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 Catch] Climate Crisis hits the Earth, Reason to pay attention to Blue Carbon 'Tidal Flat'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236

  • @SeoulNationalUniversity
    @SeoulNationalUniversity  2 роки тому +30

    ※ 특정인물 비하, 단순 비난, 차별적 발언, 원색적인 욕설 등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댓글은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함께 행복한 댓글 문화를 만듭니다.
    ⏰타임라인
    00:00 오프닝
    00:25 기후 위기, 한국은 더 위험하다?
    02:02 바다가 탄소를 흡수한다? 블루카본
    04:08 우리나라에도 블루카본이 있다?
    06:10 우리가 몰랐던 갯벌의 특별함
    07:48 우리나라 갯벌이 위험하다?
    09:24 갯벌이 블루카본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 @migik3241
      @migik3241 Рік тому

      전요 서울대 신뢰하지 않아요
      친중매국노 오세정총장을 그대로 두고
      독재자 시진핑 자료실 폐지못하는 반인권
      지성들은 이미 반지성이고 독재권력화된
      반인권 집단입니다 서울대 폐쇄하세요

    • @예수-j1q
      @예수-j1q Рік тому +1

      서울대는 정순심아들 20학번 장윤성을 학폭으로 퇴학하라

    • @amomaldaejanchi7651
      @amomaldaejanchi7651 10 місяців тому

      서울대가 어떻게 이렇게 병신이 됐을까? 기후변화 사기 쇼에 교수가 앞잡이가 되서 대중을 호도하네

  • @sylviap6494
    @sylviap6494 Рік тому +32

    세계 5대 갯벌에 우리나라가 있다니 경이롭습니다.
    경제와 식량문제를 위하여 간척사업을 시도했던
    기업인들은 결국 환경파괴를 시도했던 것이라 이해됩니다.
    역시 전문가들을 통한 교육만이 국민의 의식수준을
    업그레이드 시킬수 있다는 것을 새삼 깨닫습니다.
    김종성교수님의 말씀을 통해...
    더욱더 건강한 환경을 위한 인류의 근본적인 실천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 @inhakwon6486
    @inhakwon6486 2 роки тому +125

    세계적인 우리나라 갯벌의 중요성이 널리 널리 알려져 국제적으로 블루카본흡수원으로 인정받기를 바랍니다! 김종성 교수님 응원합니다!!

  • @azk7763
    @azk7763 2 роки тому +37

    대중들도 이해하기 쉽게 말씀 해주셔서 영상 보기 편안했습니다.
    우리나라 간척사업으로 사라진 갯벌들이 아쉽긴 하지만 지금 있는 갯벌이라도 잘 보존하고 활용 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

  • @cindykim8320
    @cindykim8320 2 роки тому +41

    최근 일상에서 벌어지는 기후 변화를 통해서 정말 큰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는데, 해양환경 개선을 통해서 조금이나마 대비가 되면 좋겠습니다. 귀에 쏙쏙 들어오는 훌륭한 영상을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hs5k602
    @hs5k602 2 роки тому +63

    몰랐던 갯벌의 가치에 대해서 쉽게 설명해주셔서 다시 한번 갯벌의 중요성을 배워갑니다. 갯벌이 잘 보전이 되었으면 합니다.

  • @박신영-f8u
    @박신영-f8u 2 роки тому +54

    요즘 기후위기와 관련된 여러 이슈를 접하게 되면서 탄소중립을 위한 탄소 감축의 중요성을 느끼고 있는데요. 그런 와중에 이 영상을 보게 되었고 그동안 잘 몰랐던 바다와 갯벌의 역할에 대해 많은 것을 알아갑니다. 이미 간척된 갯벌은 너무 아쉽지만 저도 앞으로 이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져야겠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이상규-r7z
      @이상규-r7z Рік тому +1

      잘 모르는 소리입니다
      탄소중립은 결국 탄소새를 신실하여 돈을 갈취하고 농민들이 앞으로 비료를 사용하지 못하게 유도하여 생산량도 대폭 줄여서 빌개이츠같은 자가 가짜백신보다 더 위험한ㅇ인공육장사를 하기위해 여건을 조성하는짓입니다 세계인구도ㅇ대폭 학살 감축

  • @LewisKang-su7zl
    @LewisKang-su7zl Рік тому +13

    일반인으로서 서울대학교 교수님들의 큰 가르침이 사회에 등불이 되어주신 다는 사실을 기억해주시고 사회적 자본으로 누구나 누리기를 기원하고 응원합니다❤

  • @jesusforan
    @jesusforan 2 роки тому +11

    김종성 교수님을 응원합니다.

  • @johnlee4302
    @johnlee4302 2 роки тому +7

    묵묵히 자기 가치관을 엮어 가시는 모습이 참으로 존경 스럽습니다, 건승 하세요

  • @archievepalm6844
    @archievepalm6844 2 роки тому +9

    더 주목받아야하는 내용인데...알고리즘의 간택을 응원합니다

  • @mijukim2000
    @mijukim2000 2 роки тому +9

    재밌기도 하고 유익하기도 한 영상 잘 봤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miahgo6606
    @miahgo6606 Рік тому +6

    훌륭하신 분이네요..!

  • @애애애애-f8i
    @애애애애-f8i 2 роки тому +9

    자기소개하실때 공부하고있는으로 소개하시는교수님.. 역시 배움에는 끝이없는가봅니다 오늘도 공부하러갑니다

  • @노양래-q8i
    @노양래-q8i 2 роки тому +51

    갯벌의 중요성이 서서히 밝혀지면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지금 우리나라의 갯벌이 빨리 세계적인 블루카본 흡수원으로 인정받기를 응원합니다!!

  • @sna-vi9nb
    @sna-vi9nb Рік тому +5

    각종 기후위기, 지구열대화 영상들속에 다소나마 희망섞인 우리나라 갯벌의 가치에 대한 일설을 접해서 한숨 쉬어가네요. 아무쪼록 더 극악한 지구위기가 도래하기전 탄소중립을 현실화 해야겠습니다.

  • @grassleafdew1525
    @grassleafdew1525 2 роки тому +11

    갯벌이 탄소를 흡수한다는 걸 이제 알았어요 기후변화 때문에 모두가 힘든데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hyeong-gikim8208
    @hyeong-gikim8208 2 роки тому +31

    갯벌의 가치와 중요성이 이 영상을 통해 널리 알려졌으면 좋겠습니다.👍

  • @서우성-w1b
    @서우성-w1b 2 роки тому +34

    세계적으로 봤을 때도 우리나라가 기후변화에 더 취약한만큼 탄소중립을 위해서 더 많은 사람들이 이 영상을 보고 갯벌에 관심을 가져주기를 바랍니다

  • @이청재-g7n
    @이청재-g7n 2 роки тому +20

    정치, 외교적 지원이 매우 중요하겠네요ㅠㅠ 이 영상으로 현 기후변화에 의한 심각한 현상, 갯벌의 가치가 대중들에게 더 가까이 인식되길 바랍니다.

    • @엘상산시리즈
      @엘상산시리즈 Рік тому +1

      정치권 집권층 주류들이 생명감성 결핍자들이 많아서 문제가 큽니다.. 믿을 수도 없고..

  • @changkeunlee9278
    @changkeunlee9278 2 роки тому +15

    흔히 볼 수 있던 갯벌이 이렇게 중요한 가치를 지녔는지 몰랐네요~ 앞으로 잘 보존해야겠습니다!

  • @Picasso8907
    @Picasso8907 Рік тому +5

    너무 박학다식하신 김종성 교수님 화이팅!!!🎉🎉

  • @Lara-ul9qb
    @Lara-ul9qb 2 роки тому +4

    환경에 관심이 많아서 이런저런 다큐를 많이 보고, 갯벌에 대한 것도 몇 가지 봤는데 이 강의도 새로운 내용을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당연히 구독을 했고 앞으로도 자주 들어와서 보겠습니다.

  • @써나-y3e
    @써나-y3e 2 роки тому +10

    안타깝습니다
    저는 남해안 섬 에서 자랏어요
    오래전 태안반도 매립때 너무 속상햇습니다.제 가방끈이 짧아 지식은 없지만 저는 국토는 생긴대로 두는게 가장 좋다는 생각입니다
    인위적으로 편리성에 따라 바꾼다면 자연의 조화에 역행하는 거죠
    불편하지만 자연에 순응하는것 그게 가장 좋다 생각합니다 해저터널도 불안합니다 ㅜㅜ

    • @어니스트-g7n
      @어니스트-g7n Рік тому

      가방끈긴것들이 세상을 망가트리고있음 가방 끈잛은것이 영광

  • @올롤로-q4i
    @올롤로-q4i 2 роки тому +11

    전 문과생인데도 불구하고 이해가 잘되네요! 쉽게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엘상산시리즈
      @엘상산시리즈 Рік тому

      문과 ? 문학. 역사. 철학은 모두 자연과 더불어 살아왔던 조상들에 의하여 태동하고 발달한 분야입니다.. 공무도하가. 강호사시사.
      사모곡.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관동별곡. 어부사. 등의 문학작품의 배경이 산. 강. 바다 등입니다.. 참고로 필자는 65 / 35의 이과 출신입니다.. 의무병으로 병장전역한 사람이죠..

  • @꽃길모란
    @꽃길모란 2 роки тому +11

    큰일 이네요~~무섭습니다~

  • @김은영-g7c7n
    @김은영-g7c7n Рік тому +5

    이문제가 방송에 많이 나오고 정당에서도 이슈가 되어서 빨리 국가적으로 한반도의 위기 대처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 @kitaekwon8261
    @kitaekwon8261 Рік тому

    이런 귀중한 연구를 해내는 서울대학교, 사랑스럽고 자랑스럽습니다.

  • @김범기-b2r
    @김범기-b2r 2 роки тому +15

    우리나라 갯벌의 중요성이 전세계로 알려져 블루카본으로 인정받기를 바랍니다!

    • @차애다-z7v
      @차애다-z7v 2 роки тому

      갯벌은 아주 오랜시간 에 걸쳐 만들어지고 아주 중요한 것인데
      생각없이 땅 조금 넓힌다고 하루 아침에 없애 버린다고 남편이 몇십년전부터 속상해 하더라구요

  • @장미-q8j
    @장미-q8j 2 роки тому +4

    중요한 자원가치입니다

  • @영국풍경
    @영국풍경 2 роки тому +3

    방송 너무 좋으네요..잘 보고 가면서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 @송희이-n5u
    @송희이-n5u 2 роки тому +14

    지금과 같은 기후변화 시대에 우리나라 갯벌을 더 잘 보존하고 그 가치를 더 많은 사람들이 인식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eales26
    @eales26 2 роки тому +6

    갯벌이 정말 중요하군요 예능이나 찍는곳인줄알앗는데

  • @류윤정-y2s
    @류윤정-y2s 2 роки тому +17

    심각해지는 기후변화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게 하는 한편, 암울해 보이는 상황을 우리와 가까운 곳에서부터 개선할 수 있다는 희망을 주는 영상이었습니다. 모두 노력해서 위기를 극복해나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 @kimseungyeon1161
    @kimseungyeon1161 2 роки тому +17

    이 영상을 통해 갯벌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빠른 시일 내로 갯벌이 IPCC에서 인정하는 탄소 흡수원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mint5657
    @mint5657 Рік тому +3

    그러게요 갯벌이 한국계적최고라건데 아는사람이적어 아는사람만알던얘기.
    갯벌메우는거너무안타까워요

  • @승우강-y6h
    @승우강-y6h Рік тому +9

    새만금 참 어리석은 간척사업이군요

  • @hosangkim6522
    @hosangkim6522 2 роки тому +28

    갯벌은 조개 잡는 곳 이상으로 중요한 역할을 많이 하는 환경이네요 국제 사회에서 갯벌이 블루카본으로 인정 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 @desert-l9d
    @desert-l9d 9 місяців тому

    풍부한 생산성을 가지고 경제적 가치가 큰 갯벌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때인 것 같습니다. 정치적 외교적 지원과 갯벌이 블루카본으로 인정받길 바랍니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lyjysj85
    @lyjysj85 Рік тому +4

    갯벌 중요합니다.

  • @차애다-z7v
    @차애다-z7v 2 роки тому +5

    갯벌은 아주 오랜 시간을 거쳐 만들어지고 엄청 중요하고 귀한것인데
    땅 좀 넓힌다고 하루 아침에 없애 버린다고 남편이 늘 속상하다고 했어요

  • @성공하세요-b1m
    @성공하세요-b1m Рік тому +2

    제방 둑 일자 사선 쌓기후 물결 모양 덧 대기 거리간격 띄어서 삼중 쌓기 하셔야 돼요

  • @김진우-h5r4s
    @김진우-h5r4s 2 роки тому +3

    갯벌의 중요성을 알아가는 영상이었습니다.

  • @이초원-h7h
    @이초원-h7h Рік тому +2

    감사 합니다

  • @bong-ohkwon9401
    @bong-ohkwon9401 2 роки тому +10

    세계적인 대세가 자연기반해법 나아가 해양기반해법입니다. 기후위기시대의 대안인 바다를 지키고 살리는게 중요하겠네요.

  • @Sylvia-cb4bd
    @Sylvia-cb4bd Рік тому +3

    지구환경을 위한 인구감축이 필요합니다

  • @Moon-qd9nr
    @Moon-qd9nr Рік тому +3

    갯벌 폼 미쳤다

  • @esd3311
    @esd3311 Рік тому +5

    갯벌이 이렇게 중요한 거였네요~ 전 세계에서 갯벌이 다섯 군데 뿐이라니
    우리는 서해. 남해 갯벌을 자손들에게 잘 물려 주도록 개발이라는 목적으로
    마구 훼손하지 못하도록 정책을 세워야 하겠다고 봅니다.
    좋은 정보 유익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더욱더
    유익한 정보 기대합니다.

    • @마로니에-m7j
      @마로니에-m7j Рік тому

      그넓은 갯벌을 메꿔버린 새만금은 어리석은 정책이었다

  • @Sang-kyuLee
    @Sang-kyuLee 2 роки тому +20

    우리가 간과하고 있던 갯벌의 가치를 이제야 제대로 알아가는 것 같습니다.

  • @dia4816
    @dia4816 2 роки тому +5

    1.5도 오르는 순간 수직으로 지구 기온이 오른다고 하던데 올해도 천명 가까이 죽어 나가는 나라 있는 걸로 아는데 과연 몇년이나 버텨 낼까

  • @leehc1310
    @leehc1310 Рік тому +3

    기후위기를 언급하는 과학자들이 이야기하는 부분중에 바다에 탄소포화도 때문 인지 무엇 때문인지 바다 온도가 기후위기에 가장중요한 부분인데 . 수온상승으로인해 탄소를 흡수한다는것이 오히려 기후위기를 악화시키는 역할을 하는건아닐까요?

  • @loved80s77
    @loved80s77 Рік тому

    교수님 진짜 멋진분 응원합니다❤

  • @shc1375
    @shc1375 2 роки тому +4

    기후 위기를 통하여 우리 갯벌의 중요성과 가치가 부각되었고 대 국민 홍보가 시급해졌습니다.

  • @바다-e5l
    @바다-e5l Рік тому +3

    김종성교수님 기후변화 참으로무서운변화이군요~~

  • @hwkdev9088
    @hwkdev9088 Рік тому +2

    우리나라 차량등록수만해도 2500만대인데 갯벌 관리 잘해봐야 고작 20만대뿐이라는것이 더 쇼킹.

  • @hyejinny5075
    @hyejinny5075 Рік тому

    너무 좋은 영상이네요!! 갯벌이 이런 가치가 있는지 몰랐네요..!😮

  • @마이티마우스
    @마이티마우스 2 роки тому +4

    자꾸 세계 평균과 비교하는데 당연히 더 많은 데이타평균값이 편차도 적을 테니 일반적으로 편차바이어스가 커져 데이타적은 통계량값이 커지는 건 자연스런 현상이다. 그걸 가지고 다른 지역에 비해 변동성이 더 큰 것처럼 해석하는거야말로 과대평가하는 것 물론 우리나라의 기후변화가 심해지는 건 맞지만 다른 여타지역에 비해 생각만큼 큰 변화는 아니라는 거지

  • @산옥이-k7i
    @산옥이-k7i Рік тому +2

    이것보다 인간정신상태가 더 위험해보이고,
    지진,폭발 났다.이때 인간이 어떠한 형태로 드러날지가 더 무섭네요.

  • @장윤주-j7g
    @장윤주-j7g Рік тому +2

    새삼알게 되는 지식입니다

  • @specideal
    @specideal 2 роки тому +2

    그린란드에 영구동토가 지구온난화로 변화하면 갯벌층 드러나고 형성된다는데 한국의 갯벌 생태를 그린란드에 이식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해보시면 어떠실까 합니다.
    지구온난화로 변화하는 지형과 생태계 그냥 관찰자로써 방치하는게 아니라 적응하고 활용하고 더 나아가 지구온난화를 저감하는 좋은 사례로 남길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 @siren1339
    @siren1339 2 роки тому +8

    새만금만 생각하면 지금도 속이 뒤틀리는 느낌입니다. 이런 생태환경사에 길이길이남을 천치같은 짓을 해놓고 이제와서 국제사회에 갯벌의 가치를 인정해 달라고 하면 그게 설득력이 있겠습니까? 지금도 해수유통을 하니마니 몇년을 싸우고 개발논리에 쩔어있는 나라가 COP에는 나가서 우리 갯벌 인정해달라 합니까? 전 잘 모르겠습니다 교수님, 갯벌은 한국을 위해 18조인지 16조인지만큼의 일을 해줬다지만 한국은 갯벌을 위해 뭘 해줬습니까?

  • @이창헌-m3n
    @이창헌-m3n Рік тому +5

    산업혁명을 주도했던 영국 미국등 선진국에 책임을물어야합니다
    책임과 대안은 없으면서 개발도상국에게 석탄 쓰지말라니 노답입니다

  • @섬줌마라이프
    @섬줌마라이프 Рік тому +1

    저도 임계점 넘었다고 봅니다.
    지금 당장 환경오염을 멈추면 모르겠는데 이미 소비지향적인 문명이 그걸 멈추기가 불가능할것 같네요. 너무 늦었어요. ㅠㅠ

  • @euny1000
    @euny1000 2 роки тому +3

    경제적, 생태적 가치야 더 말할 필요조차 없지만 경관적 측면에서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도 무한대... 영종도 인천공항을 기점으로 한 갯벌체험, 관광상품울 개발하면 엄청난 가치를 창출할 것임.

  • @petersong3092
    @petersong3092 Рік тому +3

    다 죽을지도 몰라요~~ ㅎㅎ 정말 심각하고 이제는 심각한 위기로 넘어가고 있는데 말이죠~~

  • @leelee9092
    @leelee9092 Рік тому +2

    전남 서해안과 남해안의 해안선을 따라 전복먹이용 미역, 다시마와 김 양식장이 많습니다. 그 규모가 가히 갯벌의 크기보다도 엄청날 것 같은데 블루카본으로 인정되지 않을까요?

  • @김수남-t2k
    @김수남-t2k 2 роки тому +5

    우리나라만큼 해산물이 풍부한
    나라가 없습니다.
    굴 새우 게 조개 등 우리는
    풍부한 어족자원을 싼값으로
    섭취할수잏어 행복합니다

    • @릴리애플
      @릴리애플 Рік тому +1

      일본이 오염방사능을 바다에 버려서 일본 때문에 해산물 좋아하는 사람으로써 진짜 화가 치밀어 올라요 ㅠㅠ

  • @정미경-z6x
    @정미경-z6x Рік тому +1

    갯벌을 살려야하는데ㅡㅡㅡ메우고 있ㅇ니ㅠㅠ

  • @changekim2735
    @changekim2735 2 роки тому +4

    과학의 발달로 환경변화의 세부적인 위험요인을 배울수 있어 유익한 프로그램입니다. 환경문제가 당연히 중요합니다. 하지만 제 생각에 최근의 환경이슈는 선진국의 기득권 패권유지 전략의 일환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empowerlee
    @empowerlee 2 роки тому +3

    갯벌을 구현할 수 있을까요?

  • @sujeongyoon7036
    @sujeongyoon7036 Рік тому +1

    그런 갯벌을 메워서 새만금 간척지로 만들었죠ㅠㅠ

  • @그린-m7o
    @그린-m7o Рік тому +4

    중요한 것은 국민들에게 환경 교육을 해야만 되는게 아닌지요 답답합니다

  • @LeoDiary77
    @LeoDiary77 Рік тому +1

    새만금 화나네요. 잼버리.

  • @catk8504
    @catk8504 Рік тому

    결국 이미 해수면이 상승하고있고, 이미 잃고있는것을 아무리 중하다한들 지금 당장 산업화이전으로 돌아가기를 하지 않는이상 지킬수없을겁니다

  • @mega2509
    @mega2509 Рік тому +1

    조개 껍데기 탄산칼슘이니 탄소 포집하는거 아닌가요?

  • @움튼다
    @움튼다 Рік тому +3

    일본의 오염수 방류가 갯벌에 끼칠 영향은?

  • @faithfullee100
    @faithfullee100 Рік тому

    What goes around what comes around Korea 🇰🇷

  • @총준
    @총준 Рік тому +9

    개발 항만건설이라는 명목으로. 우리나라의 갯벌을 파헤쳐놓은 무식하고 탐욕스러운 정치인들 혐오스럽네요

  • @hi-ryongbyun
    @hi-ryongbyun 2 місяці тому

    아주 잘 요약된 강의에 감사드립니다. 그러나 3도C 상승하면 2m 쯤 상승이니, 인천의 절반이란 숫자는 너무 과한 듯.

  • @김윤민-k4o
    @김윤민-k4o Рік тому

    갯벌이 그렇게 중요하면 갯벌을 넓히면 되지 않나요? 이미 간척사업해서 넓힌 땅은 밭이나 논이나 도시용지로 사용하고, 간척지 밖에 돌을 퍼부어서 서해나 남해안 바닥을 좀 높혀서 홍수때 밀려오는 흙탕물이 넓게 퍼질 수 있도록 하는거죠. 그러면 해마다 갯벌이 점점 넓어지지 않을까요? 기후도 점차 여름에 전에 겪어 보지 못한 홍수가 많아지는 방향으로 변해간다고 하던데... 홍수로 쓸려나간 논 밭을 하천부지로 매입해서 강의 폭을 넓히고 경사를 인위적으로 좀 더 급하게 조정하면 홍수때 쓸려 내려오는 흙탕물이 빨리 빠질테고 더 넓게 퇴적될 수 있도록 하는 거죠. 물이 빨리 빠지면 홍수 피해도 좀 줄지 않을까요? 맹그로브 나무는 기후가 안맞아서 우리나라 갯벌에 심으면 겨울에 얼어죽을려나? 맹그로브 숲지는 블루 카본으로 인정 받는다면서요? 추위에 강하게 종자개량이 안될려나? 맹그로브 숲지를 조성하면 갯벌이 자연적으로도 좀 넓어지지 않을까요? 아무래도 뿌리가 흙을 좀 붙잡아줄테니... 글구 지구 온난화를 막지 못해서 해수면이 올라가도 갯벌이 넓어지면 침수면적도 좀 줄일 수 있지 않을까요? 홍수 피해 입어서 해마다 잠기는 논 밭을 국가가 하천부지로 매입하고, 그 땅 주인들에게 잠기지 않는 간척지 땅을 주어서 농사 짓게 하는 것도 좋을 듯해요. 어짜피 계속 홍수가 나는 방향으로 기후가 변하고, 국민들의 환경의식이 함양되서 댐이나 보도 더 짓기 어려운 상황이니 치수 정책도 친환경적으로 변해야 할 듯해요.

  • @user-dr.08
    @user-dr.08 2 роки тому +2

    기후변화는 자연 현상.. 이 세상 모든 것은 다 변화한다.

  • @fivefingers-pe4db
    @fivefingers-pe4db Рік тому

    결론 답이 없다.

  • @리리-v4k
    @리리-v4k Рік тому +2

    2100년까지 견디지도 못할것같다

  • @박진성-c9o6c
    @박진성-c9o6c 4 місяці тому

    더 암울하네요
    해수면이 자꾸 높아지는데 저지대인 갯벌이 사라질까봐

  • @강바람-l8f
    @강바람-l8f Рік тому

    의험 다가오는게 문제가 지금이 더문제지

  • @메탈스페이스
    @메탈스페이스 Рік тому

    매년 뿌려지는 캠트레일이 주원인..!

  • @왕윤하-e7p
    @왕윤하-e7p 2 роки тому +9

    무형의 가치가 존중받는 선진국이 되길 바랍니다

  • @오빠-q5e
    @오빠-q5e Рік тому +1

    인간은 죽기 직전 까지는 깨닫지 못한다ㆍ

  • @mixedinculture5595
    @mixedinculture5595 Рік тому

    우와 여긴 대구인데 귤 나무 사다 심으면 자라겠네. 사야지

  • @curvedair3830
    @curvedair3830 Рік тому

    어차피 온난화는 진행될 거고 결국 해수면은 올라가고 태풍은 더 자주 강도 높게 오겠지요. 재난이 전세계적으로 닥쳤을 때는 모두 제 살 길만 도모할 것입니다. 온난화를 막아보자는 것 보다는 온난화가 될 거라고 가정하고 방비를 세워야 타격이 적을 거에요. 아울러 온난화가 되었을 때 우리한테 유리한 것을 미리 예상하고 그것을 기회로 삼아야 합니다.

  • @schola3570
    @schola3570 Рік тому

    새만금 갯벌을 보존했으면 좋겠습니다
    신공항도 그 무엇도 아닌! 철새가 찾아오는 생태계가 살아가도록 보존해주시기 바랍니다

  • @학학-y4d
    @학학-y4d Рік тому

    바나나 파인애플 망고 생산국? 해볼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 @올리비아-l5i
    @올리비아-l5i Рік тому +2

    이미 열대화된 대힌민국 같습니다. 스콜 같은 강우 내림.

  • @lovely1-0-0-4
    @lovely1-0-0-4 2 роки тому +2

    아무리 탄소감축 해봐라 인구 안줄이면 노답임 결국은 3차대전밖에는 답이없음 사람이 죽어야 지구가 사는 아이러니한…

  • @sss5984
    @sss5984 2 роки тому +2

    갯벌이 중요해도 한국 수온은 계속 오른다면서요?

  • @abd56790
    @abd56790 9 місяців тому

    50~60대들이 벌려놓은 수십년전의 똥들을 아무것도 모르는 현재 청년층과 후손들이 껴앉게 생겼다는 게 화납니다. 그렇게 잘 아시는 분들이 왜 간척 사업에 대해서 싸워서 막아내지 못했는지. 이미 벌어진 일에 대해 이러쿵 저러쿵하는 게 우스울 따름입니다.

  • @임우택-i1j
    @임우택-i1j Рік тому +1

    대한민국은 자유종교나라 모두가홰개하고축복을받아야죠

  • @jungmin159
    @jungmin159 Рік тому

    후쿠시마 오염수 삼중수소와 갯벌의 상관관계를 심층적으로 연구해야 할듯 .. 안그럼 심각한 생태계 먹이사슬의 균형이 깨질지도

  • @sailcat6899
    @sailcat6899 2 роки тому +3

    무식한 국회의원, 정치가들 말고는 갯벌의 중요성을 잘 알게될것입니다..

  • @korea777.
    @korea777. Рік тому

    이해가 안되는것은
    부산 낙동강
    40년전 형님하고 낚씨 낙동강 수면
    2023년 수면 ᆢ
    보면 현재 낙동강 수면 옛날보다 1미터 이상 낮아요
    특히 낙동강 다리 및 모래톱 학교운동장 수십배 꽃심고 주차장으로 쓰고 있습니다
    다대포도 바닷물 줄어 들었는데
    40년동안 낙동강 다대포 한달에 한번 이상 가는데
    수면이 높다 ㆍ
    다른 국가 바다쪽
    수면이 지진등 때문에 낮기 때문에 대한민국 은 괜찮을듯 합니다
    이론보다 저는 눈을로 직접 40년 동안 보고 요즘은 자전거 타고 일주일 서너번 지나가는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