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에게 돈이 부족하다면, 믿으시겠습니까? (국가 소멸 출생률 해법, 2040년 대한민국 예측)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 чер 2024
  • 소멸과 파국의 대한민국 그 이유와 해법을 밝혀드리겠습니다.
    이대로 가다간 다 죽어.. 꼭 봐요
    [자살하는 대한민국] - 김현성
    yes24 구매하기 : Athog.me/t7q6n1sk34
    * 위의 서점 링크 클릭후 책 구매 시 다독다독에게 소정의 수수료가 지급됩니다.
    저자 : 김현성
    1988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경상북도가 고향인 부모님을 두었기에, 어린 시절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환경의 미덕과 악덕을 두루 경험했다. 서울 각지와 경북을 오가며 성장하는 동안 과거와 현대가 중첩된 한국사회의 다양한 면면을 체득했고, 경쟁과 나눔이라는 쟁점에 관해 일찍부터 고민할 수 있었다. 현실의 많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한국이라는 공동체가 더 나아질 것이라는 낙관주의자의 태도를 견지하려 애쓰고 있으나, 지난 몇 년간은 우리 모두가 지금껏 살아오던 대로 살아가다가는 나라가 정말 파국을 맞고 말겠다는 강렬한 직감에 사로잡혀 있다.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대학에 재학하던 시절 학보사 《연세춘추》의 기자로 활동하면서 글쓰기가 재미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대학 졸업 후엔 금융권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대기업 금융 계열사에서 펀드 매니저로 일하며 해외 주식형 펀드를 약 6년간 운용했다. 많게는 2조 원 규모의 돈을 관리·운용하며 데이터를 수집 및 배열하는 방법, 그 데이터를 현실의 상황과 연결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배우고 익혔다. 이런 경력으로 세계 각국의 사회환경과 그 나라들이 구축한 경제구조, 그리고 이러한 사회경제적 기반이 각 공동체 구성원들에게 다시금 영향을 미치는 ‘거대한 순환’을 다차원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금융권에서의 일도 즐겁고 보람 있었으나, 우리 사회와 조금 더 밀착되면서도 흥미로운 직업을 찾아 2022년부터 콘텐츠 스타트업에서 일하고 있다. 그간 여러 매체에 경제와 정치, 국제 문제를 아우른 칼럼을 기고했으며, 주로 페이스북에서 우리 공동체가 직면한 현안들을 데이터와 통계 분석을 통해 진단하는 글을 써왔다. 디지털과 IT기술에 의한 사회의 변화에도 관심이 커서 2023년 『굿 데이터Good Data』라는 책을 번역하기도 했다. 직장인과 글을 쓰는 사람이라는 두 자아를 오가는 중이며, 부디 한국 공동체가 오래도록 지속되어 계속 글줄을 붙잡은 채 살아갈 기회를 얻는 것이 소박한 꿈이다.
    들어는 봤지만 읽지는 못해서 궁금했던 책만 골라서 대신 읽어드립니다.
    책을 끼고 살아온 인문학자 빠숑, 책알못 전업주부 드리머, 독서웹툰작가 로사의
    잘근 잘근 맛있는 책수다
    since 2018, 매주 한 권의 책을 리뷰해온 one & olny 북리뷰 채널, 다독다독입니다.
    *공식이메일dadokpod@gmail.com
    [다독다독이 쓴 책- #부자의독서 ]book.naver.com/bookdb/book_de...
    [오디오로는 더 빨리 풀버젼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 다독다독 네이버오디오클립 - audioclip.naver.com/channels/...
    - 다독다독 팟빵 www.podbbang.com/ch/15798
    - 다독다독 애플 팟캐스트 url.kr/5pmNML
    - 다독다독 폴러리 www.porlery.com/studio/UAGJqQ...
    [SNS]
    - 다독다독 인스타그램 / dadok_booktalk
    - 빠숑 : blog.naver.com/ppassong , / ppassong
    - 로사 : / rosa_kim_
    - 드리머 : blog.naver.com/coldreaver

КОМЕНТАРІ • 27

  • @sifalnomnerndle6097
    @sifalnomnerndle6097 25 днів тому +16

    기득권들이나 정치인들이 자기들 이익챙길동안 희생은 중산층이나 저소득층들이 짊어지고 쭉 살아온거임. 대모하나하지도않고 비판도안하고 묵묵히 자기들몸갈아서..

    • @tako3462
      @tako3462 25 днів тому

      자본주의가 성장하면 빈부의 격차는 필연적으로 벌어지게 되어있음. 그걸 한세대가 희생했느니 하며 오해하지 말기바람. 한국은 IT 강국이라 속도가 더 빠름

    • @kolor9648
      @kolor9648 24 дні тому +1

      ​@@tako3462데이터를 가지고 있진 않지만 기성세대분들 보면 희생을 하신게 맞다고 봅니다. 그이유는 30년간 일해도 거의 비슷한 월급으로 생각되고 그예는 조선소 용접하시는 분 월급 나오는 뉴스봤어요

    • @user-kl4qi1ii7r
      @user-kl4qi1ii7r 6 днів тому

      게으르거나 과소비로 저소득층인 경우가 더 많은 거 같습니다 한국인들도 요즘은 그닥 열심히 사는 거 같아보이지도 않더군요

  • @user-rc9bl7ji9x
    @user-rc9bl7ji9x 24 дні тому +6

    우리나라는 부동산에 너무 몰빵해 현금흐름이 잘 안되어있음. 금융교육을 통해 배당을 통한 적당한 현금흐름과 자산의 상승을 기쁨을 알아야하는데 미국노인들은 전혀 일하지 않고 우리나라 노인들은 70대가 넘어서도 일해야하는 과로사회

  • @ourinvestory
    @ourinvestory 19 днів тому +3

    아이디어는 참신하지만 역시 실현되기 매우 어려우니 일단은 개인차원에서 각자도생 가즈아!

  • @rosysea2002
    @rosysea2002 23 дні тому +3

    저자의 인사이트에 박수를

  • @jiijang2400
    @jiijang2400 23 дні тому +2

    김현성 작가님 덕분에 "다독다독" 프로그램을 첨 알게되었어요. 구독하고 갑니다.

  • @user-mw5dv7lb9v
    @user-mw5dv7lb9v 19 днів тому +3

    건물의외관 사람들의 외모치장은 세련되어가지만 기업에서 운영하는 식당 제외하고는 먹을만한 음식을 만들어내는 작은 식당을 찿기 힘들게 생겼어요. 전반적인 일상에서 불균형

  • @user-sv5pg6lc3q
    @user-sv5pg6lc3q 25 днів тому +5

    생존을 위해 쓸데 다 쓰고 나면 남는 돈이 없으니 빈곤이라고? 진짜 빈곤은 생존을 위해 쓸 돈도 없는 것이 빈곤이지요.
    '사람이 생존 하려면 당연히, 아무리 못해도 ㅇㅇ 정도는 해야지'라고 생각하는 범주에 무심코 얼마나 많은 것들이 들어가 있는지 생각해보세요.

  • @alexpark8183
    @alexpark8183 20 днів тому +2

    그런말이 있죠
    조선의 애비들은 직장을 위해 목숨을 던지고
    가족을 생각하며 갈려 나가며 타 들어가 재가 되고 다 타지 못한 이는 버려진다고 하죠.

  • @user-kk2ex4em6u
    @user-kk2ex4em6u 25 днів тому +4

    네. 믿어요

  • @user-mw5dv7lb9v
    @user-mw5dv7lb9v 19 днів тому +2

    공동체 유지보수라는 말을 실감하는게
    초등학교를 가보거나 인천에 있는 종합대학교를 보고서 깜짝 놀랐어요
    학생들이나 학부모들은 고급옷에 수입차를 타고 다니고 자신의 집안은 멋지게 인테리어를 해놓고 사는데 교실은 왜 그리 낡았는지 후지는지

  • @travel_earth_2099
    @travel_earth_2099 18 днів тому +3

    뭔가ㅜ대단한 인사이트가 있는줄 알았는데.. 대부분은 시도했거나 술자리에서ㅠ다 나오는 얘기뿐 .. 가진거 없는 20, 30대가 눈만 높아져서 sns로ㅠ세상을 배움건지 대체 왜 그 비싼 아파트를 사거나 전세를 얻어야 결혼할 수 있다는건지 ㅎㅎㅎㅎ. 시간이 걸리겠지맘 극단적으로 눈높은 책임감없는 종(?)이 멸종하고, 살아남은 유전자만 다시 번성하지 않을까 싶네요

  • @user-mw5dv7lb9v
    @user-mw5dv7lb9v 19 днів тому

    맞아요. 공동체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재벌과 기득권의 각성이 필요합니다.
    이책은 정치인들도 꼭 읽어보길.

  • @syk4817
    @syk4817 9 днів тому

    대한민국 헬조선으로 격하시키려는 분 여기에? 이렇게 유익한 유트브에 부적절한 컨텐츠가 나왔네요

  • @cksal0331
    @cksal0331 23 дні тому +1

    세종이 효과가 없다구요??ㅎㅎ
    신기하네요 ㅎㅎㅎ

  • @brpang
    @brpang 12 днів тому +1

    신혼부부가 월세를 기피한다는 관습은 공감이 되질 않습니다. 외국에선 전부 월세이고 신혼부부가 처음부터 자기 집을 사야한다고 생각하는 사람 별로 없습니다.

  • @user-mw5dv7lb9v
    @user-mw5dv7lb9v 19 днів тому

    그런데 음식점 물가가 비싼데요
    좀 먹을만한식당의 값은 비싸요
    외국과 비교해서 임대료 문제가 있는것 같아요. 업종이나 식당주인들이 자주 바뀌는것 보세요

  • @user-xp7co8ox3n
    @user-xp7co8ox3n 24 дні тому +1

    다 아는말이구만 생산성

  • @user-tx1zx2jf5c
    @user-tx1zx2jf5c 12 днів тому

    당연히 소득액이 부족해 서 결혼이나 출산을 떨어지는거지 수도권 분산해도 별의미없다 지나가는 청년에게 물어봐

  • @user-ig2xq5ue2z
    @user-ig2xq5ue2z 19 днів тому +2

    저출산 문제 해결 방법
    출산후 육아 돌봄 시스템을 강화해야 합니다.
    맞벌이는 정말 육아가 힘들어요.
    영유아 돌봄,
    어린이집 돌봄,
    유치원 방과후 돌봄,
    초등학교 방과후 돌봄,
    국공휴일 돌봄이 강화되어 아이들 육아에서 좀더 자유롭게 되면 출산율 올라갈 수 있다고 봅니다.

  • @user-mw5dv7lb9v
    @user-mw5dv7lb9v 19 днів тому +2

    한국은 점점 각자도생으로가는것 같아 안타깝다.

  • @user-in4di8zl1h
    @user-in4di8zl1h 23 дні тому +4

    말도 안 되는 소리입니다. 전세계 200개국 중에서 돈 많은 10여객 빼고는 다 돈 없습니다. 남을 위해 돈을 쓰는 나라는 아무도 없습니다. 동남아 거주중인데 외국에 사니.한굳이 얼마나 좋은지 알게 되었습니다. 어그로 끄는 책이네요

  • @8282_.
    @8282_. 24 дні тому

    우리도 코인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