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펜하우어와 니체는 불교를 얼마나 이해했을까?(통합 버전)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6 лют 2025
  • 이번 영상은 기존에 업로드 했던 "쇼펜하우어와 불교", 그리고 "니체와 불교"를 통합한 것입니다. 그러니 시청하실 때 참고해주시기 바라며, 쇼펜하우어가 이해한 불교와 니체가 이해한 불교가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바라겠습니다.

КОМЕНТАРІ • 59

  • @지혜의빛
    @지혜의빛  8 днів тому +48

    쇼펜하우어가 말하길 모든 진실은 다음의 세 번의 과정을 거친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조롱당하며 다음으로 극심한 반대에 부딪치고 끝으로는 자명한 진실로 받아들여진다.”
    니체는 쇼펜하우어의 철학에 영향을 받았으며, 자신의 철학이 자기 시대에 이해되기는 어려울 것이라 말한 바 있는데요, 이들과 달리 살아생전 붓다(깨달음을 얻은 자)로 존경을 받았던 싯다르타는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무지를 깨치는 순간 진리를 본다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쇼펜하우어와 니체 모두 불교를 염세주의로 오해한 채 영향을 받으며 자기의 철학을 형성했죠. 여러분은 이 영상을 통해서 붓다, 쇼펜하우어, 니체의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이해를 비교해보시기 바라며, 여러분에게 가장 끌리는 사상은 무엇인지도 한번 살펴보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저는 다음 시간에 “인도철학 입문”이라는 강의 영상으로 인사드리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받으세요~!

    • @DaraminDalsu
      @DaraminDalsu 7 днів тому +7

      쇼펜하우어와 니체는 왜 불교를 염세적으로 해석했을까요? 결국 철학자들도 자신의 기질이나 성향, 혹은 몸의 상태 등에 영향을 받을수밖에 없는가 싶기도 해요. 다시 하나하나 깊이 음미해 보면서 비교해 보고 나는 무엇에 가장 영향을 받는가도 생각해 볼게요, 철학공부는 이래서 좋은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sharonjo8787
      @sharonjo8787 6 днів тому +4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언제나 지혜의 빛을 밝혀주세요~

    • @klogos2282
      @klogos2282 6 днів тому +4

      조롱-반대-진실의 과정을 말하는 쇼펜하우어의 이 말은 자기 인생에 대해 이야기 한 것으로도 보이네요. 헤겔의 인기에 밀려 괴로워 했던 쇼펜하우어는 자기 철학에 반대하는 이들을 지켜보면서도 버텼고 끝내 인생 말년에 영국에서 인정받아 인기를 누리게 되었으니까요. 염세주의 철학을 추구했지만 적극적인 자세로 살았던 쇼펜하우어의 삶이 인상적입니다.

  • @hsoul3662
    @hsoul3662 7 днів тому +22

    초기불교에 관심이 많은 사람으로서, 40여분이 짧게 느껴질 정도로 흥미롭게 시청했습니다.
    최근들어 불교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비유와 방편적인 설명에 의지하는 채널과,
    붓다의 신성과 종교성을 바탕으로 극단에 치우친 견해를 내세우며, 마치 이것이 불교의 전부인 것마냥 표현하는 채널들에 대한 아쉬움이 늘어가던 중
    선생님을 만나게 된 것은 큰 행운인 것 같습니다.
    또한, 저서 및 출처 논문을 항상 남겨주셔서 홀로 공부하는 입장에서는 큰 도움이 됩니다.
    오랫동안 뵐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선생님께 평안한 마음이 머물기 바라며,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 @젱여
      @젱여 7 днів тому +6

      멋진글이네요

    • @김미숙-n7b1l
      @김미숙-n7b1l 5 днів тому +2

      아이디가 참멋지네요 젱여​@@젱여

    • @user77584
      @user77584 День тому

      혹시 김성철 교수님의 강의 시리즈 안 보셨다면 강추합니다. 불교계 최고의 석학 중 한 분이셨고 불경에 기반해 명료하게 설명해주셔 제 불교 공부에 너무나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그분 강의를 들은 후에 유투브에 난무하는 불교 채널들을 제대로 가려 볼 수 있는 기준을 갖게 됐습니다ㅡ 🙏

  • @dhapj910
    @dhapj910 8 днів тому +46

    나만의 비밀 선생님이셨는데 이젠 너무 유명해져버렸어..

  • @남경랑-y8e
    @남경랑-y8e 3 дні тому +3

    젊은이가 대단합니다. 훌륭한 해석으로 깔끔하게 정리해 준 강의 잘봤습니다.

  • @당단테37
    @당단테37 7 днів тому +13

    고퀄리티한 인문철학강의를 꽁으로 들을수있어 넘 고맙습니다😊

  • @이영수-w9o
    @이영수-w9o 7 днів тому +12

    감사합니다.

  • @영주조-l9o
    @영주조-l9o 5 днів тому +4

    교수님 강의는 살아있는 부처님 말씀 최고입니다 🎉

  • @pillar-of-tin
    @pillar-of-tin 4 дні тому +4

    대중을 위한 강의 언제나 감사합니다^^

  • @gangwn7362
    @gangwn7362 5 днів тому +3

    정말 대단한 강의네요. 정말 감사드립니다. 명확하게 차이점을 짚어주시니 제가 그동안 얼마나 무지하게 불교를 생각하고 있었나를 되새기게 되네요. 감사드립니다.

  • @행복이하루
    @행복이하루 7 днів тому +6

    훌륭한 강의 감사합니다.

  • @심보경-c2w
    @심보경-c2w 8 днів тому +10

    늘 세상과 나에 대한 깊은 이해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올해도 건강하시고 정진하십시오. 혹여 가능하다면 금강경 해설도 부탁드려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교수님

  • @cfan0026
    @cfan0026 8 днів тому +5

    항상 감사히 보고 있습니다
    오래된 사진속 고운 부모님의 모습과,
    지금 저의 눈앞에 더없이 아름다운 꽃들을 보며 제행무상의 슬픔을 느낍니다~
    생자필멸의 진리속에서 삶의 의미를 찾는것은 참 어렵게 느껴집니다
    지혜의 빛님의 불교철학 강의를 들으며 아주 작으나마 진리를 깨닫고 큰 위로를 받습니다

  • @바코드-p1m
    @바코드-p1m 8 днів тому +12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갈대-r7p
    @갈대-r7p 6 днів тому +3

    이 채널은 확실히 보편적 철학이 중심이 되는 것 같아요.
    같은 영상도 몇 번씩 돌려보고 하는데 항상 감사합니다.

  • @rokman5031
    @rokman5031 5 днів тому +3

    선생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채널도 더욱 성장하길 바랍니다.

  • @영주조-l9o
    @영주조-l9o 5 днів тому +2

    강의 정말 최고입니다 🎉

  • @junks6340
    @junks6340 8 днів тому +5

    쇼펜하우어와 불교,니체와 불교의 비교하여 쉽고 간략하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고밀츄-n1w
    @고밀츄-n1w 8 днів тому +5

    덕분에 평소 궁금했던 주제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이상해-d2c
    @이상해-d2c 4 дні тому +2

    이런 통합본 좋네요. 재밌게 봤습니다~

  • @Crystal-ho7so
    @Crystal-ho7so 8 днів тому +5

    올려주시는 영상들 항상 감사한 마음으로 시청하고 있습니다🙂🔥👍
    2025년 을사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halomode
    @halomode 6 днів тому +2

    와 정말 대단하세요. 불자인데, 선생님보다 불교의 본질에 대해 상세하고도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실 스님이나 불교학자가 몇 분이나 될까 싶어, 요즘 주변 불자들에게도 이 채널 소개 많이 하고 있습니다. 귀한 가르침 정말 감사하고, 하시는 일 더욱 번창하길 기원합니다🙏🏻 암요 이렇게 제대로 공부하고 가르쳐주시는 분이 돈 많이 벌으셔야해요ㅎㅎ

    • @halomode
      @halomode 6 днів тому +2

      유식불교, 특히 아뢰야식에 대해 관심이 많지만 너무 어렵던데, 강의 기대하고 있을게요👍🏻

  • @문세영-x4z
    @문세영-x4z 7 днів тому +6

    47:40 초가 너무나 행복한 시간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연강-w2x
    @연강-w2x 6 днів тому +2

    나이스 가이! 유익한 영상 강의 감사합니다
    (나이스 샷) 이 뭐꼬 이대로 저 뭐꼬 저대로 다 뭐꼬 그대로 반반하고 성스럽게 예술에 흠뻑 젖어본다 가즈앗, 고고~~!😮😮

  • @이용준-w5d
    @이용준-w5d 8 днів тому +6

    잘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gimgankoomg4168
    @gimgankoomg4168 7 днів тому +3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오해로 한국인도 불교를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고 나도 그랬던 것 같음. 하지만 이런 영상이나 글을 보면 점점 불교의 깊은 본질을 알게 되는 거 같아서 좋음. 다만 불교는 너무 엄격한 듯해서 산뜻한 장자가 더 끌리는데 노장 영상도 더 올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djknbihjo
    @djknbihjo 8 днів тому +5

    재미있네요. 영상 잘 봤습니다!

  • @도른자-b2i
    @도른자-b2i 8 днів тому +5

    불교 유식학파 이야기는 언제 해주시나요? 기다리다 지쳐 쓰러질것같아요🤪 수준 높은 강의 정말 감사드립니다~

  • @YHO-kg9ug
    @YHO-kg9ug 8 днів тому +5

    감사해요.

  • @낮과밤이행복하기를
    @낮과밤이행복하기를 8 днів тому +4

    감사합니다

  • @lomica
    @lomica 7 днів тому +4

    감사요

  • @mrzero7439
    @mrzero7439 8 днів тому +4

    재밌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srlee1739
    @srlee1739 8 днів тому +3

    인공지능은 결코 인간이 될 수도 없고, 인간이 되고 싶어 하지도 않습니다. 그 자체로 약점 많은 인간을 넘어서서, 인간은 가질 수 없고 될 수 없는 인식 체계와 물리적 현상 체계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 @yesno9065
    @yesno9065 7 днів тому +3

    니체도 초기에는 쇼펜하우어에 의해 불교를 이해했고 그의 방식에 감탄을 했으나, 나중에는 그와는 확연히 다른 방법으로 불교를 풀이했다고 합니다.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니체의 의지는 서로 방향이 다르게 된 계기라고 이해하고 있답니다.

  • @뇌초롱
    @뇌초롱 7 днів тому +5

    훌륭한 영상 🎉
    갈애(탐진치3독)

  • @김시녕-l4r
    @김시녕-l4r 7 днів тому +3

  • @dnfkxpddl
    @dnfkxpddl 7 днів тому +2

    깨달으면 모든걸 이해할수 있습니다 깨달음 이란 의식이 만드는 환상에서 벋어나는 것인데 일종의 꿈과 비슷합니다 꿈을 꾸면 공간이 생기고 세상이 나타나고 남과 내가 나타나고 그중 하나의 개체를 나라고 인식하면서 꿈을 경험하는데 꿈 전체를 움직이는 의식이 있고 그 꿈 전체를 보고 있는 주시자가 있고 케릭터가 경험하는 경험이 있고 실제 꿈꾸는 내가 있고 어떤게 진짜 나 일까요 ㅎㅎㅎㅎㅎ
    진짜꿈꾸는 나는 그때는 없습니다 물론 옆에서 지켜보는 사람이 있었다고 하지만 그건 그사람 꿈속의 일이지 또 다른 사람도 마찬가지고
    정리하자면 신이 꾸는 꿈속에 케릭터 들이 다시 자기의 꿈을 꾸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 모든게 하나의 마음이 만들어 내는 허상이지만 그래서 색즉시공 공즉시색 현상은 일어나지만 영화처럼 흔적도 남지 않습니다 모든 생명을 가진 이들은 이런식의 경험을 합니다 인간은 인간으로서 정보를 받고 해석하고 저정하고 동물은 동물들 조건으로 그런 과정을 거치고 무생물 역시 의식으로서 마음이 만들어 내는 의식일 뿐입니다
    이걸 글로쓰면 끝도없고 설명도 이해도 불가합니다 체험을 하게돼면 체험한 사람끼리는 어느정도 이해 할수있고 산에 등산하면 길은 다 달라독 정상은 하나이듯 깨달은 사람이 말하는 종착지는 항상 똑 같습니다.

  • @jaewonkim7535
    @jaewonkim7535 6 днів тому +2

    퀄리티 좋다..

  • @송승준-o5g
    @송승준-o5g 4 дні тому +1

    불교에 연기법과 인과론에 우선하는것은 공의 사상이다 무의사상을 기본으로 연기를 보면 쇼펜하우어의 시간은 매우 적절한다 공과무는 허무주의와 어둠이 아니라는것부터 공부가되어야합니다

  • @SHKim-uv4wo
    @SHKim-uv4wo 6 днів тому +1

    천만에... 모든 인간들이 같은 시대와 시간에 사는 것이 아니라 과거에 사는 사람들이 너무도 많습니다. 초등과 중등때 인지한 역사관과 세계관으로 ...

  • @BSA21M
    @BSA21M 7 днів тому +1

    예수, 부처, 장자의 가르침은 큰 틀에서 보면 일맥상통한 것 같습니다. 행복하려면 마음편안히 하고 에고 낮춰라, 자신의 욕망에 과몰입하지 말고 주변돕고 사랑해라 등등 현대뇌과학이 밝혀낸 것들과 유사한 점이 많은 것 같아요.
    쇼펜하우어는 최초의 진화심리학자 같고,
    니체는 약간 동기부여 강사나 진격의 거인 에렌 흑화버전 같네요.

    • @자연스럽게-p8o
      @자연스럽게-p8o 6 днів тому +1

      예수는 뭘 깨달았나요?
      사랑하라, 우애있게 살아라 ... 이런 말은 조폭들도 할 수 있는 말인데요.

  • @김승민-n9h
    @김승민-n9h 7 днів тому +2

    니체는 위로, 석가는 앞으로, 하우어는 뒤로~

  • @sunj2460
    @sunj2460 7 днів тому +1

    조금만 더 천천히 이야기 해주세요 음미하면서 편하게 감상하게요

  • @브루터스-p5l
    @브루터스-p5l 4 дні тому +1

    니체와 싯다르타는 전혀 다르다.니체는 기본적으로 죽으면 끝이고 살았을 때 힘을 가지고 비굴하게 살지말자는 것이다.본인 자신은 말년에 정신병까지겹쳐 비참하게 살았다.싯다르타가 형이상학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도 사실과 다르다.불교핵심사상인 윤회와 업 자체가 형이상학적인 개념이다.

  • @곡온
    @곡온 7 днів тому +2

    존재의 실상 즉 참나를 깨닫지 못한 사람의 이론은
    설령 진리에 근접했다해도
    지식과 생각으로 헤아리는 그저 탁상공론일 뿐.
    깨달음이 그래서 그만큼 소중하고 귀한 것.
    깨달음을 얻어야사 본래 나고죽음도 없고 시공간도 없고
    과거현재미래도 없고 나도없고너도없고 부처도 없고 절대한 존재도 없고
    백뱅도 없단걸 알게되지만
    없는 그자리에서 인연인과에 따라 모든게 세상밖으로 나타난것 알게되리
    깨닫지 못하면 당연히 생사도 있을뿐더러 일체에 휘둘림이 생기는것.
    시간은 빛처럼 흐르고 죽음의 시간은 자꾸만 다가온다
    귀한 사람몸 받았을때 반드시 참나를 깨달아야 한다.
    즉 자신의 마음을 깨달아야 함
    그리하면
    모든의문, 존재에 대한 허망함이 해결되므로서 깨달음 이후의 삶은 희망과 빛만이 있을뿐
    부처님 깨달음법을 의지해서 수행하고 또 수행합시다

    • @자연스럽게-p8o
      @자연스럽게-p8o 6 днів тому

      없는 그자리에서 무슨 이유로 모든게 나오나요? 설명할 자신 있어요?
      대승불교의 아버지 용수보살은 궁녀를 강간한 힌두교성자라는 말이 있던데...

  • @문상호-s3n
    @문상호-s3n 8 днів тому +1

    칸트는 영국의 경험론과 대륙의 합리론을 종합했다.
    칸트의 관념론
    헤겔철학에서 근대철학이 끝이났다.
    헤겔철학의 안티테제로서 '실존철학과 유물론'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칼 맑스는 '헤겔은 물구나무를 서서 세상을 바라보고 있다'라고 비판을 하고 있다.
    나의 생각이지만 서양철학은 '존재와 무'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 @화타-m2i
      @화타-m2i 8 днів тому

      칸트의 할아버지가 아들 즉 칸트의 아빠를 데리고 스코틀랜드에서 독일로 이주하여 '조센징' 취급받듯 살다가 하늘의 뜻이었는지 칸트를 낳았기에 칸트의 아빠는 재일교포들이 일본에서 살아남기 위해 똥지게를 지는 걸 마다하지 않았듯 칸트의 교육에 올인했었다고 하데요^^
      칸트의 종합철학 정신은, 칸트의 가족들이 독일에서 살아남기 위해 벌인 생존 기술을 순한 맛으로 표현한 '채식주의자의 칸트버젼'이었을 거로 추정됩니다 ^🤗^

  • @기분딱-o5m
    @기분딱-o5m 16 годин тому

    예수쟁이들이 싫어할 영상이네요.

  • @조은나라-r9n
    @조은나라-r9n 3 дні тому +1

    시간은 존재하지않고...의식의 변화때문에 흐르는 것으로 착각할뿐

  • @rapha1001
    @rapha1001 7 днів тому +3

    Great

  • @김도형-b9i
    @김도형-b9i 7 днів тому +4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