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경력 호텔리어가 생각하는 3성급&5성급 호텔의 차이 #79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안녕하세요, 제주 호텔리어 야데입니다.
    오늘은 3성과 5성급 호텔의 차이에 대해 다루어보겠습니다.
    기타 문의는 댓글과 메일을 통해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메일: yarsas@naver.com
    블로그: blog.naver.com...
    [BGM]
    Song : 세계인 - 피어오르다
    Follow Artist : bit.ly/2XbhuOF
    Music promoted by DayDreamSound : • Video
    All Icon made from www.flaticon.com

КОМЕНТАРІ • 50

  • @pandemoniumx5999
    @pandemoniumx5999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 떠넘기기 정말 공감입니다. 업무가 중구난방인것도 심히 공감가고요.. 5성급 있다가 4성급 오니 확실히 느껴집니다. 저는 5성에 오퍼 받고 다시 5성으로 가는데... 다시는 5성급 밑으로는 못갈거같습니다 체계가 심각하게 없다는걸 몸으로 한번 느끼니 진절머리가 납니다 ㄹㅇ

    • @kumyoong
      @kumyoong 3 місяці тому

      프론트가 하우스키핑 방 체크하고 돌아다니는대도 있던데 서울서대문역 모 허텔

  • @ony1004
    @ony1004 4 роки тому +3

    초창기 부터 꾸준히 영상 잘 보고있어요!! 더욱 더 유익한 영상 만들어주시길 바랍니다〰️

  • @오아시스-c3p
    @오아시스-c3p 7 місяців тому +1

    3성급에서 일하고 있는데, 그냥 팀장이 직급 낮은 부서이면 이일 저일 떠 맡는 듯. ㅋ pms도 넘 구닥다리고, 뭔가 시스템을 바꿔서 장사를 더 잘 해볼 생각보다 그냥 손님 덜받고 편하게 일하려는 사람이 많은 듯 해요. ㅋㅋ 손님에게 그닥 친절하지도 않고요. 그래도 5성급 갈려니 넘 힘들까봐 못가겠네요. ㅋ

  • @graciousdignity7547
    @graciousdignity7547 3 роки тому +3

    그들이 3성급호텔에 머무르는 이유는 비효율적인 운영시스템을 자각발견하지 못한채 매너리즘에 빠져 하던데로 하고 있어서지요,즉 발전개선하고 싶은 의지가 전무하다는 것이지요

    • @KIMKiMKIM-m4n
      @KIMKiMKIM-m4n Рік тому +1

      예를들어 산하같은 pms없이 가람만 놓고쓰는 그런곳에서 특급호텔처럼 오픈카드 어쩌구 레지카드 어쩌구 AdR 상승을위해서 어쩌구저쩌구 해대면 안피곤할거같음? 기존대로 하면서 회사안망하고 월급만 잘받고 다니면되지. 그리고 중소형호텔은 그 의견냈던친구 결국 지가 지쳤는지 고인물 방식대로 따라옴. 옛날에 다 안해봤던거 아니고 어쩔수없이 관행적으로 가는부분도 많은건데 뭣도모르고 나대는애들 꼴볼견임

  • @으앗-r3q
    @으앗-r3q 4 роки тому +1

    기획을 해서 그 기획이 받아지고 변하기 어렵다는점은 굉장히 아쉽네요
    야간타임 뛰실때도 있으실텐데 기업이 좀더 투자해서 월급을 올려주면 좋겠네요
    바쁜 컨시어지에서 일하시고 푹 쉬셔야할텐데 쉬는시간에 이렇게 영상작업까지 진짜 감사합니다~

    • @jejuhotelier3959
      @jejuhotelier3959  4 роки тому +2

      항상 댓글 달아주시는 정성에 제가 더 감사하죠 ㅜㅠ 조만간 보다 흥미로운 영상들 업로드하겠습니다 :)!

  • @마봉춘-n1y
    @마봉춘-n1y 4 роки тому +1

    야데님 영상 잘보고갑니다 ㅎㅎ 덕분에 마음가짐을 더 독하게 먹어야겠습니다 휴,,

    • @jejuhotelier3959
      @jejuhotelier3959  4 роки тому +1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메일도 잘 보았어요!

  • @허리야아이코
    @허리야아이코 4 роки тому +2

    헉 오랜만의 업뎃이라 보러 왔는데 구독자 천명 돌파하셨네요! 축하드립니다!! 수익창출이 이제 가능하니 대박나셔서 들숨에 행복을 날숨에 재력을 얻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확실히 5성급이 여러모로 다르긴 하네요.. 유익한 영상 항상 감사드립니다!

    • @jejuhotelier3959
      @jejuhotelier3959  4 роки тому

      축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1년 꼬박 했더니 천 명 달성했네요. 비주류 컨텐츠라 과연 이런 일이 가능할까 싶었는데 전부 구독자 여러분 덕입니다 ㅠㅜ 감격...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 @ttottollb
    @ttottollb 4 роки тому +2

    다 맞는말이나 한가지만 추가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어디 호텔인지는 말은 안하겠으나 5성급이라고 모든 호텔이 다 부서별로 체계적으로 모든게 나눠져 있고 체계적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돌아가지는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가 인턴시절, 정말 국내에서 최고의 호텔이라는 명성인 호텔임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체인 4성급보다 못한 체계 시스템에 많은 생각을 하였고, 그 고민에 대하여 모든 10년차 이상인 선배들에게 들었던 말이 호텔에 대해 제대로 알고 싶고 체계를 배우고싶다면 글로벌 체인을 들어가는게 미래를 위한 더 좋은 투자일테니 잘 생각해보라는 말을 많이 들었었습니다.
    개인적인 경험상 일을 제대로 배우고싶으면 성급보단 글로벌 체인 4성급 이상을 경험해보는것을 가장 추천드립니다.

    • @jejuhotelier3959
      @jejuhotelier3959  4 роки тому

      제가 가진 경험이 전부가 아니기에 이런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역시나 모든 게 일반론일 수는 없지요... 다만 나중에 이직 생각을 한다면 역시 5성급에서 시작하는 게 추후에 도움이 되리라는 게 제 생각입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 @ttottollb
      @ttottollb 4 роки тому +1

      @@jejuhotelier3959
      맞는말입니다! 이직을 생각한다면 5성급에서 시작하는게 아무래도 제일 좋긴하죠!
      전 그래서 제 과 후배들에게는 멀리본다는 가정하에 가능만 하다면 5성급 글로벌 체인에서 일을 시작하는것을 항상 추천하고 취업 전 대학생때나 졸업 후 계약직 혹은 인턴 때라도 5성급보다 비교적 들어가기 쉬운 4성급 글로벌 체인에서의 경력은 많이 추천하고있습니다!!

  • @꽃졍
    @꽃졍 4 роки тому +1

    공감가네용 ㅎㅎ 다음 영상도 기대하겠습니당

  • @잠곰-k7v
    @잠곰-k7v 4 роки тому +1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체계부분에서 많이 들어본말이기도해서 크게 공감이.. ㅎㅎ

    • @jejuhotelier3959
      @jejuhotelier3959  4 роки тому +1

      이건 유경험자라면 공감 안 할 수가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 @시골지기
    @시골지기 4 роки тому +1

    흥미로운 내용이군요! 좋은영상 잘 봤습니다!

  • @원희장-d3z
    @원희장-d3z 4 роки тому +2

    안녕하세요!영상 초반부터 잘 보고 있는 구독자입니다! 야데님께 여쭤보고 싶은것이 있어서요.저는 올해 20살로 대학교 또래 친구들처럼 옷을 잘입거나 꾸미는 사람이 아니에요.근데 주변에서 이런 제가 틀린것처럼 말을 하네요. 화장하고 다녀라 옷이 중학생 같다는 등..제가 어느정도까지 타인한테 맞춰야 할까요..? 현재 유학중인데 코로나때문에 귀국 할 수가 없어 우울해요..야데님께서 슬럼프에 빠졌을때, 타지에서 외로움을 극복 할 수 있는점에 대해 궁금해요!

    • @jejuhotelier3959
      @jejuhotelier3959  4 роки тому +1

      안녕하세요, 챵쨩 님. 우선 본인 인생의 가치관은 본인이 정하는 게 가장 맞지 않나 싶네요. 패션이나 화장에 관해서는 누가 맞다 틀리다의 관점이 아니니까요. 다만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기 때문에 환경이나 주변 사람들의 시선에서 완전히 자유롭기도 어려운 게 현실이에요. 뭐든지 중간 또는 적당한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남들 시선에 개의치 않고 마이웨이 살아도 좋은 성격이라면 신경쓰지 않아도 좋구요. 어느 정도 주변 사람 평가가 신경 쓰이면 그 말에 귀 기울이는 것도 나쁜 건 아니에요. 회사에 들어가도 상사나 동료들의 평가는 지속적으로 듣게 되어 있고 그런 말을 잘 적용하여 개선점을 찾아나가는 친구가 있는가 하면 그런 점을 전혀 수용 못하고 혼자 분개하다가 자초하는 친구들도 있으니까요. 어느 정도의 포용력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이건 맞고 틀리다의 개념이 아니라 사회 구성원으로서 본인이 어느 정도 포지션에 있으면 만족하는가가 핵심이에요. 본인이 어느 정도 선에서 만족할 수 있는지 잘 판단하고 결정하기를 바래요.
      타지 생활의 외로움을 극복하는 것도 사람마다 방식이 다른데 저는 사람과의 만남을 통해 상대적으로 많은 힐링을 느끼는 편에 속해요. 하지만 누군가와 만나는 건 경제적인 측면을 간과할 수 없죠. 대표적인 게 지인들과 술 먹고 노는 게 있는데, 이 역시 정도껏해야지, 외로움과 심심함에 져서 매일 그런 모임을 가진다면 경제적으로 파탄이 나겠죠? 저는 유학 생활 당시 혼자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 개인적으로 몰두할 수 있고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일을 많이 찾았어요. 그때의 경험이 있었기에 지금도 이렇게 유튜뷰 영상을 편집하고 업로드할 수 있는 거지요. 개인적으로 영상 1분 정도 만드는데 1시간 정도가 소요되는데 제 평균 영상 길이 보시면 꽤 집중해야지만 그 결과물을 만들어낸다는 걸 알 수 있겠죠?
      저는 이 역시도 중간을 잘 설정하려고 노력하는 편이에요. 집에만 있기 너무 답답하면 지인들과 약속을 잡고 놀고 먹고 하다가도 아, 너무 남는 게 없이 살았나 싶으면 다시 집에 틀어박혀 영상 제작하며 몰두하는 형식이죠. 본인이 뭘 좋아하고 어떤 것에 흥미를 느끼는지 되돌아본 후 몰두할 수 있는 걸 찾는 게 가장 좋을 것 같네요. 양쪽 다 좋아한다면 저처럼 중간 지점을 잘 파악하도록 노력해야겠죠.
      유학 생활 외로움에 이것저것 나쁜 길로 빠지는 친구들도 많이 본 입장이라서 적당한 선을 잘 찾으시길 바래요. 궁금하거나 외롭고 힘든 일이 있으면 언제든 문의해주세요. 큰 도움은 못 드리겠지만 열심히 답변해드리겠습니다 :)!

    • @원희장-d3z
      @원희장-d3z 4 роки тому

      @@jejuhotelier3959 바쁘실텐데 정성껏 답변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어떻게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려야 할 지 잘 모르겠습니다..제가 개선 해야 될 점들을 찾은것 같습니다. 말씀 참고해서 유학 생활 마무리 하겠습니다^^ 귀중한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 @graciousdignity7547
    @graciousdignity7547 4 роки тому +3

    그냥 무인로봇호텔을 지어서 운영하는 것이 인건비 확실히 절감할 수 있겠어요,즉 호텔직무를 수행가능한 로봇도입한다는 말이지요

    • @jejuhotelier3959
      @jejuhotelier3959  4 роки тому +3

      컨시어지 역할을 대신하는 인공지능도 개발된 마당에 완전히 불가능한 얘기는 아니지요. 근데 그렇게 따지면 로봇이 앞으로 인간을 대체할 수 있는 영역은 너무나도 많은 걸요.

  • @kumyoong
    @kumyoong 3 місяці тому

    4:24 컨지어지=얼굴반반한 남자잡부

  • @dmmm6907
    @dmmm6907 4 роки тому +1

    완전 공감합니다..

    • @jejuhotelier3959
      @jejuhotelier3959  4 роки тому

      지인분들도 하나같이 다 공통된 의견을 내서 어쩔 수가 없는 거 같더라고요..

  • @chilchiltv
    @chilchiltv 4 роки тому

    말 너무 재밌게 잘 하십니다 ㅎㅎㅎ

  • @파니파니-q7l
    @파니파니-q7l 4 роки тому +5

    각자의 가치관에 따라 몸담게 될 호텔은 달라질 수 있겠지만, 낮은 성급으로 가더라도 5성급을 최소 1-2년이라도 거쳤다가 가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 @jejuhotelier3959
      @jejuhotelier3959  4 роки тому +1

      그에 관련된 영상도 조만간 업로드할 겁니다 :)!

  • @dailys4406
    @dailys4406 3 роки тому +1

    안녕하세요 야데님 즐겨보는 구독자입니다.
    호텔 선배이셔서 몇가지 물어보고 싶은게 있습니다.
    제가 5성 식음경력이 3년있다가 이번에 신라스테이(3성) 프론트로 신입막내로 입사를 하게 됩니다. 신라스테이가 PMS가 오페라 시스템을 사용하지만 1~2년 정도의 경력을 쌓고 5성 글로벌 체인호텔 프론트에 이직시 같은 오페라를 사용해본 경력이 있더라도 호텔등급을 업그레이드해서 이직을 하는거라 제 전 경력기간이 다 깍여서 평가받을까요? 야데님이 시작은 특급5성에서 시작하는것이 좋다고 하셔서 너무 고민되는 부분입니다. 제가 나이가 28이라 이제 이직이 조심스러울때라 걱정이네요 ㅠ 시간 괜찮으실때 답변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jejuhotelier3959
      @jejuhotelier3959  3 роки тому +1

      호텔 내부에서 애매해지는 포지션이 현 님 같은 경우입니다. 식음에서 3년 있었다면 연회장이나 룸서비스 같은 다른 식음 부서를 노려서 주임 직급 정도 달고 그 직급을 유지한 채로 객실로 옮기는 게 저는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프론트 신입 막내로 입사하셨다는 건 기존 계셨던 3년을 크게 인정받지도 못한 게 되고 이후에 5성급을 노리면 큰 울타리가 아닌 개별 울타리로 짜집기한 경력 2년, 3년 이런 식으로 쌓이게 됩니다. 아마 거기서 주임 직급을 다셨다고 해도 5성급 가시면 그냥 경력직 사원으로 뽑힐 가능성이 큽니다.
      제 주관적인 관점일 수도 있지만 저는 한 부서에서 최소한 주임 직급은 달아야 어느 부서를 가든 경력자 가산점이 붙는다고 생각해요. 멀리 갈 것 없이 현 님이 직접적인 예시가 될 수 있겠네요. 식음에서 3년 경력이 프론트로 가는 순간 신입 막내가 됐잖아요? 지금 그걸 그대로 5성급에 적용하시면 이해가 빠르실 거라 생각되네요.

    • @dailys4406
      @dailys4406 3 роки тому

      @@jejuhotelier3959 전 식음 직장에서는 주임을 달려면 그 당시 아직 진급못한 사원 선배들이 4명이 있어서 진급이 최소 2~3년은 더 있어야 한다 하더라구요 ㅠㅠ
      오늘 3성 입사해보니 왜 5성을 가라고 하는지 글로벌체인을 들어가라는지 몸소 깨달았네요... 일하는 환경자체가... 비교가 안되네요
      첫날부터 입사가 후회되는경우가 있네요 어떻게 해야좋을지 막막합니다 의욕도 사라지고...ㅠㅠ

    • @jejuhotelier3959
      @jejuhotelier3959  3 роки тому +1

      @@dailys4406 무슨 말씀하시는지 알아 더 마음이 아프네요...바로 그 2~3년을 기다리는 게 인내심의 결실이었겠죠. 모근 선택에는 책임이 따릅니다. 이번 선택의 결실을 맺을 때까지 기다리시던가 아쌀히.다른 식음 업장을 노리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dailys4406
      @dailys4406 3 роки тому

      @@jejuhotelier3959 야데님의 충고와 격려가 진심으로 와닿으면서 감사합니다. 시간을 돌리면 다시는 이런 선택 안하겠지만 제가 택한 길이었고 그어따른 책임도 분명 저에게 있겠죠... 생각이 많아지는 밤이네요 다시 한번 좋은 기회가 왔으면 하는 마음도 있고 아직 28살이지만 적지않은 나이기 때문에 제 선택에 더욱더 불안하네요 기회란 다시오지않는 법이라고는 없다고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야데님!

  • @kumyoong
    @kumyoong 3 місяці тому

    6:38 저건 4성도그러던데 예약실콜센터가 왜 프론트로 짬처리 미친것들 갑자기 생각나네ㅋㅋ

  • @SSSSJJJJ123
    @SSSSJJJJ123 4 роки тому +4

    야데님 영상이 너무 공감되어서 댓글남깁니다. 저도 일본호텔에서 5년정도 일하고 있는데 5성급호텔 4년하고 지금은 4성급 혹은 5성급 호텔에 오프닝 멤버로 일하고 있습니다. 전에 있던곳이 정말로 부서별 체계가 잘 나뉘어져 있었는데 지금의 호텔은 아직 제대로 나뉘어져 있지않아서 문제가 발생 했을때 관계없는 부서의 제가 사죄를 하러가는경우가 많습니다....

    • @jejuhotelier3959
      @jejuhotelier3959  4 роки тому

      이번 영상에 공감되신다는 분들이 많네요... 다들 심적으로 힘들었을 텐데 모쪼록 힘내서 즐겁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이 되셨으면 합니다. 힘내세요 :)!

  • @권혁준-b1v
    @권혁준-b1v 2 роки тому

    그 두 등급 사이의 4성급은 어때요?

  • @joonha2777
    @joonha2777 3 роки тому

    제가 4성급에 합격했습니다.
    시작을 4성급에서 하는것도 괜찮을까요?

    • @jejuhotelier3959
      @jejuhotelier3959  3 роки тому +1

      영상에서 이미 충분히 말씀드린 거 같아요. 저는 나중에 이직을 생각하든, 꾸준히 가든 첫 경력을 쌓는 건 무조건 5성급이 낫다고 생각하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인생이라는 게 정답은 없는 거라서 제가 괜찮다 나쁘다 정의할 건 아니라고 생각해요. 그냥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참고만 해주세요.

    • @joonha2777
      @joonha2777 3 роки тому

      @@jejuhotelier3959 원래 특 1급이였는데 4성급으로 강등되면 경력인정시 4성으로 간주되는건가요?

  • @아우유아우-e7v
    @아우유아우-e7v 6 місяців тому

    아니 누가 3성급이랑 5성급을 비교함 ㅋㅋㅋ 영상 포인트가 잘못 설정됏네 대한민국 어떤누가 3성급이 5성급보다 나은곳이잇다고 생각함???

  • @귀욤이-t8m
    @귀욤이-t8m 3 місяці тому

    걍 오너가 어떠냐에 따라 다른거임 걍

  • @park-bk8pt
    @park-bk8pt Рік тому +1

    호텔 차이를 말해야지
    웬 업무방식..ㅋㅋ

  • @티모티모-k1y
    @티모티모-k1y 4 місяці тому

    ㅅㅇ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