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만간 나오겠지만 강조의 믿음 대로 양규는 흥화진을 끝까지 사수를 함 그때문에 야율융서는 흥화진 공략은 포기 하고 그대로 남하를 시작하게 됨 그리고 곽주성도 공략 해보다가 안되어서 포위만 해놓고 내려와서 통주에 다다르게 되는데 강조가 초전에 몇번 이기다 보니 여유가 생기더니 부장들이랑 보드게임을 하는 여유 까지 부리게 됨 그 보드 게임이 바둑이라는 기록도 있고 또 탄기놀이 라는 알까기를 했었다는 기록도 있고
초반에 고려군이 승기를 잡은거처럼 기록되어있으나, 유목민족의 만구다이 전술같이 처음에는 저주다가 대회전에서 퇴로막고 섬멸전하는 기병전술(만구다이 초기형 전술)에 고려군이 걸렸구요. 전사자만 3만이고 강조등 여러장수와 병사가 포로가 되고 최질이 군을 수습해 통주성을 수성합니다.
강조군은 전멸되지 않았어요; 날조를 그만하세요. 강조가 30만을 이끌고 갔는데 3만명을 잃었을 뿐입니다. 물론 그 3만이 아까운 정예병이자 본대인 것은 확실하지만 나머지 27만명은 다른 고려 장군들이 수습하여 통주성으로 되돌아가 끝내 거란이 통주성을 함락시킬 수 없도록 수성하는데 성공해요. 만약 30만명이 그자리에서 다 죽었으면 제아무리 현종이 나주로 몽진을 갔을지언정 후방을 어떻게 공격하고, 요군을 어떻게 고립시킵니까?
강조의 전략적 선택지도 참 애매했을 것 같아. 원래 서북면 방위를 책임지는 자리에 있었으니 거란군의 전술이나 발해가 거란에게 어떻게 멸망했는지는 잘 알고 있었을테고 한민족 역사상 이런적이 있었나 싶은 30만이나 소집했는데 그걸 여러 성에 분산해서 수성전 했다가 거란 특기가 수도로 그냥 직격해 버리는 전격전이니 3차 침공때처럼 개경앞까지 적이 도달해버리면 기껏 30만 대군으로 너무 소극적이라고 왕이나 조정관료들에게 비난받기 십상인데, 또 개경이 방어가 용이한 곳도 아니고. 그 지경이면 최고지위관에게 더욱 책임을 물었겠지. 물론 강감찬은 성공했고 강조는 실패했으니 후세인들에게 비교당하는건 어쩔수 없겠지만.
@@kimwj5774 회전(會戰)이라 함은 양측의 군대가 큰 규모의 성벽이나 방어시설을 갖추지 않고 평야 혹은 그와 유사한 지형에서 모여서(會) 싸우는(戰) 것을 말합니다. 좀더 직관적인 용어로 야전(野戰)이라 하여 들에서(野) 싸운다(戰)고도 합니다. 따라서 대회전이라 함은 "큰 규모로(大) 양측 군대가 모여서(會) 싸우는 것(戰)"를 의미합니다. 전면전이라고 하심은 전투양상이 아니라 전쟁양상을 가리키며, 전국적인 단위에서 군대를 모으고 전력을 동원하여 양측이 격돌하는 전쟁을 전면전이라고 하고, 전투가 발생하는 지역에서만 군대를 모아 소규모로 벌이는 국지전(局地戰)의 반대말입니다.
@@kimwj5774 참고로 전 국가의 모든 역량을 전쟁에 총동원하여 전면전 이상의 규모로 확대되는 전쟁을 총력전(總力戰)이라 합니다. 또한 회전의 반대말로 공성전(攻城戰)과 수성전(守城戰)이 있는데 성(城)을 공격하며(攻) 혹은 지키며(守) 싸운다(戰)는 뜻입니다. 이 외에도 패주하는 적을 추격하여 죽이는 섬멸전(殲滅戰) 등의 전투 양상이 존재합니다.
고증이 엄청납니다.
효시로 포인트주고
일점사 하는거,
해자와 함마갱...와우
이원종님 리스펙트 👍
효시로 지정사격하는거 개멋있음
오 그게 어떤 의미인가요? 잘몰라서 설명해주심 감사하겠습니다ㅋ
@@kdhid11111 화살을 발사하면 소리가 나면서 나가는 화살이 효시라는겁니다. 대장이 의심되거나 하는곳에 효시를 발사하면 뒤이어 궁병들이 일제히 효시가 발사된 곳으로 발사하는건대 일점사라고도 부릅니다.
@@guntop2209 오호라 소리듣고 들리는.빙향으로 쏘는 거군요 ㅋㅋ 이해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흉노의 2대선우가 1대선우를 제거할 때 쓴 방법이기도 하죠
@@BlackSkyUploadTube 아들 : 아부지
'효'도 하고 싶은데 효도 가 안보여서 비슷한거 받으세요!
아버지: 아들아 그건 효도 가 아니라 효ㅅ..
왕건 대조영 해신 이드라마는 조연들도 주인공 만큼 연기도 잘하고 케릭터도 멋있음 양규 강조 얼마 못 가서 죽는게 너무 아쉽다
함마갱.. 와 대박
2:20 기원전 흉노와 고조선때부터 사용했던 신호 화살을 사극에서 볼줄이야...
양규장군 끊어진 활시위 다시 매는 영상 좀 올려주세요
함마갱이란 무기...
현대전에선 마치 지뢰랑 같군요...
고려에선 이걸 1000년대에 이미 써먹고 있었다니...
우리 선조들 대단하셨네요
원시적 부비트랩이라 동서고금 써먹은 사례가 많음ㅋㅋ 고려 이전에도 있는
처음에 사냥용 덧인가 했는데 녹슨 호미로 저런 트렙를 만드는게 신기했음
실전에서는 거란 기병의 히트앤드런 +측면돌파로 검차를 제압합니다.
이게 머리에서 시뮬이랑은 다릅니다.
실제론 귀선처럼 모든 방향을 막고 안에서 굴려야죠
조만간 나오겠지만 강조의 믿음 대로 양규는 흥화진을 끝까지 사수를 함
그때문에 야율융서는 흥화진 공략은 포기 하고 그대로 남하를 시작하게 됨
그리고 곽주성도 공략 해보다가 안되어서 포위만 해놓고 내려와서
통주에 다다르게 되는데
강조가 초전에 몇번 이기다 보니 여유가 생기더니 부장들이랑 보드게임을 하는 여유 까지 부리게 됨
그 보드 게임이 바둑이라는 기록도 있고 또 탄기놀이 라는 알까기를 했었다는 기록도 있고
초반에 고려군이 승기를 잡은거처럼 기록되어있으나,
유목민족의 만구다이 전술같이 처음에는 저주다가 대회전에서 퇴로막고 섬멸전하는 기병전술(만구다이 초기형 전술)에 고려군이 걸렸구요.
전사자만 3만이고 강조등 여러장수와 병사가 포로가 되고 최질이 군을 수습해 통주성을 수성합니다.
김훈과 최질이 그 공으로 고위직으로 올랐지만 나중에 반란을 일으키게 되죠
강조가 적을 업신여기고 군내에서 바둑이나 두는둥 헛짓거리 많이해서 기습으로 전멸되고
거란군이 흥화진은 그냥 놔두고 개경까지 전부 밀고 내려가는 국가위기를 만듭니다
@@codi6108그게 고려의 정신승리? 일수도 있으니 요사와 같이 종합해 사료해독경험이 많은 사학자가 말하는게 최대한 리얼에 가깝다고 생각
강조군은 전멸되지 않았어요; 날조를 그만하세요. 강조가 30만을 이끌고 갔는데 3만명을 잃었을 뿐입니다. 물론 그 3만이 아까운 정예병이자 본대인 것은 확실하지만 나머지 27만명은 다른 고려 장군들이 수습하여 통주성으로 되돌아가 끝내 거란이 통주성을 함락시킬 수 없도록 수성하는데 성공해요. 만약 30만명이 그자리에서 다 죽었으면 제아무리 현종이 나주로 몽진을 갔을지언정 후방을 어떻게 공격하고, 요군을 어떻게 고립시킵니까?
@@codi6108 애초에 수비하는 입장에서 거란군 상대로 대회전을 하는게 아니었습니다
수성과 게릴라에 전념하다가 상대방이 퇴각할 때 등을 치는 방식으로 갔어야겠죠 귀주대첩처럼
K-검차, k-무기 국뽕 ㅋ 지도 위에 k-검차 올려 놓은 거 너무 귀욤
강조의 전략적 선택지도 참 애매했을 것 같아. 원래 서북면 방위를 책임지는 자리에 있었으니 거란군의 전술이나 발해가 거란에게 어떻게 멸망했는지는 잘 알고 있었을테고 한민족 역사상 이런적이 있었나 싶은 30만이나 소집했는데 그걸 여러 성에 분산해서 수성전 했다가 거란 특기가 수도로 그냥 직격해 버리는 전격전이니 3차 침공때처럼 개경앞까지 적이 도달해버리면 기껏 30만 대군으로 너무 소극적이라고 왕이나 조정관료들에게 비난받기 십상인데, 또 개경이 방어가 용이한 곳도 아니고. 그 지경이면 최고지위관에게 더욱 책임을 물었겠지. 물론 강감찬은 성공했고 강조는 실패했으니 후세인들에게 비교당하는건 어쩔수 없겠지만.
맞음 유목민족 특성상 수비하기 너무 껄끄러운 상대임
나 고려 현종인데 개추눌렀다
👍 👍
역시 원딜의 민족
흥화진은 GP라고 보면된다
32부작인게 아쉽다
목종 - 현종이면
천추태후 vs 목종 - 왕좌의 게임
여요 전쟁 - 반지의 제왕
씹어 먹는 대작이 나올 텐데.....
넷플 공개도 됐으니까 이번 기회에 한국사 대하드라마 계속 나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털모자 안쓴 거란군은 발해인들일까요?
내가 강조였음 홍화진과 귀주사이에서 진을치고 수성병력들 지원보내면서 돌아가려는 거란족들 매복해서 공격하고 전면전을 피하고했으면 쉽게 물리쳤을텐데...
흥화진에 애초에 병력 2만은 더 배치 했어야 하는거 아닌가.. 통주에 30만이 배치되어있는거 자체가 너무 몰빵한거 같음
흥화진은 전략적으로 중요하나 작은성이라 많은 병력이 주둔하기가 힘듬.
몰빵이 아니고 통주 30만은 강조가 이끌고온 병력이고 흥화진 3천은 기존 주둔 병력이니 그렇습니다. 이미 3천명이 주둔한상태로 포위당한채 후에 강조가 30만을 끌고 북상한거니 포위를 뚫지 않는 이상 병력을 추가로 보내는건 위험하죠
역사 매니아 분들께선 전면전을 대회전이라고 사용하시는구나
? 전면전과 대회전은 직접적인 관계가 없습니다
@@BlackSkyUploadTube 제 말은 대회전이란 단어 자체를 쓰이지가 않던데 사극에선 쓰이길래 흥미로워서요
사전에는 전면전(대규모 전투)라고 나와있던데 다른 뜻인가요??
@@kimwj5774 제가 알기로는 대회전이 어떤 장소에서 꽝하고 크게 맞붙는걸 의미 하는걸거에요
@@kimwj5774 회전(會戰)이라 함은 양측의 군대가 큰 규모의 성벽이나 방어시설을 갖추지 않고 평야 혹은 그와 유사한 지형에서 모여서(會) 싸우는(戰) 것을 말합니다. 좀더 직관적인 용어로 야전(野戰)이라 하여 들에서(野) 싸운다(戰)고도 합니다. 따라서 대회전이라 함은 "큰 규모로(大) 양측 군대가 모여서(會) 싸우는 것(戰)"를 의미합니다. 전면전이라고 하심은 전투양상이 아니라 전쟁양상을 가리키며, 전국적인 단위에서 군대를 모으고 전력을 동원하여 양측이 격돌하는 전쟁을 전면전이라고 하고, 전투가 발생하는 지역에서만 군대를 모아 소규모로 벌이는 국지전(局地戰)의 반대말입니다.
@@kimwj5774 참고로 전 국가의 모든 역량을 전쟁에 총동원하여 전면전 이상의 규모로 확대되는 전쟁을 총력전(總力戰)이라 합니다. 또한 회전의 반대말로 공성전(攻城戰)과 수성전(守城戰)이 있는데 성(城)을 공격하며(攻) 혹은 지키며(守) 싸운다(戰)는 뜻입니다. 이 외에도 패주하는 적을 추격하여 죽이는 섬멸전(殲滅戰) 등의 전투 양상이 존재합니다.
이재명이었으면 강동6주 할양해서 평화 지켰다
정치병자 으휴
헤헷 뭘 더 드립갑쇼?
강동 6주만 주겠냐?
이완용도 "이"씨 이재명도 "이"씨네?
chinese army
압록강이 아니라 고려사엔 압강이라고
압강 북경에 있음
그 북경이 고려시대 서경임을 신진 사학자들이 밝힘
갑옷입어봤자 한방다이인데 뭐하러 입음?
그냥 맨몸으로 칼이나 활에 맞는것보다는 낮습니다. 갑옷이 없으면 조그만 생채기에도 속절없이 쓰러지거나 빈틈이 보여서 죽을수도있어요
나무 갑옷이라도 없는것보다 생존률이 훨씬 올라갑니다. 님 배에 칼빵 맞는데 그냥 맞을래요? 아니면 나무 판대기라도 덧되서 맞을래요?
이원종님 투구 꽉껴보이는건 나만 느끼는건가..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