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카로운 지적입니다. 어디서 참고하신 내용인가요? 그런데 한 가지. 중세국어의 어형은 어떻게 연구하느냐가 중요합니다. 예전 학교문법에서는 그냥 이어적기 처리해서 했고요. 또한 지금 달아주신 의견처럼 이시다에 -어도를 결합한 것으로 보기도 합니다. 댓글로 달아주신 의견으로 보는 것도 타당할 듯 보입니다.
@@최창희국어 무례하게 굴 생각은 없었습니다 :( 외국인이고 한국어를 잘 못해서 제 말이 그렇게 보일 수도 있었다니... 죄송하고 미안합니다, 선생님. 사실 비디오를 잘 봤고 질문이 생겼는데 함부로 물어봤습니다 한글 설명과 해석을 잘 알아듣게 하셔서 감사합니다 참고한 내용: 이기문, R. Ramsey "A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p.200
강의가 정말 대단하시네요. 감명 받았습니다. 저도 언어에 관심이 많고 중국어 일본어에 대한 어느 정도 감이
있습니다. 최근 러시아어 공부하는 중인데 러시아어는 17세기 한국어 개념이구나라는 생각이 드네요. 대입을 떠나 강의 잘 들었고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아들 국어 공부 가르칠려고 공부중인 엄마입니다.....설명이 예술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
진짜 학교에서 이거 배우는데 전혀 이해를 못 해서 헤매고 있었는데 쌤은 진짜 제 구세주에요 ㅠㅠ 감사합니다 이해가 너무 잘 되었어요! 중간고사 국어 뿌셔버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파이팅하세요~~!!
27:02 세종어제훈민정음
감사합니다 ^^
쌤 화이팅 하십셔!
최기정 기정아 익현쌤, 주식쌤한테 안부 전해 줘^^
옙!
복습 출첵! 영어 문법은 국어 문법에 비하면 껌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강의 쏙쏙 입력 중..
장석호 항상 감사합니다 ^^
출첵!
"이셔도"는 이어적기 아니죠?
'이시다'란 있다의 옛 형태가 있었고 거기에다 '-어도' 어미를 붙여 이셔도가 된 거 아니에요?
날카로운 지적입니다. 어디서 참고하신 내용인가요? 그런데 한 가지. 중세국어의 어형은 어떻게 연구하느냐가 중요합니다. 예전 학교문법에서는 그냥 이어적기 처리해서 했고요. 또한 지금 달아주신 의견처럼 이시다에 -어도를 결합한 것으로 보기도 합니다. 댓글로 달아주신 의견으로 보는 것도 타당할 듯 보입니다.
@@최창희국어 무례하게 굴 생각은 없었습니다 :( 외국인이고 한국어를 잘 못해서 제 말이 그렇게 보일 수도 있었다니... 죄송하고 미안합니다, 선생님. 사실 비디오를 잘 봤고 질문이 생겼는데 함부로 물어봤습니다
한글 설명과 해석을 잘 알아듣게 하셔서 감사합니다
참고한 내용: 이기문, R. Ramsey "A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p.200
@@mcmage5250 아닙니다 절대 무례하다고 느끼지 않았습니다. 그 당시에는 쓰인 말이 이렇게 문제로 나오다보니 여러 해석이 생긴 것이겠지요. 이시다도 좋은 내용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컼.....ㅋㅋ
열심히 들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