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초엘리트들은 여기 모여있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6 чер 2024
  • 🌍 박선 선생님 인강 🌍
    www.megastudy.net/teacher_v2/...

КОМЕНТАРІ • 1,2 тис.

  • @Sean-yv4ek
    @Sean-yv4ek 9 днів тому +2675

    기초과학을 이렇게 천대하는 나라에서 이정도 발전도 정말 대단한듯

    • @user-zo5yb9bv5s
      @user-zo5yb9bv5s 8 днів тому +44

      다른나라도 미국도 다 응용과학으로많이감 애초에 돈이 응용이 더 잘벌리는데 그저 미국이 인재빨아들이는데 넘사라 응용못가는 밀려나간 국제인재들이 기초과학가서그렇지

    • @user-ed4hg6nm5o
      @user-ed4hg6nm5o 8 днів тому +16

      이제 나락갈듯? 똑똑한 사람들 미국에 유학가고 일할때 귀화하고 그러던데

    • @yhj891
      @yhj891 8 днів тому +70

      박정희 대통령이 과학쪽 엄청 서포트 해서 카이스트 등 그때 생긴것 아닌가?
      우크러시아 전쟁보면 최신식 무기 등 과학의 중요성.
      멀리 미래 생각한다면 의대보다 공대를 중시해야
      미래투자 위해 세금으로 과학계를 서포트했으면..

    • @user-fc9eb3te2t
      @user-fc9eb3te2t 8 днів тому +35

      기초과학 분야 투자했더니 예전 교수들이 연구비를 슈킹한적이 많아서 보수적으로 예산주는 것도 있는듯 한국인은 해먹어야지가 탑재된득

    • @user-ki7el7ig3q
      @user-ki7el7ig3q 8 днів тому +7

      성장할때는 뭘 새로 만들기보다는 응용과학이 더 효율적이었죠 지금이야 기초과학 필요성이 높아졌지만

  • @user-ts1mm2zu5t
    @user-ts1mm2zu5t 8 днів тому +1288

    지금도 설대 물리학과중에 의대 보지도않고 가는 애들 있음. 찐천재들.

    • @recon61th92
      @recon61th92 3 дні тому +145

      안타까운건 그 찐 천재들을 키워줄 사회가 점점 퇴화되는거 같아요.
      저는 사업하는 사람이고,
      아들이 초6인데 학교나 학원에서도 학업성적이나 태도가 아주 우수하다고 하고,
      오늘도 새벽5시반에 지가혼자 일어나서 2시간 공부하더니 아빠깨워서 "아빠 나 이 문제 풀었어!!" 하고 방방뜨던데,,
      저의 속마음만 해도, 아이가 천문학이나 물리학같은거에 꽂히지않길 바라거든요 ,,
      "찐천재들은 진짜 따로있다."
      "일반인들이 범접할수없는 영역"이라고도 아이한테 말해줬었구요
      아이가 아무리 공부를 잘해져도,,
      무난한 진로를 가길 바라네요
      만약 선진국이였다면.. 공대를 추천했으려나요 ..

    • @minjae92
      @minjae92 3 дні тому +14

      ​@@recon61th92외국 학교도 상당히 좋습니다

    • @user-cv7tv4pc2k
      @user-cv7tv4pc2k 3 дні тому +17

      +서울대 수리과학부

    • @user-cm3xm4yp2l
      @user-cm3xm4yp2l 3 дні тому +4

      @@recon61th92공감되네요

    • @user-py8fs4zk8x
      @user-py8fs4zk8x 3 дні тому +28

      맞아요. 서울대만 그런게 아니라 의대 가고싶어 하는 애들이링 물리힉 좊아히는 애들 성향이 다르죠.

  • @user-fu1tk1hb7l
    @user-fu1tk1hb7l 11 днів тому +3169

    80년대엔 진짜 천재들은 자연대(물리학, 수학, 화학, 생물학) 갔지요...

    • @perth0301
      @perth0301 10 днів тому +55

      이제는 옛날 얘기

    • @Taestostaron
      @Taestostaron 10 днів тому +97

      한국의 천재들이 해외로 유출되면 국가는 망해가는거죠...

    • @dykim3793
      @dykim3793 10 днів тому +47

      요즘은 전체적으로 그런 분위기라기보단 영재고, 과고에 한해서만 그런듯요. 주변에 영재고 다니는 친구들 물어보면 전교권애들이 서울대 자연계 쓴대요

    • @user-lh1jb2xm3z
      @user-lh1jb2xm3z 10 днів тому +29

      이건 좀 잘못된 이야기인게 물리학이랑 전자가 의대보다 커트라인 살짝 높았던거 사실인데, 의대는 200명 뽑고, 물리학 70명? 전자는 50명정도 뽑았어요. 만약 그렇게 많이 똑같이 뽑았으면 의대보다 훨씬 컷 라인이 낮았을거에여. 다만 국가장학생 등은 물리로 많이 간건 사실에요. 국가 발전 이미지도 있고

    • @user-bd3hh1kv9r
      @user-bd3hh1kv9r 9 днів тому +4

      ​@@user-lh1jb2xm3z신빙성이 있네요

  • @huhhuhiy2599
    @huhhuhiy2599 9 днів тому +1021

    고듵학교 물리선생님
    서울대 물리학과
    찐 천재의 향기를 내뿜으며 교직에 있었지만 얼마나 따분하셨을까 싶기도 하네요

    • @hylee6857
      @hylee6857 9 днів тому +105

      물리교육과 셨을듯.
      담임샘이 서울대물리학과로 소문나셨는데, 성인되서 책낸거보니 서울사대셨음.

    • @user-zq4fg6rn8f
      @user-zq4fg6rn8f 8 днів тому +8

      ​@@hylee6857 물리교육과가 물리학과보다 낮은편인가요?

    • @lxazsu8833
      @lxazsu8833 8 днів тому +37

      @@user-zq4fg6rn8f낮긴 하지만 서울대는 서울대라 연고대보다 쎕니다

    • @chopa647
      @chopa647 7 днів тому +5

      물론 자연대나오고 교대원코스도 많이 타는지라 무엇보다 아니땐 굴뚝에 저런 소문도 안남 ㅋㅋ

    • @user-ev5uh8zo6j
      @user-ev5uh8zo6j 6 днів тому

      장충고?

  • @user-qv4mv2ly8q
    @user-qv4mv2ly8q 16 днів тому +4315

    그 당시는 서울대 물리학과, 전기전자공학과가 의대보다 높았죠.
    그게 정상인 나라인데, 지금은 의대가 높아진 이유는
    한국에서 과학기술자들에 대한 지원이 약해지고 대우가 낮아지니 죄다 미국으로 가게되면서 결국 남은 사람들은 의대로 집중하게 되었습니다.
    과학기술이 미국이 선도하다보니 당연한 결과겠지만, 그 사람들이 한국으로 돌아오지않는다는게 문제입니다.

    • @ok-ft7ob
      @ok-ft7ob 15 днів тому +140

      님이 빨아주는 미국도 상위권 학생은 메디컬 스쿨 가는 걸 최고로 치는데

    • @xxxilmz
      @xxxilmz 15 днів тому

      ​@@ok-ft7ob뭔 개소리세요 ㅋㅋ 방구석 도라이 새퀴님 ㅋㅋㅋ

    • @user-jw4bf6qr5d
      @user-jw4bf6qr5d 15 днів тому +10

      ​@@ok-ft7ob 페이가 크니깐 어쩔 수 없지ㅋㅋㅋ

    • @user-ir1di8pr4w
      @user-ir1di8pr4w 15 днів тому +158

      ​@@ok-ft7ob 뭔 소리임 ㅋㅋㅋㅋㅋㅋ

    • @badass4993
      @badass4993 15 днів тому +256

      @@ok-ft7ob ..? 아닌데요..상위권 대학은 공대나 의대나 비슷하다보니 본인 선호대로 갑니다.

  • @user-fz1wv1kw3k
    @user-fz1wv1kw3k 11 днів тому +806

    고1때 심심해서 시간때우기용이라고 대학 공업수학 풀던 선배있었는데
    물리학하더라...

    • @user-uc9tl1ek9i
      @user-uc9tl1ek9i День тому +5

      그런 사람들이 천재의 자격을 갖춘 사람들이죠

    • @user-xo9ml7sm4i
      @user-xo9ml7sm4i 11 годин тому

      고1 때 공업수학은 ㅁㅊ...

  • @jaep2381
    @jaep2381 9 днів тому +838

    우리 아부지 친구중에 물리교수분 계신데 맨날 ‘아 공부좀 대충해서 의대갈껄’이거 입버릇처럼 말하고 다니심 ㅋㅋㅋㅋ

    • @user-bu3cp2gd9l
      @user-bu3cp2gd9l 8 днів тому +75

      81학번인데 의대가는 친구들보다 공대ㆍ이과대에 성적 더 좋은친구들이 많이 갔습니다 유능한 인재들이 기초과학이나 공학 분야에 진출해야 나라가 비젼이 있게됩니다

    • @givedog9824
      @givedog9824 8 днів тому +5

      ​@@user-bu3cp2gd9l? 무섭네요 이민을 꼭 해야되는 이유를 할아버님께서 이야기해주시니...
      게다가 나라 망친 주범이 젊은 세대만 있는게 아니라는게 윗물이 다 근간만들었다는게 더욱 확실해졌네요

    • @user-vz2hg1mb5v
      @user-vz2hg1mb5v 8 днів тому +22

      ​​@@givedog9824 갑자기 뭔 개소리냐?

    • @norio7893
      @norio7893 8 днів тому +20

      ​@@givedog9824넌 걍 이민 가라..

    • @user-jx1sn6fz3z
      @user-jx1sn6fz3z 8 днів тому +13

      ​@@givedog9824 중궈인?

  • @silverarrowmtb
    @silverarrowmtb 11 днів тому +721

    서울대 물리학과는 각 지역에서 탑만 갈수 있었음.한학교 전교일등만으로 못감..그 지역에서 그것도 대도시급 1등정도만..그 당시 의사 돈 많이 버는것도 사람들이 다 알고 있었음..각 지방유지가 의사가 많았음.지금보다 더 벌음.하지만 자존심이 먼저인 시대였음..돈보다는 프라이드와 의리가 중요한 낭만의 시대였음.

    • @user-lh1jb2xm3z
      @user-lh1jb2xm3z 9 днів тому +13

      물리학과는 70명정도 뽑았고 의대는 200명 정도 뽑았어요~ 적게뽑으니 컷라인이 높은거죠

    • @user-qm4wi5vg6m
      @user-qm4wi5vg6m 9 днів тому +60

      @@user-lh1jb2xm3z 진심으로 그렇게 생각하는건가? 단순히 정원이 적으니 커트라인이 높다? 세상에나

    • @weirdalice
      @weirdalice 9 днів тому +10

      ​@@user-lh1jb2xm3z 의대 3000명 치대 600명 뽑습니다

    • @user-lh1jb2xm3z
      @user-lh1jb2xm3z 9 днів тому +2

      @@weirdalice80년대 학번 당시에요

    • @user-lh1jb2xm3z
      @user-lh1jb2xm3z 9 днів тому

      @@user-qm4wi5vg6m 네

  • @ziziziczic
    @ziziziczic 17 днів тому +742

    전 70년대생인데 실제로 저 고등학교때 공부잘한 천재가 서울대 물리학과 갔습니다. 영상보다 갑자기 생각나네요.

    • @user-vc2gh3dp4g
      @user-vc2gh3dp4g 15 днів тому +22

      70년대생이라면 아실수도 있을텐데 잠깐 서울대 항공우주학과가 반짝하던시절이 있었습니다. 짧지만 압도적인 입결로 다른 학과를 씹어먹던 시절이었는데 이유는 아직도 모르겠네요

    • @user-bj2qx1om2f
      @user-bj2qx1om2f 14 днів тому

      ​@@user-vc2gh3dp4g서울대 항공우주과가 다른서울대입결을 씹어먹을정도면 1점대 초반임?

    • @user-vc2gh3dp4g
      @user-vc2gh3dp4g 14 днів тому +10

      @@user-bj2qx1om2f 그때는 내신도 수능도 아닌 학력고사 점수로 대학가던 시절이었습니다. 80년대 중반정도로 기억합니다. 그냥 배치표(현재의 입결표)에서 서울대 물리학과에 그림자를 드리운 유일한 학과였습니다.

    • @user-mu8hs2vf4d
      @user-mu8hs2vf4d 13 днів тому +20

      80년대 학력고사 전국1등이 설대 물리학과에 많이 갔고 tv인터뷰에서
      우리나라는 기초과학이 뒤쳐져 있다고
      과학자가 되어 우리나라가 기술강국이 되는데 이바지 하겠다는 애기를 많이했었지,

    • @jjyy1716
      @jjyy1716 11 днів тому +3

      92학년도 서울대 세부 성적보니
      자연계 최상위권 590명중 20%정도만
      의대, 치대 가고 나머진 이공대 갔음.

  • @napoleon2628
    @napoleon2628 14 днів тому +1409

    그리 어렵게 물리학과 갔는데
    물리학 첫 수업에서
    전공가능자와 불가자가 또 갈림,
    교수는 알아듣는 그 소수만 데리고
    외계어로 수업함.
    절망한 애들은 외우기로 버틸 수 있는 의대, 치대로 갈아탐.
    물리학과는 특히 서울대 물리는 넘사벽임.

    • @user-dj2nd2co9b
      @user-dj2nd2co9b 12 днів тому +154

      1학년때가 제일 고비인게 영재고애들은 이미 대학1학년 내용을 다 배우고옴 ㅋㅋㅋㅋㅋㅋㅋ

    • @kungkwangdaejima
      @kungkwangdaejima 12 днів тому +35

      근데 그 천재라는 사람들 다 물리학과 가서 뭐했음? 노벨상 따긴함?

    • @DieWeltalsWilleundVorstellung
      @DieWeltalsWilleundVorstellung 12 днів тому +321

      @@kungkwangdaejima노벨상이 늬 엄마 이름임?

    • @user-dj2nd2co9b
      @user-dj2nd2co9b 12 днів тому +92

      @@kungkwangdaejima 서울대 물리학과 최대아웃풋 필즈상 있눈데

    • @user-eh9mu2hh4n
      @user-eh9mu2hh4n 12 днів тому +18

      @@user-dj2nd2co9b그래서 중국 일본 대만 다 따는데 왜 한국만 못따냐고

  • @y7116
    @y7116 9 днів тому +37

    맞아요. 물리가 의대보다 높았죠..

  • @yunna8460
    @yunna8460 10 днів тому +86

    그 시절은 낭만이 있던 시절이었고... (신념과 이념을 위해 젊음을 목숨을 바친다는게 얼마나 낭만적이냐) 지금의 시대는 그 낭만의 종착지를 목격하고 있는 시대여서 그렇다고 생각해요. 결론적으로 의대를 갔던이들은 나이들어도 누구한테 아쉬운 소리 할 필요없고 먹고사니즘 걱정없이 그럭저럭 사니까.

    • @user-mw3df4qb7p
      @user-mw3df4qb7p 9 днів тому

      근데 지금이 우리나라가 더 잘살긴 하잖아요 취업률 이런게 떨어지고 대기업도 구조조정하긴 하지만 그래도 국민소득이나 이런건 더 높아졌는데 왜 그시절에 비해 낭만이나 신념을 좇는 분위기가 사라졌을까요?

    • @ezj1694
      @ezj1694 5 годин тому

      ​​@@user-mw3df4qb7p 천문학자는 가난하고 의사는 떵떵거리며 사는걸 이미 배워버렸으니까요 ㅋ 절대 소득은 의미 없어요 전국민 모두 조선시대 왕보다는 잘 살고 있는걸요? 낭만과 신념의 대가가 가난과 불합리함의 결과로 이어진걸 미리 아는 세대가 뭘 하길 바래요?

    • @ezj1694
      @ezj1694 5 годин тому

      ​@@user-mw3df4qb7p최소한 몇천억 사기치고 몇천만원 벌금내면 장땡인 나라는 아니여야 신념과 정의, 낭만이 바보 취급 당하지 않을까요

  • @user-tu3ny2hl2x
    @user-tu3ny2hl2x 10 днів тому +47

    저때라고 공학자 대우가 좋은 게 아니었는데 SNS 시대가 되면서 모든 가치가 돈으로 줄세우기가 된듯. 나도 IST 나와서 취직한 사람😢

    • @OoIlIlIl
      @OoIlIlIl 2 дні тому

      물리학 수학 천재가
      대통령 한번 해야되는디.
      카이스트 포항공대 상승좀 해야하는디

  • @user-wr7me8um9v
    @user-wr7me8um9v 11 днів тому +461

    이과 수석은 항상 물리학과 가던 시절. 우리반에도 좀 또라이 같은 녀석이 있었슴. 수학시간에 혼자 대학수학, 대학물리 가져와서 공부하던녀석. 그해 학력고사 몇개 틀리고 설대 물리학과 갔지.
    아마 충북 1등인가 그랬지.

    • @user-yr2bn4nb6v
      @user-yr2bn4nb6v 8 днів тому +3

      슴=>음
      제바알.......

    • @user-qe8os7es6h
      @user-qe8os7es6h 8 днів тому

      ​@@user-yr2bn4nb6v니엄마

    • @user-tp2ys3qw8b
      @user-tp2ys3qw8b 8 днів тому +49

      @@user-yr2bn4nb6v그냥 슴은 몰라서 틀린게 아니라 음슴체인건데 뭐가 또 그리 또또 불편하니

    • @John_Horace_Kim
      @John_Horace_Kim 8 днів тому +18

      최초의 수능 만점자인 오승은 씨도 서울대 의대가 아닌 서울대 물리학과에 입학했죠.

    • @user-yy2nm7im8n
      @user-yy2nm7im8n 8 днів тому +14

      @@user-yr2bn4nb6v제바알이 아니라 제발
      제발……….

  • @iS2JokerS2i
    @iS2JokerS2i 12 днів тому +225

    사실 물리학이 배우는 공부난이도 단계가 제일 어렵다고 했지 인류상 천재들이 물리학 전공했지.... 폰노이만 아인슈타인...

    • @user-xr7ez8mz7h
      @user-xr7ez8mz7h 11 днів тому +14

      유체역학은전설임

    • @user-gj6yg7xg3e
      @user-gj6yg7xg3e 9 днів тому +9

      ㄹㅇ 천문학과 물리학과는 배우는 학문의 결이다름
      과목하나하나가 레전드급임

    • @user-lh1jb2xm3z
      @user-lh1jb2xm3z 9 днів тому +6

      순수학문이니까 그런듯하네요.

    • @user-cc7se2xp3j
      @user-cc7se2xp3j 6 днів тому

      폰노이만의 전공은 화학

    • @bestick9587
      @bestick9587 2 дні тому +3

      그분은 전공이 의미가 있나?​@@user-cc7se2xp3j

  • @iphuck22
    @iphuck22 10 днів тому +20

    이휘소선생... 언젠간 제 2의 이휘소 선생님이 등장하길 바랍니다.

  • @user-hd1mp1oy2i
    @user-hd1mp1oy2i 10 днів тому +71

    의사는 생명을 살리지만
    공학과학은 국가를 살림..

  • @lifeispicnic7509
    @lifeispicnic7509 11 днів тому +225

    물리학과는 뇌가 천재들이 가는 과이고...
    의학과는 외우는 뇌가 용량이 커야 가는 과이다...
    즉,지능 보다는 많은 분량을 외우는걸로 끝장을 보는 과임..

    • @user-tk7rm6ng8r
      @user-tk7rm6ng8r 10 днів тому +92

      물리학자는 의사가될수있는데
      의사는 물리학자가 못됨 ㅋㅋ

    • @Fgjfddhhcgh4553
      @Fgjfddhhcgh4553 9 днів тому +14

      ​@@user-tk7rm6ng8r 오..이 분이 정답.

    • @user-ns1cj7bk4k
      @user-ns1cj7bk4k 9 днів тому +21

      맞는 말 같아요. 물리학자 수학자 등은 일 자체가 계속 새로운 지식을 갈구하교 연구하는 학문이니 계속 머리를 쓰는데..의학쪽도 새로운거 발견하는 분야도 있겟지만 의사들은 대부분..있는 지식에서 환자에게 맞는 진단을 찾아내는 직업인듯해요. 머리쓰는 방식이 다른듯해요.

    • @user-lh1jb2xm3z
      @user-lh1jb2xm3z 9 днів тому +8

      @@user-tk7rm6ng8r 의학물리학자라고 둘다 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 물리학자는 의사가 될수있고 의사도 물리학자가 될수있습니다.

    • @user-lh1jb2xm3z
      @user-lh1jb2xm3z 9 днів тому +3

      @@user-ns1cj7bk4k 이게 정답이죠~ 진료는 사람을 눈코입귀로 관찰하고 사회구조 문화도 보면서 하는것입니다

  • @oDo-cy4lp
    @oDo-cy4lp 8 днів тому +9

    자기 세계강하다는거 너무공감되요
    저희 아빠가 80년대 수학과가셨는데 당시 교장선생님이던 할아버지가 돈안된다고 업청 반대하셨는데도 재밌다고 가셨고 졸업후에 취직이 안타깝게도 잘 되질않아서 기자생활하시다가 언론통폐합때문에 연예계 캐스팅만 받은채로 짤리셨어요 그러고 한참 방황하시며 고생하셨어도 수학과간거는 후회안한다고 하시더라고요. 지금도 고집이 어마어마하십니다

  • @smy374
    @smy374 10 днів тому +126

    내 동생 서울대 전기공학과ㅡ천문학과 석사ㅡ물리학 박사과정했는데 진짜 똑똑함.

    • @user-wn2dk2tq2q
      @user-wn2dk2tq2q 8 днів тому

      ㅋㅋㅋㅋㅋ​@@user-xc2gr5xh6z

    • @Kfoodporn
      @Kfoodporn 7 днів тому

      그래서 넌? ㅋ

    • @user-lb9if6hu6h
      @user-lb9if6hu6h 7 днів тому

      본인은 그보다 못해서 의사 된거죠?

    • @ywkim2382
      @ywkim2382 7 днів тому +8

      @@Kfoodporn 넌 바보잖아 흔한 동네 바보

    • @Kfoodporn
      @Kfoodporn 6 днів тому

      @@ywkim2382 너 1년 연봉이 내 한달 세금 정돈 되는거 같아 ㅋ 고졸 쿠팡 상하차 평생 잘 뛰거라 ㅋ

  • @user-zz9eg3ki6k
    @user-zz9eg3ki6k 8 днів тому +9

    91학번인데요,
    천재들은 물리학, 전자공학 전공했다.
    문과는 법대, 경영학과 였고.
    당시 교회형은 340 만점에 290점대로 연세대 의대 합격했고, 사촌형은 318점으로 서울대 전자과 떨어졌다.

  • @user-sk7vq8cm5e
    @user-sk7vq8cm5e 11 днів тому +215

    우리 아빠 서울대 물리학과 88학번인데 지금 서울대 물천 교수하시는중…공부는 엄청 많이 하셨는데 국립대라 그런가 연봉이 너무 짬 ㅠㅠㅠㅠ

    • @lifeispicnic7509
      @lifeispicnic7509 11 днів тому +111

      존경합니다...아버님이 세계10대 강대국 이나라의 기둥이십니다...

    • @user-ok4di9vz4g
      @user-ok4di9vz4g 10 днів тому +57

      와 엘리트시군요 ㄷㄷ

    • @user-xi7vm2cx5m
      @user-xi7vm2cx5m 10 днів тому +27

      훌륭하세요

    • @vmffkdnj02
      @vmffkdnj02 10 днів тому +21

      오..존경합니다.. 혹시 가정에서 아버지로서의 모습은 어떠신가요??? 인생에대해 말씀해주실때 물리역학을 예로들어서 말씀해주시나요??

    • @user-sk7vq8cm5e
      @user-sk7vq8cm5e 9 днів тому +48

      @@vmffkdnj02 ㅌㅋㅋㅋㅋㅋㅋ아뇨...제가 물리를 안해서 이해를 못하는지라...그리고 물리얘기하면 제가 질색해요ㅠㅠ인생조언은 현실적으로 해주세요 예를 들어 대학졸업하고 미국가서 석사따라...돈이 전부는 아니다...이런식으로요

  • @biff2440
    @biff2440 11 днів тому +56

    이상윤... 서울대 물리학과출신.. 크...

    • @newhsk1421
      @newhsk1421 9 днів тому +5

      외모까지 다가졌네요

    • @user-kn8lr6tt6m
      @user-kn8lr6tt6m 2 дні тому +1

      그런데 370점임. 그당시 의대 가려면 380 넘겨야 함

  • @user-hr8nd7lx7j
    @user-hr8nd7lx7j 13 днів тому +497

    천재가 수학물리나 공학하는게 정상적인 사회..

    • @tbc3623
      @tbc3623 11 днів тому +5

      왜? 수학물리하면 뭐가 정상인데? 난 우리 가족 아플때 치료 받는게 훨씬 더 중요한데ㅋ넌 물리나 해라ㅋ

    • @user-yg1np9qz1o
      @user-yg1np9qz1o 11 днів тому +76

      대댓글은 그 의료기술의 바탕이되는게 과학이라는 걸 모르나

    • @user-hr8nd7lx7j
      @user-hr8nd7lx7j 11 днів тому +33

      @@tbc3623 인류 수명을 가장 극적으로 늘린게 냉장고다. 그리고 아플때 먹는 약이나 주사는 누구 만드냐? 공부좀 해라 ㅋㅋㅋㅋㅋㅋ

    • @Mohamed_Salah_Ghaly
      @Mohamed_Salah_Ghaly 11 днів тому +17

      @@tbc3623 생명과학도 과학인거 모르냐 ㅋㅋ 진짜 이런애들때문에 대한민국이 망하지 으휴 ㅜ

    • @tbc3623
      @tbc3623 11 днів тому +2

      @@Mohamed_Salah_Ghaly 그니까~~의대 안가고 공대가면 뭐가 좋은데?ㅋㅋ

  • @LONG100B
    @LONG100B 21 день тому +591

    만문학자는 도대체 얼마나똑똑한거냐

  • @user-zl9zt7dn1m
    @user-zl9zt7dn1m 14 днів тому +79

    낭만 + 지성 + 재력 돼야 가는 과지

    • @user-qo3tv8xm6m
      @user-qo3tv8xm6m 2 дні тому

      울 막내 남동생은 낭만과 지성은 갖췄지만 재력은 달려서 장학금으로 끝까지 마쳤지요
      카이스트 물리학박사인데
      그 아이가 얼마나 대단한지는 나도 나이 들어서야 깨달았답니다
      지금도 형제들 모이면 어려운 말도 어찌나 재밌고 쉽게 하는지 헤어지고 집에 오면서도 감탄을 하네요 ㅎ
      문과적인 소양도 넘사벽이어서 과학도서 번역도 많이하고 아이들을 위한 과학도서도 쓰지요
      이 영상을 보니 생각나서 동생자랑 한번 해봤습니다
      데헷 ~
      +맏이인 제 입장에서는 막내라 아이라고 표현했지만 지금은 나이 지긋한 신사랍니다

  • @k-spade6
    @k-spade6 11 днів тому +88

    미국은 입시 비리가 한국보다 더 많지만 그래도 지원자들이 대학의 타이틀보다 본인이 원하는 전공 따라 분산되는 게 ㄹㅇ 좋음. 존스홉킨스 의료공학보다 프린스턴 물리학과 경쟁률이 더 높은데 이게 괜히 그런 게 아님

    • @Kim-kk2lm
      @Kim-kk2lm 10 днів тому

      입시비리 ㅇㅈㄹ ㅋㅋㅋ에휴 프사보니 끄덕여지네

    • @bjc9418
      @bjc9418 10 днів тому +11

      ​@@Kim-kk2lm 우리나라에서 아빠 엄마 추천으로 대학이나 직장 가면 입시비리 아닌가? 미국같은 나라는 추천이 기본이니 한국사람이 보면 비리긴 하지.

    • @sha_lala
      @sha_lala 9 днів тому +25

      ​@@Kim-kk2lm 미국 사회 학연지연혈연 더 심한 사회예요

    • @k-spade6
      @k-spade6 9 днів тому +6

      @@Kim-kk2lm 음..애니 좋아하는 입장에 프사로 뭐라 하시면 할 말이 없긴 한데 제 당장 옆 학교에서도 어떤 애 아빠가 하버드에 2억 기부해서 들어간 경우도 있고 이렇게 기부입학 하는 애들이 많아요.. 그래서 사람들이 이젠 하버드를 안 좋게 봐요. 뿌리부터 백인 우월주의에 썩은 돈 밝히는 귀족학교라서요. 하버드 갈 시력 되면 스탠퍼드 mit 프린스턴 지원해요. 미국 입시를 일단 해보시고 지적을 하세요; 그리고 요즘 미국인들 사이에서 케이팝만 인기 있는 게 아니라 일본 애니도 인기 ㅈㄴ 많아요^^

    • @user-lh1jb2xm3z
      @user-lh1jb2xm3z 9 днів тому +3

      존홉 의대는 합격률 6.3프로인데, 물리학 학부를 말하시는건지 대학원 과정을 말하시는건지.. 미국에서는 의대 경쟁률이 가장 높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도 물리학이 의대보다 높은시절 물리학은 70명정도 의대는 200명정도 뽑았어요. 커트라인 점수는 매우 살짝이었고요. 평균 따지면 지금이나 예나 의대가 가장 어렵습니다.

  • @user-jv4zi6dk9i
    @user-jv4zi6dk9i 13 днів тому +16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 자리에 있는 비싼 수강료를 내고 온 학생들중에 천문학자 부모님을 둔분은 거의 없을듯...ㅠ

  • @user-kd5kn1lk2o
    @user-kd5kn1lk2o 12 днів тому +15

    저희 삼촌이 대구 경신고 나오셔서 서울대 물리학과 나오셨습니다. 왜 물리학과 갔냐고 했다가 나중에 알았습니다.

  • @user-ci4hb4po7i
    @user-ci4hb4po7i 8 днів тому +5

    심지어 저 시대에 현 아마존 창립자 제프베이조스도 물리학과 출신이였는데 너무 자기보다 뛰어나고 똑똑한 애들 많아 현타 느끼고 컴공과로 전과했다하죠 심지어 그는 유대인 출신입니다😂

  • @user-ix3xz2kz1c
    @user-ix3xz2kz1c 10 днів тому +44

    물리학이나 우주공학 등 공과계열 집단들이 강세해야 초격차기술을 가지고 선도함으로 경제가 돌아가는데 지금은 천재라는 대부분들이 사 짜 직업으로 향하니 경쟁력이 사라질 수 밖에ㅜ

    • @tetrisczar469
      @tetrisczar469 3 дні тому

      사실 우리나라 공과는 충분히 강세임. 기초과학이 필요한 시점임.

  • @gegegec
    @gegegec 11 днів тому +40

    천재들은 어차피 한국에서는 의대 안가면 평생 조리돌림 당하니 외국 가서 인류를 위해 힘쓰는게 맞을듯.

  • @user-os5er8rz5r
    @user-os5er8rz5r 9 днів тому +6

    의지를 뿜어져나오는 물줄기라고 생각해보면, 그 물줄기가 나오는 구멍은 사람에 따라 다릅니다. 소위 천재들은 일반인보다 특정 구멍의 크기가 훨씬 큰거죠. 욕망이 그쪽으로 기우는건 당연합니다. 심한사람은 아예 4대욕구처럼 느끼겠죠

  • @ErzardJ
    @ErzardJ 11 днів тому +8

    확실히 어렸을 때 듣기로는 서울대 물리학과 수재, 천재들이 간다고 했었고, 의대는 수재, 천재라기보다는 공부 잘 하는 애들이 간다고 했었던 것 같음.
    의대야 항상 탑 순위권에 있는 학과 였지만 물리, 화공, 컴공은 그 시대의 흐름에 맞춰서 인기학과가 되었음.

  • @gogosnfl
    @gogosnfl 15 днів тому +83

    학문의 난이도가 높으니 천재가 가야하지만, 투자 대비 성과가 적으니 보상도 낮죠..의사 대비.

  • @user-jz6rh7nc4p
    @user-jz6rh7nc4p 11 днів тому +17

    당시 물리교육 전공하신 아버지 어머니 친구분이 계셨는데 진짜 괴짜셨음..
    음악 미술도 천재의 재능을...
    학교내 미술대회(?)에서 미대생을 다 제치고
    1등함.. 중3때 전국 물리 경시 대회나간다고
    선생님 집에가서 잠시 배운적이 있었는데
    발명왕 에디슨 저리가라 였음..
    본인 피셜 우리나라에 상대성 이론을
    완벽하게 이해한 사람이 5섯명쯤 되는데
    그중에 한 명이 자기자신이라고 하심.
    여튼 천재가 맞긴 했음
    뭐든 내가 알고 있는것과 다르게 딱 한문장으로 모든 문제를 설명하셨음.

  • @user-px8iu7qd7e
    @user-px8iu7qd7e 8 днів тому +16

    지금도 천재만 가요
    의대는 약간 머리. 좋은애들이 가요

    • @angel-fj4sy
      @angel-fj4sy 3 дні тому

      그머리좋은애들이 자꾸 사기만치고 사람만죽인다;;;큰일이다.

    • @controlmind-wn2ft
      @controlmind-wn2ft День тому

      @@angel-fj4sy 살인, 강간, 납치
      평범한 서민들이
      1000배 더 많이 일으킴

    • @baaksungjune7834
      @baaksungjune7834 14 годин тому

      입시 점수는 의대가 더 높지 않나요?

    • @user-pk7xz6rf7z
      @user-pk7xz6rf7z 6 годин тому

      ​@@baaksungjune7834돈 쉽게 많이 버니까 가죠
      입결높은게 어려운 학문은 아님..

  • @user-dd7np9kf4y
    @user-dd7np9kf4y 7 днів тому +4

    그 시절 서울대 물리,천문학과 교수님들은 얼마나 천재신건가요??ㅠ

  • @computermathbiology
    @computermathbiology 13 днів тому +36

    학교 교수님 중에 서울대 물리학과 → 서울대 법학 석사 → 옥스퍼드 법학 박사인 분도 봄

  • @cybong9616
    @cybong9616 17 днів тому +29

    우리학교 전교1등이 서울대 물리학과 갔고. 지금 서울대에서 교수하고 있음. 똑똑한거 인정.

    • @jeenakim5081
      @jeenakim5081 День тому

      실례지만 그 학교는 어디죠?

    • @cybong9616
      @cybong9616 День тому

      @@jeenakim5081 지방의 이름없는 공립고 입니다.

  • @pansimi
    @pansimi 10 днів тому +8

    세상의 중심은 수학이다

  • @Huri0301
    @Huri0301 9 днів тому +3

    고딩때 물리쌤이 저때 설대 물리학과였는데 애들 얼굴 한 번만 보고 이름을 다 외워서 소름돋음

  • @jyb9387
    @jyb9387 10 днів тому +6

    천재ㅡ
    하늘이 내려준
    재능

  • @chankyulee4852
    @chankyulee4852 10 днів тому +11

    의대는 족보라는 걸 외우기만 하면 국시 다 패스하는 수준이지만, 물리학은 진짜 천재들 아니면 안 됨

  • @user-zi3jq8me6j
    @user-zi3jq8me6j 9 днів тому +12

    그 시절에 과학고 가서 카이스트 박사한 제 친구
    의사 하고 있습니다.
    1년만 더 하면 군대 면제 였던 상태에서 때려치고
    재수해서 의대 다시 가서 보건의 3년 하고
    의사 하고 있음.
    대세는 거스를수 없어요.
    그 친구 초1때부터 꿈이 과학자였던 녀석이었는데...
    얼마나 ㅈ 같았으면 29살에 의대를 다시 갔을까...
    카이스트에서도 손 꼽히는 루키였는데...
    박사 과정 때려치고....의대 감...

    • @kjthekilojuliet2408
      @kjthekilojuliet2408 9 днів тому +3

      의사 공급을 틀어막으니 보상이 압도적이라
      몰릴수 밖에 없죠
      경제학적으로 당연히 돈 많은 곳에 능력있는 사람들이 몰리죠 시간이 지날수록

  • @cmj7260
    @cmj7260 14 днів тому +68

    의대 - 공부 잘 하는 애들이 가는 곳
    자연 과학 -천재들이 가는 곳

    • @user-km1rl6qv9y
      @user-km1rl6qv9y 13 днів тому +7

      이제 반대...

    • @MathFinalBoss
      @MathFinalBoss 12 днів тому +4

      @@user-km1rl6qv9y지금도 톱은 설수리 설컴 설전정 이런데 감. 서울과고 같은곳에서 국제수학 올림피이드 상타는 애들은

    • @another-choi
      @another-choi 12 днів тому +7

      ⁠@@user-km1rl6qv9y대학 와보니 아니더라 진짜 천재들은 자연 과학 하면서 서울대 다님..

    • @St__Y
      @St__Y 11 днів тому +3

      @@MathFinalBoss반대 케이스도 널림... 의대가는 애들도 널렸다

    • @MathFinalBoss
      @MathFinalBoss 11 днів тому +2

      @@St__Y 내가 국제올림피아드 메달리스트들 진로 딱
      대한 수학회 kmo 에서 죽 적어놓은거 봤는데 안 널림 대부분 자연대나 공대로 감

  • @user-gg8hq8fh8b
    @user-gg8hq8fh8b 4 дні тому +2

    진짜 찐천재들은 자기 적성대로 가서 세상을 바꾼다
    그럴 자신감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 @happyhan608
    @happyhan608 8 днів тому +11

    80학번 입니다. 찐 천재들이 물리대 갓엇죠. 요즘은 이공계를 예산도 괄시 하는 세상이 ㅜㅜ

  • @777fok
    @777fok 8 днів тому +3

    우리가 중국 일본을 무시하지만 기초과학이 탄탄한 중국과 일본을 넘으서려면 앞으로 20년은 빡세게 지원해야함.

  • @footbong
    @footbong 16 днів тому +123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 세상을 보라.
    가장 좋아하는 말입니다. 여러분은 공대 넣으세요

    • @lenitive
      @lenitive 14 днів тому +4

      그거 초천재셨던 뉴턴 공께서 하신 말 아닌가요?

    • @footbong
      @footbong 14 днів тому +22

      @@lenitive 뉴턴이 인용하여 유명해졌지만, 뉴턴 본인이 처음으로 사용한 말은 아닙니다. 중세의 스콜라주의 학자들이 선학을 존중하는 마음을 담아 '거인의 어깨 위의 난쟁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면서부터 널리 쓰였습니다.

    • @user-km1rl6qv9y
      @user-km1rl6qv9y 13 днів тому

      의대 갈래요

    • @user-qq2dl1xl5v
      @user-qq2dl1xl5v 12 днів тому

      왜냐하면 의대 나와서 의사하다가 마음에 안들면 다시 공대 갈수 있지만 공대 나와서 직장이나 여러가지 현실이 맘에 안 든다고 다시 의대가기에는 경제적 시간적 리스크가 너무 크고 인생자체가 고독한 천재로 빛을 보지 못할 가능성까지 안고 가야함 만약 욕심을 버리고 컴공과 나와서 평범하게 직장이나 공직으로가서 청렴하게 살다갈 위인이라면 가능할 수도 있겠죠...허나 인간이 야망을 버리기란 그리 쉬운일도 아니죠 애초에 스카이나 카이스트를 못가고 그 이하 컴공과를 가버리면 그냥 또 현실을 받아들이기 수월한데...그래서 최상위권들이 포기를 못하고 취미로 수능을 계속 본다는 설이 있습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계속 의치약대를 노리는 잠재적 N수생

    • @user-hx3nd7is2r
      @user-hx3nd7is2r 12 днів тому +1

      @@user-qq2dl1xl5v​​⁠의사급과 동등한 공대라면 설카포 박사정도는 가야죠 그냥 학부 석사수준으로 다니고 마치는거라면 급이 안맞음 그렇게치면 의대하다가 나와서 공대다니는것도 쉽지가않지

  • @q751025
    @q751025 8 днів тому +2

    세상에 저시대 서울대 물리학과 박사까지하신분 정말천재였는데..
    미국에서 포닥만 몇년째하고 교수안되어 미국대학 박사 학위 다시하고 교수되었음
    알고보니 미국은 서울대 박사는(국내박사) 미국에서 인정안해줘서 다시 미국박사함..
    완전 천재였는대 40대 중반에 겨우 교수됨..

  • @user-lm6ju6pe1t
    @user-lm6ju6pe1t 4 дні тому +2

    마져요
    전 81년대생인데 제 때만해도 순수과학에 대해 의사보다는 훨 동경이 있었어요 ㅎㅎㅎ
    의사는 카이스트 아래였는데

  • @user-mq7od5wn3u
    @user-mq7od5wn3u 8 днів тому +4

    제가 80년대후반 서울에서 고교졸업시 전교생 750명중 문과 1.2.3등은 설대 법대, 경제학과, 행정학과 / 이과 1.2.3등은 설대 물리학과, 전자공학, 기계(or화학)공학과 갔었다. 의대도 몇명 갔는데, 보통 전교 5등-20등 이내가 수도권이나 지방대 의대를 갔었다. 아무튼 그 당시에도 최 상위권이어야 의대를 들어갔으나 전교 1.2.3등인 친구들은 거의 의대를 지원하지 않았다. 지금 학생들 기준으론 이해를 못하겠지만...그당시 연세대나 카톨릭 의대는 성적이 서울대 이공대를 못가는 학생들이 주로 입학했고 비 수도권 의대를 들어가는 학생들의 성적은 연,고대,한양대 공대 인기학과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 @koredu18
    @koredu18 8 днів тому +3

    솔직히 요즘 대학은 대학 그 자체의 본질을 상실했다도 봄... 이 나라가 기형인지는 몰라도 대부분이 최소한 남들한테 무시당하지 않으려고, 취업하기 위해 대학을 가지, 불과 몇 십년 전 낭만있던 시절의 서울대 물리학과와 같이, 물론 그 당시의 상위권 인기 학과여서 그럴 수도 있지만, 그때처럼 순수 학문에 대한 지적 호기심으로 가는 이들이 얼마나 될까 싶다... 솔직히 순수 자연, 인문 계열 학과 이외 학과 중 대학에 왜 있는지 이해가 안 가는 과가 있을 때가 있음...

  • @awesomekoreaa
    @awesomekoreaa 8 днів тому +4

    제 친구 서울대 의대 포기하고 서울대 천문학과를 갔다던데 후회 없다더군요

  • @user-wz6oj8ve5j
    @user-wz6oj8ve5j 2 дні тому +4

    지금도 집좀 사는 애들은 의대안감.. 의사는 부자들이 보기엔 그냥 백정이거든.. 사람 째고 피보고 꼬매고.. 집잘살고 똑똑한애들은 지금은 물론 대부분 유학가지만 서울대 물리학과가 탑이였음 수능 만점자들도 많이감

  • @user-ko5ub5mg8u
    @user-ko5ub5mg8u 15 днів тому +70

    진짜 천재들은 우주공학 가는게 맞긴함
    인류발전을 위해서 물론 본인이 가기 싫어하면 어쩔수 없지만
    물론 의대에도 천재가 없다는 말은 아님

  • @user-lw1yc7yj4j
    @user-lw1yc7yj4j 9 днів тому +15

    서울대 89학번입니다.
    당시 입결 성적배치도에 따르면 물리학,전자공학,컴공학이 최상단 1급간이었고, 화학,무기재료학,제어계측학이 2급간이었고, 의예는 2또는 3급간에 배치되던 시절이었죠.
    하지만, 자연계열, 공학계열 졸업생들이 국내에서든 외국에서든 박사 학위까지 따고 돌아와도 국내에선 마땅히 갈 만한 곳이 없었고, 그러다 보니, 미국에서 공학박사를 딴 사람이 갈데가 없어서 대치동에서 과외를 해야만 할 정도로 국가 차원에서 인재들을 챙기지를 못 했죠. 그러다가 lMF가 터졌고, 그 후론 보다 안정적인 고수입이 가능한 의대로 인재들이 집중하게 됐습니다.
    암기식 공부라고 비난아닌 비난도 많이 받았지만, 그 때의 인재들이 오늘날 대한민국을 IT강국으로 만드는 초석을 이루었죠. 의대에 인재 집중 이후로 지금은 성형강국이 됐다라고 자조하곤 합니다.

    • @user-lw1yc7yj4j
      @user-lw1yc7yj4j 6 днів тому +2

      @@user-xc2gr5xh6z 그 때까지만 해도 국내로 돌아와서 연구를 이어가고픈 마음들이 많았죠. 그러나 국내엔 자리가 없다보니 점점 그 후론 그냥 외국에 눌러 앉은 경향이 만연하게 된 겁니다.

  • @HyeokKIM
    @HyeokKIM 7 днів тому +2

    의대보다 물리학과가 점수가 높았지만, 학교 진학상담에서는 지금처럼 의대쓰라고 했더더군요.
    그냥 프라이드가 있어야 가는거죠.

  • @herogood4491
    @herogood4491 11 днів тому +14

    공무원이 열기가 식듯..
    의사의 열기도 언젠가는 식을듯..
    다만 의사라는 직업이 어떤부분에는 공직사회분위기가 다분한데
    또 어떤면에서는 개인사업이라서ㅇㅇ
    그래서 선택의 폭이 넓은편이라 본인의지에 따라서
    양쪽을 경험 가능하기에 아직은 열기가 바로식을 일이 없어보임

    • @user-lh1jb2xm3z
      @user-lh1jb2xm3z 9 днів тому +2

      아직 식을 일이 없는게 미국도 전혀 식을 일이 없기떄문입니다.

    • @erty6127
      @erty6127 9 днів тому +2

      공무원이랑 의사랑 같냐..

  • @likeindy1
    @likeindy1 9 днів тому +3

    천재를 의대 따위에 낭비하는건 인류의 큰 손실임. 진짜 국가권력급 천재는 공학이나 과학을 해야함.
    그래야 인류가 진일보 할 수 있음

  • @user-zp1co7ue5e
    @user-zp1co7ue5e 11 днів тому +4

    그 사람들 대우가 의사보다 안 좋아서 의대가 높아진 겁니다.

  • @user-lb7rk6tl9u
    @user-lb7rk6tl9u 12 годин тому

    고딩때 물리쌤이 연대였나 고대 물리학과 졸업에 LG 다니다가 교편을 잡으신 분이 있으셨음... 너무 지루하고 잠왔지만 그 열정에 감동해서 최선을 다해서 수업을 듣고자했지...만 매번 잠들었다... 선생님 죄송합니다

  • @user-vp5bx3ug5h
    @user-vp5bx3ug5h День тому

    진짜 저도 물리까지도 좋아하고 잘했는데 딱 천문심화 파트는 이해가 힘들었던 기억이 있네요~ 서울대 천문학과가 진짜 초천재인거 인정합니다~!!

  • @nanina3923
    @nanina3923 8 днів тому +4

    서울대 철학과에 문과 수석들이 지원했었다

  • @trinity1203
    @trinity1203 13 днів тому +10

    서울대 의대는 붙어도 서울대 물리학과는 떨어지던 시절

  • @jie397
    @jie397 8 днів тому +1

    진짜 똑똑한 사람들이 물리학함

  • @user-qf2ie8be1g
    @user-qf2ie8be1g 18 днів тому +9

    한때는 내가 남들과는 다르게 머리가 좋은줄 알았었고 우주에 관심이 많아 천문학자를 꿈꿨었는데 어느순간 깨달았고 공부를 놨죠
    어떻게보면 좀 빨리 깨달은거같기도한데
    아쉽게도 제 길은 아니였던거같네요

  • @user-cy3lj4rz8r
    @user-cy3lj4rz8r 11 днів тому +40

    그때 그 초천재들이 자라서 세상 후진 후진국 대한민국을 오늘날 이렇듯 선진국으로 만드는데 대활약을 했는데, 장래가 걱정임. 지금 대한민국 초천재들은 강남에서 쌍커플 수술이나 하고 있으니 대한민국의 미래가 어떨지 너무 암담함. 의사 수를 대폭 늘려 의사도 밥먹고 살기 어려운 나라가 되어야 옛날처럼 초천재는 미래먹거리학과를 지망하게 될거고, 대한민국의 미래도 다시 희망이 있게 될거임.

    • @OoIlIlIl
      @OoIlIlIl 2 дні тому

      물리학 수학 천재가
      대통령 한번 해야되는데

    • @OoIlIlIl
      @OoIlIlIl 2 дні тому

      물리학 수학 천재가
      대통령 한번 해야되는데.

    • @unicorns0001
      @unicorns0001 2 дні тому +1

      의사를 망하게 하면 기초과학이 쎄진다고요? ㄷㄷㄷ

  • @user-fk1iy1cx2b
    @user-fk1iy1cx2b 7 днів тому +2

    의대등 수능은 노력의영역이고...물리학은 천재의영역이지..노력한다고 되는게 아니지 물리학은

  • @piglet_jinnie
    @piglet_jinnie 7 днів тому +2

    90학번인데 공대가 의대보다 높았어요 그전에도 수석은 다 물리학과 갔죠 공대 전자공학과 제어계측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이런데는 다 의대보다 높았어요 근데 어느 날부터 의대가 높아지더라는..

  • @chankyulee4852
    @chankyulee4852 10 днів тому +8

    물리학은 진짜 천재가 해야 되고
    의대는 그냥 족보만 암기하면 되는 수준임

  • @yazoon932
    @yazoon932 7 днів тому +3

    80년대 학력고사, 서울대 이과는 물리학과, 전자공, 의대.. 문과는 경제학과 법학, 경영학과...

  • @haerinloveee
    @haerinloveee 9 днів тому +1

    할아버지가 연대 물리학과 출신이신데 진짜 말도 안되는 거였구나..

  • @jungmiyoon7087
    @jungmiyoon7087 2 дні тому

    맞아요 초천재는 느낌이 다르죠!

  • @sgchoe4806
    @sgchoe4806 17 днів тому +68

    이론물리, 천체물리, 천문학, 수학, 철학. 종교학. 진짜 천재들은 이쪽으로 가야죠. 그래야 과학과 기술이 발전하고, 경제가 발전하고, 마음이 건강해져 사회가 윤택해집니다.

    • @user-bj4ll7nt8n
      @user-bj4ll7nt8n 16 днів тому +2

      진짜배우신분. 학문이란 무엇인가 건강한사회란 어떻게만들어지는가 아시는분.

    • @user-py9nh5ty3y
      @user-py9nh5ty3y 16 днів тому +3

      철학 종교학 빼고 차라리 경영 경재 넣어야죠😅

    • @user-te7dl7yp9b
      @user-te7dl7yp9b 15 днів тому

      너가 하면 되겠네 댓글쓸시간에 하면 충분히 하고도 남겠다

    • @user-yg7du7xf2t
      @user-yg7du7xf2t 15 днів тому

      철학이 얼마나 중요한지 몰라서그럼​@@user-py9nh5ty3y

    • @user-bj4ll7nt8n
      @user-bj4ll7nt8n 15 днів тому +20

      @@user-py9nh5ty3y 철학의 중요성을 모르시네; 모든학문의 시초가 철학인데..

  • @user-tj6kh9rp9r
    @user-tj6kh9rp9r 20 днів тому +15

    걍 여자만나서 놀아야겠다

  • @Great-357
    @Great-357 8 днів тому +3

    서울대 물리학과 못가서 카이스트 감. 의대가는 친구들한테 야 의대는 왜가냐. 반에서 칠팔등하면 의대 갔었음 의대 안간게 지금도 후회.

  • @justinl4870
    @justinl4870 10 днів тому +1

    요즘 유튜브에 종종 나오시는 67년생 서울대 물리학과 출신 김범준 성대 교수님이 떠오르네요..

  • @user-kn3lh4gu7h
    @user-kn3lh4gu7h 10 днів тому +5

    이공계는 천재가 가고, 의대는 영재가 가는게 맞습니다. 뭔 자꾸 천재들이 전부 의대로 빠진다고들 말 하는데 그냥 영재랑 천재를 구분 못하는거 같네요 의대 다니는 사람중 열에 아홉은 이공계에 자신이 없다고 말하는 사람이 많아요. 그리고 의사가 원래 꿈이어서 온 사람도 많은데 제 3자가 어디 가라고 명령질하는게 웃기긴 하네요

    • @user-ik6ge9yt9b
      @user-ik6ge9yt9b 9 днів тому

      뭔소린지? 예전 서울대 이공계가 아님. 40%가 수학 지진아잔에 편성되는 서울대 이공계 현실이다. 내 조카 아이큐 170대인데 의대갔다.

  • @user-kl3pm4bp7j
    @user-kl3pm4bp7j 23 дні тому +46

    ???:
    낭만원툴학과

  • @user-ue3rx6xs6o
    @user-ue3rx6xs6o 3 дні тому

    학력고사시절.....수능 이전 세대들 물리,천문...찐초천재 맞음❤

  • @smithdevin9802
    @smithdevin9802 9 днів тому

    플리 잘듣고 있어요

  • @JJ-cu7fm
    @JJ-cu7fm 10 днів тому +4

    동의 불가.. 물리학과 및 수학과가 초 천재집단

  • @JS-fg4ne
    @JS-fg4ne 9 днів тому +4

    1990년 그때는 진짜 대한민국 청소년 인구 피크찍었을 시절이라 서울대 자체가 어떤 과이던지 들어가기가 하늘의 별따기였음. 거기에 물리학과면 말다했지.. 2010년 이후부터는 전국 고등학생 수도 1/4토막나고 시간 지날수록 점점 줄어드는데 대학교 입학 인원은 fixed로 정해져있음. 그래서 고등학생 인구가 적다보니 2010년 이후 서울대는 올 1등급 아니어도 들어갈정도 수준으로 됐고 1990년대에 한양대 성균관대 갈정도가 2010년 이후 서울대랑 비슷함

    • @user-su9xo7pn1l
      @user-su9xo7pn1l 8 днів тому

      오히려 90년대가 더 들어가기 쉬웠지 400점 만점에 350점만 해도 서울대 어떤 과든 골라서 갔음 사람만 많지 개 멍청한 새끼들 천지라서 수능 만점자는 커녕 최고득점자가 360이러던 시절 멍청이들끼리 경쟁하는건데 90년대 한양대면 2010년대 이후는 지잡대 가야지

  • @user-iv9nm7eq1r
    @user-iv9nm7eq1r 8 днів тому

    뮤비 다이어트 1일차인데 섭취량 보고 1차 충격. 그런데도 살이 빠진다는 것에 2차 충격

  • @user-jj3en8ey7m
    @user-jj3en8ey7m 9 днів тому +2

    90년대 수능만점자는 학사는 설대물리가서 그후 외국대학 테크탔었지

  • @sangnamja313
    @sangnamja313 13 днів тому +3

    국방과학연구소.

  • @Hoony_GyeongHye
    @Hoony_GyeongHye 9 днів тому +4

    그 천재들을 박봉으로 대우하니 차세대 천재들이 의대로 빠지는거지...

  • @lIIIlllIlIIIlIlIllll
    @lIIIlllIlIIIlIlIllll 8 днів тому

    서울대 73학번이셨던 학원 원장님이 말 하시길... 본인이 대학 다니던 70년도 당시 서울대 물리학과에는 머리가 너무 좋아서 반쯤 돌아버린 애들이 많았다고....

  • @bohyunkim1865
    @bohyunkim1865 2 дні тому

    3번❤❤

  • @user-yg6of8wm7l
    @user-yg6of8wm7l 23 дні тому +4

    선쌤 너무 귀엽다ㅜㅠ ㅎㅎ

  • @user-se6po3oo5v
    @user-se6po3oo5v 19 днів тому +12

    서울대에 존재하는 의대에 꿀리지 않는 학과 중 하나...컴공 전정 물천 수학.

  • @user-rn1qx8bp3d
    @user-rn1qx8bp3d 8 днів тому +1

    지금도 서울대 물리학과 갈려면 설곽 경곽에서도 탑클 찍어야 함 물론 정시는 논외

  • @hwachanlim
    @hwachanlim 8 днів тому +2

    당시 의대보다 전자 공학이 더 셋다 그래서 삼성같은 기반이 된거다

  • @gjl4180
    @gjl4180 11 днів тому +3

    인문계들이 망쳐놓은 세상에서 유일한 희망이었는데... 이제는 아예 희망이 없어짐...

  • @user-jp5we8mm2n
    @user-jp5we8mm2n 10 днів тому +2

    보다 BODA 우주먼지님과 빵범준님 ㅠㅠ❤

  • @user-kf1pu1cw7o
    @user-kf1pu1cw7o 9 днів тому

    막연한 동경 나도 뛰어난 편인데 저런 빛나는 것들을 보면 아 정말 무언가를 이해하는 것에 전념하는 위대한 의식체들이구나 생각이 든다

  • @user-er5sx8zq6t
    @user-er5sx8zq6t 8 днів тому +2

    저 때가 정상적인 나라였지ㅋㅋㅋ

  • @user-nt3hr5qy6u
    @user-nt3hr5qy6u 6 днів тому +1

    울오빠 설대 물리학과 나오고 교수하고 퇴직해서 지금도 집서 책만 봄
    내가 아는 오빠 친구들은 공부못해서 다른대학들 의대가서 다들 강남 건물주 되고 자식들 의대보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