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수의 현실? 모든것을 보여드립니다.ㅣ입문ㅣ현장탐방ㅣ일당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3 гру 2022
  • #목수 #기술직 #기술직창업
    열현남아 채널에는 기술직에 입문하시려는 구독자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구독자분들께서 현장을 직접 볼 수 있는 컨텐츠를 진행하고 있으니
    많은 응원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오늘 만난 사람들 : 우드테일러 강범규 대표님 (목수)
    윤영근님,김재승님,김찬미님 (구독자)
    *도배,타일,목공,전기,페인트,필름,청소,줄눈시공,탄성코트 등
    다양한 인테리어 기술자분들의 삶의 이야기와 노하우,
    그리고 진솔한 이야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출연문의 : lch2839@naver.com
    열현남아 인스타그램 : / yeolhyun_namah

КОМЕНТАРІ • 371

  • @gun11136
    @gun11136 Рік тому +81

    흔히 기술자분들 스튜디오에 모셔놓고 인터뷰 방식으로 Q&A를 통해 간접적으로 해당직업을 느껴보는데 이런 식의 구독자 현장컨텐츠는 정말 직접에 가까운 간접 경험느낌 같아요. 고품질 컨텐츠 기획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qb5vc7cc6h
      @user-qb5vc7cc6h  Рік тому +2

      무탈도사님~~!! 처음 시도해본 컨텐츠인데 제가 딱 전달하고자하는 느낌을 말씀해주시니 너무 감사한 마음입니다.
      앞으로도 좋은 컨텐츠로 인사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ainbowCalligraphy
      @RainbowCalligraphy Рік тому

      건설현장에 일하는 분들을 전부 노가다라고 생각하시는데.. 대부분 각 공정의 기술자 분들입니다. 목수뿐만아니라 설비, 견출, 전기, 미장, 배관등... 배우는데 시간도 오래 걸리고.. 진짜 스트레스 많이 받으면서 일하는 업종이죠...일반인들이 느끼는 할거없으면 노가다하지뭐... 라는 노가다는 단순 청소나 자재를 치우는 잡업무를 하시는 분들이 아닐까요... 건축쪽 공정하는 분들 일당이나 급여, 견적비들으면 그냥 회사다니는 차원의 한단계 넘어서는 그런 쪽입니다..

    • @BTCKRW
      @BTCKRW 3 місяці тому

      목수는 노가다 아님? 뭔소리지?

    • @user-wk2rz6fv3g
      @user-wk2rz6fv3g 3 місяці тому

      ​​​​@@BTCKRW음...좀 다른면이 없잖아있음.내가 아버지회사에서 현실을 배우라고 노가다막내로 고딩때 뛴적있는데 운동시설건설이라 그런지 노가다꾼의 일원으로써 기술자팀들을 많이 봤음.
      우리는 주로 아침새벽5~6시부터 오후4~5시까지 힘쓰기,잔업하면서 다님.기술자들은 우리와 출근과 퇴근시간은 동일함.근데 노동의 강도와 일급이 정말 미친듯이 차이남.우리가 잔업,판을 준비하면 기술자들은 딱 와서 자신들이 할일을 시마이치는거.
      노동강도는 물론 기술마다 다르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노가다처럼 하루종일 땀뻘뻘거리며 일하는건 나같은 노가다꾼들.기술자들은 노가다판에 오는거만 같지 노가다꾼들만큼의 강도는 없음
      대표적인 예로 굴착기기사들만해도 그냥 우리가 땅고르게 작업하고 옮겨주제요~하면 잔디(몇톤 됨)만 들어서 옮겨주고 다시 옮겨달라는 말 들릴때까지 앉아서 폰하거나 쉬고있고
      근데 일급은 내가 10받았는데 그분은 16좀 넘은거로 알고있음

  • @stockman7027
    @stockman7027 Рік тому +64

    현장일 제발 로망 가지지 마세요…
    사무직에서 영혼과 정신의 엄청난 압박과
    부담 그리고 데미지를 입으신 분들이
    만족하시는 경우가 많고 사회생활 경험도 부족하고 현장일이 맞는 지도 모르는데 무작정 뛰어들면 몇 년 뒤에 떼돈번다.. 전문직이 된다 …
    꼭 그런건 아닙니다.. 하는 만큼 버는 거고 아는 만큼 버는 것이지.. 공부로 노력해도 그건 똑같아요. 단지 학벌을 보지 않고 기술만을 볼 뿐이지.. 제발 깊게 생각해보고 도전해보시길 .. 쉽게 돈 많이 번다는 생각으로 들어가면 몸고생 마음 고생입니다

  • @user-uu5ow4lh7z
    @user-uu5ow4lh7z Рік тому +16

    다들고생많으셨습니다 부족한 현장이였는데
    다들 열정이 가득하셔서 같이 보내는 시간동안 행복한시간이였습니다 열현남아 대표님도 고생하셨고
    장소 협조해주신 배방에 이자카야 사장님들감사합니다

    • @user-ks7ee1sw6m
      @user-ks7ee1sw6m Рік тому +1

      잘봤습니다 :)

    • @oosbmi
      @oosbmi Рік тому +1

      역시 잘생기셨습니다 대표님👍🏻

    • @sds5918
      @sds5918 Рік тому +1

      형님 저 영탁이에요
      실물이 더 좋은데 아쉽네요
      현장 모습이 터프하십니다 😮

    • @user-ik7lm5wx9n
      @user-ik7lm5wx9n Рік тому +1

      어우.. 팀장님 외모가..😮👍👍
      목수 일을 배우려면 잘생겨야 하나요?ㅜㅜ

    • @user-dr5lp8hn5b
      @user-dr5lp8hn5b Рік тому

      완전 간지나게생기셨습니다

  • @user-wk9es7nj4c
    @user-wk9es7nj4c Рік тому +64

    오랜만에 열현남아 대표님 영상 보러왔다가 너무 컨텐츠가 좋아서 댓글 남기네요~
    막내분 정말 6개월만에 깨우치실 것들을 다 깨우치신거 같아 대단하시고 한편으로는 참 짠하네요 ㅠㅠ
    저는 현직 타일(파벽) 실내인테리어/외벽 마감 하는 사람으로서
    기술직 하시려는 분들에게 얘기 드리자면
    1.현장 가서 무조건 부딪혀보세요
    최소 1년은 배워보고 내가 1년동안 얼마나 벌었는지, 몸 상태는 괜찮은지
    내가 1인분은 하고 있는건지 답이 나올 겁니다.
    2.유튜브 영상은 그저 조크로 받아들이기
    저희 팀에서도 유튜브만 보고 월 500 ~1000 생각했다가 다시 회사로 돌아간 어린 친구들이 꽤 있습니다.
    영상의 막내분께서도 잘 얘기 해주셨는데 한달에 수입이 0원 일때도 있습니다.(현재 저의 이야기 -겨울엔 인테리어 업, 건설업이 비수기 입니다)
    유튜브 영상의 일당 60~80 이건... 본인이 사장이 되고 업체에 견적 넣어서 떨어지는 금액을 계산해서 이렇게 나오는거지
    현장가서 제 일당 60입니다. 이러지 않아요... 현실을 꼭 직시하고 도전하세요!
    3.예상한 것 이상으로 더럽고 치사하고 짜증나는 일이 많다.
    기술직 장점은 일적인 스트레스가 없습니다.
    자기에게 주어진 일만 하고 끝나니까요.
    근데 말입니다. 지금 요새 현장이 나아졌다곤 하지만
    노가판은 노가다 판입니다.
    한 인테리어에 목공, 전기 , 설비, 도배, 청소 등등 여러 공정이 들어가려면
    여러 사람이 모이겠죠?
    많은 사람이 모이면.. 또라이 보존의 법칙이 있죠..?
    현장마다 태클 걸고 시비걸고 마감 정말 x x같이 하는 사람들 정말 많습니다.
    그나마 다른 공정의 사람이면 괜찮지만.
    속한 팀에 꼰대가 있으면.. 몸도 힘들고 돈도 못버는데.. 정말 힘들어요.
    제 주변에도 영상을 보시거나 제 SNS를 보시고 도전하시는 분들을 몇몇 봐왔습니다.
    결과는 거의 비슷했어요
    누구는 일당 얼마 받는다는데 나는 이 정도 준다는데 이게 맞는거냐?
    맨날 무거운거 드는것만 시키는데 이게 맞는거냐?
    돈이 이 정도 밖에 안벌리는거 같은데 생활이 되냐?
    팀에 꼰대가 있어서 안되겠다.
    다들 그런 말 합니다.
    나도 회사 짜증나면 기술이나 배워서 너처럼 다녀야겠다~
    나도 기술이나 배워볼까?
    배워 보기 전에는 몰랐지만 배우고 느끼고 나니 지금은 "기술이나"가 아니라 "어떯게 하면 기술을 제대로 배우지?" " 어떤 역경을 버텨야 기술이 내것이 될까?"
    이런 생각 밖에 안드는게 현실입니다.
    무엇보다 경쟁이 정말 치열한 곳입니다.
    단순하게 회사생활이 지겨워서, 노후로 쭉 일 할 거리를 찾고 싶어서, 돈 많이 벌고싶어서
    라는 마음으로 다가서기에는 생각보다 힘이 드실수도 있습니다.
    내가 정말 이 일을 노후에도 할 수 있는지, 돈에 얶매지이 않고 일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지, 몸은 건강한 지
    한번 더 고민해보시고 열심히 부딪혀 보시길 바랍니다.
    부딪히다보면 분명 성장해있는 여러분들이 계실겁니다 :)
    한 자라도 더 도움이 될까 너무 많은 글을 썼습니다.
    날씨도 추운날에 항상 고생하시는 다른 기술직 여러분들께서도 항상 건강 유의하시고
    언제나 대단 하신 분들이고 존경을 표합니다!
    (좋은 콘텐츠 만들어주시는 열현남아 대표님도 최고~)

    • @allnewrenegade
      @allnewrenegade Рік тому +5

      저 나잇대는 저런 생각 가질수 밖에 없어요 ㅋㅋ 저 분 저랑 동갑인데(39)
      역시 19살들끼리 생각하는거랑 29살 또래들이랑 39살 또래들이랑 생각하는 자체의 수준이 다릅니다.
      해탈,현타,체념,허무주의는 일상이죠. 세상사가 뻔히 보이는 시야가 트이니까요. 그걸 연륜이라 하는거죠.
      39살에 6개월 막내면.. 아무래도 생각이 깊어질수 밖에 없기도 하구요.. 그리고 기술직 장점이 일적인 스트레스가 없다는건..
      전 금속가공일을 하고 있고 제가 1인 사장인데.. 스트레스 엄청 심합니다. ㅠㅠ 진짜 총이 있다면 가끔은 머리를 쏘고 싶고 때론 도망치고 싶기도 하구요..
      근데 내가 사장이라 도망도 못치죠.. 직원일땐 꼬우면 관두고 잠수타면 그만이지만.. 휴.. 다른 분야도 알음알음 아는 수준인데..
      대부분 수입 올려치기 심하고 매출을 수입이라고 말하고 정작 실수입은 얘길 안하는 경우도 태반입니다. 그리고 어떤 분야는 유툽에서도 뭐 국내에 얼마 없는 기술직이라 해서 일당이 하루 40~50.. 돈욕심 없이 무리 안하고 내가 일하고 싶을때만 일한다는 그런 말도 안되는 구라치는 사람이 있던데..
      일이 없으면 내가 하고 싶어도 못하는데 사람들이 그걸 몰라요. 조금만 말해도 사기치는거 눈에 뻔히 보이거든요.
      그 일당일이라는게 매일매일 있는것도 아니고. 그리고 제가 아는 어떤 분은 그 쪽 기술직인데 수금이 안되서 힘들다고 하더라구요.
      이래저래 고충들이 다들 많은거 같습니다.
      유툽에 월 천이라느니 이런거는 걸러들을 필요가 있어요.
      편하게만 살아온 사람들이 그런 편안한 삶에 회의를 느껴(편하게 살아왔다는게 결코 나쁘다는게 아님) 기술직에 꽂혀서 뭔가 있다고 생각하고 블루오션이라 생각하고
      뛰어드는데.. 제가 몸담고 있는 분야만 하더라도 요즘은 아예 배울려는 사람들도 없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한국에서 사양산업 맞아요. 인건비 내려치기, 단가 내려치기 경쟁이죠.
      제품 개당 단가가 어떻게 된게 소재비는 매년 오르는데 가공비는 10년전이나 지금이나 별 차이가 없습니다.
      정말 간단한건 개당 천원인데 이건 10년전에도 똑같았다는.. 문제가 참 많습니다.
      제가 다른 분야는 100프로 이렇다 저렇다 말할순 없겠지만 다들 비슷비슷한 상황이라 봅니다.

  • @user-ur9xs3xn2w
    @user-ur9xs3xn2w Рік тому +21

    그냥 어떤 사람 사수 팀을 만나느냐에 따라 다른것같아요 좋은사수만나기 진짜힘듦

  • @wsj3010
    @wsj3010 Рік тому +5

    오 진짜 이런 컨텐츠 좋은 것 같아요!

  • @director_han
    @director_han 9 місяців тому +1

    배워서 하는게 중요한게 아니고 다 배워도 오래하는게 리스펙 하는겁니다. 생태계를 알게 되거든요? 그걸 알면서 한다는게 진짜 쉽지 않아요 멋지세요. 근대 유툽은 너무 아름다운 모습만 보이는건 제가 이상한 거겠죠 ?ㅎㅎ 일만 배우는게 끝이 아닙니다. 거래처 결제 팀원들 월급 수당 경비등 실경 쓸게 많아요 인테리어 현장소장 6년차에요 저분 정말 대단한거에요 이영상은 정말 일부만 보는겁니다ㅋㅋ

  • @user-rg8qy7nt9c
    @user-rg8qy7nt9c Рік тому +34

    힘들어서 튕겨나가든 시간 날리든, 해보지 않으면 내가 이 일과 맞을지 절대 모른다는것 시도해보는 자체가 중요하고 멋진것 같습니다,

  • @user-yx7uk7tx1x
    @user-yx7uk7tx1x 3 місяці тому

    32살 현직 횟수로 8년차 목수입니다. 좋은말씀들 많아서 너무보기좋고요.
    앞으로 전망있는것도맞고 지금 다른외국인노동자가 치고들어오고 지금은 중국계에서도 단가싸움으로 지금은 비계설치나 드라이피트 세라믹 타일등 몇년전보다 더많이보이는거는 사실이라 점점더 인테리어 목수 발앞까지 올수도있다고생각이들어서 아직까지 더많이배우고해야되는건 맞는거같에요. 영상보는내내 공감하는말도많고요 힘내십쇼

  • @wowwow2622
    @wowwow2622 Рік тому +16

    음식도 맛보고 맛이 없으면 안 먹으면 되는것처럼 노가다도 관심 있으면 해보고 안 맞으면 그만두면 됩니다.
    열혈남아 님은 방황하는 청년들에게 한가지 진로를 제시해주는 분이구요.
    기술직. 노가다가 좋다 나쁘다 할게 아니라
    결국 이게 나와 맞는가? 를 따져야 하고
    그 이후로는 선택의 문제에요.

  • @user-ec9jd6bl9g
    @user-ec9jd6bl9g Рік тому +2

    정말 좋은 컨텐츠 같아요!

  • @DwayneJ
    @DwayneJ Рік тому +7

    24부터 30까지 6년정도 이동식주택,체육관,2층주택 등 내외장 , 전기배선까지 대충그린 도면만보고도 전부 해봤는데 아직도 혼자 팀 꾸려서 할 자신이 없습니다
    아직도 배워야할 기술 ,자재 등 상상이상으로
    훨씬 많습니다
    지금 천안에 있는데 우드테일러 대표님 밑에서
    일배워보고 싶네요

  • @user-ce7wv6hi7y
    @user-ce7wv6hi7y Рік тому +6

    모든직종이 존버하시면 방향성이 잡힐겁니다 특히 현장일은 방향성이 긍정적으로 잡힐경우 투지와 열정으로 환호하게 될겁니다 청춘들 화이팅!!!!♡

  • @kanmakkim
    @kanmakkim Рік тому

    뭐든 투자한 시간만큼 노력하고 집중하고 생각하고 발전하고 힘들때도 많고 지금도 내일 어떻게 일해야하는지 고민하고 걱정하고~ 자신이 하는 일에 자부심을 갖고 앞으로 나아가세요 좋은결과가 있을겁니다. 몸으로하는 일은 정직하고 건강합니다.

  • @user-zn4mc9pr3l
    @user-zn4mc9pr3l Рік тому +7

    이건 진짜 좋은쪽으로만 말씀하셔서 그렇지 생각하는것 이상으로 훨씬 고됩니다.

  • @user-wl8tu4yw3c
    @user-wl8tu4yw3c 10 місяців тому +77

    우드테일러 팀에 일 맡겼었는데, 일은 경험 많으신 50대 형님들이 다 하시고 인터뷰 하는 이분은 현장에 자리를 계속 비웠습니다. 전화로 어디시냐고 하면 병원이라고 하고 돈 수금 안된 곳 있어서 수금하러 갔다고 말도 안되는 변명을 하더군요 ..그리고 자기 일당은 38만원씩 정확히 받아가셨습니다.
    인테리어 업계가 좁은지라 이분 소문도 많이 들었는데 같은 목수에게 푼 돈 빌려서 오랫동안 안 갚은 썰, 목수 특성상 큰 현장이면 여러 목수들 불러서 같이 현장 해야되는데 다른 목수들 인건비 제대로 안주는 일 등 인성이 덜 된 사람이 너무 좋은 이미지로 영상에 나오는 것 같아 적어봅니다

    • @556-dc7xv
      @556-dc7xv 9 місяців тому +3

      어우 ㄷㄷ 그렇군요 이면이 있네요

    • @user-mb7zi4sd1p
      @user-mb7zi4sd1p 8 місяців тому +8

      애초에 영상작업이지만 남의 현장 결제받고 돌리면서 후임양성:? 이지랄로 저런 영상 찍고있다는게 웃기는거 ㅋㅋㅋㅋ

    • @user-nc1fy6sq6v
      @user-nc1fy6sq6v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원래 오야지는 현장이
      없는것입니다 에효

    • @user-pt3ys2od9g
      @user-pt3ys2od9g 7 місяців тому +8

      @@user-nc1fy6sq6v 현장 여러개 돌리는 상황이면 자기를 대체할 팀장급 기공이 있으면 없어도 됩니다 맞는 말이에요 근데 그러면 그날 자기 일당은 청구하지 말아야죠 ^^ 무슨 말도 안돼는 소리세요

    • @mudikim5459
      @mudikim5459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원래 오야지는 현장에서 작업도 하겠지만 일 물어다주고 자재필요한거 가져다주고 전체적인 작업상황 봐주면서 인원조절합니다. 그러면서 전체 견적의 10퍼정도 자기가 가져가죠. 머리 쓸 것 많고 사람 관리하는거라 쉽지 않습니나.

  • @s_k3388
    @s_k3388 Рік тому

    좋은 프로그램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꼭 참여해보고 싶네요

    • @user-qb5vc7cc6h
      @user-qb5vc7cc6h  Рік тому +1

      좋게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이런 자리 많이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 @user-fk3pq8li8r
    @user-fk3pq8li8r Рік тому +17

    6개월차 목수님 정말 빨리 많은걸 받아들이셨네요(현장일의 모든 눈치를 깨우쳤네요ㅎㅎ)
    맞는말씀이고요...
    제경험으로 말씀드리면
    1. 목수일이 정말 좋아서 한다면 열심히 밀고나가면 되고
    2. 돈을 벌려고 목수일을 하는건 부질없는 것 같습니다
    - 일당으로 버는것은 한계가 있고, 처음엔 많이 주지도 않을뿐더러 일도 많이 없어요
    즐기지 못하면 부질없어요ㅎㅎ
    3. 사업을 목적에 두고 일을 시작한다면, 일머리를 빨리 배워서 마켓팅을 시작해야 됩니다
    - 내가 모든걸 익히고, 내사업을 시작해야지라는 마음이라면 사업해보지도 못하고 지칩니다
    일배우는데는 끝이 없고, 현장이/세상이 아름답게만 펼쳐지지 않습니다
    현재는 빌더일을 배우고 있는, 제가 느낀 현실적인 솔직한 마음을 몇자 적어봤어요 ㅎㅎ
    저두 빨리 제사업 해야되는데...
    언제가 될지? 묵묵히 제갈길 가고 있습니다ㅎ
    열현님!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user-dc7sj4sj4p
      @user-dc7sj4sj4p Рік тому

      기술직이라고해도 cnc임가공,실내인테리어는 폭이 너무 넓어요,배워야 할것도 많고, 신경쓸부분도 많죠,공부도 많이해야하고
      전기,철근,에어컨 같은건 보통체력으론 힘들고,
      더구나 철근 에어컨 빼고는 한 3년되야 본격적으로 기술자 대접받기 시작하는데 거기 까지가는 기간이 너무 힘들죠
      타일,바닥철거,유리창,누수시공, 이런게 비교적 배움이 단순해서 빨리배우고, 덜 힘들고, 대인관계에따라 창업도 쉽죠

    • @user-sq7jw8lm8f
      @user-sq7jw8lm8f 9 місяців тому

      설비

  • @S2respectS2
    @S2respectS2 8 місяців тому +4

    좋은 목수님 만나는게 꿈이 되어야합니다...... 지인짜 좋은팀장님 좋은 대표님 만나는게 중요해요 ㅠㅠ

  • @user-kg8ev1nm1w
    @user-kg8ev1nm1w Рік тому +21

    어느덧 나이가 40을 향해 가고 있고,별다른 기술도 없고 커리어도 없어 남들보다 뒤쳐졌다는 생각에 마음은 항상
    조급함이 앞서고 내가 해볼수 있는 일이 뭐가 있을까라는 생각에 유튜브를 둘러보던중에, 열현남아님의 채널을
    우연히 알게되었습니다.
    영상 하나하나 보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열현님의 영상으로 제 인생의 전환점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아 그리고 현장탐방 컨텐츠에 나이대별 영상도 만들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30대 후반으로서 기회가 된다면
    현장탐방 도전해보고 싶네요. 앞으로 좋은영상 많이 부탁드리며, 날씨가 많이 추워졌는데 감기 조심하세요^^.

    • @user-qb5vc7cc6h
      @user-qb5vc7cc6h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좋게 봐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으로 인사드리겠습니다^^
      늘 화이팅하십시오 !!

    • @user-kg8ev1nm1w
      @user-kg8ev1nm1w Рік тому +1

      @@Coffeeicetee 조언 감사합니다. 궁금한게 있는데 시작 하기전에 우선 무조건 학원가서 기초를 배우고 시작해야 할까요? 아니면 잡부로 들어간 후 조금씩 눈치로 배워갈수도 있는건가요? 좀 늦은 나이다 보니 조금이라도 시간대비 빠르게 배우고 싶어서요. 그리고 다들 하는 말이 팀장을 잘만나야 한다고 해서 좀 걱정입니다. 20대에 시작한게 아니라 빠르게 습득을 해야 하는데 팀장 잘못만나 시간낭비 할까봐 좀 두렵기도 하구요.

    • @hongeyilee742
      @hongeyilee742 6 місяців тому

      ​@@user-kg8ev1nm1w목수 학교 출신들 많이 무시당합니다 그냥 현장에서 욕먹고 배우는게 젤 좋아요
      그게 왜 좋냐?노하우가 없습니다
      학교라는 교과서는 이론이지 실습에서
      절대 안 통합니다 목수10년인 40대 초반인 제 생각입니다만 목조주택6년
      인테리어4년일하는데 일은 쉽지만
      오야지들이 다 더럽습니다 제대로 된
      사람 만나기가 시간이 걸립니다

  • @wizard_wallpaper
    @wizard_wallpaper Рік тому

    좋은 내용 잘봤습니다. 👍👍

    • @SankarKarthi-gg4yc
      @SankarKarthi-gg4yc 2 місяці тому

      설명 잘 들었습니다 ! 너무 좋아서 정신없이 시청해썽요~ 저는 요즘 중고 사업 셀앤바이에듀 강의 듣는데 수익이 너무 좋아요 블루오션으로 딱입니다~~

  • @godblesskcm
    @godblesskcm Рік тому +18

    시간이 정말 빠르게 흐르는 현장이었습니다! 열현남아님께서 기회주신것 너무 감사하고 현장에서 체험할수있게 장소허락해주신 가게사장님과 우드테일러 팀장님 너무 감사드립니다 !! 추운 겨울 잘 이겨나시길 바래요!! 👍🙏

    • @user-qb5vc7cc6h
      @user-qb5vc7cc6h  Рік тому

      찬미님 화이팅!!!

    • @godblesskcm
      @godblesskcm Рік тому +1

      @@user-qb5vc7cc6h 조언해주신대로 가구공방쪽도 적극적으로 알아보고있습니다!!! 다음에 시간이 흘러 기술자가 되어서 또 인터뷰하고싶네요😄😄

    • @user-ms1gp4ft8l
      @user-ms1gp4ft8l Рік тому

      마인드가 멋지고 엄청 도전적이고 열정적인 분들이 많으셔서 보는 내내 기분이 좋고 재밌네요 찬미님도 너무 멋진 태도로 기대가 되네요 파이팅입니다 !

    • @jkim8911
      @jkim8911 Рік тому

      목수수첩팀에 여성분 목수 계세요. ㅎ

  • @user-ge2gb8to5q
    @user-ge2gb8to5q Рік тому +1

    저도 요즘 목공일에 관심이 생겼는데
    정말 도움이 되는 영상 이네요

  • @user-xb6zd8ud2y
    @user-xb6zd8ud2y Рік тому +13

    와... 6개월 되신분인데 사람으로서 깊이가 정말 깊으신 분이네요 어쩜 저렇게 멋지게 말해주실꺼

    • @user-qb5vc7cc6h
      @user-qb5vc7cc6h  Рік тому

      예! 정말 현실적인 찐 조언이었습니다.

    • @jaykoo2670
      @jaykoo2670 Рік тому +1

      저게 연륜이라는거죠.
      20대들 생각하는거보다 훨씬 깊은 생각을 할수밖에 없는 나이

    • @allnewrenegade
      @allnewrenegade Рік тому +1

      사실 저건 하고 있는 일 때문이라기보다는 저 나잇대는 저렇게 생각할수밖에 없어요 ; 저도 저 분이랑 동갑인 39살이고 40살까지 일주일도 안 남았는데 사람이 40년 살면 대부분 저런 생각 가질수밖에 없습니다. 산전수전 풍파 다 겪어서요. 윗분 말씀대로 진짜 연륜이란 거죠.. 세상사 뻔히 보이는 눈이 트이게 되는거죠

    • @jaykoo2670
      @jaykoo2670 Рік тому +2

      @@allnewrenegade 근데 저런 생각을 가지고 밑에 사람들한테 조언하면 꼰대라고 생각하더라구요 ㅎㅎㅎ

  • @user-jn9nb6nw9k
    @user-jn9nb6nw9k Рік тому +13

    지나가던 외부로프 도장공 입니다 보다가 좋아서 댓글달고 갑니다.
    1.유튭에서 나오는 내용은 많이 요약하고 좋게 좋게 나온겁니다 저건 그냥 작은정보 로 만 보시고 생각하세요.
    2.어떤 공정이든 배우러 가셨을때 과거 잊으세요. 정말 치열합니다 여기 왜? 일단 멍하니 미어켓마냥있으면 안알려줍니다 여기 바닦이 그래요 달려드세요 알려달라고 물고 늘어지셔야합니다 그래야 하나라도 더 배우고 합니다 눈치것으로 배우는건 기본 옵션이구요. 젋은 분들 오셔서 조금만 열심히하고 싹싹하면 형님들 다 좋아하십니다 (다만 어딜가도 나이값못하는 못배우신분들은 있으니 감안하셔야합니다) 옛날처럼 단가도 팍팍한거 아니구요 생활하실정도 단가는 금방 올려주십니다.
    3.그러고 현장일은 비수기 시기가 겨울에 옵니다 공정마다 다르지만 저같은 도장공들은 겨울에는 일이 중지됩니다
    페인트가 다얼어서 강제 2~3달 방학 들어갑니다. 그래서 보통 다른 기술도 겸해서 하시는분들이 대부분이구요.
    그러니 하시면서도 이런걸 대비 해두시고 감안하시고 시작하셔야합니다.
    4.제일 중요한건 겁내지마시고 부딪혀 보세요. 결국 해봐야 알수있습니다 아무리 정보를 찾고 보고 듣고 가봐야 몸으로 느끼는것보다 못합니다. 결국 정보라는것은 단편적일수밖에 없어요 거짓정보도 섞여있으며 부정적인것보단 좋은점만 부각되기때문에 몸으로 해보시는게 최고입니다!.
    힘든 현장일 할거면 돈이라도 많이 벌어가야 하지 않겠습니까 . 모든 분들이 다 잘됬으면 좋겠습니다.^^

    • @user-jn9nb6nw9k
      @user-jn9nb6nw9k Рік тому

      참고로 모든 공정은 기능입니다 기술(엔지니어링 같은게 아녀요) 반복숙달 기능입니다 거기서도 당연히 손재주 나 센스가 타고난사람이 빛을보는건 당연하구요

    • @simonyi9000
      @simonyi9000 10 місяців тому

      ​@@user-jn9nb6nw9k전문 기술자 개념의 장인 ...그래서 공으로 부르는 것입니다. 목공 미장공 석공 . 그림 그리는 사람을 화공이라 부르고 페인공 또는 도장공 콘트리공 또는 타설공 전기공 한분야 기술에 예술수준으로 도가 통한 사람으로 보시고 이해 하면 됩니다. 또는 기술자나 영어 태크닉션 등 메캐닉이나 모두 그말이 그말로 동일한 직업 능력을 나타냅니다. 피아니스트 댄티스트 페인터등 화가를 그냥 페인터라고 부릅니다. 하는 일이 물감을 붓으로 바르니 바로 그 하는 일을 표현해서 직업으로 부릅니다. 타워크레인 설치해체공 이면 모두 이해하니 ...타워 설치해체기술자 ? 타워설치기술인 ? 직업에 법조인 예술인 예술가 ? 모두 별 의미는 없고 하는 일이 직업의 이름입니다.

  • @Butter_flyA
    @Butter_flyA Рік тому +5

    아파트 건설현장 타일 가베?조공 8개월차입니다. 더러운거 먼지날리는거 양중하는것 자존심 내리는것 매일같이 함바집가서 먹는것(케바케) 버틸 자신 있는분만 시작하시는걸 추천합니다.
    나가리된 초보자분들 어떤 기술직이던간에 자주 봐와서 댓글남겨요 ㅠ ㅠ..

    • @user-qb5vc7cc6h
      @user-qb5vc7cc6h  Рік тому

      경험담을 공유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seokjoyang
    @seokjoyang Рік тому +1

    미친듯이 하는것도 좋아요 그치만 더 좋은것은 즐기면서 하는것 아닐까 생각합니다. 우리 모두 현장에서 안전하게 즐기면서 인생 설계해 봐요.

  • @user-cm8iq5dg8q
    @user-cm8iq5dg8q 6 місяців тому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gk7qs3qf7b
    @user-gk7qs3qf7b Рік тому +16

    목수는 몸보다도 머리쓰는일입니다.
    자재비부터 공사양이 어떻게 작전짜느냐에따라 엄청난차이를 보이며
    후공정 마감까지 생각을 해가며 일을 그려나가야합니다.

  • @TV-eu5bf
    @TV-eu5bf Рік тому +7

    기술직은 버티는게 일이죠
    2~3년 버티라는게 그냥 버티는게 아니고
    내가치를 올라가기 위해 자기계발, 인맥관리, 인성, 체력, 맨탈관리를 끊임없이 해야 3년뒤에도 빛을봅니다.
    그낭저냥 2~3년 보내면 10년지나도 페이 안올라감. 기술직할꺼면 이업이 아니면 나는굶어죽는다는 마인드로 시작하면 성공함.

  • @woohwa813
    @woohwa813 Рік тому +12

    목수대표님 말이 맞아요.
    한달에 못버는 달도 있고 1000만원 버는 달도 있고 1년 매출을 나눠서 월 평균 수입이 적절해져야 생계유지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목공 외 인테리어 7년차에 이제야 겨우 밥벌이라고 말할 수 있는 정도 되서 참 다행이다 싶습니다.
    워라벨은 잠시 내려놓고 큰 마음 갖고 시작해야만 향후 시간이 지나 원하는 워라벨을 꼭 누리실 수 있으니 잘 참고 기술을 재산으로 만들어 보시길~

  • @alexanderkwon9648
    @alexanderkwon9648 Рік тому +3

    😅...99년시작해서...아직도...막내생활중입니다...52...위에형님들이...커피를좋아해서...아직도..청소하고...커피타고있어요...자존을챙기기힘드니...도재제를잘알고..다짐하시길...

  • @user-dj5wl4mg3u
    @user-dj5wl4mg3u Рік тому +4

    안녕하세요 영상 잘봤습니다.
    목수일에 관심이 있는 사람입니다 .
    힘들다 매력있다
    다좋은데 그런걸 현장일을 하며 느끼면서 크고싶은데 입문할수있는방법이 잘 없더라구요.. 혹시 구인구직?하는곳이 있는건지 귱굼합니다

  • @user-ik7lm5wx9n
    @user-ik7lm5wx9n Рік тому +1

    입문할수 있는 방법같은 것도 궁금합니다 열혈남아님!! 어떤 방법을 통해 접해보고 조공으로 시작하여 어깨너머 배울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pauljang1802
    @pauljang1802 Рік тому +3

    저는 생각이 조금 다른게 노가다라고 부르는 자체가 기술 혹은 기능이 있는 분들이니 그런것 같습니다. 너무 신경쓰지 않으셔도 될듯하네요~ 자신의 일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프로의 자세를 가지신 모습이 보기 너무좋네요~화이팅하세요~

  • @richiter
    @richiter Рік тому +9

    요즘 젊은 목수들보면 6개월 1년 일 배우고 기공이라한다. 일당 27만원이라한다.
    쉬는시간은 더 쉬고 퇴근시간은 시간보다 일찍 간다. 목수 반장은 초목데려다 놓고 기공품을 받아간다. 목수들이 다른 공정군에 비해서 요령피우고 돈 밝히는 사람이 많다. 기술자로 대우 받으려면 일단 기술은 숙련되고 현장에 맞게 마감을 풀어나갈 능력이 되어야하며 부지런해야 한다. 돈만 보고 시작하는 자들이 많으니 참 안타깝다.

  • @user-mu6fq9pm8j
    @user-mu6fq9pm8j Рік тому +17

    올해 24살된 이제 1년차 다되어가는 목수입니다. 어린나이에 시작했다는 말 많이 듣고 잘 선택했다는 말 많이 듣습니다. 많이 힘들고 그래도 나중을 생각해서 열심히 배우고 하고있습니다. 출근 할 때마다 정말 즐겁고 재밌습니다. 한가지 단점이 있다면 모든 사람이 다르듯이 일 자체도 거칠고 다칠 위험이 많은 일이다 보니 조심해야해서 언어가 많이 거친사람도 있습니다.

    • @user-qb5vc7cc6h
      @user-qb5vc7cc6h  Рік тому +1

      제원님! 날씨가 많이 춥네요.
      건강유의하시면서 꾸준히 성장해나가시길 진심으로 응원드립니다^^ 화이팅!

    • @omissionbias
      @omissionbias Рік тому +1

      1년동안 한 팀에서만 하셨나요?

    • @raymondhwang
      @raymondhwang Рік тому +7

      그건 현장이 위험해서가 아니라 그 사람이 못배워서 그래요

    • @user-nz8xl3bk9z
      @user-nz8xl3bk9z Рік тому

      보통 젤처음 어디서 일자리를 찾나요???

    • @asdf-fz7fg
      @asdf-fz7fg 9 місяців тому

      @@raymondhwang뭘 모르시는 말씀인데 현장에서 다치는게 그만큼 큰 리스크이기에 선배들도 다 긴장하고있어서 그렇습니다

  • @ririmoto1419
    @ririmoto1419 Рік тому +10

    목공일 조금해봤는데 너무 재밌었어요. 도배 설비 관두고 배워볼려고하는 사람입니다. 나이가 드니까 이런 기술들도 즐길수 있는걸해야 일하는시간도 행복할것같다는 생각이드네요...

    • @user-em6zn4tb2t
      @user-em6zn4tb2t 9 місяців тому

      설비별로인가요

    • @ririmoto1419
      @ririmoto1419 9 місяців тому

      @@user-em6zn4tb2t 설비는 멘탈강한사람한테 잘 맞을것같아요.작업후 누수발생하면 스트레스 정말 많이 받죠. 저는 목공처럼 다방면으로 꾸밀수있는게 재밌어보여서요. 도배도 기계처럼 하는일이똑같고 오래해서 그런가 재미가없어유.

    • @user-em6zn4tb2t
      @user-em6zn4tb2t 9 місяців тому

      @@ririmoto1419 아 ㅜ 그렇긴한거같아요 도배는 많이힘든가요

    • @ririmoto1419
      @ririmoto1419 9 місяців тому +1

      @@user-em6zn4tb2t 도배가 가장 무난해요.처음할때 재미있어하는 사람도 많아요. 하자발생해도 스트레스 적게 해결가능해서 좋아요. 다만 체력이 많이 소모되는편이라 체력을 잘 기르면서해야 좋을듯해요

    • @You_Know_Who_I-am
      @You_Know_Who_I-am Місяць тому

      ​@@ririmoto1419도배가 목공보다 체력소모가 큰건가요? 궁금해요

  • @JH-uq7pk
    @JH-uq7pk Рік тому +2

    6개월차 분 생각이 되게 멋있습니다.

  • @GM-kc1qf
    @GM-kc1qf Рік тому +2

    현장경험 전무 하다시피한 분들은 첫 적응에서 올래 걸리겠네요. 어쩌면 현장경험 꽤나 있고 아버지가 인테리어 관련 공장 하셔가지고 저도 한번 도전해볼까 싶어요. 캐드도 할줄알고...

  • @user-lv8lc4be3n
    @user-lv8lc4be3n Рік тому +8

    진짜 인테리어 목수 4만 원 받고 시작해서 18만 원까지 올라가는 데 몇 년 걸렸는데ㅎㅎ그 후로 하는 거에 비해 돈이 안돼 형틀 목수로 갈아타고 결혼도 하고 금액적인 부분에서부터 너무 행복하네요 절대 만만하게 생각하지 마세요 지금 하시는 일 쭉 하세요 회사 잘 다니다 그만두고 인테리어 배운다고 왔던 사람들 월급 받고 일한 거에 비해 못 벌어서인지 현타가 와서인지 10명 중 9명은 그만둡니다 1년은 돈 벌 생각으로 시작하는 거면 절대 시작하지 마세요 1년 해도 초목도 안돼요ㅎ

    • @mr.leelee4490
      @mr.leelee4490 2 місяці тому

      행복하네요 하고 하지마세요는 뭐임 니혼자 다 해먹을꺼?

    • @nuclear2662
      @nuclear2662 25 днів тому

      @@mr.leelee4490 문해력 뭐임?? 인테리어 목수 하다가 돈 안돼서 형틀목수로 갈아탔다잖아요. 인테리어 목수는 돈 안되고 힘드니까 인테리어 목수 하지말라는거고. 이건 이해됨??

  • @user-yc1sp9kz8f
    @user-yc1sp9kz8f Рік тому +2

    시공 방법 질문좀 드릴게요
    샌드위치 판넬에 석고1p 벽지 퍼티 페인트
    이렇게 작업된 현장에 8.5t 합판 마감하려는데 t50 타카와 실리콘으로 마감해도 될까요?? 타카를 저 낮춰도 될까요?

  • @user-tn2qf3bs3l
    @user-tn2qf3bs3l Рік тому +2

    사람 사는데 없어서는 안될 직종이지요.
    너무 멋있습니다. 이런 분이 집에 있으면 전등교체나 간단한 전기작업 등등 많은 부분에서 도움이나 찐가족이면 시공에 관한 금액부담도 덜어지죠ㅋㅋ

  • @owenn-qb8bj
    @owenn-qb8bj Рік тому +16

    목공도 노가다맞음
    요즘 젊은애들이 폼난다고 목공 많이 하는것같은데
    시작도전에 폼잡는거에 돈 다쓰는듯
    못주머니 다이아몬드툴벨트니 망치니 신발이니 그에비해 실력있는팀은 많이 못봄
    쉬엄쉬엄하려고만하지

  • @gang6282
    @gang6282 Рік тому +6

    기술직이고 너무 좋고한데 개인적으로 거주지보다 자주 멀리있는곳에서 일을 불러주기때문에 멀리 가는게 단점... ㅠ

  • @user-mu1ys9bb5i
    @user-mu1ys9bb5i 2 місяці тому +2

    현재 6년 차 26살 목수입니다. 어린 나이부터 일을 시작해서 수많은 현장을 해보고 많은 대표님들 밑에서 일해봤습니다. 항상 갈 때마다 어린 나이부터 시작해서 정말 좋은 선택이라고 질리도록 들으며 하고 있고 나름 오래 했다 보니 어느 정도는 페이도 지급받고 있습니다. 빨리들 시작하세요! 목수라는 직업 정말 매력 있고 좋은 직업이에요!! 하지만 영상에서처럼 먼지도 많고 공기도 좋지 않고 고된직업이긴합니다. ㅎㅎ 아버지, 그 이상 되시는 분들과 항상 일해오고 있어서 저처럼 젊은 사람들이 많아졌으면...하고 늘 생각하고 있어요. 또래 목수들과 일 하고 싶어요. 진짜 괜찮은 직업이고 보람도 정말 많이 느끼는 직업이에요 취업 안돼서 걱정하고 고민만 하시지 마시고 일단 시작해 보세요 후회 없는 선택이 되실 거예요

    • @user-px9zi6fu4w
      @user-px9zi6fu4w 2 місяці тому

      안녕하세요 보실 줄 모르겠지만 글 남겨봅니다. 정말 간절한데 배우고 싶습니다. 지금 퇴직해서 뭘 할지 모르고 미래를 고민하고 있었는데요 줄눈할지 타일할지 필름할지 중문할지 고민만 하다가 시간은 흘러서..고민 안하고 일이 고되도 정말 피땀눈물 흘려가며 열심히 배울수 있는데 가르침 좀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 @jung_pd
    @jung_pd Рік тому +2

    목수일 배우시고 하시려는 분은 자신이 오너쉽이 부족하다 생각하시면 뛰어들지 마세요.
    직접 겪어봐야 아시겠지만 최악, 최선 둘중 하나일뿐입니다.

  • @user-nu4xh5jr3o
    @user-nu4xh5jr3o Рік тому +1

    노가다는 노가다 입니다
    말 그대로 자기옷이나 환경이 지져분 할수밖에 없고 환경 자체가 힘듬니다
    기본 체력도 중간이상은 돼야 할수있을듯 매일 하려면!

  • @user-wx1dz7np2g
    @user-wx1dz7np2g Рік тому +7

    허와실이 가득하니 신중할것

  • @skylake76
    @skylake76 Місяць тому +2

    목수는 노가다의 제왕이죠!! ㅋㅋ

  • @user-qq3jv9fr7j
    @user-qq3jv9fr7j Рік тому +2

    예전에 아버지께 목수일 말고도 집짓는데 여러가지 기술들 이어받은 20대 초반 아들래미 생각난다 애봐줄사람 없어서 7살때부터 대리고다니면서 가르켰다고 나중에는 땅사서 아버지랑 아들 둘이서 집지어서 살던데 진짜 귀족집안 궁전같음 tv드라마에 나올때 저거 내가 지었다 이럼ㅋㅋ

  • @user-ms7vt6ud7n
    @user-ms7vt6ud7n Рік тому +5

    대학때 삼성공장 계약직해본적있음
    당시 일반 공장이 200이라면
    한 350정도 줬을거임
    그렇게 주는데도 10명뽑으면
    당일도망 4명 일주일도망 3명
    보름도망 1명
    즉 한두명 빼고 다 도망감
    몸쓰는일이라는게 절대쉬운게아님

  • @user-no1vb4mw5h
    @user-no1vb4mw5h Рік тому +13

    목수일이 시간대비 페이가 안쎔 배울게 많아서
    기공까지걸리는 시간이 오래걸림 타일이나 장판 유리에비해서 어렵고 힘들어요.

    • @user-ug2ys4fb5d
      @user-ug2ys4fb5d 3 дні тому

      지나가는 10개월 목수입니다. 이게 펙트에요.

  • @ybc3774
    @ybc3774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는 목수 경력 51차 옛날에는 현장에서 목수를 으뜸 으로 여기며 내외부 구조틀 마감 작업 까지 목수가 하기에
    일이 많았섰는데 세상이 효율울 중시하다보니 경량 천정 . 경량 칸막이 . 샷시. 잡철 필림 등등 으로 목수가 하던일을 분업 하다보니
    30년전의 3/1목수일이 줄어서 상업 인테리어는 위공정의 끝마무리정도로 일감이 줄었습니다.
    그리고 아파트 내부리모델링 공사시 여러공정 과 함께 일을 하기에 마무리 청소를 도맡아 하는 반 잡부 신세이니
    목수 포기하고 다른일 을 권합니다 도배 타일 잡철 등등 으로

  • @user-os3sj1tm6m
    @user-os3sj1tm6m Рік тому +4

    요즘 목수, 타일공, 조적, 미장 다 기술이고 돈 잘버는 일입니다. 저 대표님 말씀처럼 옛날 노가다가 아닙니다. 용기와 다치지 않을 조심성만 있음 가능하다고 봅니다. 초반엔 몸이 죽어나갈것 같다는 느낌이 들겠지만 요령만 생기면 쓸모 없는 힘들을 빼고 가능한 방법을 자동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

  • @johnlim900
    @johnlim900 Рік тому +4

    나도 처음에 이런 일 하겠다고 부모님께 말씀드렸더니 아주 펄쩍 뛰셨는데 지금은 허락하셨죠 ^^

  • @user-ry2cg9tv2t
    @user-ry2cg9tv2t Рік тому +149

    무작정 뛰어들다가 포기하는사람이 거의80프로입니다 만만하게생각하지마시길

    • @lllliii
      @lllliii Рік тому +12

      도망가는 사람 최소 한달에 10~20명은 보네요 ㅋㅋㅋㅋㅋ 길어봐야 3~5개월.....

    • @user-iq3ki4yc3k
      @user-iq3ki4yc3k Рік тому +11

      4*8 15T합판 50장 곰빵시키면 10명중 10명 도망간다 ㅋㅋㅋ

    • @jhu4481
      @jhu4481 Рік тому +75

      한 팀에 막내가 수시로 들어왔다 나간다?? 그거 그냥 그팀 오야가 인성 안좋은거거나 팀분위기가 별로거나 둘중하나임

    • @user-pb8xs7br8p
      @user-pb8xs7br8p Рік тому +1

      @@user-iq3ki4yc3k그정도야.. 형틀목수보다는 낫네요

    • @user-on6fq2xh2d
      @user-on6fq2xh2d Рік тому +1

      @@user-iq3ki4yc3k 그 합판 한장이 무게가 얼마나 되나요??

  • @user-gs2bj5cu8o
    @user-gs2bj5cu8o Рік тому +11

    1년버티면된다는 아닙니다
    재미가 잇어야 빨리 배우고 환경에 불만이 없어야 오래하는겁니다
    배우는분 13년차까지 봤습니다
    자신이 재능이 없다면 하지마세요
    재능없이 일당 나가서 욕먹으며. 일당만 받고 하지마세요. 시키는사람도 힘듭니다

  • @jsh3439
    @jsh3439 Рік тому +10

    목수를 하고 있지만 목수하고싶다는 친구들에겐 다른걸 추천해주고 소개해줘요. 목수가 진짜 노가다 중에 노가다입니다.

    • @mudikim5459
      @mudikim5459 7 місяців тому

      경량분들 등짐으로 석고 나르는거 못봤나..

  • @user-xu1bn2fl2t
    @user-xu1bn2fl2t Рік тому

    감회가 5분마다 새로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ㄱ🎉

  • @user-qp8kd4mn3p
    @user-qp8kd4mn3p Рік тому +1

    목수라는 직업군은 세부적으로 많이 나뉩니다. 목수를 목표로 삼으시는 분들께서는 내가 어떤 목수를 하고 싶으신지 방향성을 확실히 잡고 배우시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물론 다들 아시겠지만 가장 중요한 건 일에 대한 열정과 배움에 대한 열망, 성실함입니다. 다들 건승 하시길 바랍니다!^^

  • @detectivekatsumoto
    @detectivekatsumoto 5 місяців тому +6

    영상이 올라온 지 1년이 넘은 듯 싶은데..
    현재 저 세명 중에 아직도 목수하고 있는 사람 한명도 없을거 같음.
    일단 안경남녀 두명은 아무리 봐도 딴일 해야 될 사람들임 ㅋㅋ
    나머지 한사람은 모르겠음. 이것저것 재보면서 철새처럼 요리조리 딴 일 알아보게 생겼음.

  • @TTLR
    @TTLR Рік тому

    현장 모든 직업 은 비슷 한거 같내요 천직 인 사람과 그저 스쳐 지나가는 사람들 .

  • @badger-te9vw
    @badger-te9vw Рік тому +1

    첫술에 배부를수 없지요
    모든일이 그렇습니다
    버티느냐 그렇지 못하느냐

  • @Fvwshk
    @Fvwshk Рік тому +1

    다들 시작도안해보고 장단점 따져가지고는 몇년간버티겠습니까
    흥미와 적성찾기는 직접경험을해봐야겠죠 요즘 젊은사람들은 정말 답답한분들이많죠
    이런컨텐츠 직종마다 많이만들어주시면 감사드리겠네요

    • @user-qb5vc7cc6h
      @user-qb5vc7cc6h  Рік тому

      좋게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구독자분들과 함께하는 이런 컨텐츠 많이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kms2727
    @kms2727 Рік тому +1

    인테리어 직종중에 화장실은 해결 어떻게 하는지 금궁합니다
    화장실이 있으면 괜찮은데 아직 공사전이거나 사용할수없을때는 어떻게 해결하시나요?

    • @user-vp3iz7rj6i
      @user-vp3iz7rj6i Рік тому +2

      현장환경마다 다르지만 있는곳도 있고 없는곳도 있어요 없으면 주변 공용화장실 찾아 다녀야죠 주로이용하는곳은 은행 소방서 경찰서 롯데리아 맥도날드 등등 있죠

  • @user-lj6kn9uy4c
    @user-lj6kn9uy4c Рік тому +9

    내주변에 목수 하나 있는데 어린놈이 팀장 되더니, 어른들한테 반말하고, 일 안할때도 만만하게 보이는 형들 한테 하대 하더만, 팀장이 인성부터 갖췄으면 좋겠다, 노다가 판도 아닌데

  • @yongjen4901
    @yongjen4901 Рік тому +11

    이런기술일들은사람을잘만나야한다고생각합니다..

  • @ultrak1006
    @ultrak1006 Рік тому

    엇.. 저희 동네라서 깜짝 놀랐습니다.

  • @jaypark6507
    @jaypark6507 Рік тому +6

    먼지, 나무가루 등등 마시게될텐데 건강적인 부분에서 어떤 병을 얻게되고 어떤 후유증이 남게되는지 궁금해요

    • @user-of6gn6ce7r
      @user-of6gn6ce7r Рік тому

      그건 의사한테 물어보심이....

    • @kimttol
      @kimttol Рік тому +1

      폐 안좋은 페인터, 타일러, 설비업자는 봤어도 폐 안좋은 목수는 못봤네요

    • @user-cs5mz3dx6x
      @user-cs5mz3dx6x Рік тому +1

      ​@@kimttol 폐가 안좋아진 목수는 이미 목수판을 다 떠나버렸기 때문이고 나이 먹고도 계속 일하는사람들은 살아남은 사람입니다.

    • @user-cs5mz3dx6x
      @user-cs5mz3dx6x Рік тому +1

      1급 방진마스크나 좀더 신경쓰고 싶으시면 방독면같은 특급 방진 마스크 끼고 일하시면 됩니다.
      눈도 조금 비싸지만 가벼운 보안경 쓰고 다니시면 되구요. 옛날에는 조공때 그런거 끼고 일하면 일도 못하는 놈이 뭔 장비빨 세우냐고 마스크낀다고 보안경 낀다고 시비거는 틀딱들 있었지만 요즘은 자기건강은 자기가 챙기자는 마인드가 많기 때문에 보호장구들 잘 착용하고 일합니다. 만약 마스크 같은거 안끼면 폐섬유증,천식등 폐 관련 질환이 많습니다.

  • @user-fk2tj8cq3h
    @user-fk2tj8cq3h Рік тому +8

    단점이 안나왔네요. 소목은 그나마 괜찮은데 대목일 하면 이동이 많아서 모텔 숙소 월방 잡아서 일합니다.
    24시간 함께 자고 먹고 일 하는 경우도 많아서 사교성도 어느정도 갖추셔야 됩니다.
    초반에 버틴다고 생각으로 하시는데 이게 결코 쉬운일이 아니예요. 그게 어려운 분들한테는 많이 힘들거예요.

    • @hangbaekun82
      @hangbaekun82 Рік тому +2

      원래 항상 그렇죠..좋은면.깔끔한부분만 보여주는 보여주기식 영상 ㅡㅡ

    • @user-nx5kq8qy3t
      @user-nx5kq8qy3t Рік тому

      모든 현장일들은 제일 단점이 현장을 따라 다녀야하기떄문에 이동하면서 불가피하게 타지생활을 해야하는게..제일 큰 단점입니다..또한 일거리가 없으면 지방에서 시작하시는 분들은 현장끝나면 다른현장 조인안되면 타지를 가야하는데 오너들은 직원들 하루라도 더 일하게 할려고 일을 잡지만 직원들은 또 개인사정이 골고루 있으니 타지 가기 싫어하고 그렇드라구요

    • @user-fv2hc3xz7k
      @user-fv2hc3xz7k 9 місяців тому

      내장목수는 아니지않아여? 저건 내장목수 말하는걸껄여??

  • @BossKang
    @BossKang Рік тому +4

    아니 같은 강사장인데 저쪽 강사장은 잘생겼네...😢

  • @user-sv6uz6cy9h
    @user-sv6uz6cy9h 8 місяців тому

    친구나 나나 현장떠난지 벌써 20년 지났다 지금은 장사한지 20년째 몸 마음도 편하다.

  • @user-rr8ov3ir2r
    @user-rr8ov3ir2r Рік тому +7

    금속인테리어도 부탁드려요 ㅠㅠ 제발요용

    • @user-qb5vc7cc6h
      @user-qb5vc7cc6h  Рік тому +1

      예! 준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nopainnogain2151
      @nopainnogain2151 Рік тому +1

      금속인테리어 하시는분 현장 직접 가봤는데 ㄹㅇ 멋지더라구요 고난이도 기술직같음

  • @user-jl9ye1bk4n
    @user-jl9ye1bk4n Місяць тому

    하루 종일 춥고 배고프고 힘들고 박봉이고,,,, 이걸 5년간 견딜 자신 있으면 하라는,,, 간절함이 있는 분들이라면 도전해 봐도 괜찮을듯 하네요,,

  • @user-gf3yq1pe5s
    @user-gf3yq1pe5s Рік тому +2

    바닥미장도 부탁드립니다 ㅎㅎ

  • @user-be2qr2fd1t
    @user-be2qr2fd1t Рік тому +1

    어깨밸트 이쁜데 제품무엇인지 알수있을까요

  • @user-gw4ui5ws1m
    @user-gw4ui5ws1m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제가 바라보는 지금의 인테리어 목수 시장 자체는 허세와 허풍도 너무 많이 들어가있다고 봅니다 물론 그렇지않은 분들도 계신데 실력에 비해 너무 고액의 인건비로 알려져있다보니 특히 다른 시공파트에 비해 내장목수쪽은 너무 바람이 들어가있는것 같아요
    절대 함부로 덤비기에 쉬운일 아니고 대부분 수입구조가 팀장 주머니속에서 왔다갔다 되버리는 구조라 가스라이팅 당하기도 너무 쉬운 시스템이고
    어떤 오야를 만나 시작하느냐에 따라서
    몇년의 시간이 날아가느냐 남아있느냐
    다 말로 표현할수는 없겠지만 겉으로 보여지는 모습보다 더 나쁘고 악한 사람들 많으니 쉽게 시작하시지말고 시작전에 막연하지만 발품 많이 팔고 공부하시고 좋은팀장님 만나는게 엄청나게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직업입니다 두서없이 글 남기긴 했지만
    스스로 다할정도가 되려면 정말 몇년이라는 시간이 흐르니 선택하실때 심사숙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19살 첫취업을 시작으로 지금 45살 27년차 목수로 목수일이 너무 좋아서 감사하게 자수성가까지 했지만
    그런 제가 보는 지금의 내장목수 시장은 소위 겉멋에 빠진 분들도 많아 보여서
    좋은 고수분들이 잘 알려지지않은것 같아서 안타까운 마음도 있거든요
    절대 쉬운일 아니고 정말 타고난 재능과 열정 내 노력이 엄청 많이 들어가는 직업이라고 생각됩니다

    • @dtii837
      @dtii837 4 місяці тому

      사장님 혹시 사장님 밑에서는 일할수 없을까요?

  • @ksecanakim9637
    @ksecanakim9637 Рік тому +5

    시작하려는분들 비전도없는 목수배우려하지말고 다른기술 배우세요 옆을봐도 뒤를봐도 널리고널린게 목공업체에요
    페이도 직접사업체시작않는이상 요새의노가다임금보다도 짭니다 잘생각하고 하세요

    • @user-xc7lz6pn1p
      @user-xc7lz6pn1p Рік тому

      그럼 어떤 기술이 좋을까요?
      블루오션인 직업 하나만 알려주세요

  • @davidethan4354
    @davidethan4354 Рік тому +4

    음 목수 카펜터리 외국에서는 신입 일당 200-300 달러 받던데 크흠 제대로 알려주고 화이팅 시작하시는분들
    목수 학과 도 인기
    많아요

  • @ohsejin9257
    @ohsejin9257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왜케 잘생겼어요? 목수 모델인줄.

  • @Cappuspapa
    @Cappuspapa 10 місяців тому

    이런거 배우려면 어디로 가야하고 얼마정도 드는지 알 수 있을까요?

  • @goguma66
    @goguma66 Рік тому +3

    도대체 목수는 어떻게 일을 할수있는건가요?
    해보고싶어도 어디서 뽑는지 신입을 뽑아줘야지 뭘배우지.. 다경력직만찾고

  • @user-kl7ts8re6w
    @user-kl7ts8re6w Рік тому +1

    나도 기능 준비를 하면서 생각했는게 기계를 무서워하면 안됨,, 아무리 조심해도 기계에 무섭다는 인식을 하면 킥백이나 작은 부재 튀는거에 몸이 쫄아있어서 흠짓하게 됨.

    • @user-jq7bc1pt1o
      @user-jq7bc1pt1o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기계설비쪽인데 가스는 무섭네요 lpg이나 아세틸렌 같은 가스요

    • @user-mc7nz4ev2t
      @user-mc7nz4ev2t Місяць тому

      @@user-jq7bc1pt1o 그건 터지면 바로 즉사잖아요 ㅋㅋㅋ

    • @user-jq7bc1pt1o
      @user-jq7bc1pt1o Місяць тому

      @@user-mc7nz4ev2t 혼자만 가면 다행이죠

  • @user-oi6zb5yw3b
    @user-oi6zb5yw3b Рік тому

    목수는 기술자긴한데 하도 양아치들이 이미지를 개판쳐놓은것도 있고
    대기업이나 기업에서는 임금삭감 하려고 기를 쓰고 까내려서 이미지가 좋진않은데
    그만큼 기술 숙련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가고 환경이 좋지않아서
    먹고 살기는 문제 없는 기술직임 .

  • @user-sl9iy8nj7y
    @user-sl9iy8nj7y Рік тому

    저는 지금 회사에서 큰현장만 다니고 있는 초목인데
    팀은 어디서들 구하시는건가여??

    • @user-ec4sm8px7n
      @user-ec4sm8px7n Рік тому

      작은 상가나 소규모 인테리어 일하시는분들은 주로 벤드나 지인통해서 일꾼들 구하고 아파트나 큰현장 주로 다니시는분들은 아직도 거이 지인 통해서 구하더라고요 팀분위기 흐리는 사람은 잘 안쓸려는 경향들이 많으셔서

    • @user-sl9iy8nj7y
      @user-sl9iy8nj7y Рік тому

      @@user-ec4sm8px7n 감사합미다 ㅠ

  • @comfortable4354
    @comfortable4354 Рік тому

    목수가 집짓기전 목수인가요? 아니면 어떤 종류인가요?

  • @allnewrenegade
    @allnewrenegade Рік тому +2

    네. 글을 쓰고 보니 제가 선을 많이 넘은거 같았습니다. 비슷한 업종에 예전에 한번 크게 데인적이 있어서 저도 모르게 막말도 뱉어낸거 같구요. 글들은 삭제했습니다. 뭔가 장르가 ebs 직업체험인데 저 혼자만 kbs 현장르포 밀착취재 이런걸로 받아들여서 저도 직간접적으로 경험했던 부분에 대해서는 말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어서요.. 잘 알겠습니다. 그리고 오해를 해서 미안합니다. 출연자들에 대한 인신공격성 발언 모두 사과드립니다.

  • @user-dr5lp8hn5b
    @user-dr5lp8hn5b Рік тому +2

    와근데 엄청 간지나게생기셨네요

  • @user-nd7rm6cd4m
    @user-nd7rm6cd4m Місяць тому

    형틀목수는 노가다죠~

  • @user-kq1cq3se2j
    @user-kq1cq3se2j Рік тому +1

    주위에서 일머리없다고 하면 손대면 안되는거 같아요..

  • @user-us8ig3nm5k
    @user-us8ig3nm5k Рік тому +1

    영상에 나오시는 안경안쓰신 남자분 아웃사이더 닮으신듯

  • @user-iq3ki4yc3k
    @user-iq3ki4yc3k Рік тому +4

    인테리어는 건축의 한분야이긴하지만 추세가 따로가고있죠 ㅎㅎㅎ 인테리어 시공 2년하다가 관두고 설계직으로 전향했습니다만 인테리어에서 목수 전기가 꽃입니다

    • @user-jq7bc1pt1o
      @user-jq7bc1pt1o 10 місяців тому

      설비가 젤 중요한디요? 하자 생겼을때 피해보상 금액은 가장 큽니다

  • @user-ghost456
    @user-ghost456 Рік тому +2

    파유리고물상 운영중입니다. 노가다 하는사람들 끼리는 그냥 현장, 몸쓰는일들은 다 통틀어서 노가다 라고 부르네요
    알사람들은 다 아는데 모르는사람들 때문에 기술직이라고 따로 말해야되는 현실이참 인식이 바꼇으면 좋겟슴니다

    • @user-qb5vc7cc6h
      @user-qb5vc7cc6h  Рік тому +1

      맞는 말씀이십니다!! 인식이 좋은쪽으로 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qs3mi6yu5i
    @user-qs3mi6yu5i Рік тому +2

    팀장님이 착용하신 그 못주머니 쪼끼 좀 링크 부탁드립니다.

  • @onioncap
    @onioncap Рік тому +5

    경험을 보태면 프로젝트단위로 일하시는분들이 기본적으로 맞아요. 현실적으로 1~3년은 좀 힘들겁니다. 그건 어느 일이나 마찬가지일거고, 페이적인건 3년이상 여러곳에서 일하면서 평가가 좋으면
    여러곳에서 연락이 옵니다.3~5년 잘 넘기면 최소 먹고사는건 걱정없어요. 긴 시간이라 생각하겠지만 지나보면 금방이에요. 돈보다 일에 욕심 내세요. 돈은 따라옵니다. 이일하면서 버는 돈은 정직한 돈이에요~~

    • @user-qb5vc7cc6h
      @user-qb5vc7cc6h  Рік тому +1

      현실적인 조언과 응원의 말씀 감사드립니다!

  • @user-jx9jg7ro2e
    @user-jx9jg7ro2e Рік тому +3

    3달이면 마스터할듯 전기 전자 화학 기계 다 가능한 내가봤을때 노가다는 일년이면 모든일 다 배울듯.. 아 내가 대학생때 도장은 해봤으니 패스

    • @user-fh9ht9tt4h
      @user-fh9ht9tt4h Рік тому +10

      건방지네 나도 니가하는거 하루면마스터할듯

    • @user-uu5ow4lh7z
      @user-uu5ow4lh7z Рік тому

      그렇게 정신 승리 축하

    • @user-ec4sm8px7n
      @user-ec4sm8px7n Рік тому

      마져요 머리 좋은 분들은 하루면 마스터 하시더라고요 머리로 만 요 몸으로 하라고 하면 못하더라고요

    • @uubee
      @uubee 4 місяці тому

      수박겉핥기겠지 다 잘하는게 어딨냐 관련 기사 자격은 다 따고 경력도 있고?

  • @anallogenglish8408
    @anallogenglish8408 Рік тому +4

    보통 어느 정도 나이될때까지 현장 일할수
    있나요?
    65세 이상도 많이 있나요?

    • @user-vp3iz7rj6i
      @user-vp3iz7rj6i Рік тому

      주변에 70넘으신분도 봤습니다

    • @FAC20UT
      @FAC20UT Рік тому

      현장마다 다르고 기술에 따라 다릅니다

  • @user-rk3cb8br4s
    @user-rk3cb8br4s Рік тому

    막내 목수분이 메고 있는 툴벨트는 머죠 ~?

  • @leesc0707
    @leesc0707 Рік тому

    오재원 선수가 언제 목수로 전향 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