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관계형 모델에서 외래키(foreign key)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2018년 서울 7급] ① 다른 릴레이션의 기본키(primary key)를 참조하는 키 ② 기본키(primary key)가 아닌 후보키(candidate key) ③ 후보키(candidate key)가 다수일 때 기본키(primary key)로 선정되지 못한 키 ④ 각 튜플을 고유하게 식별하지 못하는 키
// 복합키 •복합키도 기본키를 지칭한다. {학번, 과목} •단지, 복합키는 2개 이상의 속성이 합쳐져야 행 구별이 가능한 기본키이다. // 외래키 •외래키는 현재 테이블에서는 홀로 기본키가 될 수 없다. •하지만, 다른 테이블에서는 홀로 기본키가 될 수 있는 키이다.(학번 또는 과목)
2. 외래키(foreign ke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22년 국가 7급] ① 외래키는 중복값을 허용하지 않는다. ② 한 릴레이션의 외래키는 같은 릴레이션의 기본키를 참조할 수 있다. ③ 한 릴레이션의 외래키는 같은 릴레이션의 기본키의 일부가 될 수 없다. ④ 외래키의 도메인과 그 외래키가 참조하는 기본키의 도메인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슈퍼키는 레코드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속성 또는 속성들의 집합이다. •속성 중복이 없는 슈퍼키는 후보키이기도 하다. •더 줄일 수 없는 슈퍼키는 후보키이다. •슈퍼키는 후보키가 되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후보키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슈퍼키일 필요가 있는 것이다.(필요조건) •필요조건은 참이 되기 위해서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조건이다. •슈퍼키는 후보키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 아니다. •필요충분조건은 동치인 경우이다. 슈퍼키와 후보키는 동치가 아니다. •슈퍼키는 외래키(foreign key)가 될 수 있다.(슈퍼키는 후보키가 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테이블은 여러 개의 슈퍼키를 가질 수 있다. •슈퍼키는 '고유하게 식별하는 모든 조합'을 뜻한다. •예를 들어, 스키마 : 학생(학번, 이름, 주소)에서 ↓슈퍼키 학번, {학번, 이름}, {학번, 주소}, {학번, 이름, 주소}, {이름, 주소}
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외래키(foreign key)와 참조 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14년 국가 7급] ① 외래키는 기본키(primary key)가 될 수 없다. ② 참조한 외래키와 참조된 기본키는 반드시 동일한 도메인을 가질 필요는 없다. ③ 외래키 값은 참조된 릴레이션의 애트리뷰트에 존재하는 값이거나 NULL 값이어야 한다. ④ 참조 무결성은 릴레이션 내의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3. 관계형 모델에서 외래키(foreign key)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2018년 서울 7급]
① 다른 릴레이션의 기본키(primary key)를 참조하는 키
② 기본키(primary key)가 아닌 후보키(candidate key)
③ 후보키(candidate key)가 다수일 때 기본키(primary key)로 선정되지 못한 키
④ 각 튜플을 고유하게 식별하지 못하는 키
// 복합키
•복합키도 기본키를 지칭한다. {학번, 과목}
•단지, 복합키는 2개 이상의 속성이 합쳐져야 행 구별이 가능한 기본키이다.
// 외래키
•외래키는 현재 테이블에서는 홀로 기본키가 될 수 없다.
•하지만, 다른 테이블에서는 홀로 기본키가 될 수 있는 키이다.(학번 또는 과목)
◈ 필요조건
•사람이면 동물이다.(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모든 동물이 사람인 것은 아니다.
•사람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동물일 필요가 있는 것이다.(필요조건)
•'P이면 Q이다.'에서 Q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라 한다.
2. 외래키(foreign ke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22년 국가 7급]
① 외래키는 중복값을 허용하지 않는다.
② 한 릴레이션의 외래키는 같은 릴레이션의 기본키를 참조할 수 있다.
③ 한 릴레이션의 외래키는 같은 릴레이션의 기본키의 일부가 될 수 없다.
④ 외래키의 도메인과 그 외래키가 참조하는 기본키의 도메인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슈퍼키는 레코드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속성 또는 속성들의 집합이다.
•속성 중복이 없는 슈퍼키는 후보키이기도 하다.
•더 줄일 수 없는 슈퍼키는 후보키이다.
•슈퍼키는 후보키가 되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후보키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슈퍼키일 필요가 있는 것이다.(필요조건)
•필요조건은 참이 되기 위해서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조건이다.
•슈퍼키는 후보키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 아니다.
•필요충분조건은 동치인 경우이다. 슈퍼키와 후보키는 동치가 아니다.
•슈퍼키는 외래키(foreign key)가 될 수 있다.(슈퍼키는 후보키가 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테이블은 여러 개의 슈퍼키를 가질 수 있다.
•슈퍼키는 '고유하게 식별하는 모든 조합'을 뜻한다.
•예를 들어,
스키마 : 학생(학번, 이름, 주소)에서
↓슈퍼키
학번, {학번, 이름}, {학번, 주소}, {학번, 이름, 주소}, {이름, 주소}
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외래키(foreign key)와 참조 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14년 국가 7급]
① 외래키는 기본키(primary key)가 될 수 없다.
② 참조한 외래키와 참조된 기본키는 반드시 동일한 도메인을 가질 필요는 없다.
③ 외래키 값은 참조된 릴레이션의 애트리뷰트에 존재하는 값이거나 NULL 값이어야 한다.
④ 참조 무결성은 릴레이션 내의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