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동굴 이야기' - 최재천 현 이화여자대학교(석좌교수), 생명다양성재단(대표) 특별 강연 '청년에게 말하다' 다시보기 | KBS전주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3 лют 2020
  • #최재천 #이화여자대학교(석좌교수) #생명다양성재단(대표)
    #前국립생태원장 #두동굴이야기 #동굴
    #생태학 #생명 #다시보기 #강연 #청년
     
    KBS전주 방송77년 특별기획 '청년에게 말하다' 3회 2015.10.24
    KBS전주총국 유튜브 구독→ / kbsjj
    KBS전주총국 페이스북 팔로우→ / kbsjeonju
  • Розваги

КОМЕНТАРІ • 116

  • @BD-sr3zz
    @BD-sr3zz Рік тому +5

    진정한 지성인이고 어른이고 선각자라는 생각이 드네요
    꼭 가보고 뵙고 십네요

  • @user-yj5xv1rg5d
    @user-yj5xv1rg5d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이제서야 교수님을 뵙고 열청하고 있습니다.

  • @user-rm9to9du8o
    @user-rm9to9du8o Рік тому +3

    여왕개미들삶
    구룹아아돌 가수같네요
    감사합니다 ^^

  • @ufoufo8881
    @ufoufo8881 2 місяці тому +1

    교수님의 자상하고 유머의 말씀에 한 시도 놓치기 싫을 정도로 쏙쏙 재밌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jz9qy4sj2c
    @user-jz9qy4sj2c Рік тому +2

    교수님 자주 뵙고 싶습니다
    너무나 맘에 와 닿습니다

  • @user-kc2op4re9p
    @user-kc2op4re9p 3 місяці тому +1

    어려운일은 함께 풀어나가라는 말씀 감사합니다

  • @honggyu0218
    @honggyu0218 2 роки тому +2

    전 이분을 ᆢ민법개정안ᆢ호주제도 폐지 공청회를 보고 알았네요.
    자연계의 모성위주 ᆢ자연법칙으로 우리의 위선적인 가부장제도의 폐지를 말하시는거 보고 감동 ᆢ전 매우매우 보수적인 종손이었는데 말입니다 ᆢ

  • @user-gb8en8ec5g
    @user-gb8en8ec5g Рік тому +2

    아!! 드디어 교수님의 정체에 대한 모자이크가 맞춰졌네요. 제가 그 충청도 서천에서 개미전시를 본 시점이 이쯤이었군요. ㅎㅎ 다시한번 반갑습니다.

  • @user-pt9rs6hh9v
    @user-pt9rs6hh9v 2 роки тому +3

    선생님 현자십니다.

  • @user-od4wb2zh1q
    @user-od4wb2zh1q 2 роки тому +3

    참으로 훌륭하십니다. 고맙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user-fw5mv4pb7t
    @user-fw5mv4pb7t 3 роки тому +11

    신비스런 개미의 세계가 인간의 세상 보다 더 배울것이 많아서 푹 빠져서 강의를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개미세상을 들으면서 많은 생각하게 됩니다. 😁 🍀❤

  • @user-mc7ce2kz3f
    @user-mc7ce2kz3f 3 роки тому +7

    협력적 유전자!!! 손잡지 않고 살아 남은 생명은 없다. (최재천교수님)

  • @user-es5rc2nh4b
    @user-es5rc2nh4b Рік тому +6

    감사합니다. 👏👏👏👏👏

  • @asaki3210
    @asaki3210 3 роки тому +21

    자연보호단체 가입하며 공부하다 여기까지 오게됩니다. 참으로 재밌고 푹 빠져들고 있읍니다.

  • @user-zs8su5lr7e
    @user-zs8su5lr7e 4 роки тому +23

    교수님 너무 재미있게 봤네요. 생태원 꼭 가보고 싶네요. 수고하셨습니다.감사합니다. 존경합니다.사랑합니다 ~♡

  • @user-us1lm3vw5h
    @user-us1lm3vw5h 3 роки тому +7

    국립생태원이 있다는 것을 첨 알았네요.
    기회가 되는대로 꼭 가보렵니다.

  • @user-ce4if5lu6v
    @user-ce4if5lu6v 4 роки тому +22

    정말 재미나고 유익한 강연입니다.

  • @user-mc7ce2kz3f
    @user-mc7ce2kz3f 3 роки тому +18

    최재천교수님! 존경합니다.

  • @user-lw6lr4vy3x
    @user-lw6lr4vy3x 4 роки тому +18

    개미세계에 대한 놀라운 과학적
    근거가 너무나 현재 인간세계와
    비슷한 형태에 놀랐습니다~
    앞으로 우리는 함께 손잡고 협력하는
    세상 ~ 👍👏

  • @user-lw8dh8en2z
    @user-lw8dh8en2z 3 роки тому +15

    교수님. 좋은 강의. 잘들었습니다
    항상. 건강하십시요 사랑합니다 💜

  • @kys6773
    @kys6773 Рік тому +2

    감동적인 강의 입니다~

  • @user-wh4ui2pg7j
    @user-wh4ui2pg7j 4 роки тому +23

    교수님
    자연강의 덕분에~자연의 가족 들을 더욱 자연스럽게 가꾸며 함께 공생하고 있습니다..

  • @user-bo8xj7xn5u
    @user-bo8xj7xn5u 4 роки тому +21

    배달의 개미 민족 ㅎ~
    교수님의 강의는 늘 깊은 공감과 재미가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 @user-hk6tb8ug8x
    @user-hk6tb8ug8x 4 роки тому +28

    Coopetition 경쟁과 협력이 필요한 사회를 만들어야한다는 말씀에 100%공감합니다 ㅡ국립생태원에 손주데리고 꼭 가봐야겠어요.앞으로도 좋은 강의 계속 부탁드립니다. 건강하세요ㅡㅡ

  • @amed7810
    @amed7810 4 роки тому +16

    교수님의 강의 에서 새로운 세계를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 @user-vj5pf9ky4h
    @user-vj5pf9ky4h 3 роки тому +9

    자연계의 위대한 선물!

  • @user-qj9fs1bw6q
    @user-qj9fs1bw6q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교수님,
    대나무는 나무가 아니라
    볏과에 속하는 풀의 일종이라고
    합니다.
    대나무의 대도 한자가 아니라
    순우리말이라고 하구요.
    요즘 교수님 강의로
    공부 다시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ht7lz7xy7t
    @user-ht7lz7xy7t 3 роки тому +7

    강의 초반부 들으면서 댓글 달아요. 국립생태원 가고 싶네요. 코로나 때문에 못 가고 아쉽습니다. 빨리 안심하고 국립생태원에 가 보았으면 좋겠어요. 코로나 때문에 일회용품 사용이 늘어나는 것도 마음 아프네요.

    • @user-fu9ur3gh8i
      @user-fu9ur3gh8i 3 роки тому

      ㅜㅡ츷ㅊㅊㅊㅊ추ㅡㅊㅊㅊㅊㅊㅊㅊㅊ춫ㅊ츷ㅊㅊㅊㅊㅊ츷ㅊㅊㅊㅊㅊㅊㅊ프ㅡㅊㅊㅊㅊ츠춫ㅍ츠추ㅡ추ㅡ추ㅡ추ㅡ츠츠츺추ㅡ츺츠츠추ㅡ츄추ㅡ춫츄ㅡㅊ푸프츠추ㅡ츠츠츠츠츠츠츠츠츠츠츠츠츠츠츠츠츠츠츠츠츷프츺츠츠츠츠츠츠츠츺츠츠트트츠트틏흐트츠츄ㅡ틓ㅌㅎ흩ㅎㅎㅎ흧ㅎㅎㅎㅎㅊㅎ흩휴틑ㅎㅎㅎㅎ휴ㅡㅌㅌㅎㅎㅎㅌㅎ흐츷ㅎ헟 프

  • @soonmorris6062
    @soonmorris6062 3 роки тому +7

    평소에 듣지 못하는 개미에 대한 지식을 강의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책을 사서 읽어 보겠습니다.
    그런데 악플 댓글도 있네요.

  • @sungkim5926
    @sungkim5926 Рік тому +1

    이제까지 공부하면서 이런강의 처음들어보네요 감사합니다

  • @alive50000
    @alive50000 3 роки тому +12

    국립생태원 꼭 가보렵니다.

  • @user-wi4tc9oi4f
    @user-wi4tc9oi4f 3 роки тому +2

    한산서천 국립생태원 꼭한번 다녀와야겠어요.
    산하에 조류 부엉이생태도
    볼수있으면 좋게습니다.
    부엉이는 드넓게 쓰여지는것 같습니다.부엉이바위 마을 냇가
    산 전설 암튼 다양한것 같습니다.

  • @user-ny6hm9mr3s
    @user-ny6hm9mr3s 3 роки тому +2

    전에 어떤 다큐에서 본건데 아프리카 초원에 어떤 아카시아나무는 개미와 공생관계로 살던데 교수님 말씀하신 것과 비슷하네요. 단지 여왕개미가 여럿이라는 것은 다르네요. 그 아카시아 나무도 개미에게 보금자리와 먹이를 주고 개미는 아카시아나무를 먹으려는 기린과 같은 초식동물로부터 나무를 지킵니다. 그래서 그 아카시아는 가시가 불필요 하기 때문에 없죠.

  • @coann833
    @coann833 3 місяці тому

    예전 강연인데 지금도 유익해요. 아직 세상이 교수님 말씀처럼 변화하지 멋했다는 뜻이기도 하겠죠?

  • @sophialee5103
    @sophialee5103 3 роки тому +4

    제가 늘 생각하고 있는 것을 교수님께서 말씀해주셨네요! 왜 우리는 늘 경쟁해야 하는가? 함께 아우르며 협동해서 더 좋은 걸 창출해나가는 게 결국 성공일텐데~란 생각요! 오늘도 잘 들었습니다!

  • @user-tj8hz8jw7l
    @user-tj8hz8jw7l 2 роки тому +1

    경협의 모티브를 정확히 꿰뚫고 있는 강연을 비로소 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사람과 오랑우탄이 협력한다는 말에 정말 빵터졌어요. 사랑, 협력, 희생, 근면과 경쟁 이시대에 필요한 너무나 많은 이야기를 듣게 되었고 이를 내 생활에 어떻게 담아내야 할 지가 고민입니다

  • @user-we5yr3dx7c
    @user-we5yr3dx7c 3 роки тому +6

    교수님의 강의는 삶의 지혜서인것 같습니다

  • @ezdoteng
    @ezdoteng 4 роки тому +24

    “위대(초 성장)할 수 있는 발판,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힘이란?: "근면, 성실, 협동, 희생, 동료와 함께할 수 있는 경쟁(선의)”의 하모니란 의미가 느껴집니다. 감사합니다.

  • @user-fv5tt8zi2w
    @user-fv5tt8zi2w 3 роки тому +3

    고마워요.

  • @johnpark8062
    @johnpark8062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교수님 강의로 인간의 생태 파괴가 불러오는 지구 멸망의 심각성을 깨닫게 됩니다. 노무현 대통령의 시대를 앞서간 선견지명에 감탄이 절로 납니다.

  • @mjkim8370
    @mjkim8370 Рік тому +2

    교수님의 말씀 늘 공감합니다.공생하기 위해
    노력하고, 실천합시다.

  • @soonranmoon4000
    @soonranmoon4000 3 роки тому +6

    잎꾼개미님들 보고 싶네요~
    작년에 서천 갔을때는 개미전이 있는지 몰랐네요
    다음에 가면 꼭 찾아봐야겠습니다
    어려운 문제는 함께~!!

  • @user-nb5lh7lm3b
    @user-nb5lh7lm3b 3 роки тому +3

    국립생태원의 역할에 기대가 큽니다

  • @user-gy2ey8bp4k
    @user-gy2ey8bp4k 3 роки тому +1

    정만 좄은 말씀 감사합니다

  • @kayekim4522
    @kayekim4522 3 роки тому +4

    생태원에서 개미 전시 볼 수 있나요 정말 즐거운 강연이었습니다.

  • @user-ht8ff7eh2j
    @user-ht8ff7eh2j 3 роки тому +7

    본성은 하늘이내린 진리이고 본능(생존본능)은 땅이주는 도가있는 삶이지요 본성은 숙명이고 생존본능은 운명이죠 숙명은 비뀔수없는것이지만 운명은 개척하는 것이고 변화해야 하는것이랍니다 인간은 참으로 정교한 생명체입니다 함부로 살아야 인생이 아닙니다 의미있는 삶을 뜻있는 죽음을 맞이하여야 합니다

  • @alive50000
    @alive50000 3 роки тому +6

    우리 인간은 생명을 사랑하게끔 태어났다.

  • @user-mj1er6xl5k
    @user-mj1er6xl5k 3 роки тому +4

    협력과 경쟁이 하나가 될 때 사회는 발전합니다...coopetition이라는 합성어 정말 좋은데요..

  • @makinax8836
    @makinax8836 4 роки тому +19

    인간은 욕망의 동물이라... 생태학적 교훈을 욕망이 압도하니... ...

  • @user-dp7uv3rh3f
    @user-dp7uv3rh3f 3 роки тому +1

    강의내용이 자막으로 나오는데
    구글로 외국어돌리는것 처럼 나옵니다

  • @user-yu2wb8gg1r
    @user-yu2wb8gg1r 4 роки тому +10

    좋은 볼 거리가 있는 곳으로 가보고 싶네요~
    그런데
    외래종 유입의 문제점은 없나요?

  • @user-cp7iz1jo2e
    @user-cp7iz1jo2e 3 роки тому +1

    그런데요
    4대강보를 해체한다는데
    교수님 어찌생각하시는지요

  • @user-wp3ze9lj2y
    @user-wp3ze9lj2y Рік тому

    👍👍👍👍👍👍👍👍👍👍

  • @user-in3qf1cn1w
    @user-in3qf1cn1w 3 роки тому +1

    교수님 저는 작은 가계를 경영 하는데요 개미가 아주 많은데 무슨방법으로 소멸할쑤 있을까요

  • @user-yh1eo2jg7c
    @user-yh1eo2jg7c 3 роки тому

    개미는 인간과 같이 공동체 생활을 합니다 소설가 베르나르의 개미는 많은 생각을 해주고 있습니다 개미끼리의 신뢰가 강하고요 소통도가능합니다 자기가 맡은일은 목숨을 다바쳐 하구요 눈이 안보이는데도 길을 잃지 않지요 먹이 활동도 잘하구요 싸움도 잘해도 세계에서 제일 많은 개체수가 있어요 우리나는 우리라는 공동체가 발달했습니다 개미도 공동체운명입니다 여왕개미 밑에서 숫개미 병정개미 일개미등이 일가족을 이루며 살지요

  • @user-bi2fr2rj9i
    @user-bi2fr2rj9i 4 роки тому +8

    과학자의 서재 보고 들어옴

  • @hyunju7370
    @hyunju7370 3 роки тому

    도대체 이 훌륭한 강연에 이런 엉터리 자막은 왜 넣은걸까요?
    누가?

  • @user3838td
    @user3838td 3 роки тому +2

    그렇게 공포의 조별과제가 탄생했구나...

  • @karmesok
    @karmesok 3 роки тому

    호모사피엔스 전 단계에 대한 가설들은 가설일 뿐. 중간단계가 존재하였던 화석흔적이 전 지구상에 무수하게 많아야 그 가설을 뒷받침할 수 있는데 그걸 보물찾기 하듯 찾는게 현실

    • @karmesok
      @karmesok 3 роки тому +2

      원숭이가 진화해서 인간이 되었다? 진화론이 과학인것처럼 과학이 진리인것처럼 주장하는 것도 하나의 가설일뿐. . 본래 원숭이는 원숭이 인간은 인간이었다.

  • @user-fv5tt8zi2w
    @user-fv5tt8zi2w 4 роки тому +2

    나무 자연과 인간의 동화. 참 어려워요. 농경시대전 수렵시대까지가고 문화 물질 종족 인간의 욕망을 다 충족하고 살겠다. 이미 모순이지요. 제 쉬운 바로는 77억ㄹ 5억 이하로 만든다. 그것도 20년내에 해낸다. 와우. 이 충격을 어떻게 이겨내요. 이 때. 과학이 좋은 방법을 찾아 주셔야 하는데. 어려워요. 100년전의 적어도 1/3-1/5정도여도 어려워요. 더욱이 마이크로칩을 이용하여 더 오래 살자는 주장이 우세한데. 참 좋은 과학의 풀이가 있어야 하는데.

  • @user-bn6cw5gd9n
    @user-bn6cw5gd9n 3 роки тому

    자막이왜그래?

  • @___-sb7nd
    @___-sb7nd 3 роки тому +2

    '거대악의 카르텔 옵티머스Ⅱ' 충격! ua-cam.com/video/_sOohAYdlKY/v-deo.html&feature=push-lbss&attr_tag=AhX_GMwxCzW67I24%3A6

  • @jeanniepark224
    @jeanniepark224 4 дні тому

    정말 우리가 코수아베이트로 출발해서 교배를 통해 오늘날 우리가 되었을까요? 누가 어떤 종을 교배하여 우리가 되었나요.. 섬뜩한 생각이...

  • @user-ni6ee6uu3u
    @user-ni6ee6uu3u 3 роки тому +2

    제발 자막좀 지워주세요

    • @user-zo8ez4qg6h
      @user-zo8ez4qg6h 3 роки тому

      자막 보기싫어서 좋은 내용 볼수없네 왕짜증

  • @user-zf8bd5yy2g
    @user-zf8bd5yy2g Рік тому

    정치인들에실망좌절감까지스며드는데이강연에삶에끈이이어지는것같네요강연잘고맙게들었읍니다

  • @user-xy9th1iw7h
    @user-xy9th1iw7h Рік тому

    2022. 8월. 이번주말 생태원 견학갑니다.

  • @user-hx4kr4ft8h
    @user-hx4kr4ft8h Рік тому

    베르베르의 책을 읽은 .문화의 힘이었군요.ㅎㅎ.

  • @user-bt9gq8wu1q
    @user-bt9gq8wu1q Рік тому

    자연만이용해!인간도이용한다

  • @user-ni6ee6uu3u
    @user-ni6ee6uu3u 3 роки тому

    자막을 도대체 누가 적나요

    • @user-qt9tn9is4s
      @user-qt9tn9is4s 3 роки тому +1

      소리 나는데로 자동변환인 것 같네요.

  • @karmesok
    @karmesok 3 роки тому

    지구상 개미숫자가 10의16승이라는 주장도 가설일뿐...표본오차도 검증할수 없는 데 모집단 오차는 더 말할것도 없겠지요...결론, 가설은 과학의 다른 이름.

  • @NadriYahoho
    @NadriYahoho 10 місяців тому

    1:1 시초에 하느님께서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다
    26:7 그분은 북쪽 하늘을 허공에 펴시고 땅을 공중에 떠 있게 하시며
    2:17 그러나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는 먹어서는 안된다. 네가 그것을 먹는 날에는 반드시 죽을 것이다.
    10:23 오 여호와여, 사람의 길이 자기에게 있지 않다는 것을 제가 잘 압니다. 발걸음을 인도하는 것은 걷는 사람에게 있지 않습니다.
    계시 11;18 “ --- 땅을 파멸시키는 자들을 멸망시키실 정해진 때가 되었습니다.”
    다니엘 2:33 “ -- 발은 일부는 철이고 일부는 진흙이었습니다.”
    데살로니가 전서 5:3 ”사람들이 “평화롭다, 안전하다!” 하고 말할 그때에 임신한 여자에게 해산의 고통이 닥치는 것처럼 갑작스러운 멸망이 순식간에 그들에게 닥칠 것이며, 그들은 결코 피하지 못할 것입니다.“
    21:25 또한 해와 달과 별들에 표징들이 있을 것이며, 땅에서는 바다가 울부짖고 요동하는 것 때문에 나라들이 어찌할 바를 몰라 매우 고통스러워할 것입니다
    43:11 내가 바로 여호와이다, 나 외에는 구원자가 없다
    45:18 하늘의 창조주이신 참하느님, 땅을 지으시고 그것을 만들어 굳게 세우신 분, 땅을 헛되이 창조하지 않으시고 사람이 거주하도록 지으신 분이 이렇게 말씀하신다. “나는 여호와이다. 다른 이가 없다.”

  • @user-gq5jb4gw2n
    @user-gq5jb4gw2n 3 роки тому

    부의상징 놈현부엉이도 다뤄주시쥬.

  • @user-rd9hb1jb6n
    @user-rd9hb1jb6n 3 роки тому

    자막 한글판이 그정도밖에 안되나요? 그런 정도라면 차라리 올리지 않는것이 좋겠습니다. 우리 말은 너무나 분명한데 그것을
    어떻게 지금의 수준밖에 안되는 것인지요. 좋은 우리 말과 글을 정말 잘못되게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차라리 올리지 마세요
    올리실려면 정확하게 올리세요.

  • @user-eo3re9hq9c
    @user-eo3re9hq9c 3 роки тому

    어리석은 내생각에는 원자력 발전보다, 석탄 발전이 기후변화에 더 나쁜 것 같다고 봅니다. 제자 입장에서도 스승을 잘 맞나는게 일생을 좌우 합니다.

  • @user-lw6pg5il1n
    @user-lw6pg5il1n 3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bgJ_xXgqXv8/v-deo.html 코로나의 정체

  • @user-jz5dz6rz7p
    @user-jz5dz6rz7p 3 роки тому

    0000,

  • @getzphile5971
    @getzphile5971 3 роки тому +1

    구달 빼면 시체

  • @user-zn5fz4zm5m
    @user-zn5fz4zm5m 3 роки тому

    즈 조

  • @user-ol8dn7cw5y
    @user-ol8dn7cw5y 2 місяці тому

    거짓을 그럴듯하게 꾸미는 재주꾼

  • @user-gu9mx4rd8f
    @user-gu9mx4rd8f 3 роки тому

    최교수ㅁ님---4대강에 대한 거짓말은 취소해주세요!!!

    • @hankangmiracle
      @hankangmiracle 3 роки тому +1

      진화론 자체가 거짓말 이에요

  • @user-so9qo1td3f
    @user-so9qo1td3f 3 роки тому

    썰 풀고 몇 푼 받고 애처롭네
    인간을 가장 저주해버린 인간
    인간은 동물인데 양심도 있어
    그럼 핵무기 가진놈이 최고
    너 죽고 나 살자 양심은 변명할때나
    도구로 쉽게.쓰고 ᆞᆞ너 가족에게도
    사랑 가르쳐 아니야
    동물의 왕국가르쳐 쳐 잡아먹게 ᆞᆞ

  • @KDJung1
    @KDJung1 3 роки тому

    개의 아들입니다.

  • @user-wi4tc9oi4f
    @user-wi4tc9oi4f 3 роки тому +1

    놈현부엉이 .......

  • @user-pu1xd8oe3z
    @user-pu1xd8oe3z 2 роки тому

    태초의 생명의 근원은 하나님입니다. 이 사실이 인식되지 않은 과학은 인류의 근본문제에대한 해답을 찾을 수 없습니다. 말도 안되는 진화론생명 찬생이 우연히 아주 우연히라니...

  • @user-th5od1tl8y
    @user-th5od1tl8y 3 роки тому +1

    진화론 이라는 허구 위에 세운 허구의 소설 이네...
    정말 진화론을 진짜로 믿는 입니까?

  • @admandburke.
    @admandburke. 3 роки тому +1

    교수님 공부좀 합시다
    꾸즈네츠 그래프좀 공부하세요
    조선이나 중공 북한이 덜발선해서 환경이 좋나요?~~~
    공업화후 한국의 녹지율은
    일제시대보다 월등히 높은대요
    가난극복 이라는 고려없는
    로만보고서 환경극단주의자 군요

  • @user-xj3sm3wr6m
    @user-xj3sm3wr6m 3 роки тому

    교수라는 작자가
    가장~~오래된 베스트셀러 성경한번도 읽지 아니한눔이 무엇을 안다고 저리 헛쇠리를 할까?
    부디 부탁하듯 청하노니
    성경한변 읽어보라 지금보다 훨~`씬 자유로운 말을하고 행동을하고 생각을하며 평안을 누릴 수 이쓰리니...^^

  • @paradise-hw1lp
    @paradise-hw1lp 4 роки тому +1

    유학까지 한놈이 이게 말이라고 지껄이냐....

    • @user-fc5pg7os2o
      @user-fc5pg7os2o 3 роки тому +1

      도미솔ㅋㅋㅋㅋ빠레트나 주우러 가라

    • @user-io5pf9os6i
      @user-io5pf9os6i 3 роки тому +7

      다른의견을내시려면 명확하게 글을 써주시죠

    • @user-wh4ui2pg7j
      @user-wh4ui2pg7j 3 роки тому +2

      놈 은 유학가지않아서 ~!!
      입을 재봉틀로 ~박아버리고싶네요

    • @user-pd7dr6hf3p
      @user-pd7dr6hf3p 3 роки тому +2

      니나 지껄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