4496
    @hawkeye4496 Місяць тому +7

    정비업체에서 조합설립을 위해서 분담금 없다는 말에 많이들 속아서 도장들 찍더라 .....
    상식적으로 생각을 해봐도 분담금이 안나올수가 없는데 무지하면 답도 없다
    그리고 시공사 입장에서는 관리처분인가 받아서 철거 다 끝났겠다 급할거 없지;;;
    정신들 차리자 이제 재건축 재개발로 돈버는 시대는 끝났다

  • @user-je8mz8bm2w
    @user-je8mz8bm2w 23 дні тому +5

    여기도 조합원들의 욕심이 화를 불렀을걸

  • @xxnunoxx
    @xxnunoxx Місяць тому +251

    머여 이거...
    30년 노후 아파트 안전진단 패스는 결국 시공사 살리려는 개수작 뿐이었네?

    • @user-ne4km5sy7s
      @user-ne4km5sy7s Місяць тому +6

      예전에
      현대정주영조상님께서
      건축비 쭉쭉쭉
      내릴수있다고 하였습니다

    • @user-kr1ec3xi9c
      @user-kr1ec3xi9c Місяць тому +1

      ㅋ ㅋ 외국에서 구매 수요도 수입해 와야되는데 구매력 되는 사람이 사기꾼 천국인 한국에 오지도 않겠지만 누가 온다해도 선진국 사람들 아파트 비선호 결국 먼저 완료된 몇곳 외는 다 시작도 못하거나 선동당해 시작하면 부도 파산 ㆍㆍ

    • @user-hz7yj6bc5k
      @user-hz7yj6bc5k Місяць тому +26

      빙고. 인식이 늦네요. 조합원을 위한게 아니고 건설사 부양정책입니다

    • @white.8817
      @white.8817 Місяць тому +5

      지금까지 순서기다렸던곳보다 더가치높은 신규단지가 추월해버릴수있으니 기존 재건축단지는 소외될것임.결국 강남집중현상.건설사입장에서도 이젠 골라서하게됨.지방이나 소외지역은 가격높여주지않으면 안하면그만.이게 허울좋은 주택정책임 ㅉ ㅉ

    • @user-qy6ty8ee5o
      @user-qy6ty8ee5o Місяць тому

      어차피 인구 줄어드는 마당에 지방을 할 이유가 없이 베이비부머 세대와 그 자식세대가 늙을때되면 빈집 투성이임 외국인 데려올거아니면 ㅇㅇ

  • @user-bh9wq9fr2o
    @user-bh9wq9fr2o 20 днів тому +2

    오프닝에 문열어~! 외치는 아줌마 목소리 중독성 있네요

  • @jspark8139
    @jspark8139 4 дні тому +2

    돈이있는 곳에는 과연 정의와 공의가 있겠나요 감언 이설에 조합 비리에 분담금 상승에 조합원만 속터지지

  • @user-oe5lt1wt9e
    @user-oe5lt1wt9e Місяць тому +36

    건축비 올라서 이제 재건축은 쳐다보지도 말아야..

    • @user-eg2cu1nr6f
      @user-eg2cu1nr6f 5 днів тому +1

      건축비가 오르기전에 먼저모든생필품 농산물 육류비 식대비 건설자재 정신없이올라대니 건축비는맨나중에 버티어내다가 오른거지 건설회사가뭔잘못이야

  • @jenyoungjang2355
    @jenyoungjang2355 Місяць тому +95

    재건축 한다고 할때 팔고 나간사람이 신의한수ㅡ이제 끝낫습니다 재건축은 인생조지는 일입니다 계약해놓고 물가올라서 분담금 올려달라 안주면 안한다 하고 빠지면 돈없는 사람은 그냥 끝

    • @user-qv5vb3de9e
      @user-qv5vb3de9e Місяць тому +1

      지금 하는것은 쌩 양아치짓이다.
      재건축은 시간이 곧 돈인데 주민들 모임인 조합에 눈이 벌게서 치고박고하다 시간보내다가 건축비상승.이제 싸음 그쳣으니 그 당시 가격으로 시작해라 이건데.시공사가 싸우라고 시켯냐.니들이 치고박고하다 시간 다 보냇지?

  • @user-ge7zn5lt3v
    @user-ge7zn5lt3v Місяць тому +4

    재건축,재개발 , 은 이젠 메리트 가 없죠, 재료 비,인건비 , 부대 비용 너무 많이 인상 되어서
    잘못 덤비면 집 날라가는 거죠.

  • @Sungkookpark11
    @Sungkookpark11 Місяць тому +9

    원로가수 아이유가 부릅니다.
    축 은마아파트 재건축 확정

  • @user-ok6iu6on9z
    @user-ok6iu6on9z Місяць тому +60

    gs건설 때문에 내 집 없이 지내고 있습니다. 언제까지 이렇게 살아야할지 알 수가 없습니다. 저 넓은 부지가 휑한 걸 보고 있자니 복창 터집니다!

  • @lunakim4277
    @lunakim4277 Місяць тому +183

    이럴거면 그냥 원래 집에서 사는게 낫죠
    다 부셔놓고 남의집에서 떠돌고 이게 할 짓이 아닙니다.
    이미 자기들 마음대로 공사 미룬데다
    조합원들도 물가에 따라 분담금 추가는 어느정도 생각하고 있지만 시공사에서 터무니없이 높은 돈을 요구했고 계약조건들을 다 바꿔버리니까 이렇게 난린겁니다.
    원래 올해말이나 내년초에 입주였습니다.
    대출 이자도 조합원들이 다 떠안게 생겼습니다.
    현조합장 조합임원들도 난 몰라~~ 하고 건설사편을 들고 있으니 더 환장합니다.

    • @user-ht7xq9zi6c
      @user-ht7xq9zi6c Місяць тому +1

      상인동 아파트 이주비도 못 받았나요?

    • @lunakim4277
      @lunakim4277 Місяць тому

      @@user-ht7xq9zi6c
      조합원분께서 정리해주신 내용입니다.
      1. 아파트 멸실 후 달서구청에서도 허가한 흙막이공법을 GS측의 수차례 변경요구 , GS실무 담당자가 인사이동 있어서 인수인계가 늦었다 등의 핑계로 고의착공지연 (GS에서의 고의 착공지연으로 년도 바뀐후 공사비 인상 목적 )
      2. 공사비인상 : 기존 "소비자물가인상" 만큼의 인상으로 계약된점(계약서 명시)을 "건설공사지수적용"하며 49% 일방적 인상 (공사비 인상된 구체적 요인 요청했으나 GS측 자료제시 안 함)
      3. 입주시까지 이주비 무이자 대출을 올해 10월부터 아파트 준공시까지 유이자 변경 (제3금융권 6프로대 이자 조합원들 부담 한세대당 몇천만원 , 조합원이 돈이있어도 못 갚게 후채권 순위 )
      4. 기존 조합원들 80%분양 계약후 착공을 조합원 계약 90%착공으로 변경
      5. 미분양시 GS에서 일반분양 100% 인수하기로 한 것을 대물변제없음으로 변경
      6. 조합원들 무료옵션 헤택 에어컨 2대 발코니 확장을 없애려 함, 각 주방자재들 다운그레이드 및 수영장 없앰(계약조건 임의 변경)
      7. 가장 크게 조합원들이 분노하는 부분!! 분양불에서 기성불로 일방적 변경
      ※ 분양불: GS에서 사업비 대출 일부일으킴 나머지는 분양대금으로 사업비충당. GS에서 끝까지 책임시공 의무 있음
      ※ 기성불: 조합에서 사업비 "전부"대출 일으킴, 대출이자가 상당함, 우리가 돈안주면 GS공사 중단하고 나갈 수 있음

    • @user-lw4sf6tr3u
      @user-lw4sf6tr3u Місяць тому +1

      그당시랑 현재랑 상황이 달라졌으니

    • @user-kz9tk2po5g
      @user-kz9tk2po5g Місяць тому

      시공사가 어디인가요?

    • @lunakim4277
      @lunakim4277 Місяць тому

      @@user-kz9tk2po5g GS건설 자이 입니다.

  • @user-es4hf7ko4j
    @user-es4hf7ko4j 15 днів тому +2

    근데 17년도 계약 한금액으로 현재 공사 절대 못함 ㅡㅡ

  • @user-mi2nh3yo6s
    @user-mi2nh3yo6s Місяць тому +3

    리모델링 하기전 조사시 1억 5천이듯니 설계서 보니 수영장 광장 분수대 보고 조합원 안하기로 함.
    수영장 년 1회 물 교체 수영장 이용시간 내내 안전요원 등 쓸데없는 지출이 조합원 부담금이. 늘어남.

  • @user-sd2pb7eb9i
    @user-sd2pb7eb9i Місяць тому +104

    부동산 사기꾼들이 대놓고 판치는
    우리나라 좋은 나라 입니다.

  • @user-ig7ct8ft8h
    @user-ig7ct8ft8h Місяць тому +69

    과도한 욕망이 화를 부릅니다.
    모든 사기는 그런 욕망의 지점에 덫을 놓지요.ㅠㅠ

    • @user-ib2yq5nk1q
      @user-ib2yq5nk1q Місяць тому

      재건축만 되면 서민에서 부유층 될거처럼 들떠서 타당성같은건 생각않고 당장 눈앞에 달콤함에 계약한사람들도 문제임

  • @youngkim442
    @youngkim442 Місяць тому +33

    로또는 끝났어요...그놈의 아파트 앞으로 볼만 할꺼에요

  • @qgmpgzefbiv
    @qgmpgzefbiv Місяць тому +15

    잘 해결되서 다들 평온히 사셨으면 좋겠다..

  • @user-fm5qb5zk9c
    @user-fm5qb5zk9c Місяць тому +93

    계약까지하고도 이행하지 않은 gs건설은 자회사 문제로 지연된것에 대해 조합원들에게 손해배상을 해줘도 시원찮은데 과중한부담을 조합원에게 증가시키는것은 아닙니다 날벼락 맞은 조합원 구제에 강력한 정부 개입 만이 답인것 같습니다 법으로 ~~

  • @user-mt2gd3nb3c
    @user-mt2gd3nb3c Місяць тому +56

    재건축은 결국 스피드임.. 안하던지.. 스피디하게 하던지.. 오늘이 가장 추가금 덜 들어간다고 생각하고 진행해야 함...

    • @lee-qk6ez
      @lee-qk6ez Місяць тому +2

      마자여 그래서 한모조합장이 재건축계의 총아로 추앙받지요

  • @gold8818
    @gold8818 Місяць тому +6

    좋은 세월 다 갔습니다..건설사 망할일만 남았습니다. 장사꾼들 절대 손해보지 않습니다.
    분담금 ...누가 그 돈주고 입주할지....아파트로 망하는 나라가 되어 갑니다.그냥 소소하게 작은 집 하나에 만족하고
    은행 빚내지 말고 사는게 최고입니다. 좋은 집에 산다고 인생 달라지지 않고 인격이 올라가지 않습니다.
    대구는 더더욱 돈 벌때가 너무 없습니다.

  • @user-lf1pr5ni9g
    @user-lf1pr5ni9g Місяць тому +5

    철근값,시멘트값 떨어졌다. 공사비 돌려주라~

  • @user-vf4my1ob8p
    @user-vf4my1ob8p Місяць тому +230

    재건축이라 적고 사기라 읽는다~ 햐 진짜 대한민국 부동산 관련 법 계정을 좀 빡시게 하던가 해야지... 외국의 건설사들도 들어와 입찰에 참여 해야 할꺼 같음. 뭔 지들끼리 잔치하듯이 구라쌈이나 치는 뭔 국가가 국민의 재산을 보호할 생각을 안하는거 같다.

    • @user-sd1ll2gf3h
      @user-sd1ll2gf3h Місяць тому +21

      그들은 항상 국민 털어먹을 궁리만 하니까요. ㅎㅎ

    • @user-rq9kz9ds9p
      @user-rq9kz9ds9p Місяць тому +7

      재건축해야죠 지금집값이 올라 힘들죠
      자재인건비도 올랐고

      지금은 건설사가 잘못투자해서 부도직전이라 돈 바가지 씌워야 가능 근데 도중에 부도나면 결국은
      소유자들 똥줄만탄다 상당한 기간동안(내생각엔 5년 이상) 재건축 대상아파트 가격이 절반이상 떨어지고 건설인건비와 자재값도 정상으로 돌아갈 것으로 본다

    • @user-xi8gn8ol1p
      @user-xi8gn8ol1p Місяць тому +1

      걍 다른나라 가라 너는

    • @user-gk8fs6yu2s
      @user-gk8fs6yu2s Місяць тому

      법제도 부실로 죽도 밥도 안되는 도둑놈사기꾼 나라

    • @KK-mq1zr
      @KK-mq1zr Місяць тому +1

      재건축 안해도될 아파트들을 집값 올리려고 무리하게 하니까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투기세력들이 문제야

  • @user-ft5mz5gd2j
    @user-ft5mz5gd2j Місяць тому +424

    GS건설 완전 문제 건설사군요. 도장 찍고나서...참내...

    • @user-se2vs8oj9j
      @user-se2vs8oj9j Місяць тому

      터무니 없는 요심을 부린 조합원들을 등친 사기 시공사 와 쌤통😂

    • @user-ul6ji3us3e
      @user-ul6ji3us3e Місяць тому +35

      솔직히 건설사를 믿고 햇다? 에이... 그걸 믿으니 저렇게 되지.. 애초에 한국에서나 가능한 시나리오 ㅎㅎㅎ 재건축이 돈이 되는 세상 자체가 진짜 웃긴일...ㅎㅎㅎ 오래되면 싸야하는 아파트가 말도 안되는 재건축으로 돈이 되는 희안한 세상이 드디어 끝나는 ㅎㅎㅎ 진짜 이해안되는 일이 드디어 끝남 ㅎㅎ

    • @user-sm1jc9vc1g
      @user-sm1jc9vc1g Місяць тому +10

      다 똑같아요

    • @user-qy6ty8ee5o
      @user-qy6ty8ee5o Місяць тому +5

      ​@@user-ul6ji3us3e재건축은 완전히 다부수고 새로 짓는 새 아파트아닙니까? 일반적인 상황이였으면 이럴일 없었을거예요 건설사도 욕심그득하게 달려들다가 자재비 감당안되어 폭망에 사고까지 터진거죠ㅎ

    • @user-qy6ty8ee5o
      @user-qy6ty8ee5o Місяць тому +3

      짓는사람자체도 한국인이 아닌데ㅎ

  • @wjdqnsms
    @wjdqnsms Місяць тому +3

    아니 이 문제를 왜 도청이나 정부가 나서야함? 지들 이익볼때 개입하면 공산당이라더니?

  • @user-yu5po4yz9f
    @user-yu5po4yz9f Місяць тому +193

    첫번째 건설사는 철면피기는 하네. 그딴식이면 금융사에서도 풋옵션 팔아놓고 돈 벌다가 블랙스완 때문에 손실커지면 이거 다 수익화해주면 우리 망한다고 인출 안해주는 꼴인데.

    • @kyush8940
      @kyush8940 Місяць тому

      @@kimiktae1121 gs 에서 일하냐? 계약서에 싸인 하고 손바닥 뒤집듯 뒤집는 놈 만나서 된통 당해봐라 ㅉㅉ

    • @user-wd3mk8jc9g
      @user-wd3mk8jc9g Місяць тому +2

      비유가 딱이네

    • @user-dr9us9vy6f
      @user-dr9us9vy6f Місяць тому +9

      ​@@kimiktae1121이걸 조합원탓하는게 맞음? 그럼 최초에 허위계약 했다는건데 대기업이 그럴거란걸 일반인이 어떻게 알수있음 ? 어이가 없네

    • @cheetahmen123
      @cheetahmen123 Місяць тому

      @@user-dr9us9vy6f그러면 조합원들이 조합장을 잘 뽑으면 됩니다.
      추분금 모아서 조합장님 룸싸롱도 가고 벤츠도 사고 다른데다 집도 사고 해야죠.

    • @user-vn1sj4md8t
      @user-vn1sj4md8t Місяць тому +2

      저기만 저런게 아니고 재건축 ㅈ된데 엄청 많음 ㅋㅋ

  • @user-rg2pl7lz2m
    @user-rg2pl7lz2m Місяць тому +100

    재건축 지역이되면 절대 조합원이 되지말고 계약해서 일시불로 비싼값에 집팔고 나가는게 안전하다. 토지승낙서나 조합같은건 쳐다보지도 말고 살만큼 살다 최대한 비싼값에 현금 박치기 매매로 넘기고 나오는게 안전하다. 그것만으로 충분히 차익은 남긴다

    • @hj7583
      @hj7583 Місяць тому +4

      이제는 그렇게 조합원 하려는 호구들 구해서 나가는 게 이득인듯

    • @firstpayyourself
      @firstpayyourself Місяць тому +2

      이게 개꿀 ㅇㅈ 건설회사 계약금만 6천 받았는데 경기 안좋아서 그런지 잔금 안치르더라고 ..특약 넣어놨으니 뭐 ..
      계약금만 꿀꺽인거지 그럼

    • @user-ys1qm8fd2g
      @user-ys1qm8fd2g Місяць тому +2

      조합원 안되고 새집 질수 있나요?

    • @Sniper7426
      @Sniper7426 Місяць тому +3

      @@user-ys1qm8fd2g 새집을 왜 지어요.
      재건축 확정되고 집값 뛰면 팔고 튀라는건데.
      팔고 다른 집으로 가라는 거.

    • @user-ys1qm8fd2g
      @user-ys1qm8fd2g Місяць тому +2

      @@Sniper7426 아 그런거였군요 ㅋㅋ
      근데 요즘 재건축확정되도 많이 안 올라요,
      잘 안팔리던 집이 팔리는 정도?

  • @user-ks3nv9hv6z
    @user-ks3nv9hv6z 9 днів тому +2

    조합은 시공사를 절대 이길수 없는구조.. 시간도 돈도

  • @oddscape1
    @oddscape1 16 днів тому +2

    제가 확신하는데, 현재 40층 50층 고층 아파트들 30년 뒤에 다 망함. 설비는 노후되고 산업시스템이 다 바뀔텐데 그때는 재건축을 할 수가 없어요.
    재건축 후 남은 세대를 분양해서 남겨먹는 구조인데 그게 불가능하니 분담금이 집값만큼 들어갈 겁니다. 수백세대 수천세대가 그때되면 같이 움직여질까요. 이미 서구권에서 아파트 단지가 실패하는 사례가 많은데 왜 그걸 답습하는지 모르겠네요

  • @user-ft5mz5gd2j
    @user-ft5mz5gd2j Місяць тому +219

    귀농하면서 GS모듈러주택 고민하고 있었는데...계약하고 저런 식이면 ..누가 저 회사 믿고 계약하나 싶네요..

    • @yoonhyeran9674
      @yoonhyeran9674 Місяць тому +15

      Gs모듈러주택 주택및농막경험없는초짜가만든느낌...이미지도별로

    • @xrp524
      @xrp524 Місяць тому +8

      직접 하는게 죠아요 모듈러도 돈주 먼저 주면 안됌

    • @user-hw6ug4uu5u
      @user-hw6ug4uu5u Місяць тому +21

      Gs건설사는 믿지 마세요
      처음하고는 다릅니다

    • @user-qv5zq6dw1b
      @user-qv5zq6dw1b Місяць тому +13

      Gs는 쳐다보 보기 싫어지네요
      양아치.갑질 .횡포

    • @user-qw6pc4of6v
      @user-qw6pc4of6v Місяць тому +6

      건설사와 계약하는 순간 을의 위치가되어 집안이 망하는 수가있습니다

  • @user-fe5vz6hz9q
    @user-fe5vz6hz9q Місяць тому +151

    하나만 물읍시다
    우리나라 대한민국 법 보다
    건설사가 더 위에 있나요?
    GS건설이 이렇게 대놓고 계약서를 무시한체 갑질하는데
    우리같은 서민은 당해야만 하는가요
    누구히나 죽으면 그때서야 정상으로 돌아갈까요
    이럴거면 집 돌려주세요
    부탁합니다 GS건설 회장님
    재계발 안해도 괜찮으니깐
    그냥 원래살던 내집 돌려주세요

    • @user-pp6pt8yh4w
      @user-pp6pt8yh4w Місяць тому +36

      이게 최악인게 뭐냐하면 공사비가 더 필요하면 건설사들이 공사를 안하고 작업을 스톱합니다. 공사가 안되면 누가 손해일까요? 건설사? 조합원?? 완전 울며 겨자먹기로 조합원이 계속 질질 개처럼 끌려다니는 구조에요. 최악이죠. 돈없어서 공사 못하겠다고 한다니까요 하하 참 어이없어서

    • @MINSEOBLEE
      @MINSEOBLEE Місяць тому +3

      ​@@user-pp6pt8yh4w차라리 ㄹㅇ 배째서 시공사+시행사 터트리고 LH한테 시공완료 혹은 환급 받는게 베스트긴 합니다만 그 기간이 길다보니 법적공방하는게 쉽지않죠;

    • @user-kw9ys7ru9v
      @user-kw9ys7ru9v Місяць тому +10

      @@MINSEOBLEE 이건 뭔 개소리야 lh 가 뜬금없이 왜나오고 환급을 왜해줌? ㅋㅋ

    • @4k084
      @4k084 Місяць тому +5

      완공이 되면 공사지연비 받을수 있죠...허나 저렇게되면 시공사는공사를 안하죠....시공사한번 바뀌면 그땐 헬임...

    • @user-xs9hv4hd3e
      @user-xs9hv4hd3e Місяць тому

      @@user-kw9ys7ru9v 돈이 어디 적립돼있는줄 아나봄 이미 운영비로 다쑤고 없는돈을 누가 환급해준담

  • @user-zg2sf9ok3d
    @user-zg2sf9ok3d Місяць тому +6

    인터뷰하신분들은 조합장 몰아내는데 일조 하지 않았나요? 애초에그냥 시공했으면 조금 손해보고 벌써 완공되고도 남았겠다

  • @hl5102
    @hl5102 16 днів тому +2

    주공 아파트 원주민들이 무슨 돈이 있어서 늘어난 공사비를 부담하겠나...이제는 자산 없고 입지 않좋은 곳은 아예 재건축 말도 못 꺼낼 것....결국엔 서울 일부 지역 외엔 아무도 재건축 못합니다...재건축도 양극화의 시대입니다...ㅋ

  • @user-fl6nu3in9x
    @user-fl6nu3in9x Місяць тому +4

    재건축 관련법부터 싸그리 바꿔야 합니다

  • @user-ew4qc8gn5l
    @user-ew4qc8gn5l Місяць тому +144

    옛날에도 많이 있었던 일인데.. 저러다 땅 다뺏기고 다른재산까지 압류 경매 넘김.. 조합원 죄다 신용불량됨

    • @yaletowngirl
      @yaletowngirl Місяць тому +6

      후덜덜...

    • @user-cj4fy3yx4t
      @user-cj4fy3yx4t Місяць тому +4

      트리마제인가요

    • @user-bq5zp5wb9g
      @user-bq5zp5wb9g Місяць тому

      @@yaletowngirl 첼리투스? 비슷한 이름인데...분담금 안내신 분들 자살도 많이 했음.

    • @lee-qk6ez
      @lee-qk6ez Місяць тому +2

      트리마제는 그나마 재개발인데 저기 평내는 재건축
      아마 둔촌도 살려줬으니하는 맘도 있었으나 둔촌은 대마불사에 메이저 컨소시엄 건설사
      저기는 지주택으로 노터리어스?하다고하는 ㅅㅓ@니 고양이 앞에 생선준 격

  • @balmerjk8115
    @balmerjk8115 Місяць тому +23

    나이가 들고 보니
    은퇴 시점이 되고
    중요한건 현금이고
    두다리 뻗고 잘수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집은 좋지 않아도
    근심걱정 없이 살아야 할것 같습니다.

  • @user-yu3jy3lh9s
    @user-yu3jy3lh9s Місяць тому +5

    재건축한다고 조합설립 할때 상식이 있는사람들은 집팔고 다른곳으로 준공된 아파트 입주한다
    대한민국 지금도 진행되는 추가 분담금 으로 갈등 시작된다고봐야
    문법갇고 원주민 속이는지 잘보고
    결정 할일이다

    • @lazycat4725
      @lazycat4725 Місяць тому

      저희 아파트가 30년 되어 가는데
      재건축 얘기 나오면 말씀하신대로 할려고 합니다.
      가까이에서 진행되는거 보니, 전 골치 아파서 그 드센사람들 틈에서 못견디겠더군요.

  • @user-zl6kv8nn5k
    @user-zl6kv8nn5k Місяць тому +3

    분담금폭탄에 조합원들은 집에 들어가보지도 못하고 집이 공중분해 하게 되었어요..gs는물가상승비에 입각하여 상승시키고 원안은 원래대로 빨리 착공하라

  • @user-zw5sj4eu6j
    @user-zw5sj4eu6j Місяць тому +123

    시청하다가 답답해서 이렇게 짧은 글 남기고 가요...
    아파트 팀장 단가가 28이에요
    그리고 불법 외국인 노동자 단가가 18.5에요...
    지금 우리나라 대형 건설사 하도급 또 하도급 그분들 말은 다 거짓인듯합니다

    • @user-yw8ns2ww2u
      @user-yw8ns2ww2u Місяць тому +7

      세계최고 외국인 놀이터.
      돈버는데 한국이최고.역으로 한국이 봉이지~~~~~.

    • @worldcoingogo
      @worldcoingogo Місяць тому +4

      아니지 법적으로 정해진 최저단가가 있음(매년갱신 찾아보면 나옴) 건설사는 저기 나온 임금 비용을 주지만 하청에 하청으로 내려가면서 흔히말하는 똥떼기를 하는거지

  • @user-ch2my9ud5i
    @user-ch2my9ud5i Місяць тому +21

    검단자이 손실분까지
    다른 재건축,재개발 사업장에
    공사비인상비에 포함시키는 듯.

  • @mintgreen2863
    @mintgreen2863 Місяць тому +5

    그냥 돈 많이 벌어서 다 지어진 아파트 들어가는게 낫다. 그게 아니라면 그냥.... 그대로 살거나 전,월세 사는게 분수에 맞는거다.

  • @user-kl9kl5ry9f
    @user-kl9kl5ry9f Місяць тому +5

    빨리 건축하지 않으려면 원상태 복구하라. 거기 살때가 행복했었다. 추억이 깃든 집..

  • @user-my6gq5zf8h
    @user-my6gq5zf8h Місяць тому +82

    첫번째 현장은 GS네요.
    계약서가 백지화 되면 앞으로는 어떻게 계약이란 걸 하죠?
    앞으로 GS와 계약하려는 곳은 생각을 바꾸시는 게 좋겠습니다

    • @serpent977e
      @serpent977e Місяць тому +2

      영업정지 먹은 곳과 계약 맺을 곳이 있을까....

  • @sosohanlove
    @sosohanlove Місяць тому +39

    시공사들에게 법적 책임을 물어야 합니다.

    • @user-fjsrt
      @user-fjsrt Місяць тому

      묻는다고 해서 공짜로 아파트를 지을 수는 없을걸?

    • @ljspack
      @ljspack Місяць тому +2

      시공사가 법적 대응하면 조합원 승산없어요. 이게 현실이에요

  • @MUGUNJI
    @MUGUNJI Місяць тому +6

    인구 뻥튀기되던 시기에나 로또지
    자살자는 폭증하고 출산률은 0.6인 지금은
    그냥 폰지사기밖에 안되는거 😅

  • @stickyricecake8967
    @stickyricecake8967 Місяць тому +6

    재건축은 포기하고 그냥 보강공사해서 쭉 살아야.....

  • @user-yi6pl7li8m
    @user-yi6pl7li8m Місяць тому +112

    몇년전에도 재건축조합아파트(지주택)는 원수에게 추천해준다고 했었는데...
    역시 후분양이 답이군요. -수정 -

    • @hajunho4168
      @hajunho4168 Місяць тому +13

      그건 지주택이죠

    • @samy5930
      @samy5930 Місяць тому +1

      @@hajunho4168 ㅋㅋㅋㅋ

    • @narodo_ro
      @narodo_ro Місяць тому +2

      @@hajunho4168 ㅋㅋㅋㅋ 너무 화내지 마세요

    • @G2_man
      @G2_man Місяць тому +4

      지역주택조합 아파트랑 헷갈리나 본데,,
      일반 새아파트의 95%는 조합(기존 땅,집주인들)이 결성되어 만들어집니다
      그냥 '조합'이라는 단어가 들어간다고 지주택이랑 헷갈리면 무식이소리 들음

    • @freehwan
      @freehwan Місяць тому +2

      그건 지주택 지역주택조합 얘기하는거임

  • @user-li5rf3if5v
    @user-li5rf3if5v Місяць тому +6

    온가족이 다 길거리로 나앉게 생겼네요ㅜㅜ 이런 억울한 일이 tv에서만 있는 일인줄 알았는데... 제발 도와주세요 제대로 알려서 저희의 억울함을 풀어주세요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