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투기의 심장 💓엔진💓 개발 드디어 나선 한국! KF-21 드디어 수출 가나? [K-방산 항공엔진 국산화] 엔진개발, 전투기, 비행기, KF-21, 독자개발, 방산시장, 딥다이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6 чер 2024
  • 전투기 1대 수출이 국산 중형자동차 1000대 수출과 맞먹는다는 얘기 들어보셨나요. 그만큼 무기체계 중에서도 전투기의 부가가치가 크다는 뜻인데요. 마침 최초의 국산 전투기 KF-21의 양산단계 진입이 눈앞에 다가오고 있어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이 커집니다.
    그런데 KF-21 전투기의 심장인 엔진은 누구 것일까요.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의 ‘F414’ 엔진 설계도를 받아 한국에서 라이선스 생산합니다. 사실상 심장은 미국산이나 마찬가지이죠.
    항공엔진 개발 기술을 가진 나라가 전 세계에 6개국(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우크라이나·중국)뿐이기 때문인데요. 모든 나라가 탐내는, 하지만 좀처럼 닿을 수 없는 항공엔진의 세계를 딥다이브 해보겠습니다.
    #전투기엔진국산화 #스텔스전투기 #항공용엔진
    🌊재밌게 빠지는 경제상식! 렛츠 딥다이브🌊
    00:00 오프닝
    00:41 국산 전투기 엔진이 미국 거라고요?
    01:25 항공 엔진 기술이 그렇게 어렵나요?
    02:38 그럼 중국은 어떻게 항공 엔진을 개발했나요?
    04:10 우리도 항공 엔진 개발에 나서야 하지 않을까요?
    #K방산 #KF-21 #전투기용엔진
    💌 뉴스레터 구독 링크▶ www.donga.com/news/Newsletter
    기획·구성 | 한애란
    연출 | 신한솔 정승연
    제작 | 신한솔 정승연 유니나
    CP | 신준모
    썸네일 l 조현진 (썸네일 이미지 출처 ▶방위사업청, envatoelements,Ge사 홈페이지)

КОМЕНТАРІ • 61

  • @user-bs9wj5ok7u
    @user-bs9wj5ok7u 7 місяців тому +11

    딥다이브 한애란입니다. 제가 'WS'를 '더블에스'라고 잘못 읽었더라고요. T.T 이 영상을 보실 중국항공엔진그룹 관계자 분들께(??) 죄송하단 말씀 드리며. 데블에스 아니고, 더블유에스로 발음 정정합니다~

    • @user-rf2tn7if5l
      @user-rf2tn7if5l 7 місяців тому

      괜찮습니닷!

    • @user-he9nr5zs3c
      @user-he9nr5zs3c 7 місяців тому

      괜찮습니다. 설마 누가 Devil Ass로 듣겠어요?

    • @user-he9nr5zs3c
      @user-he9nr5zs3c 7 місяців тому

      다시 들어보니까 Double Ass로 읽으셨군요. 엉덩이는 2개 맞는데요?

    • @houb_-pc9ox
      @houb_-pc9ox 3 місяці тому

      @@user-rf2tn7if5l중국에 한 말인데 웬 잡넘이 괜찮네 마네

    • @joeplayer7851
      @joeplayer7851 Місяць тому

      죄송할것 까지는... 중국에게 배울건 카피 기술., .

  • @user-xu4dq3kj5e
    @user-xu4dq3kj5e 6 місяців тому +3

    우리나라 대한민국 연구원님들 고생이많습니다 항공엔진 모든 부품 국산화 개발에 최선을 다해주세요 우리나라 대한민국 힘내세요 아자아자 화이팅 항상 응원하고 기도하겠습니다 👍🙏

  • @user-rk9ee4qu3p
    @user-rk9ee4qu3p Місяць тому

    우리 나라 대한 민국도 전투기 엔진을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개발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나라 대한 민국 만세!!!❤😂🎉

  • @user-ye3ho6oo5r
    @user-ye3ho6oo5r 7 місяців тому +5

    와....설명과 진행이 굉장히 매끄럽고 차분하며, 목소리까지 꾀꼬리 같아 좋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user-ox1nj2ob1b
    @user-ox1nj2ob1b 7 місяців тому +6

    중국도 수십년 걸려도 아직 미완성 인데 우리는 이제 시작하니 까마득하네요.... 그래도 포기하지 않고 예산, 인력, 관심, 응원등 지원합시다.

  • @footstep002
    @footstep002 7 місяців тому +3

    kfx 시작할 때도 그랬지만 결국 미루게 되면 선진국과 기술격차만 계속 늘어날뿐...나중에 따라잡기란 더 더욱 힘들어질 뿐이죠.

  • @user-yt7ln1fx7l
    @user-yt7ln1fx7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독자 개발로 자주국방 이룩하자! 눈치 안 보고 수출도 많이 하고!!

  • @user-tl4vx7yf5m
    @user-tl4vx7yf5m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우크라이나피난민을중심으로엔지니어들을 한국에모셔오는것은어떨까요.

  • @redmoon41316
    @redmoon41316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우리정도 관련 기술이 있는 나라면 충분하게 개발 할 수 있습니다. 결국 시간과 돈이죠. 무엇이던 꾸준히 하면 성공 합니다. 엔진은 반드시 독자 개발 해야 합니다. 우리가 언제까지 핸드폰만 팔아서 먹고 살 수는 없죠. 선진국들이 하는 산업에 꾸준히 진입 해야 합니다. 안 그럼 경제 성장이 되질 않아요.

  • @user-bz1lz7ql1w
    @user-bz1lz7ql1w 7 місяців тому +2

    4:43 K-9도 그랬었지만 FA-50의 경우에도 전투기 사출좌석이 BAE Systems 제품이라 아르헨티나에 수출하려고 했으나 무산되었죠.

    • @houb_-pc9ox
      @houb_-pc9ox 2 місяці тому

      캐노피 유리창도 미국산 수입인데? 조립국의 허세- 자체개발😂

  • @sogood12398
    @sogood12398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수출은 둘째고 국산화해야되 매년 미국한테 들어가는 비용만해도..

  • @user-rv1dd9ml3r
    @user-rv1dd9ml3r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우크라이나 엔진 어케되었나?

  • @user-cr1bk8of4s
    @user-cr1bk8of4s Місяць тому

    정통부에서 부당한 감사권을 동원해서 한국항공우주산업 KAI의 각부서 노동조합에 이르기까지 2년째 고강도 감사를 통해서 감봉과 중징계로 회사 자체를 분해시켜 분할매각 하려는 꼼수로 아작을 내고 있습니다.

  • @user-el6tj9pv9d
    @user-el6tj9pv9d Місяць тому

    훌륭합니다.
    딥 다이브!

  • @TheClassicalPond
    @TheClassicalPond 3 місяці тому

    ❤❤❤❤❤❤❤❤❤❤❤

  • @user-uf1ju8yh5y
    @user-uf1ju8yh5y 7 місяців тому +2

    만들어도 엔진 판매처가 없으면 망합니다. 전부 검증된 미제엔진 넣어달라 할꺼라서 말입니다.
    엔진을 만들려면 확실하게 싸던지 성능이 더 우수하던지 해야 판매 채산성이 나와요

  • @youngsiklee4836
    @youngsiklee4836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알루미나 세라믹의 녹는점:약 2,000℃ 이상, 인코넬 718 융점:1260-1340℃, 텅스텐 녹는점:3420℃
    이어서, 현재 2023년말 현재기술로 인코넬 718합금은 실험실 제조 가능수준합니다.
    대량생산기술과 가공기술, 열처리기술의 설비를 준비중에 있으므로 고온상태의 엔진 냉각기술을 추가하여 2027년까지 개발완료하고, 2030년초에 상용화할 예정이므로 2030년이면 미국으로부터 자유로울 것입니다

  • @nuwana8504
    @nuwana8504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이미 개발완료단계입니다. 주변국 눈치보다가 몇년 후에 짠 하고 개발성공 발표나올겁니다. 2028년 시제엔진. 두고보세요.
    - 코리안 노스트라다무스 -

    • @michaellim4165
      @michaellim4165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강아지가 웃었어요.

    • @bluesky-of5br
      @bluesky-of5br 4 місяці тому

      ​@@michaellim4165 웃기는 것 당신이다 한국의 과학적 역량은 우습게 아시네요 이미 한국은 과학기술은 선도적위치에 있다 이미 1350도를 견디는 터보팬엔진과 펜블레이드.압축기.터빈디스크.노즐등 핵심 구성 요소 기술을 확보했고 이미 미국산 동일한 성능을 가진 국산화제품을 군에 납품하는 상태이다 t-50정도는 지금이라도 당징 만들수 있지만 시장성이없기에 만들지 않을 뿐이다 현재 대한민국은 당신처럼 패배주의자나 비관주위자가 만든 대한민국이 아니다

  • @user-tj9wp4rk2f
    @user-tj9wp4rk2f 5 місяців тому

    제트 엔진을 만들려면, ...
    다른 것들은 모두 제켜두고, 먼저, 간단하게 블레이드, 로터, 껍데기 등을 만들어서, 연소 시험을 해봐야 한다.
    나머지 주변기기들은 외부에서 끌어 온 파이프로 연결해서 연소 시험을 먼저 해보고, 다른 한편으로는 주변 구성품인 터보 펌프 등을 동시에 별도로 개발한다.
    연소 시험에 합격하면, 개발된 주변 기기들을 어디에 어떻게 붙이는가는 매우 쉬울 것이다.
    이렇게 하면, 핵심 요소들인 블레이드와 로터, 카바 등의 제원이 나와있기에 설계도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 @houb_-pc9ox
    @houb_-pc9ox 3 місяці тому

    개발? 조립이겠지

  • @joeplayer7851
    @joeplayer7851 Місяць тому

    우크라이나를 도와주고 엔진기술을 배워오면?

  • @user-hs4df7ng1h
    @user-hs4df7ng1h 7 місяців тому

    러시아 엔진에 프랑스국기 붙어 있는데요. 그리고 파워팩수출문제 uae가 아니라 튀르키예 아닌가?

    • @user-he9nr5zs3c
      @user-he9nr5zs3c 7 місяців тому

      K9 UAE수출 다된밥에 독일 반대로 무산됐어요.

    • @houb_-pc9ox
      @houb_-pc9ox 2 місяці тому

      ​@@user-he9nr5zs3c조립가마우지의 슬픔, 하지만 입벌구는 끊지 못한당께, 자체개발이랑께

    • @user-wn1pv4tg2j
      @user-wn1pv4tg2j Місяць тому

      1ㅂ​@@user-he9nr5zs3c

  • @redmoon41316
    @redmoon41316 7 місяців тому

    중국은 아직 개발 했다고 말하기 어렵죠. 사실 중국엔진을 누가 사다 쓰겠습니까? 아직 개발중이죠.

  • @user-ph2yu8dj1f
    @user-ph2yu8dj1f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음악소리 줄려주세요!
    집중이 않됨.

  • @yoyoyout
    @yoyoyout 7 місяців тому

    중국도 2차대전 승전국이라서 안보리 이사국인거 아냐?

  • @user-zu3ts7eh6e
    @user-zu3ts7eh6e 7 місяців тому

    인니 국기부터 지우고 이야기 합시다.

  • @highgo591
    @highgo591 7 місяців тому

    잡음은 제발 빼주오

  • @user-qi3ly4wl5l
    @user-qi3ly4wl5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바로 기술특허권 더 강력하게 규제를 나서고있습니다 특히 한미동맹이라도 기술특허권 더 강력한 규제를 나서고있다
    것이 사실입니다 아무리 한미동매이라도 바로 기술특허권 규제더 엄격하게 규제를 강화를 하고있습니다

  • @user-ol6nk3jk6e
    @user-ol6nk3jk6e 7 місяців тому

    KAI기술이 중공에 많이 넘어갔고 한화 엔진기술도 넘어갔다고 얘기 되고 있다.

    • @houb_-pc9ox
      @houb_-pc9ox 3 місяці тому

      인간이침팬지한테서 뭘 배우지? 어이 침팬지야

  • @MegaJaws
    @MegaJaws 7 місяців тому

    0:10 "전투기 1대 수출이 중형자동차 1000대 수출과 맞먹는다는 얘기 들어보셨나요" -> 현실을 왜곡하는 내용이네요. 전투가 1대가 비싸긴 한데, 판매량은 중형자동차 숫자에 비할바가 아닙니다. 전세게적인 베스트 셀러인 F16이 총 판매댓수가 몇천대 수준인데....
    현대 자동차 특정 모델이랑 비교해보세요 숫자가 비교가 되는지?
    전세계에서 제일 크다는 미국 록히드마틴도 생각보다 미국 경제에서 비중이 작아요. 대형 IT 회사랑 록히드 마틴 주가 비교해보세요 비교가 되는지?
    국방산업은 경제효과 이외에 부가적인 긍정적인 효과가 많아서 하는거지 순수하게 경제적으로는 생각보다 큰 임팩트는 없습니다.

    • @user-he9nr5zs3c
      @user-he9nr5zs3c 7 місяців тому

      전투기 1대당 1천억원,중형차 1대당 5천만원 이라고 가정하면 전투기 1대당 중형차 2천대랑 맞먹습니다??

    • @MegaJaws
      @MegaJaws 7 місяців тому

      @@user-he9nr5zs3c 제 포인트는 전투기 1대가 비싼 물건인 건 맞는데, 생각보다 많이 팔리지가 않는 다는 거에요. (거기다 수익도 낮구요)
      거기다 국가마다 요구사항이 전부 달라서 전부 커스터마이징해야 해서 대량생산도 안되구요.
      그래서 공장에서 대량으로 찍어내는 자동차나 기타 공산품 대비 생각보다 돈이 안된다는 말입니다.
      거기다 방산은 국가 납품시에 깐깐하게 금전적인 체크하기 땜 (방산비리 방지차원...)에 생각보다 수익률도 그렇게 높지 않아요
      (적어도 미국정부 대상 판매시에는요.)
      그게 고스란히 주가에도 나타나죠.
      세계 최대 방산회사라는 록히드 마틴의 주가총액이 $16.1B 이네요.
      한국 네이버 주가총액이 한화 30.41조 ($22.2B)인데,
      록히드 마틴이 한국 네이버보다도 주가총액 금액이 작군요 ㅋㅋㅋ

  • @user-gq6mt4mw9q
    @user-gq6mt4mw9q 7 місяців тому

    국산엔진 연구 스타트도 28년 부터라고 하던데, 벌써부터 팔아먹을 생각을?
    램젯 엔진이 성공하길 바라는 맘이 국민으로서 있지만
    그래도 김칫국 벌써 드리키면...ㅋ
    그것보다 대만이 한국KF 21 설계도,재료값,실험일지 등등 벌써 입수하고 미국GE에 엔진 주문했답니다;;
    한국보다 빨리 전투기 취역할 생각인 모양인데, 그들이 하는 변명을 들어보면
    미국의 혈통을 이어 거의 비슷할 수 밖에 없다면서 한국KF 21 과 90%가 비슷하다고 합니다 ^^;
    이거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농담이라고 여기지 말고!
    미국 민주당이 역사적으로 한국만 보면 엿먹이고 뒷통수 깐게 벌써 여러번인데
    낸시 팰로시 와 조 바이든이 뭔 짓을 했는지 알아보는게 좋지 않겠습니까?
    정보기관들은 어디서 거하게 떡이나 드시고 계신지 참나

  • @user-sl2dp7pv4b
    @user-sl2dp7pv4b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이제 시작하면 2040년에 배치 가능하겠네요..ㅠㅠ
    중국과 기술력 20년차

  • @yonggheelee1743
    @yonggheelee1743 Місяць тому

    급하게 공부해서 아는 척 하느라 고생 많았다.

  • @user-jw3sr8lr3c
    @user-jw3sr8lr3c 7 місяців тому +2

    항공기, 전투기용 터보 팬 엔진, 제트 엔진을 제조할 수 있는 나라는,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러시아, 중국의 세계에서 6국입니다.
    최고 발전 효율 64%의 발전용 대형 가스 터빈을 제조할 수 있는 나라는, 세계에서, 일본, 미국, 독일의 3국뿐입니다.
    한국의 제트 엔진의 플라스틱 모형의 완성 축하해.

    • @user-he9nr5zs3c
      @user-he9nr5zs3c 7 місяців тому

      세계에서 가장 효율이 좋은 발전기 터빈은 2017년말에 GE사가 달성한 9HA.02로서 64%의 효율.
      발전기 터빈을 만들 수 있는 나라는 미국.독일.일본.이탈리아 였는데 2019년에 두산중공업이 개발한 발전기 터빈 DGT6-300H S1은 출력 270㎿, 복합발전효율 60% 이상의 대용량 고효율 가스터빈. 부품 수만 4,000여개에 이른다. 가스터빈 내부에는 450개가 넘는 가스터빈 블레이드(날개)가 있고 블레이드 1개 가격이 중형차 1대 가격과 맞먹는다.
      일본의 발전기 터빈이 효율 64% 가능한지는 증명이 필요함.
      내가 이런 의문을 표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21년말의 GE 발표.
      "그러나 2014년에 등장한 GE의 HA 가스터빈 기술은 지속적으로 빠르게 발전효율 기록을 계속 갱신하고 있다. 예를 들어 증기터빈이 가스터빈에서 회수한 열을 발전에 이용하고, 더욱 발전 용량을 늘리는 복합화력 모드에서 9HA의 1호기를 설치한 프랑스 부샹 발전소는 2016년 발전효율을 단번에 62%까지 갱신했다 . 곧이어 7HA 가스터빈을 설치한 일본 니시나고야 복합화력 천연가스 발전소의 발전효율은 63%를 넘어섰다.
      그리고 올해 말레이시아의 Track4A 발전소에 고효율 가스터빈 9HA.02가 설치되었다. 이 말레이시아의 발전소는 파워매거진 (Power Magazine)이 선택하는 「2021 Plant of the Year」나 Diesel & Gas Turbine Worldwide가 선택하는 「Power Plant of the World」로 선정되는 등 높은 평가를 얻고 있다."
      국산적용을 좋아하는 일본인데 일본제가 GE 제품처럼 성능이 좋다면 2017년경 西名古屋발전소에 GE제를 적용했을리가 없어서임.

    • @user-he9nr5zs3c
      @user-he9nr5zs3c 7 місяців тому

      일본 전투기엔진 XF-9?의 추력이 10톤, AB가동시 15톤 정도라는 기사를 읽었다.(미국에서 얻어낸 기술)
      결론적으로 전투기 엔진 기술보유 국가는 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우크라이나,일본,(중국)정도인데...
      한국은 1만대 정도 엔진 면허생산 기반이 있고 KF21의 경우 엔진 면허생산시 부품 국산화율 39%정도, 전체적으로는 65%정도, AESA레이더는 85%.
      일본이 그랬던 것처럼 한국도 어딘가와 기술협력을 할 수 있다면 퀀텀점프 가능할 수도 있다고 본다.
      아무튼 현재의 계획은 2039년까지 전투기엔진 국산화 한다고 하니까 지켜볼 수 밖에...
      최근에 위 원천기술 보유국중 한군데에서 좋은 기회를 찾았다고 하는데 지켜보자.
      아무튼 전투기 엔진기술 팔하나 내주고 미국에서 얻어낸 건 일본이 엄청 잘한거야. 축하한다.

    • @user-jw3sr8lr3c
      @user-jw3sr8lr3c 7 місяців тому

      @@user-he9nr5zs3c 도호쿠 전력의 조에쓰 화력 발전소 1호기가 발전 효율 63.62%를 달성해, 기네스의 세계 기록 “가장 효율이 높은 콘바인드사이쿠르 발전 설비”의 인정을 받았다.동기는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해, 출력 57만2000킬로와트, 2022년 12월 1일에 운전을 개시한 최신예기이다.
      조에쓰 1호기는 지금까지 축적한 기술이나 식견을 설계에 살려, 미쓰비시 파워 주식회사와 공동 개발한 “강제 공냉 연소기 시스템 채용 차세대 가스 터빈”을 채용하는 것으로 세계 최고의 발전 효율을 달성했다.
      한국의 두산 중공의 발전용 대형 가스 터빈은, 미쓰비시 중공업과 GE에서 라이센스 생산과 기술 공여를 받고 개발한,

    • @user-jw3sr8lr3c
      @user-jw3sr8lr3c 7 місяців тому

      @@user-he9nr5zs3c 기술적 특징
      XF9-1은 F-15 전투기에 탑재되고 있는 플랫·앤드·휘트니사의 F100 엔진과 동 클래스의 사이즈이며, 전투기 엔진으로서는 대형의 부류에 속한다.
      추진력은 F-22 전투기에 탑재되고 있는 동사의 F119 엔진에 필적하는 대형 엔진이다.단면적당 추진력은 F-2 전투기에 채용되고 있는 제너럴·일렉트릭 F110과 비교해 3할 웃돈다.
      터빈 입구 온도
      XF9-1의 터빈 입구 온도는 1,800 ℃에 이른다.1,800 ℃는 니켈계 초합금의 융점 1,400 ℃를 대폭 넘는 것이다.일반적으로 이 온도가 높을 만큼 고성능인 엔진으로 여겨져, 세계적으로 봐도 톱 클래스의 일각을 차지한다.이것에는 니켈 코발트 기의 국산의 용제 단조 디스크재를 사용한 고압 터빈 디스크, 국산 제5세대 니켈 단결정 초합금제 터빈 블레이드, 터빈 슈라우드에의 신소재 CMC(세라믹 기 복합재료)·내 환경성 코팅의 채용, 블레이드의 공기 구멍에 의한 보호층의 형성 등의 재료 기술과 유체 해석 기술이 공헌하고 있다.
      발전 능력
      스타터와 제네레이터를 일체화한 신개발의 스타타제네레타는 180 kW라는 발전 용량이며, 센서나 화기 관제, 정보 연계, 전자전 등 큰 전력 소비가 예상되는 장래의 전투기에 대응할 수 있다.동시에 공간절약도 실현되고 있다.
      추진력 편향
      부수하는 연구로서 2016년도부터 2020년도까지, 추진력 편향 노즐을 사용한 고운동성·스텔스성의 확보 등을 목적으로 “추진력 편향 노즐에 관한 연구”도 행해지고 있다.이 연구로는 XF9-1의 추진력의 사방 20도의 편향과 노즐의 고장 대응 기술을 주로 실증한다.이 노즐은 XVN3-1이라고 불린다.
      일반적 특성
      형식:애프터 버너 첨부 저우회도로 비 터보 팬 엔진 공기 취수구 직경:약 1m
      축길이:약 4.8m
      구성요소
      압축기:3단 저압·6단 고압
      연소기:아뉴라형
      터빈:1단 고압·1단 저압
      성능
      추진력:
      11tf(108kN) 이상(드라이)
      15tf(147kN) 이상(애프터 버너 사용시)
      터빈 입구 온도:1,800도 이상
      XF9-1 제트 엔진은, 2010년부터, IHI가 설계, 개발, 제조, 2018년에 완성, 방위성에 납품했다.
      XF9-1 제트 엔진은, 2019년부터 2020년의 2년간, 방위성의 성능 요구 확인 시험을 받고, 합격했다.

    • @user-jw3sr8lr3c
      @user-jw3sr8lr3c 7 місяців тому

      @@user-he9nr5zs3c 2022년의 가스 터빈 수주 실적, 출력 베이스의 세계 셰어 세계 1위 미쓰비시 중공업이 33%, 세계 2위 지멘스가 26%, 세계 3위 GE가 25%입니다.

  • @user-kg6bw9vm4g
    @user-kg6bw9vm4g 7 місяців тому

    대한민국에서 의대 편향인 국가에서 그리고 오로지 수도권, in서울인 국가에서 과연 미래세대들이... 흠... 국뽕에 취한 지금은 좋지. 30년 후 기자는 과연...
    지금 중요한 것은 단순하게 엔진 개발 못 해서 대한민국 위상이 떨어지는 것이 아니고, 젊은이가 없어요. 이공계에. 그것이 논점이지요. 엔진 개발하면 뭐 할건데. 비행기에 들어가는 여러 소프트웨어, 누가 감당할거임? 미국은 6세대 전투기 개발 발표했고, 며칠 전에 랲터21은 우리나라 상공을 비행하는데 개발자는 다 떠나고, 늙어가고 있는 대한민국 에서 아직도 엔진 타령하고 있으면 기자는 그만하세요. 소프트웨어 파워를 길러야 돼는데... 흠...

  • @plutoblue8181
    @plutoblue8181 7 місяців тому +4

    어이구 동아에서 나라국방걱정 까지?
    안어울리네

  • @user-bz2wg3jc4x
    @user-bz2wg3jc4x 7 місяців тому

    제조강국 일본이.. 어! 없네?? 자동차 제조강국 독일도..

  • @user-uq5xs4qi5i
    @user-uq5xs4qi5i 7 місяців тому

    아직 기술 가격 이 자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