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공부 적당히 하세요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лют 2025
  • -------------------------------------------
    [OJ TUBE 정보]
    ▷ 인프런 강의 링크 : inf.run/WAbM
    15만원 할인 쿠폰 : 15043-fa6e9a370f96 (쿠폰는 바뀔수 있으니 최신 영상을 참조해주세요.)
    ▷ 은근한 개발자 티셔츠 출시!
    flatcode.shop
    ▷ 임베디드 유료 강의 (맛보기)
    • [임베디드 입문용 0] 오리엔테이션
    기존에 서비스하던 클래스유는 3달 수강과, 영구 구매가 가능합니다
    ▷ 임베디드 유료 강의 (클래스유 10%할인)
    me2.do/G6iscSrg
    1. C언어 강의 (완료)
    • 📝 [C언어 강의]개발자의 로망 - 리눅...
    2. 매주 토요일 오후 9시 상담 방송 진행 - 종료 시간에 매주 책 추첨 및 무료배송.
    (풀영상 다시보기)
    • ⌛ 실시간 상담소 FULL 영상
    3. 매주 화, 금 오후 8시 영상 업로드
    4. 오제이 스토어
    (임베디드 교육 물품, 자율 강의료, 자율 후원, 면접 피드백 서비스)
    smartstore.nav...
    -------------------------------------------

КОМЕНТАРІ • 25

  • @OJTube
    @OJTube  Рік тому +11

    새해가 지나고 와보니, 댓글이 뜨겁군요.
    제가 기본적으로 이정도 알고리즘은 알아야된다고 생각하는 범위.
    1. 혼자서 아무것도 안보고, 맨바닥 부터, 링크드 리스트를 머리로 생각하고 구현을 해야함. (이건 진짜 정말 많이 쓰임, 커널 코드 및, 자료 저장, 네트워크 패킷 처리 등등)
    2. Hash table 혼자서 아무것도 안보고 구현할 줄 알아야함.
    3. 알고리즘 책 2/3정도는 안보고 구현할 줄 알아야함.
    조건 : 시간은 얼마 걸리든 상관없음, 자신의 머리로 10시간이 걸려도 구현만 할 줄 알면됨.
    언어는 C언어를 추천함.
    적당히 하라고 한 이유.
    1. 대기업을 붙기 위해 2년 동안 알고리즘 문제만 풀고 있는 경우
    2. 실무를 하다 보면 수학적인 복잡한 알고리즘 문제로 시스템이 느려지는 것보다는...
    병목 현상이라던가, 어떤 작업의 순서로 인해서 느려지는 경우가 태반임.
    예를 들어, 한달의 통계를 나타내는 페이지가 있다면, 알고리즘을 떠나서, 가장 효율 적인 것은 한가할 때 미리 통계 페이지를 만들어 놓는 것임.
    이런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가 정말 많음.
    즉 알고리즘으로 문제로 푸는 경우는 생각 보다 드뭄 (물론 분야에 따라 다르기는 함)
    3. 같은 말이긴 하지만.. 무언가 엄청난 알고리즘으로 시스템이 빨라지는 것 보다는..
    구조를 이해하고, 그 구조를 효율적으로 바꾸는 것 만으로 시스템이 훨씬 빨라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그렇게 범위를 줄이고 줄이다가,
    이제는 더이상 빠르게 할 수 없다고 할때, ..
    특정 함수, 특정 부분을 최적화하게 됨.
    그때서야 알고리즘이 쓰이게 됨.
    대부분 여기까지 잘 안옴.
    이상 제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내용이었습니다.

  • @vermouthsinged9792
    @vermouthsinged9792 Рік тому +3

    인정합니다ㅠ대기업 가고 싶어서 코테 준비하다가 과제하다가 문뜩 현타 오더라구요ㅠ그래도 기업에서 요구하니까 손을 놓지 못하죠ㅠ

  • @jal201jfhskrs
    @jal201jfhskrs Рік тому

    잘들었습니다! 평소에 막연히 생각하고 있었던 부분에 대해 좀 명확해지는 내용이어서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성이름-l5y7g
    @성이름-l5y7g Рік тому +3

    int rows = 5;
    for (int i = 1; i

  • @살라미짝짝
    @살라미짝짝 Рік тому +4

    비유하자면 상대평가 대상이 아니라 절대평가의 대상 같은 느낌이에요. 아니면 행복과 돈의 상관관계 같은 느낌. 어느 지점까지는 코테 실력에 프로그래밍 실력이 비례하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겠지만 특정 수준을 넘어가면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어지는 거죠 유미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지점까지만 공부하고 그 지점에 도달하면 그 시간에 다른거 하는 게 더 나은거죠.

  • @djflsdk
    @djflsdk Рік тому

    영상에서 적당히 하라는 수준이 님들 생각보다 높은 수준인겁니다.
    지완님은 경험이 많으니 눈높이가 높아져있고 쓸데없이 알고리즘 실력만 키우는 사람들을 많이 봤겠죠.
    근데 알고리즘 많이 파봐야 쓰는 것만 보통 쓰게되고 나머지는 다 구현하는데 대부분의 시간을 쓰게 됩니다.
    예를들어 이런겁니다. 자동차를 만드는데 있어서 기계공학(예를들어 열역학)공식들만 필요하지, 무슨 정수론, 미분기하학, 해석학 이런게 필요하지 않은데 사람들이 쓸데없이 그런걸 다 공부하려고 하더라
    라는 겁니다.
    님들이 말하는건 자동차만들면서 열역학을 모르고 만들더라, 라는 거고
    지완님이 말하는건 이미 열역학을 잘 알고 있으면 자동차를 많이 만드는 경험을 해서 구현을 더 잘하는 사람이 돼라는 겁니다.

    • @djflsdk
      @djflsdk Рік тому

      ⁠어느정도 경력이 쌓이면 구현했을때 어느정도 최적화하면 적당히 다했는지 (거기서 더 최적화하는건 아키텍쳐를 다시짜는 수준정도)다 알게됩니다.
      그정도 레벨에서 더 중요한건 구현을 얼마나 더 빨리하고, 더 완결성이 있게 하느냐이죠.
      보통 경력이 낮은 신입들이 알고리즘 알고리즘 하는데, 이건 상용화 제품을 많이 안만들다보니 알고리즘이 전부인줄 아는, 약간 잘난척하는 마인드라고 봅니다.
      알고리즘만 팔려면 그냥 학계에 있으면 됩니다. 학계에서 알고리즘으로 논문낼 실력은 안되면서, 업계에서 나 알고리즘 잘한다~ 라고 자랑하고싶은거죠

  • @J1497d
    @J1497d Рік тому +1

    제목만 보고 달려드는 것 같은 사람들 많네요.. 영상 의미를 이해 못하시는..

    • @Grujam92
      @Grujam92 Рік тому

      다들 의미까지 이해하고 그래도 아니란거에요ㅋㅋ

    • @djflsdk
      @djflsdk Рік тому

      @@Grujam92의미를 이해못한게 맞습니다

    • @J1497d
      @J1497d Рік тому

      @@Grujam92 그냥 이해 못한 거 같은데요. 저도 대기업 다니기 위해 알고리즘 공부 다 하고 입사하긴 했는데, 여기 실무에서 다루는 거 익혀보면 실상이 다름을 깨닫게 되죠 ^^

  • @house-guardian
    @house-guardian Рік тому +4

    맞네;;; 돈으로 해결하는방법도 있었네요.
    요즘 나오는 게임들 최적화 개판나도 유저가 각자 장비를 업글해서 하고ㅋㅋㅋ
    내가 다 할필요도없고 석박사들 이상의 지식을 필요로 하는 업무가 꼭 필요하다면 석박사들을 고용할수도 있고 방법은 많네요.

  • @Cso_ko
    @Cso_ko Рік тому +1

    컴퓨터과학 알고리즘이론에 수록된 기초알고리즘을 모른다? 엔지니어로써 역량이 부족하다고 보는게 맞다고봅니다.
    알고리즘 이론은 공학전반에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기본적인 원자성을 가진 패턴이기 때문에, 알고리즘이 공학에서 필요한상황이 자주안나온다고 느낀다면 필요한상황을 분별하지 못했거나 불필요한 특정도메인 개발만했다고 보는게 타당한것으로 보입니다.

  • @procyonq
    @procyonq Рік тому +3

    와우.. CPU가 좋아져서 다 커버가 가능하다니. 유튜버의 주장을 그대로 맹신하면 안됩니다. 시간복잡도상 비효율적으로 작성된 알고리즘은 아무리 CPU가 좋아도 우주가 멸망할때까지 안끝날수도 있습니다. 같은 동작을 O(log n)으로 작성할수 있는 알고리즘을 O(2^n) 으로 작성했다고 생각해보세요. 보통 알고리즘의 중요성을 낮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알고리즘 학습이나 온라인 저지 연습을 제대로 하지도 않는 사람들인 경우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전세계 빅테크 기업들이 바보들이라서 프로그래머 채용할때 알고리즘으로 뽑겠어요?

    • @홍석-y1d
      @홍석-y1d Рік тому +10

      실질적 문맹

    • @승준-d1f
      @승준-d1f Рік тому +11

      코드를 우주 멸망할때까지 안끝나게 작성하는 놈은 우주 멸망할때까지 취업못합니다. 그리고 영상은 끝까지 보세요.

    • @mainduke
      @mainduke Рік тому +5

      개발자의 문해력이 이렇게 중요합니다.

    • @wy97765
      @wy97765 Рік тому +3

      알고리즘 하지 말라고 말하지 않았는데요... 필수적인 건 하라고 말씀하셨어요. 영상 안보신 듯하네요.

    • @house-guardian
      @house-guardian Рік тому +2

      알고리즘 공부에 너무 빠지지말라고한거지 알고리즘 공부할 필요가 없다라고 말하는게 아닙니다.
      목적에 맞는 공부를 하고 목적에 맞는 서비스와 기술을 제공하라는겁니다.
      만약 이게 이해가 안된다면 잘못된 알고리즘을 가지고있는겁니다.
      개발자라고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효율만 찾을게아니라 좀더 넓게 봐서 사업전체, 더 넓게 봐서 인생 전체를 구성하는 측면에서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생각해서 움직이라는거죠.
      그러기 위해선 본인이 어떤 개발자가 되고싶은건지 아는게 중요한겁니다.
      기술자의 삶을 선택했고 알고리즘의 이해가 꼭 필요한 기술이다 보니까 알고리즘실력이 마치 우수한 개발자를 나타내는 전부인듯,
      어떤 개발자가 되고싶은지는 어느새 잊은채로 목적없는 알고리즘 공부에 매몰되지 말라는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