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중일에서 한국🇰🇷만 숟가락🥄 쓰는 이유 / 💀 숟가락에 진심인 민족 ㄷㄷ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2 чер 2023
  • 🏴‍☠️지식해적단 멤버십 가입
    / @studio_pirates
    ☠ 궁금한 거? 구독과 좋아요만 눌러주면 우리가 알아서 약탈해줄게! 🦜
    세계 음식을 접하다 보면, 한국인들만큼 숟가락을 많이 쓰는 민족이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한국인들이 파스타도 숟가락으로 받쳐서 먹고, 돈부리도 숟가락으로 떠 먹는 것에 비해
    이탈리아 본토에서는 파스타에 오로지 포크만을, 일본 본토에서는 돈부리를 젓가락으로 먹죠.
    특히나 동아시아에서는 숟가락을 쓰더라도, 직선의 곧은 숟가락이 아닌 국자 같은 숟가락을 쓰죠?
    한국 사람만 유독 일자 형태의 쇠 숟가락을 쓰는데… 아주 특이한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체 왜 이렇게 된 것일까요?
    #수저 #숟가락 #한국음식

КОМЕНТАРІ • 1,8 тис.

  • @vickimstar
    @vickimstar 11 місяців тому +264

    각 나라의 식습관에 따라서 가까운 나라끼리인데도 이렇게 차이가 나는게 너무 신기하네요

    • @user-ln7nx1qx4n
      @user-ln7nx1qx4n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개 신기ㅎㅎ

    • @user-zp1mz9mf6f
      @user-zp1mz9mf6f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

      숟가락으로 국밥 퍼먹는 문화와
      국에 밥 말아먹는 국밥 풍습은
      전세계에서 오로지 대한민국만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 @user-fv7xu7uz4o
      @user-fv7xu7uz4o 11 місяців тому

      차라리 유럽이나 중동국가라고 쳐줘라ㅋ..

    • @user-ir3xc9hf6y
      @user-ir3xc9hf6y 11 місяців тому +8

      @@user-zp1mz9mf6f ㄹㅇ? 개신기 국밥이 얼매나 밥도둑인데

    • @user-zp1mz9mf6f
      @user-zp1mz9mf6f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user-ir3xc9hf6y 네 국밥은 대한민국만
      중국 일본도 같은 동아시아인데도
      국에 밥을 말아먹지는 않음
      (대신 일본 중국은 면요리가 엄청 많음)

  • @MNMNM1111
    @MNMNM1111 11 місяців тому +194

    예전에 주워들은 내용들이라 정확한지 아닌지는 모를 내용들:
    -중국은 오랜 한랭으로 인한 땔감 부족으로 인해 기름으로 튀기고 볶는 요리가 발달 할 수 밖에 없었음.
    -중국이 한국이나 일본에 비해 절임 요리가 적은 이유도 오래된 식재료도 그냥 볶아 먹으면 먹을만해져서 굳이 보존식을 만들 이유가 없었음.
    -인구수에 비해 땔감부족이다보니 엄청난 양의 땔감을 사용해야 만들 수 있는 사기 그릇보단 나무를 깍아서 만드는 그릇들이 더 경제적이었음.
    -물사정이 안 좋다보니 국물요리는 그렇게 많지 않고 그나마 있는 국물 요리들도 건더기만 먹지 국물까지 먹지 않음.
    -만둣국 같은게 옛날엔 고급 요리였던 것도, 만두는 많은 땔감을 사용해 시간들 들여서 쪄야하는 음식이고, 마실 수 있는 국물은 그만큼 좋은 물을 썻기 때문임.
    -탕시 만들 때 사기로 만드는데 그만큼 탕시를 써서 먹는 요리는 고급에 속함.
    -일본에서 찰기가 좋은 쌀밥을 먹었던 것은 귀족들 한정. 평민들은 잡곡밥을 만들어 먹었기 때문에 그릇을 입에대고 먹어야했음.
    -한국의 경우 잡곡밥을 만들더라도 물에 불린 후에 뚜껑까지 무쇠로 만든 가마솥을의 압력을 이용해 밥을 만들었기 때문에 잡곡밥도 찰기가 좋았음.
    일본의 경우 질냄비 아니면 나무 뚜껑이 무쇠솥을 사용했기 때문에 흰쌀밥을 만들 경우 찰기가 적당한 반면 잡곡밥을 만들 경우 찰기가 부족했음.
    이러한 밥짓는 기술의 차이 때문에 한국의 전기밥솥은 대부분 압력식인 반면, 일본이나 다른 나라 전기밥솥은 열판식인 경우가 많음.
    -한국 역시 중국과 마찬가지로 땔감 공급의 문제가 있었지만 물사정이 좋았기 때문에 가마솥의 압력을 이용해 짧은 시간에 많은 인원을 먹일 수 있는 국물요리가 발달함.
    -일본의 국물 요리는 중국인들이 밥과 차를 같이 먹는 용도라서, 한국처럼 건더기 듬뿍 넣어서 팔팔 끓여서 먹기 보단 적은 건더기에 마시기 적당한 온도로 만들어 먹음.

    • @user-nk2zr3gn5f
      @user-nk2zr3gn5f 11 місяців тому +36

      땔감 부족이 아닌 물 때문입니다.차를 마시는 이유도 물 때문이고 찬물을 마시지 않는 이유도 물 때문입니다 수질이 좋지 않아서
      찬물을 먹으면 배탈이 나고 건강을 해치니 물을 끓여서 먹는 겁니다.흙냄새 나는 물 때문에 기름에 튀기는 음식이 발달했습니다

    • @loved1997
      @loved1997 10 місяців тому

      盲人摸象,韩国专家都是小说家别信

    • @user-qc4tf7cj7s
      @user-qc4tf7cj7s 9 місяців тому +3

      헛 생각 해 보니
      중국인분들 밥 먹을 때
      국 대사 따신 물 떠 와 먹던데
      아하 그래서 이랬군요!!!

    • @MarkiiNa
      @MarkiiNa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절임 요리에 대해 첨언해드립니다.중국에서도 우리나라와 위도가 비슷한 지역에서는 동일하게 겨울에 야채가 흔치 않았기 때문에 야채를 절여먹는 전통이 있습니다.소위말하는 파오(泡 담가서) 차이 (야채)가 그것이구요.한국 김치와 차이점은 주로 소금물에만 절여먹는다는 점입니다.소금에 절인 야채를 다시 양념해서 특히 “발효한 젓갈”을 첨가한 것은 한반도만의 특징이고 그냥 소금에 담궈 먹는 파오차이보다는 진일보한 보존 야채라고 볼 수 있겠네요.다만 만주 지역이 중국에 편입되면서 우리 한반도 사람들의 일부가 중국에서 소수민족으로 자리잡고,56개 소수 민족을 전부 자신의 역사에 담아야만 하는 중국의 의도가 우리와 충돌이 나는 게 기분이 좀 그렇기는 하네요.김치 관련해서는 우리 입장도 그네들의 입장도 틀리다고 하기가 좀 그래요. 결론 1.김치의 원류는 한반도였다.2.중국에서 파오차이는 절임야채를 의미한다.3.한국인들의 김치는 중국에서 한국파오차이(韩国泡菜)로 구분되어 불립니다.

    • @MarkiiNa
      @MarkiiNa 8 місяців тому +7

      @@user-nk2zr3gn5f 튀김요리를 위한 온도(160~180도)가 물 끓이는 온도보다 높기 때문에 땔감 문제는 확실히 아닐거 같네요.^^

  • @OyKalamushi
    @OyKalamushi 11 місяців тому +163

    우즈벡도 한국처럼 osh나 lag'mon 같은 거 먹을 때 한국처럼 생김 숟가락으로 퍼먹(?)습니다. 식당의 경우 스댕 숟가락, 배달은 플라스틱 숟가락 줘요.
    원래 숟가락 문화권이었던 건 아니고 osh(기름밥)은 오른손으로 한줌씩 덜어먹는게 전통이었는데 아무래도 위생적으로 거시기하다보니 소련 이후로 점점 숟가락을 이용해 먹게 된 것 같아요. 특히 한국 스댕 숟가락 많이 쓰는데 osh를 먹기에 가장 적합한 형태일 뿐만 아니라 싼데다가 퀄리티도 평타 이상 쳐서..ㅎㅎ 중국이나 일본 숟가락은 여기 나라 음식 먹기에는 불편하다보니

    • @studio_pirates
      @studio_pirates  11 місяців тому +74

      식기 한류 ㄷㄷ

    • @choec1072
      @choec1072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오시 라그만

    • @OyKalamushi
      @OyKalamushi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

      @@choec1072 발음이 좀 많이 달라서...ㅎㅎ 한글로 쓰면 어쉬, 라ㄱ(목 긁는 소리)먼이겠네요.

    • @user-ej4nw66Gyzz
      @user-ej4nw66Gyzz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우즈벡에 고려인들이 많다고 들었는데 그거 때문인가?

    • @user-tg7in5wo9x
      @user-tg7in5wo9x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

      @@user-ej4nw66Gyzz 엄연히 '소수'민족이에요 구소련 국가에서의 고려인들은

  • @user-ij6ws6ei8s
    @user-ij6ws6ei8s 11 місяців тому +686

    놋그릇 놋수저는 아직도 좀 고급취급받긴 하죠. 놋수저 나오는 동네 냉면집이 있었는데 하도 사람들이 수저를 훔쳐가서 몇년못가서 스테인리스 수저로 바뀜ㅋㅋ

    • @user-vs4bo9jz9q
      @user-vs4bo9jz9q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그걸 훔쳐가네...한국인 거지근성 어디 안간다니까ㅋㅋㅋㅋ

    • @jihokim7895
      @jihokim7895 11 місяців тому +91

      와 수저을 훔쳐감?

    • @blanc5522
      @blanc5522 11 місяців тому +160

      ​@@jihokim7895작은중국..

    • @_desaix9174
      @_desaix9174 11 місяців тому

      @@jihokim7895한국 민도가 높지가않음 카페나 식당에서 고급식기 안쓰는 이유 다 훔처가서

    • @user-ww1go4wp2p
      @user-ww1go4wp2p 11 місяців тому +64

      어려서 도벽습관 못 고치면 성인되고서도 그 습관 계속 남음 컵도 이쁜 거 있으면 그냥 들고 오는 경우 허다함 오죽하면 스타벅스 컵도둑도 있었을 정도니

  • @kickhectopascal1485
    @kickhectopascal1485 11 місяців тому +50

    숟가락이 너무 익숙해져서 그런지 해외 나갔을 때 숟가락이 없다는 사실이 새삼 새로웠던 기억이 나네요

  • @lionheart6944
    @lionheart6944 11 місяців тому +11

    이런 사소하지만 놓치기 쉬운 것들을
    깊이 있게 다뤄주는거 너무 좋습니다

  • @bipolarman9246
    @bipolarman9246 11 місяців тому +178

    서양도 SPOON이라는 단어는 문화탄생부터 있어왔죠.. 물론 그들은 그레이비, 수프라는 메뉴 탄생이 스푼의 영향을 키웠겠죠.

    • @user-gamjashuel
      @user-gamjashuel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그레이비소스는 여전히 적응 안됩니다

    • @lol-km8qv
      @lol-km8qv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폼 미쳣다~❤

    • @yea7080
      @yea7080 11 місяців тому

      뭔 개헛소리

    • @Bammelier
      @Bammelier 11 місяців тому

      ​@@user-gamjashuel치킨 그레이비에 찍어먹으면 진짜 맛있음 츄라이

    • @guezugunyangsaram
      @guezugunyangsaram 11 місяців тому

      ​@@user-kf1le1br2x스프를 스푼으로 떠먹어서 그렇단거잖

  • @GM-xh4rk
    @GM-xh4rk 11 місяців тому +37

    중국은 석탄 공급이 좋아서 기름에 볶고 튀기는게 아니라
    그냥 물이 안좋아서 기름요리를 하게된거죠
    심지어 2008년에도 마라탕먹다 죽는 사람이 나와서
    거지들이나 국물 마신다는 인식이 강하죠
    죽은 사람이 항상 국물까지 마셧고 위가 뚫려 죽었다고 소문났죠
    그냥 실려갔을거라 생각했는데 죽었다네요

    • @Life__Is__Beautiful.
      @Life__Is__Beautiful. 9 місяців тому

      근데 중국인들 지능이 낮은걸까요?
      마라탕 먹다가 죽은 게 국물 마셔서 그런다는 인식을 갖다니.
      마라탕 먹다 죽은 사람 사인이 뭔지는 모르겠으나
      그걸 가난을 사인으로 돌리다니...
      님의 글에 항상이란 단어가 쓰인 것보면 마라탕 먹고 죽은 게 빈번했던 건데
      사망자가 나왔을 때마다 요리한 사람 책임이 아닌 먹은 사람 책임으로 돌렸다는 황당한
      문화로 보입니다.

  • @GwanckleBerry3399
    @GwanckleBerry3399 11 місяців тому +186

    다른 영상에서는 대충 알려주었는데 지식해적단은 너무 깔끔하고, 과거 뿐만 아니라 고대의 역사 부터 알려주셔서 더 지식이 깊어졌습니다.

    • @user-zp1mz9mf6f
      @user-zp1mz9mf6f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숟가락으로 퍼먹는 문화와
      국에 밥 말아먹는 국밥 풍습은
      전세계에서 오로지 대한민국만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 @GwanckleBerry3399
      @GwanckleBerry3399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user-zp1mz9mf6f 신기한 문화네요. ㅎㅎ

  • @chk4681
    @chk4681 11 місяців тому +438

    밥 상 예절을 배울 때
    그릇을 들고 먹으면 혼난다거나
    반대로 일본에서는 그릇을 들지 않고 먹으면 개라고 놀린다거나 하는 것들도 결국에는
    환경에 따른 문화의 차이였었네요.
    이런 지식을 다양하게 접하게 될수록
    혐오라는 것은 좁은 식견과 편협한 사고방식에서 나온다는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 @bluestripe2
      @bluestripe2 11 місяців тому +48

      맞죠. 들고먹건 놓고 먹건 편한방식으로 먹을 뿐인데 그거에 이유를 갖다붙이게 되면서 이런 배타적인 생활양식이 만들어지는 것 같습니다. 저도 나무그릇 쓸때는 들고먹는게 훨씬 허리도 안아프고 편하더라구요

    • @LosiLosi
      @LosiLosi 11 місяців тому +39

      솔직히... 쥰내 뜨거운 밥이 담겨있는 그릇을 들고 먹을수 있냐 이 말이면 끝이긴함..

    • @user-jj7yh2zb3t
      @user-jj7yh2zb3t 11 місяців тому +7

      개라니 ㅋㅋㅋㅋ 억까 지리노

    • @chk4681
      @chk4681 11 місяців тому +65

      @@user-jj7yh2zb3t 반대로 한국에서는 밥그릇 들고 먹으면, 거지라고 억까를 하죠..

    • @vandalgom2583
      @vandalgom2583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

      @@chk4681 본 영상에서 설명한 문화의 차이점이 이런 견해차이를 만들었지만, 유교문화권인 아시아 국가들에선 식사예절을 굳이 근본을 따진다면 주자가례의 법도에 따라 들고 먹는게 예에 어긋나는게 맞겠죠.

  • @user-ne9yr3oc9h
    @user-ne9yr3oc9h 11 місяців тому +44

    식기 문화에 있어서 민족, 신분, 시대적 상황도 반영이 있는것 같네요. 정작 보면 맨손 쓰는 나라가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인지 주로 서민들에게서도 접해지기 쉽게 보였거나 서양 역사에서도 그러한 일상이 있는 것은 당연했으며 이외에도 맨손으로 식사하는 나라라면 가장 쉽게 떠올리는 인도와 같은 남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중남미, 그외 원주민 집단도 여전했으니까요.

  • @LMGG_official
    @LMGG_official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와 예전부터 궁금했던 주제인데~~~~~~!!!!
    다뤄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gk2ip7ks8t
    @user-gk2ip7ks8t 11 місяців тому +42

    밥그릇채 들고 먹기에는 너무나 많은 양인 것도 잊지 말라고

    • @macdori
      @macdori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ㅋㅋㅋ

    • @asdaxuxy
      @asdaxuxy 2 місяці тому

      나는 그냥 들고먹는데 뜨겁고 무거운건 상남자에게 별거아님 ㅋ

  • @mireuch5704
    @mireuch5704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스트리밍은 처음인데 시간 가는줄도 모르고 봤어요 흥미롭네요 ㅎ

  • @Dr.Copper
    @Dr.Copper 11 місяців тому +338

    개인적으로 한식의 특징이 마늘이나 국물 사랑도 있지만 저 숟가락이 기본 식기인게 가장 특이한 특징이라고 생각했는데 숟가락에 대해 영상이 올라오니 반갑네요.
    생각해보면 전세계 어딜 가든 숟가락이 기본 식기로 나오는건 우리나라뿐이더라구요.

    • @user-zp1mz9mf6f
      @user-zp1mz9mf6f 11 місяців тому +23

      숟가락으로 퍼먹는 문화와
      국에 밥 말아먹는 국밥 풍습은
      전세계에서 오로지 대한민국만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 @user-gg8lm6sd9u
      @user-gg8lm6sd9u 11 місяців тому +14

      맞아요 해외나갔다 한국와서 제일 반가운 게 숟가락… 필수는 아닌데 없어서 불편할 때가 많았어요

    • @user-mz9wt9lv2j
      @user-mz9wt9lv2j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user-zp1mz9mf6f조선인민민주주의 공화국도 있어요.

    • @toavnfdl
      @toavnfdl 11 місяців тому +25

      @@user-mz9wt9lv2j 그건 우리나라 법상 나라로 취급하지 않습니다. 북쪽땅 반국가단체 일원 이신가요?

    • @user-rj2sd7hg9o
      @user-rj2sd7hg9o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toavnfdl맞아요. 북한은 우리나라에 속하니까... 북한도 우리를 한 나라로 인정하지 않는거 보면 똑같이 생각하려나?

  • @nolsong3729
    @nolsong3729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유익한 정보 항상 감사드립니다.

  • @user-xm6xf3gs2m
    @user-xm6xf3gs2m 11 місяців тому +341

    숟가락에 대해서 이렇게 깊게 들어간 영상이 있을줄 몰랐어요 ㅋㅋㅋ 지식해적단님들은 항상 뭔가 새로운 소재를 기깔나게 설명해서 재밌게 설명하는 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하긴 중식당이나 일식당 등 가면 우리나라 거 같은 숟가락은 없었네요 일상에서 접하는 것에 대한 깊은 지식 참 감사합니다

    • @user-zp1mz9mf6f
      @user-zp1mz9mf6f 11 місяців тому +9

      숟가락으로 국밥 퍼먹는 문화와
      국에 밥 말아먹는 국밥 풍습은
      전세계에서 오로지 대한민국만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 @sokim521
      @sokim521 10 місяців тому

      ​@@user-zp1mz9mf6f노무현대통령님께서 지시하신 업적이죠... 그전까진 무식하게 일본 따라했겠죠... 우리만의 문화 우리가 지켜냅시다

    • @comfortablynumb3812
      @comfortablynumb3812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많아요~ 관심이 없었을뿐..

  • @user-eoeoeoeo
    @user-eoeoeoeo 2 місяці тому +8

    snl출연 축하드립니다❤

    • @keiosen1
      @keiosen1 2 місяці тому

      엌 보고 오셨군요

    • @Mrkim-ip4yv
      @Mrkim-ip4yv 2 місяці тому

      이준석도 사랑하는 지식해적단 ❤
      다음 공천때 꼭 불러주세요~~

  • @user-qj3jj3kd8p
    @user-qj3jj3kd8p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소중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 @Igwa_sensei
    @Igwa_sensei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흥미로운 주제 재밌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hyunjoolee6468
    @hyunjoolee6468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56

    저의 80넘으신 어머님 말씀으로는 일제시대때 일본사람들이 전쟁에 쓴다고 놋그릇들 다 공출해갔다고 합니다. 그래서 한동안 구경을 못했다고 하네요.

    • @arosgd
      @arosgd 11 місяців тому +207

      수저, 범종, 징 등등 한반도에 있는 물건 중에 녹여서 무기 만들 수 있는 거라면 싸그리 다 가져갔었죠

    • @handcreamcake
      @handcreamcake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진짜 악독한 넘들...못된짓만 골라서 했어 아주그냥

    • @user-is8pd3vy2i
      @user-is8pd3vy2i 11 місяців тому +42

      엄마가 80넘었으면 게이는 몇살이노

    • @yongjj9348
      @yongjj9348 11 місяців тому

      ​@@user-is8pd3vy2i 버릇이 있냐?😂

    • @user-is8pd3vy2i
      @user-is8pd3vy2i 11 місяців тому

      @@yongjj9348 틀니쉰내난다 게이야

  • @white_0011
    @white_0011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3

    예전에도 알고 있었지만 동아시아 내에서도 각각의 문화에 따라 도구의 모습이 다르네요

  • @user-lz9tm1dv8t
    @user-lz9tm1dv8t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잼있게 봤어요 정주행했네요
    감사합니다

    • @user-lz9tm1dv8t
      @user-lz9tm1dv8t 11 місяців тому

      숟가락 모양에 따라 희안하게 음식맛이 다라져욧

  • @friendly-spidy333
    @friendly-spidy333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정말 궁금한 내용인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 @StarKnyan
    @StarKnyan 11 місяців тому +86

    2:48 엥? 포크 원래 중동에서 유럽으로 전파된 거 아니었어? 라고 의문을 표하실 시청자분들이 있으실 거 같은데
    원래 로마는 꼬챙이를 사용했습니다. 이걸 본격적으로 식기인 포크로 전파시킨 게 동로마 제국 때고요.
    손으로 집어먹는 건 게르만인들의 문화로, 이들이 서유럽으로 이주하면서 유럽에 수식 문화가 퍼지게 된 것입니다.
    한편 포크는 동로마 제국 때 중동으로 전파되어 널리 사용되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동유럽은 서유럽과 달리 여전히 포크를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이게 다시 중동을 통해 서유럽으로 넘어온 것이고요. 게르만인들의 수식 문화에 밀려 더 이상 사용되지 않던 포크가 수천년만에 다시 고향인 유럽으로 돌아온 셈입니다.
    정리하자면 포크의 전파 순서는
    동로마→중동→서유럽입니다.

    • @user-jc2om3bn8s
      @user-jc2om3bn8s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그럼 로마 이전이나 포크가 전래되기전의 다른 나라는 숟가락말고 뭘 사용해서 먹었나요?

    • @yangsu2150
      @yangsu2150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영화 킹덤오브헤븐에서 이스라엘 왕국 공주가 손으로 집어먹던 장면은 십자군이 서유럽 출신이라 그런건가요?

    • @jinchan0110
      @jinchan0110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user-jc2om3bn8s 영상 다시 보고 와라

    • @seoulforest275
      @seoulforest275 11 місяців тому

      @@user-jc2om3bn8s 포크가 전래되기 시작한 것은 11세기, 널리 퍼지게 된 것은 16세기인데 이 이전에는 스푼과 칼, 그리고 손으로 먹었습니다. "신이 내린 위대한 도구인 손이 두개나 있는데 뭐 그런걸 쓰냐" "포크는 삼지창 모양이니 이단인 포세이돈의 상징이다" 하면서 배척받았어요

    • @user-sm4vm2hm8n
      @user-sm4vm2hm8n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user-jc2om3bn8s 손이요 기독교 득세이후에 포크랑 나이프가 들어오자 신이 내려준 좋은 식기인 손을 나두고 포크를 쓰냐면서 성직자들이 발작했습니다

  • @likephoenix659
    @likephoenix659 11 місяців тому +61

    한국과 일본의 차이는 결국 밥양의 차이가 컸을 거라고 본다.
    조선시대 사람들 밥먹는 양보면 도저히 들고 먹을 수 없는 양이다.

    • @user-ud4ff8wu4g
      @user-ud4ff8wu4g 4 місяці тому

      많이 ㅊ먹는거만큼 상스러운게 또 없지

    • @heyim897
      @heyim897 3 місяці тому +12

      ​​@@user-ud4ff8wu4g 우리나라 사람이 중국 일본보다 큰 이유가 잘 먹어서에요. 일본이 지금도 작은 이유가 소식해서고요. 이것과 관련된 연구도 많아요. 당신은 우리나라 사람이 아닌가보네요. 한국말 잘하는 외국인

    • @ya-in-Narration
      @ya-in-Narration 3 місяці тому

      ​@@user-ud4ff8wu4g왜 이리 발작함?

    • @apepeblackcompany
      @apepeblackcompany 3 місяці тому +12

      @@user-ud4ff8wu4g 그당시에는 제대로된 반찬이 없었고 고기도 귀했고 쌀로만 칼로리를 충당해야돼서 개같이 쌀밥만 퍼먹어야했음.
      그렇게 충당한 칼로리는 밭일하러 드가서 다 소모했고.... 지금은 많이 처먹으면 비만과 성인병만 유발하는 상스러운 행위인데 조선시대까지는 당연한거였음

    • @asdaxuxy
      @asdaxuxy 2 місяці тому

      ​@@user-ud4ff8wu4g많이 먹어야 힘이나고 생존에 유리해진다. 물론 총을 드는 순간 소드마스터가 와도 한방이니 먼저 서양의 신 기술들을 받아드린 일본이 왜소한 체격에도 한국을 탈탈 털어버렸지만..

  • @user-lb6jy7sr4l
    @user-lb6jy7sr4l 3 місяці тому

    재미있게 풀이해주니~~굿이네요

  • @shdhjdoajfal3177
    @shdhjdoajfal3177 11 місяців тому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질좋은 영상 늘 감사합니다^^*!!

  • @historyMonkey
    @historyMonkey 11 місяців тому +130

    조선시대에 숟가락을 많이 사용했던게 유교의 영향도 있었을 것이라고는 상상을 못했네요
    중국 주나라 시대때 숟가락 사용이 기본이어서 그것을 따라하고자 했다니 그런 속사정도 존재했다는건 정말 새롭습니다
    중국과 일본의 숟가락은 오히려 국자라는 느낌으로 생각하는게 이해하기 편하겠네요!

    • @trei222
      @trei222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국밥의 민족답네

    • @Collaintp
      @Collaintp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키야 주모 ~

  • @paka6162
    @paka6162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역사도 좋지만 이런 문화, 사회 영상이 너무 좋아요! 재밌어서 여러번 돌려봤네요 ㅋㅋ

  • @imbadger939
    @imbadger939 20 днів тому

    궁금했던 부분인데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흥미롭네요

  • @smileblack0
    @smileblack0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진짜 양질의 정보다..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 @Untitle-zs8qm
    @Untitle-zs8qm 11 місяців тому +37

    식당에서 먹는 눌러붙은 볶음밥을 숟가락으로 퍼먹는거 ㄹㅇ 포기못함 ㅋㅋ

    • @_desaix9174
      @_desaix9174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이것도 생각해보면 쇠숟가락 아니면 그런요리 못먹네

    • @user-daesun-Choi
      @user-daesun-Choi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특히 바짝 눌러붙은 것을
      박박 긁어서 멐을 때...

    • @user-ic3wv8uc1w
      @user-ic3wv8uc1w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전 그거 먹으러 가는거임 ㅋ

    • @user-mz9wt9lv2j
      @user-mz9wt9lv2j 11 місяців тому

      ​@@_desaix9174다른나라에서는 탕시를 주죠.

    • @user-mz9wt9lv2j
      @user-mz9wt9lv2j 11 місяців тому

      그래서 일본에서도 중식당 가면 렌게를 줍니다.

  • @juke2004
    @juke2004 11 місяців тому +23

    어릴적 조부모님댁엔 커다란 놋그릇으로 밥을 먹었는데 이게 밥이 어느 정도 비워지면 숟가락이 부딪혀 뎅~ 하는 소리가 아주 청하하게 울립니다.
    그럼 혼~납니다 ㅋ.ㅋ 조부모님이 돌아가시고 그 집을 정리하면서 제가 그 식기들을 챙기려 했는데 작은어머님이 먼저 챙기셨더군요...식구들 숫자대로 다 있던거 다 어디갔나 두벌씩만 남아 있어서 달라고 말도 못했던게 기억나네요.
    아버지 돌아가시고 제사때 놋 제기를 살까 했더니 어머니 질겁을 하시더군요. 옛날에 놋제기 닦던거 생각난다고...그래도 밥그릇 국그릇은 놋그릇으로 했어요. 그랬더니 제가 죽겠어요... 젯상 올릴 때 맨날 손 데입니다. 특히 설날 떡국은 아주 죽어요. 나이 어린 제수씨는 그게 뭐 그리 재미있는데 볼때마다 웃기대요. 암튼 놋그릇에 대한 추억이 깊네요.

  • @user-rt1hf4zx3d
    @user-rt1hf4zx3d 9 місяців тому

    고퀄리티 정보 영상 감사합니다!!

  • @user-my1vv9sz6v
    @user-my1vv9sz6v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크 역시 이런 주제는 주영하 선생님 저서에서 가져온 경우가 많네요 ㅎㅎ 이번 편은 특히나 재밌게 봤습니다😊

    • @studio_pirates
      @studio_pirates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

      한국 음식문화 쪽에서는 원탑이신 듯합니다 ㅋㅋㅋ

  • @user-fb7ho2dz6v
    @user-fb7ho2dz6v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숟가락의 기원은 한번도 생각해본적없는 주제인데 재밌게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qm5ot6yo5e
    @user-qm5ot6yo5e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숟가락에 대해 이해가 넓어졌습니다. 감사합니다.

  • @woodylim0911
    @woodylim0911 11 місяців тому

    재미있네요ㅋ 감사합니다

  • @crystalscipio
    @crystalscipio 11 місяців тому +16

    일본 만화 보면 젓가락으로 밥을 크게 뜨는 게 아니라 빗자루질 하듯이 입안으로 털어넣는 표현을 많이 쓰길래 찰기가 부족한 밥을 먹던 고정관념이나 식습관을 표현했다고 생각했는데 이게 쌀밥이 아니라 다른 잡곡밥때문인가 보군요

  • @user-xy1nx8gy2f
    @user-xy1nx8gy2f 11 місяців тому +22

    전에 다큐 중에 한국의 국 문화를 다룬 영상을 본 적이 있었는데 그때 느낀건 이 정도면 한국인은 밥심이 아니라 국심으로 사는게 아닐까 였었어요. 그런 국물 문화를 중심으로 밥을 먹다 보니 자연스럽게 숟가락이 살아 남았다고 들었어요.

  • @user-ws9sc1rq9z
    @user-ws9sc1rq9z 11 місяців тому

    지식 해적단 최고. 이번 영상도 믿고 봅니다!!

  • @user-de2vb1yx1f
    @user-de2vb1yx1f 11 місяців тому

    매번 좋은 퀄리티의 영상 만들어 주셔서 잘 보고 있습니다~😊

  • @Aaaron-ryn9the
    @Aaaron-ryn9the 11 місяців тому +202

    수저드립은 외국에서 시작되었습니다 😊 born with a silver spoon in your mouth 라는 표현으로 뜻은 한국과 거의 비슷합니다. "모든 사람은 입에 은수저를 물고 태어나지 않는다"(1721) 로 스코틀랜드 속담에 기록된게 첫 기록이라고 알고있어요.

    • @i_love_python5862
      @i_love_python5862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

      돈키호테에도 나오는 걸로 알고 있는데, 스코틀랜드 속담이군요.

    • @user-zp1mz9mf6f
      @user-zp1mz9mf6f 11 місяців тому +14

      숟가락으로 퍼먹는 문화와
      국에 밥 말아먹는 국밥 풍습은
      전세계에서 오로지 대한민국만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 @user-jl8mh1rt3n
      @user-jl8mh1rt3n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아무도 한국에서 시작했다고 안했는데 학창시절 못해봤던 아는척병이 지금 도져버린 이유가 무엇인지?

    • @nucleoligolipidprotein
      @nucleoligolipidprotein 11 місяців тому

      @@user-jl8mh1rt3n 이 사람은 왜 혼자 뿔이나서 일침충에 빙의했는지?

    • @user-jl8mh1rt3n
      @user-jl8mh1rt3n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nucleoligolipidprotein 뿔난건 내 댓글 본 본인이 아닌지?

  • @deullee1168
    @deullee1168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재밌다. 그런데 설거지며 관리며 스테인레스 수저가 확실히 오래 쓰고 편리해요. 나무는 관리가 어렵고 오래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가벼운 걸 넘어서더라고요.

  • @hagkyuoh2681
    @hagkyuoh2681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100만 빨리 가좌~~~~!!!
    얼마 안 남았다 ㄹㅎㅎㅎ🎉🎉🎉😊😊😊

  • @user-nj3bt7pp9c
    @user-nj3bt7pp9c 7 місяців тому

    재미있게 잘보고 갑니다

  • @uoongwe
    @uoongwe 11 місяців тому +64

    중국에서는 무엇보다 물이 너무 탁했죠 흙냄새가 심하고 그렇다보니 저절로 기름을 이용하는 음식들이 유행했고, 그런 것도 영향이 있었을거 같기는 합니다

    • @user-zp1mz9mf6f
      @user-zp1mz9mf6f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중화 본토는 다채로운 식재료가 많고 일본도 생선이 풍부해
      대한민국 처럼 국물을 먹을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과거에는 한중일 위생 따지면 대한민국이 제일 최악이었어요
      한양 도성의 길거리 대부분이 인분 똥이었다는 팩트...

    • @user-zp1mz9mf6f
      @user-zp1mz9mf6f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그것도 그럴것이
      누구의 속국이었다가 누구의 식민지었다가 했으니
      소말리아보다 못사는 대한민국 이었죠....
      국물에 밥 말아먹는 풍습도 아마 가난과 위생과 연관이 깊을 겁니다

    • @user-zp1mz9mf6f
      @user-zp1mz9mf6f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dadada-yy6lb 걍 팩트만 말했을
      국빱 즉 국에 밥알 말아먹는 풍습은
      경상도 고향이 가장 반색하는 풍습인데도
      경상도 고향쪽 낙똥강물이 중국 강들보다 훨씬 더럽거든요

    • @user_yt579
      @user_yt579 11 місяців тому

      @@user-zp1mz9mf6f 일빠답다 역사교육 다시 받아라. 우리나라는 위생적인걸로 유명했다. 조선 말에 한양 도성에 인분이 많았던건 그 당시 계획도시였던 한양에 생각보다 많은 사람이 몰리면서 계획했던 하수처리가 제대로 안되서 그런거란다 ^^ 조선족이니?ㅋㅋ

    • @user_yt579
      @user_yt579 11 місяців тому

      @@user-zp1mz9mf6f 가난과 위생 따지려면 중국 일본이 더하지 ㅋㅋ 우리나라는 역사적으로 일본 중국에 비해 백성들 편의 생각해서 정치하는 나라였음 ㅋㅋ

  • @thekimyoin
    @thekimyoin 11 місяців тому +12

    젓가락도 한국만 스댕을 쓰죠ㅋㅋ 그래서 얇은 젓가락으로 예리한 젓가락질이 가능!

    • @Ycmjg37143
      @Ycmjg37143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참고로 젓가락 표준법은 원래 조선시대까지는 우리나라가 쓰던 방식이 아니라고 합니다.
      일본이 쓰던 방식인데 그게 편리하고 효율적이니깐 쫙 퍼진거라고 합니다.

  • @timeto892
    @timeto892 9 місяців тому

    좋은 지식을 멋들어진 프리젠테이션으로 보여주시니 이거 눈과 머리가 너무 호강하네요. 최고입니다!

  • @jyl7782
    @jyl7782 11 місяців тому

    좋은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mochalatte04
    @mochalatte04 11 місяців тому +129

    유기는 여전히 고급식기이죠. 특히나 수공방짜유기는 가격이 너무도 ㅎㄷㄷ해서 웬만해선 사기힘든;;;그런데 이상하게 이곳에다 밥 먹으면 뭔가 더 맛있게 느껴짐. ㅋ 그리고 뭔가 한식만의 고아한 품위가 느껴지는게 있음. 놋그릇 못지않게 조선식 백자나 청자느낌으로 한상 차려도 너무 멋짐.

    • @user-ww1go4wp2p
      @user-ww1go4wp2p 11 місяців тому +15

      가격도 가격이지만 무게도 상당해서 거의 흉기임 그냥 밥그릇도 무거운데 냉면기는 두손으로 조심히 들어야 됨

    • @user-mv6kj4qo8q
      @user-mv6kj4qo8q 11 місяців тому +19

      ​@@user-ww1go4wp2p놋그릇을 보면 한식의 특징이 보이죠. 무거워서 들수 없고 온도 보관이 잘되죠. 씻는 것도 일이고 제대로 보관을 못하면 녹이 금방슬죠.. 관리가 힘든그릇입니다.

    • @user-zw3zj3dl1v
      @user-zw3zj3dl1v 11 місяців тому +8

      ​@@user-mv6kj4qo8q그런 불리한점을 다 덮고 강제로 생존시킨 유교는 대채 뭘까

    • @jhtiger1104
      @jhtiger1104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user-zw3zj3dl1v 한중일 전부 유교 문화권임 그리고 영상에도 나오지만 우리나라는 칠기 그릇을 식기로 쓰기엔 적합하지 않았음. 이건 좀 억까라고 생각

    • @mochalatte04
      @mochalatte04 10 місяців тому +8

      ​@@user-ww1go4wp2p뭐가 또 흉기임. 냉면기나 비빔기 갈비탕기도 살짝 무게감은 있어도 못들 정도는 절대아님. 오바육바 ㄴㄴ 또한 유기의 가장 큰 장점은 봄가을 환절기 식중독위험이 높아질때 음식변질도 늦춰줌. 다만 관리가 정성이 들어가는게 자주쓰기 힘든그릇인건 인정.

  • @user-qf4mt1zq7l
    @user-qf4mt1zq7l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

    교과서에서는 중국은 우리 나라보다 긴 젓가락, 일본은
    짧은 젓가락을 쓴다고 배웠던 시절이 있었는데,
    숟가락의 사용도 다른 걸 알게 되네요.

  • @user-qn6wz3bq1u
    @user-qn6wz3bq1u 11 місяців тому

    초기부터 보고있던 구독자입니다! 유익한 동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해외 거주자라 그런지 은근히 궁금했거든요

  • @user-fy8ts8ts1x
    @user-fy8ts8ts1x 11 місяців тому

    이번에 알고리즘 타고 왔는데 영상이 깔끔하고 이해하기 쉽네요

  • @user-nd6hs6zp5w
    @user-nd6hs6zp5w 11 місяців тому +17

    자대에서 쫄따구로 첫 석식 먹을 때 멋모르고 몇 벌 없는 젓가락 집었다가, 뒤에서 인솔하던 고참한테 개 욕 처먹고 들은 말.
    "젓가락은 최고참만 집는다"
    그 이후로 숟가락만으로 밥을 먹었는데, 나중에 내가 최고참이 돼서도 젓가락 없이 숟가락 만으로 먹게 됨.

    • @seo1739
      @seo1739 11 місяців тому

      ㅋ ㅋ ㅋ ㅋ
      공감 !

    • @user-hq6zu7no6s
      @user-hq6zu7no6s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미필들아 요즘은 그런 거 없다

  • @silee9019
    @silee9019 11 місяців тому +18

    2주 전에 일본 다녀오면서 료칸에 묵고, 일본 음식점도 가보니
    진짜 아예 저 국물 떠먹는 숟가락도 안 주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어서 겁나 어색했음
    가끔 젓가락으로만 밥 먹을 때도 있긴 하니까 불편하다기 보단 어색함...

    • @user-hq6zu7no6s
      @user-hq6zu7no6s 11 місяців тому +13

      전 그냥 집에서 젓가락만 쓰는데, 숟가락 들었다가 내려놓고 젓가락 들고 내려놓고 다시 숟가락들고 이러기 귀찮음. 국밥이나 비빔밥 아니고선 왠만하면 젓가락만 씀

    • @nabihi16
      @nabihi16 11 місяців тому

      @@user-hq6zu7no6sㄹㅇㅋㅋ

    • @Soviet_China
      @Soviet_China 9 місяців тому

      ㄹㅇㅋㅋ

  • @u_tuv
    @u_tuv 11 місяців тому

    진짜 은근히 계속 궁금하던 점이었어요 감사합니다~ㅎㅎ

    • @user-vx8mi8yl3l
      @user-vx8mi8yl3l 11 місяців тому

      빵이 주식인 나라는 손으로 먹죠

  • @luca_5268
    @luca_5268 11 місяців тому

    유익하다 유익해~

  • @user-nr3so5nu8c
    @user-nr3so5nu8c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

    이왕 숟가락에 대해 영상 만드신김에, 젓가락의 한중일 차이도 만드셨으면 좋겠네요^^

  • @goodbbak3485
    @goodbbak3485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군대 갔을 때 스뎅 숟가락 하나 달랑 주고 이걸로 밥 먹고 국 먹고 반찬 먹으라고 했을 때 뭐지 미친 건가 싶었는데
    막상 써보니 젓가락 없이 숟가락만 가지고 먹는 거에 그닥 어려움을 느끼지 못했던 기억이..

  • @user-tz4xd7ue3m
    @user-tz4xd7ue3m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정말 동의!! 숟가락이야말로 한국인들의 도구~~~~~

  • @IslamChatKo
    @IslamChatKo 11 місяців тому

    지식해적단 너무 유익합니다. 우리나라는 숟가락에 진심이네요 ^^

  • @user-bw7yh1wm6z
    @user-bw7yh1wm6z 11 місяців тому +657

    영상의 깊이도 있고 흥미롭고 유익한데, 정설에서 벗어난 정보가 하나 있네요.
    일본의 밥은 찰기가 있어서 젓가락으로 뜨고, 우리나라는 찰기가 없기 때문에 숟가락으로 떠먹었다는건 명백한 오류입니다.
    찰기가 있는 쌀의 이름이 자포니카라서 나온 오류인것 같은데,
    한중일에서 공통적으로 먹었던 쌀이며, 이름부터 일본 쌀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국내 소로리에서 발견된 볍씨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었고, 현존하는 쌀들의 조상이라는게 확실시 되기 때문에
    "일본의 밥은 찰기가 있어서 젓가락으로 떠먹었다"
    는 잘못된 얘기입니다.
    그리고 일본의 주식은 쌀이 아닌 조나 기장같은 찰기가 없는 곡식들이었기 때문에 그릇을 입에 붙여서 젓가락으로 쓸어먹은 것이었으며,
    이것은 이원복의 먼나라 이웃나라에서도 다룰 정도로 오래된 정설입니다.
    주식이 쌀이 아닌 이유는 개항 전까지는 일반 백성들의 세금이 심하면 90%, 기본적으로 60%이상 이었기 때문에
    (임진왜란때 부산을 점령하고 점령지의 민심 얻겠다고 특별히 낮춘 세금이 50%였으니 세금이 높은게 맞습니다)
    주식은 자연히 쌀이 아닌 조나 기장이 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국내에서 옻칠이 귀한 장식품과 공예품에만 된건 맞긴 하지만,
    옻칠한 나무 식기가 도자기보다 귀하다는것은 비약인것 같습니다.
    막사발이라고 해도, 이건 일단은 도자기이기 때문에 직접 빚고, 나무를 태워 구워야하기 때문에 기술적으로도, 들어가는 자원을 보더라도,
    나무에 옻칠한것보다는 도자기인 막사발이 훨씬 더 귀한게 맞습니다.
    아마 자개농이나 화장대같은 것들이 옻칠이 되어있어서 더 귀하다는 추론을 하신것 같은데,
    애초에 장롱이나 가구들을 도자기로 할수도 없거니와, 비싼것들에 옻칠이 되어있는 이유는 나전칠기와 같은 자개를 나무에 박고 마감으로 옻칠을 했기 때문일 겁니다.
    물론 지식해적단에서 옻칠이 더 귀하다고 하진 않았지만,
    국내에는 옻나무가 적어서 식기에 까지는 쓸 수 없었다고 한 직후에 백성은 막사발, 양반같은 귀족층은 놋그릇을 썼다고 하면,
    조선은 중일 둘다 쓰는 옻칠을 양반들도 쓰지못했다!
    로 들릴수 도 있기 때문에 따로 첨언해 봅니다.
    뭐, 놋그릇의 소멸 이유는 일제강점기당시 2차 세계대전을 하던 일제가 총알만든다고 문고리부터 가마솥까지 전부 뜯어갔다는 얘기가 빠지긴 했지만, 이건 다른 분들도 얘기하고 있으니 따로 언급하지는 않겠습니다.
    그럼, 늘 새로운 지식을 향하여 순항하시길!

    • @FestivalNoodle
      @FestivalNoodle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1

      소로리 볍씨 얘기 여기서 처음듣고 무슨 환빠인가 했는데, 실제 인류 최고 볍씨네요? 유전학적으로는 현재 볍씨와 유사성은 높진 않지만. 세계 고고학 개론서에서도 2004년부터 쌀의 기원을 중국에서 한국으로 변경해서 발행한다고 하기도 하네요. 신기한 정보 감사합니다

    • @andy-dl5qz
      @andy-dl5qz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이제 기장이나 조먹는 일본은 왜 숟가락사용 안하는지와 귀하지않은 옻그릇을 안쓰고 뜨꺼운 놋그릇을 쓰는지 알려주세요

    • @parky-park
      @parky-park 11 місяців тому +28

      @@andy-dl5qz 기장,조로 지은 잡곡밥은 찰기가 부족해서 숟가락으로 퍼도 흘러내려 입대고 후루룩 퍼먹는게 훨씬 편했다는 설이 대중적이고 놋그릇은 양반들이나 자주 썼지 평민들은 잘 못 썼음. 지금에서야 보온성도 좋고하니 쓰는거지

    • @Daniel-zx1yn
      @Daniel-zx1yn 11 місяців тому +28

      @@andy-dl5qz 댓글 본문에 다 써있는데요

    • @toolazystudio
      @toolazystudio 11 місяців тому +19

      먼나라 이웃나라는
      고증 문제 많지 않았나 …

  • @Collaintp
    @Collaintp 11 місяців тому +20

    국밥의 민족 괜히 부르는걸 아니구나

  • @user-kn9hr4ll6f
    @user-kn9hr4ll6f 11 місяців тому

    진짜 재밌어요

  • @chabachoineo
    @chabachoineo 11 місяців тому

    은근 궁금했던건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risingsunflagsamemeaningas7472
    @risingsunflagsamemeaningas7472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숟가락의 곡선은 그릇의 형상에 따라 변했습니다.
    볼의 깊이가 낮으면 칼처럼 끝이 뾰족하게 볼 깊이가 깊으면 둥근 형상처럼 볼과 숟가락이 밀착 되어 음식이 숟가락 옆으로 새어 나가지 않게 형상이 제작 된 것 입니다

  • @camelb7103
    @camelb7103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국/탕 문화가 숟가락에 영향을 크게줬다라는걸 체감 하는게
    난 국을 안먹는사람이라서 딱히 숟가락을 안써도 밥 잘먹어가지고 굳이 숟가락 안꺼냄
    이런게 하나의 개인이 아니라 식사문화적인 범위로까지 퍼지는거면 안쓰는게 당연한거겠지

    • @y22ks
      @y22ks 11 місяців тому

      국밥도 안먹고 계란찜은? 두부는 어떻게 집음?

    • @user-mz9wt9lv2j
      @user-mz9wt9lv2j 11 місяців тому

      ​@@y22ks전 그냥 젓가락으로도 집어져요.

  • @groumet73
    @groumet73 11 місяців тому

    최고 고퀄!

  • @Novajin0
    @Novajin0 11 місяців тому

    지식해적단 곧 백만이 넘어가겠네요~ 항상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hyenasky1
    @hyenasky1 11 місяців тому +7

    툭하면 중국,일본이랑 비교하면서 남들 깎아내리면서 우리나라 문화가 우수하다고 떠드는 여타 유투버들 영상보면서 솔직히 짜증 많이 났었는데...
    문화에 우수하고 그렇지 못한게 어디있겠습니까? 각자 처한 환경에 적응해나가면서 발전시킨 것들인데...
    이렇게 제대로 된 정보 알려주시는게 너무 좋네요...

    • @gazzaga
      @gazzaga 9 місяців тому +2

      문화가 우수한건 우수하다고 하는게 맞지 그게 국뽕이니 비교질이 불편해하면 도대체 이나라가 잘하는게 뭐가있음??뭘 내세우고 자랑할게있음?

    • @Sunmeng124
      @Sunmeng124 Місяць тому

      저는 오히려.. 외국이 더 좋다고 치켜세우는게 더 많고 심각하다고 생각해요..
      서로 익숙하고 편한데로 발전된건데..
      꼭 비교하면서 울나라를 까내는게 슬프네요.. 😥
      까내리면 뭐 자기는 똑똑이가 되는거라고 생각하는지..
      자기 주장을 너무 억지 부리면 다 수긍해줄꺼라고 생각하는지..
      너무 심각해요..😥

  • @Finger_Prince
    @Finger_Prince 11 місяців тому +80

    중국 대만쪽 친구들을 보니 우리나라의 납작한 젓가락을 불편해하거나 제대로 못 쓰는 친구들이 있더라구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둥근젓가락이나 납작한 젓가락 모두 곧잘 쓰는데 말이죠. 왜 이런 차이가 있는지도 궁금해지네요

    • @yagum3370
      @yagum3370 11 місяців тому

      그긴 튀긴 음식 많이 먹어서 길고 그런것 쓰지 않나요... 중국인들 그렇게 기름에 튀겨 먹고도 사는데 지장 없는지.. 요새 튀긴 음식 안 좋다고 다들 그러는데..

    • @o.o_m
      @o.o_m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

      그냥 안써서 못쓰는 듯
      우린 평소엔 스텐젓가락 쓰다가 요리용으로 길고 둥근 나무젓가락 쓰기도 하는데 대만은 먹을때도 요리할때도 둥근 나무젓가락 쓰니까 애초에 납작한걸 접할 일이 별로 없잖아요

    • @yeonnnik159
      @yeonnnik159 11 місяців тому +20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젓가락은 일본이나 중국에서 쓰는것보다 무겁습니다. 무거운공을 드는사람이 가벼운공을 드는것이 쉬운것처럼 가벼운공만들던사람이 무거운 공을 들려니 힘든것이죠. 단지 드는것 뿐이아니라 손가락 4개로 집는 고난이도 행위를 더 무거운것으로 해야하니 더 힘든것이죠 !

    • @user-tm3ph3om9f
      @user-tm3ph3om9f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

      원래 우리나라 젓가락은 둥근모양이 아니라 정사각으로 뻗어나간형태인데 만들기가 까다로우니 둥근모양으로 요즘 사용되는것 같아요.옛날 물건보면 다 네모 손잡이 였어요ㅠㅠ 왜 근본없이 둥글게 찍어대는지...ㅠㅠ유기네모 젓가락 사용해보면 진짜 편합니다.즉 우리나라 젓가락도 원래는 네모.요즘은 만들기 편하게 하려고 등글게 나옴 ㅠ

    • @user-gp1oj8jm7i
      @user-gp1oj8jm7i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납작한 수저는 미리 상을 준비해놓고 사람을 부르는 중국/일본 문화와 달리, 상을 주방에서 전부 차리고 그대로 들고 식사를 받는 사람들의 앞까지 옮겨오는 방식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상을 옮기는 과정에서 비교적 둥근 모양이면 수저가 굴러버리기 쉽기에 납작하고 무거운 금속재 젓가락이 일반화됐다고 해요.
      그리고 납작하고 얇데, 무거운 금속 젓가락을 쓰는 게 아무래도 손을 더 세고 꼼꼼하게 쥐어야 하고, 손가락 움직임이 어렵기 때문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나무 젓가락을 쓰는 데에는 큰 무리가 없지만, 반대는 낯설다는 느낌을 받기가 비교적 쉬운 거죠.
      근데... 일본도 상을 차린 채로 옮기는 문화가 있기는 하거든요?
      그래서 여기부터는 개인적인 생각이긴 한데, 근데 일본의 식사상은 우리나라처럼 다 같이 둘러앉아 먹는 큰 상이 아닌, 작은 1인용 상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상도 작고 젓가락도 한 쌍만 신경쓰면 되고, 젓가락을 놓는 방식또한 집어올리기 쉽도록 모서리 끝자락에 걸치듯 놓는 우리나라와 다르게 밥그릇 앞에 가로로 놓기 때문에 상이 흔들리더라도 떨어지거나 할 일이 적습니다. 그래서 굳이 납작하게 바뀔 필요가 없었지 않았나 싶어요.

  • @user-ie9zj7cp7v
    @user-ie9zj7cp7v 11 місяців тому

    아주 좋은영상

  • @Junssssssss
    @Junssssssss 11 місяців тому

    전쟁사 로마사 이런 컨텐츠보다 신선한 생활 문화사 내용 좋습니다 😮

  • @user-be4vq2io8d
    @user-be4vq2io8d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중국이나 일본은 나무그릇이 보편적이라 국물도 숟가락 안쓰고 그냥 들고 마시죠
    한국은 도자기나 놋그릇(현재는스탱으로 대체)을 많이 썼기 때문에, 그 뜨겁고 무거운 그릇째 들고 마시기는 힘들어서
    상대적으로 숟가락문화가 발달

  • @Yuuwon_
    @Yuuwon_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9:41 대한공영권ㄷㄷㄷ

  • @limman000
    @limman000 11 місяців тому

    지식해적단! 100만 가즈아~~

  • @user-rn6jk5xw1n
    @user-rn6jk5xw1n 11 місяців тому

    오오, 참고가 된다요.

  • @straywithkids
    @straywithkids 11 місяців тому +21

    아니 근데 1:07 여기 그래픽 너무 직관적이고 잘 만들었다....감탄만 나와요...

  • @axeria_6176
    @axeria_6176 11 місяців тому +7

    맨 첫부분.....
    일본에선 규동 비벼먹지않고, 그릇에 담겨진 그대로 젓가락으로 뜨거나 쓸어넣어 먹습니다.
    정 불편하면 스푼 달라고 하면 주긴하는데, 가서 비벼먹게 되면 신기하듯 쳐다보는 사람도 있을 정돕니다.
    중국에선 마라탕 국물에 밥 말아먹기에 상상이상으로 자극적이어서 입과 속이 뒤집어질수도 있습니다.
    국물 몇 숟갈떠서 밥에 비벼먹는다면 모를까.
    '마라탕 국물까지 마셔버릴 놈' 이라는 중국 욕이 괜히 생긴게 아닙니다.

    • @user-hq6zu7no6s
      @user-hq6zu7no6s 11 місяців тому

      근데 얘들 생각보다 마라탕 개좋아하더라

    • @Ycmjg37143
      @Ycmjg37143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그리고 사실 일본이 변형한 카레라이스도 우리나라처럼 비벼 먹는게 아니라 한쪽은 맨밥 한쪽은 카레라이스를 나눠서 따로 떠먹는거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로 카레라이스가 넘어오면서 카레라이스에 밥을 비벼먹게 된거라 합니다.

    • @Ycmjg37143
      @Ycmjg37143 11 місяців тому

      @@user-hq6zu7no6s 사실 우리나라 마라탕은 사골국물 기반으로 변형된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매운맛 5단계 제도도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시작된거고요. 기존에는 매운맛 3단계제도였는데 이게 우리나라하고 좀 맞지가 않아요. 대표적으로 신전떡볶이가 매운맛 3단계 체제인데 거기 순한맛으로 시켜도 엄청 맵더라고요.

    • @user-mz9wt9lv2j
      @user-mz9wt9lv2j 11 місяців тому

      ​@@Ycmjg37143실은 소수긴 하나 탕수육 논쟁 비슷하게 카레를 둘러싸고 논쟁이 있어요. 하지만 압도적으로 비벼먹는 사람들은 극소수라네요.

    • @user-mz9wt9lv2j
      @user-mz9wt9lv2j 11 місяців тому

      ​@@Ycmjg37143그래서 집에서는 비벼먹되 밖에 나가서는 그냥 먹는 사람들도 있어요.

  • @user-ub2dq9zf6t
    @user-ub2dq9zf6t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지식해적단님 혹시 로마 이야기는 중단 됬나요..? 궁금해서 여쭤봐요!

  • @zoeful
    @zoeful 11 місяців тому

    영상 퀄리티 레전드 ㄷ ㄷ ㄷ

  • @yoonso5740
    @yoonso5740 11 місяців тому +119

    재밌는 영상 잘 봤습니다, 비빔밥이 대표적인 한국음식인것도 숟가락의 지분이 매우 큰것같아요. 동양 식문화의 대표적인 이미지가 젓가락이긴 하지만 한국인은 숟가락 없는 밥상 답답해 디짐... 숟가락 사랑해..

    • @user-sf3lh1et5s
      @user-sf3lh1et5s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user-rt6dk3xi1o뭔 ㅈㄹ

    • @user-mz9wt9lv2j
      @user-mz9wt9lv2j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_quasa.그래서 그릇을 들고먹는겁니다.

    • @mochalatte04
      @mochalatte04 10 місяців тому +10

      ​@@user-rt6dk3xi1o일뽕에서좀 깨라. 그래놓고 아이스크림이나 리조또는 좋다고 스푼으로 쪽쪽빨아먹겠지?

    • @user-jc7zk6cp3k
      @user-jc7zk6cp3k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user-wi3ky7jn4n 한국은 개처럼 고개숙이고 먹는데

    • @almond318
      @almond318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user-jc7zk6cp3k그릇 들고 먹는건 천박한건데 ?

  • @bonghalee
    @bonghalee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이것이 밥힘이란 건가!!

  • @user-sm2jl2kt6e
    @user-sm2jl2kt6e 11 місяців тому

    이야 이건 추천을 안박을수가없다 진짜 잼있게봤다

  • @love_xxaplee
    @love_xxaplee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 잔잔하게 깔리는 바이올린 브금이 너무 중독적이란 말이지 ㅋㅋ

  • @jnj2112
    @jnj2112 11 місяців тому +409

    숟가락이던 젓가락이던 편하게먹으면 그만이겠지만
    주변나라들과 확실히 구분되는 우리만의 식문화를 보여주는것같아 뿌듯하네요ㅋㅋㅋ

    • @user-hd3jq3bt6n
      @user-hd3jq3bt6n 11 місяців тому +13

      숟가락이든 젓가락이든이 맞는 표현입니다~

    • @MESU-GAKI
      @MESU-GAKI 11 місяців тому +72

      얼마나 자랑할게 없으면 숟가락으로 뿌듯하노

    • @suit7428
      @suit7428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MESU-GAKI 자기만의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으면 뿌듯하지 당연히 선족이는 꺼져라~

    • @je.b7VlW.0.s
      @je.b7VlW.0.s 11 місяців тому +120

      ​@@MESU-GAKI너넨 자랑할 문화도 스스로 태워놓곤ㅋㅋㅋㅋ

    • @MESU-GAKI
      @MESU-GAKI 11 місяців тому

      @@je.b7VlW.0.s 문재인 보유국 ㄷㄷ

  • @Daldal-ing
    @Daldal-ing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우리나라는 국밥문화라서 숟가락이 꼭 필요함.
    국물에 밥을 말아먹는 문화는 한중일중에 우리밖에 없거든요.
    특히나 옛날엔 지금처럼 따끈한 밥을 언제든 먹을 수 있는 환경이 아니다보니 한번에 커다란 가마솥에 한솥 지어놓으면
    다 식은 찬밥 뜨끈하게 먹으려고 국물에 밥을 말아먹었어요
    한식의 기본이 밥+국이죠.. 옛날엔 당연히 국물에 밥말아먹는게 디폴트값이라서 숟가락이 필수인 문화가 되었죠
    중국도 예전엔 우리랑 비슷했지만 식문화가 바뀌면서 밀가루비율이 높아져서 면식과 튀김이 많아지고 우리랑 다른길을 갔어요.
    고대 유물로 출토되는 중국 숟가락은 오히려 지금 한국이랑 비슷함.

    • @user-mz9wt9lv2j
      @user-mz9wt9lv2j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일본에서는 국에 밥마는걸 개밥같다고 해서 꺼립니다. 그래서 밥과 국을 따로 먹습니다. 이 젓가락 문화가 큰 영향을 끼쳤죠.

  • @troohoste
    @troohoste 9 місяців тому

    자막이 참 재미있네요.

  • @user-qr1qo6og6w
    @user-qr1qo6og6w 11 місяців тому

    씹고퀄 감사합니다

  • @dfdfsdfa
    @dfdfsdfa 11 місяців тому +182

    같은 아시아 사람인데도 문화가 다 다르네요

    • @sakeL744
      @sakeL744 11 місяців тому +16

      북한도 한민족인데도 스푼없이 입대고 마시고있음 한국이 더 이상한거임

    • @KLS0901
      @KLS0901 11 місяців тому +11

      같은 나라 안에서도 차이가 꽤 크죠

    • @alroesen
      @alroesen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1

      ​@@sakeL744문화의 차이일 뿐이지 이상한건 아닌 것 같아요!

    • @khd5031
      @khd5031 11 місяців тому +41

      @@sakeL744 뭐가 이상하단건지;;

    • @laghan4546
      @laghan4546 11 місяців тому +40

      @@sakeL744 북한에 숟가락이 없다고? 이건 처음 듣는 소리네

  • @Tanghuru888
    @Tanghuru888 11 місяців тому +18

    유기는 일제강점기때 싹 걷어가서 거의 사라진거구요... 그 빈자리를 철제 식기류가 대체하게 된거로 알고 있습니다.

  • @user-em6zw3fy6y
    @user-em6zw3fy6y 11 місяців тому

    무한반복 bgm때문에 내용이 안들어오고 ~따다다다 딴따 딴 딴 딴~ 머리속에 계속 맴돌아요 ㅜ ㅜ (주변모니터링 부탁해요~)

  • @Gwangpen
    @Gwangpen 11 місяців тому

    수저에 대하여 깊게 생각 해본적 없는데 정말 재밌네요~

  • @sonj.w5819
    @sonj.w5819 11 місяців тому +17

    이 영상을 보니 군대에서 사용했던 포크 기능을 겸비한 숟가락이 생각나네요. 처음엔 이게 뭔가 싶었지만 참 실용적인 숟가락이었죠.

    • @jinkyungOH
      @jinkyungOH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저도 영상 보는 내내 그거 생각이 나더라구요! 스푼과 포크의 합성어로 스포크라고 하죠! 스포크야 말로 원툴 쌉가능인데 말이죠 ㅋㅋ

    • @user-vk2ii3ww7x
      @user-vk2ii3ww7x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jinkyungOH스포크라고 함? 포카락이 아니고?

    • @K2_RIFLE
      @K2_RIFLE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user-vk2ii3ww7x 무조건 포카락이져ㅋㅋ

    • @user-th9sg9sn4e
      @user-th9sg9sn4e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난 포크숟가락이라 부르는뎅

    • @metal1857
      @metal1857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어릴적 도시락싸오면 대부분 포크숟가락이었는데 ㅋㅋ 군대에서도 어느순간 사라지더군요 ㅜㅜ 설겆이하기 어려워서 없어지지 않았을까요

  • @yusungbong
    @yusungbong 11 місяців тому +7

    한반도에서 숟가락을 주로 쓴 이유는 철이 비교적 흔했고 오래전부터 스키타이 유목문화권 영향을 받아서 국물요리가 메인이었죠. 유목민들이 양과 말의 젖에 고기와 채소를 담아 조리하는 방법이 깨끗한 물이 많은 한반도에서는 물을 사용하는걸로 바뀌었다고 하네요.

  • @StayCalmMan
    @StayCalmMan 9 місяців тому

    키드님 유머 코드 넘 좋아여 ㅋㅋㅋ

  • @MrKim-tg2lf
    @MrKim-tg2lf 11 місяців тому

    올라왔다아아아

  • @user-ng9ei5ux7u
    @user-ng9ei5ux7u 11 місяців тому +7

    볼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그래픽작업 하시는 분 정말 칭찬하고 싶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