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연봉과 조직 문화 / 미국 실리콘밸리 취업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 тра 2019
  • 아마존 연봉과 조직 문화 / 미국 실리콘밸리 취업 (2부)
    - 아마존 김동찬 연구원
    #아마존 #아마존연봉 #미국취업
    -----------------------------------
    ★ [김작가 TV]를 구독해 여러분의 호기심을 해결하고,
    자기계발, 동기부여 콘텐츠를 간편하게 받아보세요.
    [김작가 TV ] 페이스북 채널
    / kimwritertv
    * 제휴/인터뷰 문의: smilekdy7@naver.com

КОМЕНТАРІ • 57

  • @user-mw1kf1ru6k
    @user-mw1kf1ru6k 4 роки тому +2

    김작가님은 언제나 준비하는게 많네요. 인터뷰의 질이 높아요.

  • @jesshur10
    @jesshur10 2 роки тому +3

    연구원님 에너지가 너무 좋네요ㅎㅎㅎ인터뷰 웃으며 잘 보고갑니다!

  • @Ilillilllliliiii
    @Ilillilllliliiii 4 роки тому +13

    크 두분 케미랑 입담이 너무 좋으신데요? 재미나게 촬영하신것같아요 김작가님영상 처음보는데 전문가이시죠? 정말류 물흐르듯 자연스러운 진행 크

  • @sengineer2554
    @sengineer2554 4 роки тому +14

    미국 테크회사 문화를 현실적이면서도 재밌게 말씀해 주셨네요, 저도 미국에서 개발자로 일하고 있는 입장에서 거의 대부분 공감이 갑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user-hf8ro1qh8p
    @user-hf8ro1qh8p 3 роки тому +1

    재밌게 봤습니다 ㅎㅎ

  • @jjkim3249
    @jjkim3249 4 роки тому +4

    재미있게 잘 보고 있어요. 면접 이야기 들으면서, 에너지 회사에 입사했을 때가 생각나네요. 학회에서 좋은 기회에 제 사수(지금은 은퇴)소개 받아서 즉석 인터뷰, 몇 주 후에 Manager/team lead랑 폰 인터뷰 1시간, 또 일주일 지나서 HR behavior 1시간 폰 인터뷰(머리를 쥐어짜서 상황에 맞는 경험을 이야기했는데, 하나 더 있냐고 했을 때 맨붕😂), 그리고, 몇 주 지나서 on-site 인터뷰/8시간 HR인터뷰(이틀동안). On site 인터뷰는 부서 전체 연구원 다 몰아넣고 제 technical presentation 한시간 반, 1:1 면접 (3-4명), 다음날HR 인터뷰 하는 사람들 모두 저녁 식사. (저녁 먹으러 가기 전에 제 사수가 내일 HR 인터뷰 잘 보라고 거기서 탈락하면 우리가 뽑고 싶어도 못 뽑는다고.) 다음날은 제 인생에 최고의 힘든 날이었어요(케이스 스터디, 그룹 토론(2, 4, 8), 몇가지 더 인터뷰)등에 땀나고 하루종일 제가 말하는 것을 바로 뒤에서 적는 사람들이 수시로 바뀜. 제가 어떻게 붙었는지...참 인터뷰 본 사람들..학부 6명 (다 미국 애들..가장 안 좋은 대학이 Rice University출신 (지금은 RU 얼마나 좋은지 잘 알고 있어요😀) + 박사3명 (다 검은 머리😉 다 합격해서 지금은 가장 가까운 동료들) 주저리 주저리 적어봅니다.

  • @eewhyoh
    @eewhyoh 3 роки тому +2

    오늘 본사랑 두번째 인터뷰보고 멘탈 탈탈 털린후 재밌게 봤어요! 내년에 다시 도전해야 할꺼같은 슬푼예감이... 미국 12년 살았는데도 아 진짜 영어 너무 어렵네여 ㅠㅠㅠㅠ

  • @kyungminbaek6681
    @kyungminbaek6681 4 роки тому +14

    와 피부가 너무 좋으신데...

  • @Report-02
    @Report-02 5 років тому +3

    잘 보구 가요 ㅎㅎ

    • @lucky_tv
      @lucky_tv  5 років тому +1

      '구독과 알림' 설정 해두시면 앞으로도 좋은 콘텐츠를 편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 @NyFlMvCincyBoston
    @NyFlMvCincyBoston 4 роки тому +9

    미국(중소도시)과 한국(서울)에서 최근 둘다 연봉받아본느낌으론 적당히검소한 신혼부부기준으로 기본생활 영위하고 모으는돈이같으려면. 미국1억5천정도(12.5만불)가 한국 8천만원 정도되는거같아요. 베이에어리아는 17만받아야 비슷할꺼같군요. 한국 기본 생활비 많이안드는 꽤좋은곳입니다. 미국은 숨만쉬어도나가는 비용이쎄요. 한국기본의료 보험정도받으려면 미국에선 월140만원내야됨ㅜ

  • @hellyeah5898
    @hellyeah5898 4 роки тому +4

    아니에요 이건 IT 업종이니 그렇지 영국 법조계도 한국과 같은 인적성 검사봐요. 객관식 문제고요. 산술, 도형, 논리력, 상황대처력 다양하게 있어요. 한국이랑 비슷하게 자소서도 씁니다. (창의적인 문제 해결력을 발휘한 적이 있는지 등등의 질문) 학벌이랑 성적 안되면 서류 전형에서 통과 될 확률 정말 정말 적습니다. 아니라고 하지만 공공연한 사실임 ㅋ 그리고 네트워킹 해서 아는 사람 입김으로 자소서 조금 딸려도 들어갈 수도 있고요. 한국 무조건 비판할 게 못돼요 이건 미국 법조계도 마찬가지

  • @user-sv9kg1zf4s
    @user-sv9kg1zf4s 4 роки тому +7

    인터뷰를 5번하다니ㄷㄷ
    보통사람은 면접에서 멘탈터지고
    나가리되겠네ㅋㅋ

    • @rockman3073
      @rockman3073 4 роки тому

      저는 쿠퍼티노에 재직 중인데요. 인터뷰 10명이랑 봤어요ㅎㅎ면접 보면서 기가 다 빨려서 끝나고 밥도 안먹고 잠만 엄청 잔 기억이 있네요ㅜㅜ

    • @user-eq4oy6bk5p
      @user-eq4oy6bk5p 3 роки тому

      저도 이번에 아마존 입사하는데 총 6명이랑 인터뷰봣네요.. 5시간동안 봣는데 죽을맛입니다

  • @ignatiokim2597
    @ignatiokim2597 4 роки тому +5

    인적성 검사가 없는 대신에 추천서의 신뢰성이 한국과는 엄청 차이가 있지요.. 추천서에 그 사람의 인적성이 다 닮겨 있구만..

  • @danninemx
    @danninemx 4 роки тому +10

    13:10 - 게스트 분 너무 meritocracy 밀려다 정곡 찔리심 ㅎㅎ. 절대로 학교가 상관 없지는 않아요. 아이비 리그 안 나왔다고 진입 불가능한 건 아닐 뿐. 기업에서 고용 통계를 내지는 않지만 미국 대학이(특히 유명대 컴퓨터공학과) 내는 졸업자 통계를 보면 졸업생 대부분이 속칭 big tech으로 들어갑니다. 요즘은 좀 덜 그렇긴 하지만, 옛날부터 그래요.

    • @seankang8501
      @seankang8501 3 роки тому

      유명대 컴공과들이 주로 Big Tech로 간다는 사실과 미국에서 취업할때 대학의 중요성은 사실 큰 관련이 없습니다.
      대학의 prestige 가 중요하다는건 한국적 사고방식입니다. 미국에서는 특히 Tech industry 특성상 지극히 실력 기반이기 때문이죠. 게스트분 말씀대로 물론 유명한 대학에 간다면 더 좋은 퀄리티의 교육을 받고 네트워킹하기가 수월해져서 도움이 되는건 사실이지만 대학자체의 네임 브랜드가 주는 perk 는 neglible 합니다. 즉 반대로 미국에서 이름 없는 대학을 졸업한다고 그게 대기업 취업할 때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다는 겁니다. 물론 실력이 보장된 다는 것을 가정할때 케이스입니다.

  • @young-ceo
    @young-ceo 4 роки тому +25

    와 왼쪽분 한글패치 보소;; 한국말 졸라 잘하네

  • @SG-yk3xh
    @SG-yk3xh 4 роки тому +11

    미국 연봉 높죠. 그러나 세금 또한 만만치 않습니다. 세후 소득은 연봉보다 25~40% 낮은 금액으로 보시면 됩니다. 연봉 높을 수록 세금 당연히 높게 냅니다.

    • @zinagada
      @zinagada 4 роки тому

      결혼안하고 싱글이면 많이 떄고, 렌트비도 많이 나가져

    • @italylove9711
      @italylove9711 4 роки тому

      한국도 35프로에요 ㅜㅜ

    • @anahan695
      @anahan695 4 роки тому

      @@italylove9711 한국에서 세금이 35% 이려면 연봉이 1억 5천 정도 여야 하는데요~ 미국은 국민 의료보험도 없어서 의료비로도 많이 나가요. 세금공제 아이템도 의료비 빼면 없어요. 의료비도 다 공제 돼는게 하니고 연봉에 9% 정도를 의료비로 썼을경우 그 이상의 비용만 공제 됩니다. 연봉이 1억이면 1000만원 정도 써야하는거죠. 교육비도 물론 공제 안됩니다.

    • @MrIronwomen
      @MrIronwomen 3 роки тому

      @@anahan695 1200 - 4600만원은 15%, 4600 - 8800만원은 24%, 8800 - 1.5억 만원은 35% 에요. 8800만원부터 35%면 고소득자들은 한국이랑 미국이랑 세금차이는 그닥 없다고봐요.

  • @monkeytrollhunter
    @monkeytrollhunter 4 роки тому

    저도 며칠있다 개발자 시험 있어요...

  • @shuv3143
    @shuv3143 5 років тому +14

    기술적인 실력이 제 아무리 뛰어나도 애플같은 회사의 경우, 팀워크와 의사소통을 얼마나 잘 할 수 있는냐가 제일 중요한 성공요소라 합니다. 혼자 또는 한 부서에서 홀로 성취할 수 있는 프로젝트가 없기 때문이라네요. 여러 사람들, 여러 부서들이 서로 협업을 해야만 결과가 나오기 때문인 것 같아요. 실리콘벨리에서 1억5천 연봉은 그냥 아랫층이고 보통 2억 5천 정도. 그리고 보너스와 주식부여등 수입이 높습니다. 그런데, 세금과 생활비가 어마어마해서, 생각하는 만큼 넉넉치가 못하지요.

    • @user-im6lq6ex1v
      @user-im6lq6ex1v 4 роки тому +4

      세금 한국이나 캘리나 비슷한데 ㅋㅋ 한국에서 연봉 2억5천받아본적 없죠? 서울 물가도 세계7위다

    • @kyh4967
      @kyh4967 4 роки тому +1

      근데 기술적인 능력이 제일 중요할껄요 ..? 저희학교내에서도 친구네 연구실 사람이 아마존 갔는데, 그 분 말 되게 많았는데 그냥 실력 좋으니까 아마존 가던데요 ..?
      실리콘 벨리쪽 세금은 잘 모르겠고 거기에 사람들이 워낙 몰려있으니까 생활비쪽이 살인적이라고 듣긴한거같아요

    • @user-im6lq6ex1v
      @user-im6lq6ex1v 4 роки тому

      @@kyh4967 서울이야말로 사람들 몰려있죠 인구밀도 극혐수준 집값도 실벨 십어먹음 세계 물가순위 7위고

    • @vanilly5704
      @vanilly5704 4 роки тому

      @@user-im6lq6ex1v 두베드룸에 4000불 월세던데

    • @kjp851
      @kjp851 4 роки тому

      @@kyh4967 맞습니다. 사실상 그사람의 팀웍이 어떤지 협동을 얼마나 잘하는지는 직접일하기전에는 모르는거라..

  • @user-tt7td9vj9r
    @user-tt7td9vj9r 5 років тому +2

    gh5 잘쓰고 있습니다.ㅋㅋㅋ

    • @lucky_tv
      @lucky_tv  5 років тому

      오, 좋은 카메라 쓰시네요ㅎ

    • @user-tt7td9vj9r
      @user-tt7td9vj9r 5 років тому +1

      김작가 TV 작가님이 파신걸로 기억하는데요? 제가 착각했을까요? ㅎㅎ

    • @lucky_tv
      @lucky_tv  5 років тому

      @@user-tt7td9vj9r 아, 저한테 사신 분이군요ㅎ 반갑습니다ㅎ

  • @user-ri3hx6ee3h
    @user-ri3hx6ee3h 4 роки тому +1

    구글이나 이 친구분 등등께 영어공부는 어떻게 해서 자연스럽게 할수가 있었눈지 물어봐주시면안될까요 ㅠㅠ

    • @sunwoo2014
      @sunwoo2014 3 роки тому

      설명하기가 조금 애매한 부분인데.. 미국에서 취업시 영어 수준이 자연스럽게 영어를 한다기 보다 얼마나 자기가 아는걸 영어로 띄엄띄엄이라도 정확히 표현할수 있느냐가 중요합니다. (믈론 영어를 늦게 배워서 부자연 스러운 사람임을 전제로) 자기 생각에 대해 말을 못한다면 당연히 그건 문제겠지만 질문자의 의도를 정확히 이해하고, 자기의 생각을 부러진 문법을 사용하던, 완전 이상한 발음을 하던 전달만 정확히 할수있으면 어느정도 가능합니다. 영어를 멋있게 할필요도 없고 자신있게 할수있을 정도로만 꾸준히 준비하시면 되요. 첫째.. 듣기를 많이 연습하시고, 둘째.. 혼자서 다양한 상황을 대비해 혼자 중얼거리는 연습을 많이 하세요.

  • @sk7556
    @sk7556 4 роки тому +5

    왼쪽분 브루스 배너인줄

    • @lucky_tv
      @lucky_tv  4 роки тому

      가끔 들어요ㅎ

  • @prjiki
    @prjiki 3 роки тому

    그건 억양이 아니라 톤 또는 뉘앙스야.

  • @ttake1976
    @ttake1976 5 років тому +8

    우리 신랑이 이것저것해서 9천 정도인데 우리는 그마저도 아끼고 살아요. ㅜㅜ 4인가족. 애들 학원비. 대출금 나가면 가계부 쓰면서 살아야죠. ^^;

  • @skywoogan
    @skywoogan 4 роки тому

    옆에분 백인인줄 왤케 하얌

  • @joonkim9302
    @joonkim9302 4 роки тому +6

    IT기업만 실력이 더 즁요한거지 law,med, dental, business는 학벌이 엄청 중요하지 ㅋㅋㅋ 이 말을 안해주시네

    • @vanilly5704
      @vanilly5704 4 роки тому

      Med? 글쎄...PA냐 Doctor냐에 따라 다를순 있어도...

    • @joonkim9302
      @joonkim9302 4 роки тому +1

      @@vanilly5704 Med 도 중요함. 상위권 의대들은 지들끼리 놀고 학벌 낮으면 은근 무시함

  • @prjiki
    @prjiki 3 роки тому +3

    아마존은 직원을 막쓰고 버린다고 악명높고. 엔간한 공대 나오면 취직 쉬움!

  • @ehlee-mp2lo
    @ehlee-mp2lo 4 роки тому +3

    퍼팩트 한 남자는 없는거구나... 웃음소리 ㅡ..ㅡ

  • @mitsu4176
    @mitsu4176 4 роки тому +8

    와 ~ 웃음소리 좀 어떻게 안되남?

  • @prjiki
    @prjiki 3 роки тому

    근데 저 게스트는 왜 반말써?? 시청자 듣기 불편해. 너네 둘이 대화로끝나는 게 아니잖아. ㅉㅉㅉ

    • @tictoc900912
      @tictoc900912 Рік тому

      너만 불편해 ㅋㅋㅋㅋ

    • @sam_lee
      @sam_lee Рік тому

      @@tictoc900912 아마 지금은 짤렸을듯 요즘 아마존 많이 안좋아서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