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한 뚝배기 그릇 하나를 만들기 위한 어마어마한 과정┃전세계에서 공수한 16톤 원료로 만드는 튼튼한 뚝배기┃하루 3,000개 대량 생산하는 생활 자기 공장┃극한직업┃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2 тра 2024
  • ※ 이 영상은 2021년 10월 9일에 방송된 <극한직업 - 맛을 돋운다! 뚝배기와 압력솥>의 일부입니다.
    음식은 어디에 어떻게 조리하느냐에 따라 그 맛이 달라진다. 특히 한국인의 식사에서 빠질 수 없는 국과 밥은 종류만큼 조리 방법 또한 다양하기 때문에 조리 시 쓰이는 기물이 매우 중요하다는데.
    9가지 원료로 만든 뚝배기는 -20℃~700℃의 온도 차를 견딜 만큼 우수한 내열성을 자랑한다. 스테인리스, 천연석을 이용한 압력솥 또한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더하고 있다는데. 이처럼 한 끼 식사의 맛을 돋우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땀 흘리는 사람들이 있다. 그 치열하고 고된 작업 현장을 찾아 가본다.
    -
    9가지 원료로 더 특별하게, 1,200℃를 견딘 뚝배기
    뚝배기 등 생활 자기용 소지를 주로 만드는 공장에서는 매일 16t에 달하는 원료를 다루고 있다. 짐바브웨, 남아프리카 공화국, 호주 등 세계 각지에서 들여온 원료 중 뚝배기용 소지에 쓰이는 종류만 무려 9가지라는데. -20℃~700℃ 온도 차를 견디는 뚝배기의 핵심은 바로 이 공장에서 개발한 특수 소지와 유약. 우수한 내열성과 강도를 자랑하는 이 뚝배기의 하루 생산량은 무려 3,000개에 달한다.
    덕분에 뚝배기 공장의 하루는 밤낮없이 바쁘다. 가장 먼저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기계에 소지를 집어넣고 뚝배기 모양을 찍어내는데, 이렇게 모양을 갖춘 기물은 유약이 잘 묻을 수 있도록 건조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나하나 정성스럽게 유약을 묻힌 기물은 마지막으로 1,200℃ 가마에서 무려 24시간을 견뎌야만 마침내 단단한 뚝배기로 태어난다.
    오로지 흙으로 만들어져 예민한 기물이기 때문에, 작업자들은 완성 직전까지 늘 주의를 기울이며 작업해야 한다고.
    ✔ 프로그램명 : 극한직업 - 맛을 돋운다! 뚝배기와 압력솥
    ✔ 방송 일자 : 2021.10.09

КОМЕНТАРІ • 15

  • @EBSDocumentary
    @EBSDocumentary  25 днів тому +4

    ※ 이 영상은 2021년 10월 9일에 방송된 <극한직업 - 맛을 돋운다! 뚝배기와 압력솥>의 일부입니다.

  • @user-yi4ch3sw4e
    @user-yi4ch3sw4e 24 дні тому +3

    와 저 뚝배기 하나 만드는데 저렇게 많은 시간과 노력과 정성이 들어갔네요, 외국에서 재료 수입 해와가

  • @user-zv6gz8vv3x
    @user-zv6gz8vv3x 16 днів тому

    재료 쌓아둔것 보니 무너져 압사당할 위험이 있겠네 - 노동부와 산업안전관리공단에서 이영상을 좋아합니다.

  • @qst595
    @qst595 24 дні тому +1

    수분제거기 등 예방정비함 이렇게 중단되는 거 엄청 줄일텐데

    • @user-bo8qz2ed8t
      @user-bo8qz2ed8t 24 дні тому +1

      공장선 그런거 없어요.
      쓰댜 고장나묜 구때 그때 횬장서 쳐리
      대기업이묜 갸눙햐도
      거의다 현장서 멈추면 그때 처리 구러니 금형깨졌다고 손놓지.
      금형틀도 여유로 2개~3개씩 두는게 아니라 1개씩 구러니 답답하지 현장근뮤자눈 그럼 뱜12세 새벽2시까지 작업햐야하고 지금은 아니지만

  • @user-bo8qz2ed8t
    @user-bo8qz2ed8t 24 дні тому +3

    뚝배기는 쑤면 깨져서 안 사
    씻을떼도 주방세제 쓰면 안되고

  • @user-ky9ef4hc5f
    @user-ky9ef4hc5f 25 днів тому +2

    저거 강뚝임

  • @user-ss432
    @user-ss432 24 дні тому +2

    삽질하지 말고 자동화해도 될 텐데요.

  • @user-sj4jm5pq7n
    @user-sj4jm5pq7n 25 днів тому +5

    이거. 중국에. 수출되는거 같아요. 중국식당에서 본거같네요 우리나라그릇은 중국꺼하고 다르니까 보면 표가 나요

    • @epyju4605
      @epyju4605 24 дні тому +1

      백종원 방송에서 봤었는데 만드는것도 보네요

  • @hansy7865
    @hansy7865 24 дні тому +2

    저거 원재료에 납 카드뮴 같은 중금속 검사도 안하고 만드는 것 같네...광물은 중금속 겁나 많은데..

  • @user-xs3tv3yg5r
    @user-xs3tv3yg5r 24 дні тому

    , ㅁ

  • @user-bo8qz2ed8t
    @user-bo8qz2ed8t 24 дні тому +2

    뚝배기 원료도 전기배터리원료 일본 명품 뚝배기도 못 만둚
    페타라이트 였나?
    한국도 이젠 못 만글걸로 여겨짐.

  • @user-xm9rp1sv1r
    @user-xm9rp1sv1r 24 дні тому +1

    '...한답니다', '...랍니다', 정말 듣기 부담스럽네.

  • @user-em3ow9us1x
    @user-em3ow9us1x 18 днів тому +1

    사람이 하나하나 수작업으로?
    답이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