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설비] 소방펌프의 선정 방법!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1 січ 2025

КОМЕНТАРІ • 23

  • @앙엉-d1z
    @앙엉-d1z 2 місяці тому +1

    종종 질문드리는데 성심성의껏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되고있어요 😊

    • @HQPEA
      @HQPEA  2 місяці тому

      감사합니다~!

  • @남최종구-g8i
    @남최종구-g8i Рік тому +1

    감사합니다.현실적인강의입니다.충압펌프선턱기준부탁드립니다

  • @gongjuna4722
    @gongjuna4722 9 місяців тому +1

    감사합니다.
    모래처럼 흩어진 파편 지식?들이 시스테믹하게 연결되는 느낌입니다.

  • @앙엉-d1z
    @앙엉-d1z 2 місяці тому

    질문하고 싶습니다!
    15:50 소화펌프에서 전양정 구할때는 말씀하신대로 소화방수압을 더하잖아요.
    1. 이 소화방수압은 펌프토출과 흡입의 속도수두차이(델타v^2/2g)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2. 단순히 송수펌프나 이송펌프(ex. 정수장 취수펌프, 건물 옥탑 저수조펌프)는 전양정 구할 때 송수압력 양정(=소화펌프의 방수압력)을 고려하지 않잖아요. 이유가 무엇일까요..?
    단순히 이송용 펌프라도 일단 양정이 만족돼야 원하는 유량이 나오는데 송수압력을 고려해야하지 않나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 소화방수압은 최소규정압력때문에 더하는건 이해가 되는데 다른 펌프에서는 최소규정압력이 없더라도 유량에 따른 양정이 만족돼야 하지않나 싶어서요

    • @HQPEA
      @HQPEA  2 місяці тому +1

      질문 1 답변 : 아닙니다. 질문 2 답변 : 구하는곳도 있습니다. 이걸 명확히 이해하시려면 기초 이해가 조금 더 필요한데요, 일단 방수압력은 정압입니다. 측정은 동압으로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가 더해주는 값은 정압이 됩니다,

    • @HQPEA
      @HQPEA  2 місяці тому +1

      다른 설비에서도 고려하기도 합니다*, 약간 이해를 도와보자면, 실제 방수압력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안전율과 펌프의 운전점 이동으로 유량을 이송하는데는 지장이 없습니다. (소방외의 설비)

    • @HQPEA
      @HQPEA  2 місяці тому +1

      마찰손실을 전부 없다고 가정후에, 펌프 양정이 100m라고 보겠습니다. (방수압 포함x), 배관 입상을 100m 높이까지 세우고 펌프를 돌리면 물이 지속으로 송수가 될것이냐 라고 하면 안될 것 같지만 실질적으로는 운전점 이동에 의해 유량은 줄어들지만 송수가 됩니다. 하지만 99m라면 계속 넘치면서 펌프의 정격 유량만큼 지속적으로 이송이 될것입니다.

    • @앙엉-d1z
      @앙엉-d1z 2 місяці тому

      @@HQPEA 바쁘신데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기술사님! 마지막 답변에 대한 질문 하나만 더 실례하겠습니다 ㅠ
      말씀하신대로 마찰이 없을 때 펌프양정 100m이고 입상관 99m라면 운점점의 양정이 99m로 낮아져서 유량이 약간 증가하지 않나요?? 시스템곡선 그래프가 우측으로 약간 완만해지잖아요.
      그러면 운전점도 HQ그래프에서 약간 우측으로 가니까 운전점 펌프유량이 정격운전점의 유량보다 약간 더 높아지는거 아닌가요??(HQ곡선에서 우측으로 더 가니까요)
      후원이 있으면 드리고 싶은데.. 후원기능은 없나요 ㅠ

    • @HQPEA
      @HQPEA  2 місяці тому +1

      ​@@앙엉-d1z 아 유량은 늘어나는것이 맞습니다* 정격유량 확보가 된다는 말을 정격유량만 나온다고 썼네요, 말씀하신 내용이 맞습니다. ㅎㅎㅎㅎ 후원은 영상 좋아요 버튼 오른쪽에 점점점 누르시면 super 로 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남최종구-g8i
    @남최종구-g8i Рік тому

    좋은강의감사합니다. 충압펌프동력부탁드립니다.

    • @HQPEA
      @HQPEA  Рік тому

      충압펌프는 주펌프의 양정이 산정되면 일반적으로 60LPM x 주펌프 양정 인 성능을 갖는 펌프(일반적으로 웨스코펌프)로 카탈로그에서 산정하여 동력을 선정합니다. 즉 충압펌프는 별도의 계산이 없으며, 유량(보통 60LPM)과 양정(주펌프 양정으로 선정)이 정해진 상태에서 카탈로그를 보시고 선정하시면 됩니다.

    • @남최종구-g8i
      @남최종구-g8i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 @김성열-p1h
    @김성열-p1h Рік тому +1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KFD-9
    @KFD-9 Рік тому

    기술사님 좋은 강의를 만들어 주셔서 감사드리고요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질문 하나 드립니다.
    기계설비에서 부스터 펌프가 나오고 소방에서 배관방식에서 부스터 펌프(중계펌프)가 나오는데
    같은 의미 인가요? 아니면 소방에서 사용하는 부스터 펌프는 기계설비의 부스터 펌프와는 달리 그냥 중계펌프만를 뜻하는 것인가요?
    기계설비, 소방설비의 펌프가 같은 것인가요 다른 것인지요? ^^

    • @HQPEA
      @HQPEA  Рік тому +1

      음 단어의 뜻을 정확히 이해하셔야 되는데요, 이게 부르기 편한대로 불러서 명칭은 분명 A인데 B라고 부르는경우가 보편적인 경우가 있습니다, 부스터펌프는 원래 "승압"용 펌프 입니다. 펌프라는건 사실 거의다 개방계라면 부스터펌프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기계설비에서 말하는 부스터펌프는 급수펌프를 의미하며 병렬로 설치된 입형다단펌프의 세트를 의미합니다.

    • @HQPEA
      @HQPEA  Рік тому +1

      소방에는 부스터펌프라는 말을 잘 쓰지않고, 법적용의를 적용하고 있음으로 틀렸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저말을 쓰는 자체가 좀 애매합니다..

    • @HQPEA
      @HQPEA  Рік тому +1

      부스터는 말그대로 더 승압(부스터)해주는 펌프임으로 같다 틀리다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 저는 소방에선 부스터펌프라는 용어를 쓰지않습니다, 굳이 쓴다면 연결송수관 가압펌프가 2단으로 설치된 경우 (피난안전구역에 추가설치된 초고층 등)에 부르면 맞겠네요.

    • @KFD-9
      @KFD-9 Рік тому +1

      @@HQPEA 아 연결송수관 중계펌프가 이에 해당되는 군요.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꾸뻑^^

  • @mychoi9387
    @mychoi9387 Рік тому

    교수님 강의 감사합니다. 실무에서 의문점 올립니다.
    스프링클설비에서 착공때는 규약배관방식으로 한다고 했다가 중간에 수리계산방식으로 할때
    설계는 반드시 착공때 설계업자에 의해서 소방서의 변경신고를 다시 받아야 할것 같은데
    현실은 변경신고대상이 아니라고 하는데요. 그 절차가 정확히 어떻게 하는지요?

    • @HQPEA
      @HQPEA  Рік тому

      착공신고후에 수리계산 반영하면 반영 설계도서를 감리가 검토 > 시공 > 재검토(일치여부, 변경시 재계산) > 완공 절차로 진행됩니다.

    • @mychoi9387
      @mychoi9387 Рік тому

      ​@@HQPEA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