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류와 이류의 차이 (반도체 전설 짐켈러)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4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405

  • @hanlee6228
    @hanlee6228 10 місяців тому +210

    단순한 레시피(메뉴얼)만 보지 말고 그 속에 있는 본질을 보는 역량을 키우는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stillness-f8z
      @stillness-f8z 8 місяців тому +4

      그러려면 시간이 정말 많이 걸림...
      그래서 우선 레시피대로 일처리하고 남는 시간에 본질까지 공부해야 하는데,
      머리회전력이 빠르지 않으면 그걸 못해냄...
      결국 노력이 중요하지만, 최고 수준에 올라가면 다시 머리가 중요해짐...
      왜냐면 최고수준에는 이미 노력은 극한으로 하고 있는 사람들이 경쟁을 하고 있기에...

    • @샤덴프로이데-e1c
      @샤덴프로이데-e1c 5 місяців тому

      이게 진짜 중요한 말이죠...

  • @긍정확언-q6b
    @긍정확언-q6b 10 місяців тому +96

    본질과 기술의 중용 ,그리고 그 둘을 적절히 절충하여 나아가는 방법 까지. 값진 영상 감사합니다

  • @좋아요-w9x
    @좋아요-w9x 10 місяців тому +32

    공감이 많이 가는 대화네요.
    요리라는것도 이분의 말처럼
    레시피만 따라하기엔 분명히 한계가 있더라고요. 결국 시중의 양념들의 성분을 알아야 하고 어떤 맛들의 조합으로 요리가 되어가는지 궁금한 때가 오더라고요. 요즘은 계속 반복해서 하던 요리도 양념을 줄여서 해보곤 합니다. 좀 더 재료본질에 가까운 맛을 내보려고요.
    질문자도 상당히 인상적입니다. 수줍은 성격처럼 보이는데도 궁금한데 대놓고 물어보기 부끄러울것 같은 질문들을 적소에 해주네요. 그래서 대화가 더 유익하게 되어가는것 같습니다.

  • @STARRYFAMILY-z1x
    @STARRYFAMILY-z1x 10 місяців тому +332

    대부분의 오래된 시스템은 뭔가를 더한다고 개선되지 않는게 사실입니다. 갈아엎고 처음부터 만들어야 하고 그게 가장 빠른 길이죠. 미루면 안됩니다. 하지만 현실 세계에서 이런 생각을 관철해 내려면 많은 장애물을 만나게 됩니다.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지 않는 리팩토링의 기간에 비전문가 - 보통은 임원진 - 의 의구심은 점점 커지고.. 지금의 시스템을 만든 당사자가, 갈아 엎어야 하는 일을 자신에 대한 비난으로 오해한다면 일이 복잡해 지기도 하죠. 하지만 해낼 가치가 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 @crimson-heart-l
      @crimson-heart-l 10 місяців тому +35

      ???:너가 해봤어? 너가 책임질꺼야?

    • @hjs9693
      @hjs9693 10 місяців тому +6

      현재 하고 있는 업무가
      그런쪽인데 포기하지 않고 해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TaeJun_Kee
      @TaeJun_Kee 10 місяців тому +22

      @@crimson-heart-lㄹㅇㅋㅋ;;
      관료주의적인 우리 풍조가 특히 더 어렵게함.

    • @kanginlee2065
      @kanginlee2065 10 місяців тому

      @@crimson-heart-l
      정작 이런 말을 하는 사람들은 추진력있게 혁신해야하는 임원진들이 대부분인게 참 슬픈 현실임
      손해와 리스크를 감수해서라도 혁신을 추진하는데에 있어서 앞장서야될 임원진들이 오히려 하급자한테 책임 운운하며 혁신을 저해함
      정작 책임은 본인들이 져야되는거고 그렇기 때문에 높은 연봉 받으며 중역의자에 앉아서 펜 굴리는건데 ㅋㅋㅋ
      이게 바로 대한민국의 현실이고 혁신을 못하는 가장 큰 이유 ㅜㅜ

    • @kimchibbq5242
      @kimchibbq5242 10 місяців тому +7

      현재 의료개혁

  • @ggadsc
    @ggadsc 10 місяців тому +108

    질문과 답변 모두 퀄리티가 넘사벽이네요..

  • @user-hi9ki6ty6s
    @user-hi9ki6ty6s 10 місяців тому +430

    손웅정감독님의 말처럼 기본기를 쌓는게 미시적으로보면 느려보여도
    거시적으로보면 더높이 올라갈수있는 비법이란 뜻이죠.

    • @관악요정
      @관악요정 10 місяців тому +9

      근데 기본기가..

    • @ts7064
      @ts7064 10 місяців тому +17

      손흥민은 근데 기본기가 안좋음 헤딩과 드리블 터치를 못함😢

    • @user-hi9ki6ty6s
      @user-hi9ki6ty6s 10 місяців тому +44

      @@ts7064 프리미어리그에서 득점왕한 선수가 드리블이 안됬다? ㅎㅎㅎ 어이없네

    • @이태영-h9z
      @이태영-h9z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ts7064 헤딩은 경합중 다쳤던 과거가 있어 그렇고 드리블? 딴지 걸게 없어서 드리블가지고 ㅋㅋㅋ

    • @cvxv-xe5wl
      @cvxv-xe5wl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메시 헤딩 = 손흥민 헤딩. 헤딩 못해도 득점왕

  • @user-dkwnvizosdm
    @user-dkwnvizosdm 9 місяців тому +44

    변화와 혁신을 주저하지 말라는 소리네요. 지금 일하는 방식에서 한계가 있고, 비효율적인게 느껴지면, 주저없이 다른 새로운 방식을 고민해보고 도입해보라는 소리네요. 공감입니다.

    • @배달의기수-w7e
      @배달의기수-w7e 9 місяців тому +6

      핵심 : 본질적 사고

    • @Jack-jb3tc
      @Jack-jb3tc 8 місяців тому

      피쳐폰 ----> 업그레이드 ( x )
      피쳐폰 ----> 스마트폰 ( o )

  • @테임임팔라
    @테임임팔라 8 місяців тому +64

    이 좋은 영상에 달린 댓글들 대부분이 내용을 이해 못하고 댓글을 달고 있네요... 저 사람이 혁신, 뒤엎기 애착론자라서가 아니라 본질적인 원리를 이해가고, 본질적으로 접근하다보면 결국은 혁신을 해야만 한다는 겁니다.

    • @ixion7228
      @ixion7228 8 місяців тому +5

      이게 정확한 요약이라고 생각합니다.

    • @tamburinss7501
      @tamburinss7501 6 місяців тому +6

      그러니까요; 자꾸 무슨 영상 요약하라고 누가 숙제내준거도 아닌데 한줄 두줄 요약한다고 달아놓은 댓글 꼬라지가 갈아엎어야된다 이런식인지 모르겠네요 ㅋㅋㅋ 왜 이렇게 됐는지 본질을 알고 전체를 봤을때 문제가 없으면 안갈아엎어도 되는데 ㅋㅋㅋㅋㅋ 다만 반드시 갈아엎을 상황이 올거지만 레시피를 따르는 자들은 “야 이번에 구글 이렇게 구조 갈아엎었대”하고 갈아엎는거고..

  • @finan3120
    @finan3120 10 місяців тому +30

    비즈님 정말 정말 모든 영상 박수 치며 보고 있습니다 헌신과 노력 매번 감사드립니다 사랑하고 하시는 모든 일 잘 되시고 들숨에 건강 날숨에 재력을 얻으셨으면 합니다! ❤❤❤❤❤❤❤

  • @AntiSocialSocialMedia
    @AntiSocialSocialMedia 8 місяців тому +12

    한계에 부딪쳤을때 어떻게 대처하는가에대한 이야기라고 보면 될듯. 3~5년은 생각보다 긴 시간임. 혁신을 생각하기 전에 한계에 부딪칠 정도로 현재 진행하고있는 방법론에 대한 연구와 효율 최적화의 과정을 충분히 거쳤는지 생각해보는것도 중요.

  • @021835
    @021835 10 місяців тому +68

    04:12 이거는 진짜 기업, 창업, 운영 혁신의 기본 바탕인 듯

  • @Iminlove579
    @Iminlove579 10 місяців тому +7

    요즘 구조에 대해서 많이 생각하는데 거기에 맞는 영상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양당제가 가진 정치구조의 한계, 제과회사에 종사하는데 밀가루 산업의 한계와 공장 물리적 구조와 사내 조직 구조의 한계, 보디빌딩을 좋아해서 하루에 2-3시간씩 운동을 하는데 몸의 구조적 한계와 기존 10-12횟수 훈련법의 한계 등을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역시 변화와 본질에 대한 이해가 기반이 되어야한다는 것은... 저도 그렇게 생각해서 그런지 영상이 너무 재밌었습니다. 구조를 잘 엎는 일론머스크 같은 사람이 대단하구나 싶기도하고 ㅎㅎ 영상에 저분은 처음보는 분인데 3에서 5년에 한번씩 설계구조를 바꾼다고 하니 정말 대단하구나 싶네영...

  • @김고니-d8p
    @김고니-d8p 10 місяців тому +22

    만드는 일을 하는 사람으로서 매우 많이 공감됩니다. 항상 편안하다고 느낄때 그 뒤에 불안함을 봐야 합니다. 저는 그렇게 올라왔습니다.

  • @intparity
    @intparity 10 місяців тому +647

    여기 달린 댓글만 봐도 미국의 신기술과 기업문화를 따라갈 수 없는 이유가 나타남.
    미국이라고, 갈아엎는게 쉽다고 얘기하는게 아님. 당연히 사람사는 사회라 그걸 도전으로 받아들이거나, 담당자가 애초에 구조를 다시 짜는 일을 힘겨워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런 선각자들의 도전정신이 현재의 미국 빅테크를 있게하는 것인데, 한국의 구조에는 안맞다, 우린 힘들다 하는 냉소적인 비난이 도전정신 자체를 갉아먹어서 발전이 없음. 화자의 메시지에 주목해봐요

    • @Texaslover1
      @Texaslover1 10 місяців тому +46

      의사결정권자가 엔지니어, 개발자 출신이냐 아니냐도 차이가 큰 듯. 미국 조직에선 기본적으로 어떤 파트의 주요 의사결정권자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인데 한국은 비전공자,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기술적인 가능성을 모를 수 밖에 없음. 그러니 기존에 정해진 구조를 따라 안전빵으로만 가는거고 혁신도 없는거지

    • @vanced4986
      @vanced4986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Texaslover1취준생인데요 의사결정권자가 비전공자인곳을 거르려면 뭘기준으로 가면되나요??

    • @와우굿-j4d
      @와우굿-j4d 10 місяців тому

      일하는 구조를 보면 답이 나올수밖에없는게
      맨땅에서 시작해서 아무것도 모르고 일구어낸것이기때문에
      결국 맨윗대가리랑 그주위를 감싸고 도는 정치적 파벌은 뇌가없다는거임
      하지만 이들은 젊고 훨씬 똑똑한 사람들을 톱니바퀴로 두려고 하고있음
      답이 나왔죠? 그들이 먹고살려면 똑똑한 사람과의 경쟁을 피해야함
      이런 삶의 기반을 만든건 우린데 그기반을 타고 올라온 애들이 자신들의 목을 자른다?
      그렇기 때문에 세월에대한 문제는 세월로 해결해야하며 그전까지는 쉽게 해결될수가없음
      단 문제점은 훨씬 젊고 똑똑한 사람들이 버린시간만큼 그뒷세대도 그걸 똑같으 경험해야한다는
      강력한 반발심에 특이점이 오지않는 이상 이구조가 절대 사라지지 않는다는것임
      그렇게 자기일도 다하지않고 남에게 미루는 유전자가 지속적으로 퍼지게 되는것임
      한국인의 유전자는 좋음 억압받는상태에서 길이 하나만 있고 위급했을경우엔
      하나로 뭉치는 힘이 강력하지만 그상태가 아니면 스스로 무너지는 특이한 습성을 지니며
      이것을 어떤사람은 노예유전자라고 하기도함

    • @jaegul12
      @jaegul12 10 місяців тому

      @@vanced4986 일단 해당 그라운드에 들어가서 커리어를 쌓고 커넥션을 만들면 업계 정보는 자동적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 @Texaslover1
      @Texaslover1 10 місяців тому

      @@vanced4986 미국 기업을 가시면 됩니다. 이런 기업들은 주로 Project manager, Product manager, Individual contributer track이 명확히 구분되있습니다. 그런데 국내 기업은 대부분 track 구분이 없이 GM(general manager)형태라서 잘 모르겠습니다
      만약 이런 track이 제대로 구분되있지 않은 기업을 가면 1. 해당 분야에 대해 전문성 없는 상사 + 2. 직속 상사가 나의 인사고과평가자인데 커리어패스상 나의 최고경쟁자인 상황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 @haim7512
    @haim7512 10 місяців тому +14

    초반에는 레시피가 필요하지만 전문가가 될수록 레시피와 혁신 둘 다 필요하다는 이야기네요.

  • @woowon00
    @woowon00 10 місяців тому +19

    최근 방법만 너무 다 알아보고 효율적인거만 선택하려는 그런 행동들을 되돌아보던 중 마침 이 영상을 만났습니다.
    강력한 임팩트..
    좋은 감사합니다!😭

  • @joonsi0
    @joonsi0 10 місяців тому +8

    좋은 인터뷰 영상 감사합니다.
    조직이라는 구조속에서 저러한 역량과 시스템을 이끌어 내어야하는것도 리더의 자질이겠지만, 직원으로써 저러한 생각을 가지게된다면 현실고증에 막혀 또다른 고민을 가지게될 수 있는 부분도 생길거라고 생각합니다 ^^

  • @박병권-z3s
    @박병권-z3s 6 місяців тому +7

    수학공식을 외워서 문제 잘 푸는 것과 수학공식을 몰라도 문제를 풀어내는 것의 차이죠. 확실히 우리나라는 수학공식 외우는 것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고 그걸 잘한다고 수학 잘한다고 이야기하죠. 그래서 대입수학은 암기라는 말까지 있기도 하고요. 수학뿐만이 아니라 전반적인 해결방식이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요.

  • @chychychyp
    @chychychyp 10 місяців тому +24

    올려주신 내용이 너무 좋아서 원본 영상을 보는데, 비즈카페 님이 그동안 내용을 요리해서(?) 올려주셨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그래서 이해가 쉬웠다는 결론입니다...😂
    항상 감사히 보고 있습니다~~~!

  • @johnnykim233
    @johnnykim233 5 місяців тому +3

    정말 명강의입니다 감사합니다

  • @kennygo5053
    @kennygo5053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난 이분 관점이 참 좋더라. 사회자도 뭔가 목소리도 너무 안정적이고 영어듣기도 좋아

  • @parkthoven
    @parkthoven 2 місяці тому +1

    57초에 나오는 Deep understanding 이 핵심이내요~~ 그냥 레시피만 주구장창 잘 이해하는 건 good understanding 이라고 한다면 Deep understanding 은 good 보다 좀 더 깊게(deep) 들어가는, 본질적인 이해...가 더 고급이라는 거내요~~^^

  • @plussin2760
    @plussin2760 10 місяців тому +10

    정확한 정의를 알고 본질까지 이해해야 응용이 가능하다고 봄
    편리함과 당장 지금만 중요하게 생각하는 현대인들에게 부족한 역량이긴 함

  • @gigprid
    @gigprid 9 місяців тому +15

    질문도 매우 적절한 영상입니다.

  • @ahs3276
    @ahs3276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어떤것에 레시피만 따르기보다는 전체구조를 꿰고 있어야 한다 + 성능,성과를 추가로 해야 할 때 보통3년~5년주기로 아예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컴퓨터로 예를 들면 메모리나 cpu등 덕지덕지 붙이다간 한계가 온다, 더 나아지지 않는 시점이 온다는걸 알게 된다 그때 아예 새로운시스템을 짜는게 빠르다는 걸 인지하고 미리 계획하고 때가 오면 바로 진행)

  • @감사합니다-b3q
    @감사합니다-b3q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역시 최고는 뭔가 다르네요. 현실만 급급한 국내 경영자들과 차이가 납니다.

  • @mg24420-q
    @mg24420-q 10 місяців тому +18

    와 이건 정말 엄청난 영상인데요?

  • @BigPart1
    @BigPart1 10 місяців тому +14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었습니다.

  • @마이바이-h6u
    @마이바이-h6u Місяць тому +3

    살아가다보면 내가 일류가 아님을 인정하고, 재능의 부족을 받아들이고 이류로 살아가는것도 나쁘지않은 방법입니다.

  • @Kjg776
    @Kjg776 10 місяців тому +12

    와.. 너무 좋은내용
    내가 평소 생각하고 노력하던 내용들을 영상으로 다시한번 보게되니 새롭네요

  • @김건우-c6y6h
    @김건우-c6y6h 10 місяців тому +24

    와 이 짧은영상 하나보고 엄청나게 중요한것들을 많이 배우네요..

  • @sjy2110
    @sjy2110 8 місяців тому +4

    과제로 로직 디자인하면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꼬일 때가 있는데 정말 처음부터 갈아엎고 다시 하면 기존의 생각에서 벗어나 뻥 뚫리는 구간이 있음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기 귀찮거나 시간적으로 압박을 느낄 때 그걸 부수고 다시 시작하게 되는게 영상이랑 오버랩되는데 정말 본질을 파악하는 건 사업도 그렇지만 공부에서도 옳은 말인 듯

  • @KL-ie3mk
    @KL-ie3mk 10 місяців тому +11

    바꿔보려고시도하면, 그 정지관성을 깨기위해 최소 3-4단계, 많게는 10단계가 넘는 벽을 허물어야하는데 그게 귀찮고힘드니 다들 레시피쓰려하죠. 기존시스템에 가담한 수많은 사람들과 파트장 팀장 실장을 설득해야하니까요.

    • @lingolinga2017
      @lingolinga2017 10 місяців тому +8

      ㄹㅇㅋㅋㅋ 진짜 본질을 알고 + 현실에 접목할 줄도 알면서 + 시도까지 해 본 사람의 댓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뭘 바꾸려고 할 때, 레시피 인간들이 못 알아 처먹는 건 둘째치고, 나를 공격하지나 않으면 다행임 ㅋㅋ 암만 본질, 원리를 설명해 줘도 못 알아들으니 설득이 안 됨 ㅋ 그래서 체제 내부에서 바꾸는 것보다, 머스크처럼 (변기쑈를 하든 어쩌든) 스스로 막대한 자본 조달해서 -> 내 체제를 새로 만들어 적용하는 게 차라리 빠름. '반발력'이라는 마이너스가 없으니까.

    • @kaps92a95
      @kaps92a95 2 місяці тому

      ​@@lingolinga2017그걸 감수하고 덮어주고 추진 해야하는게 대기업 오너 CEO가 해야할일이지 과거 삼성 이건희가 마누라 빼고 다 바꾸라했듯이 😊

  • @회사가기싫어-y1l
    @회사가기싫어-y1l 10 місяців тому +8

    질문을 뭐 저렇게 적절하고 차분하게 잘하냐;;

  • @유튜브중독-e6d
    @유튜브중독-e6d 5 місяців тому

    감동적입니다. 상업예술 쪽에서 일하는데 큰 울림을 주네요.

  • @footballsculptor9223
    @footballsculptor9223 10 місяців тому +34

    본질과 맥락을 우선 이해하고 갈구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js.y.4949
      @js.y.4949 9 місяців тому

      "본질과 맥락을 우선 이해하고 갈구도록 하겠습니다"라고 잘못 읽었네요 ㅋㅋㅋ 만약 그랬으면 정말 무서운 상사일듯합니다😅

    • @footballsculptor9223
      @footballsculptor9223 9 місяців тому

      @@js.y.4949 ㅎㅎㅎㅎㅎ오늘도화이팅입니다!

  • @Kiss__
    @Kiss__ 10 місяців тому +6

    대박… 소름돋는 얘기였습니다

  • @jasonhwang2871
    @jasonhwang2871 10 місяців тому +466

    외국은 어떨지 모르지만 한국 조직은 정말 레시피로 빠르게 많은 업무를 처리하는 것을 “일 잘한다”라고 높게 평가해주죠 ㅠ

    • @stanleydan9159
      @stanleydan9159 10 місяців тому +80

      그건 당연히 깔고 가는겁니다. 1:25 나오듯이 레시피는 언제나 효율적이거든요. 다만 효율만 가지고 일하는 사람은 '시키는 일을' 잘하는 사람밖에 되진 못합니다. 이류의 최고가 되는거죠.. 다음 레벨은 더 깊이 가는수 밖엔 없습니다. 사실 듣고 이해한다고 해도 비율상 항상 10명중 한두명 정도만 도달하는것 같습니다.

    • @이원굉-u7d
      @이원굉-u7d 10 місяців тому +28

      기본을 안하고 뛰어넘는건 대부분 건방인게 많음 메뉴얼도 이유가 있으니까 뭘 하지말라는건 아닌데 토대는 있어야지

    • @인베스트K
      @인베스트K 10 місяців тому +23

      그래서 깊이가 없죠. 첨엔 비슷해보이나 시간이 지나면 바닥이 보이는 이유죠

    • @choijonghyeon
      @choijonghyeon 10 місяців тому +8

      우리는 그들을 이류라고 부릅니다.

    • @로얄-q5y
      @로얄-q5y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그게 이류라는거군요

  • @김호두-f9i
    @김호두-f9i 10 місяців тому +8

    이름을 적어 주시니
    감사합니다.
    응원합니다.

  • @_40river51
    @_40river51 9 місяців тому +1

    본질을 이해하라는 짐켈러의 조언 잘 들었습니다. 엔지니어인 동시에 철학가 인거같아요. 회사에 속한 많은 사람들이 단기간의 성과에 매몰되어 있는데, 3~5 년만에 새로운 구조를 짜는 것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살아남는 방법이다 라는 말에 많은 생각을 하고 갑니다

  • @naziium
    @naziium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아니 백마디 말보다 한문장이다.. 뼈맞고 정신이 딱 차려집니다.

  • @이지석-n2r
    @이지석-n2r 9 місяців тому +5

    단순하게 레시피를 많이 아는 것을 넘어서, 각각의 레시피를 깊게 이해하는 것이 큰 차이를 불러온다는 내용이 인상적이네요.
    저도 회사에서 연구 개발 업무를 하면서 많이 느꼈습니다.
    나와 있는 논문이나 기술 자료들을 아무리 봐도 그것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항상 한계가 있죠.
    결국 자료들의 내용을 이해하고 스스로 생각해서 새롭게 만들게 되더라고요.

  • @rachelhazelton8544
    @rachelhazelton8544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

    • @경제적자유-u9s
      @경제적자유-u9s 8 місяців тому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4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주식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괴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 없으시길..

  • @배창희-n7n
    @배창희-n7n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레시피만 알면 그요리만 만들수있다~~
    하지만 원리를 알면 기존 레시피를 알수있다
    그리고 변화된 새로운 요리도 만들수있다~~
    그래서 미래는 창의력이 새로운미래를 만들수있다

  • @cholhoekoo8925
    @cholhoekoo8925 7 місяців тому +4

    그렇죠 레시피만 알면 그것밖에 못 만들지만 원리를 알면 다른 것도 만들 수 있죠

  • @gi9192
    @gi9192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정말 유익한 영상이네요.
    구독 눌렀습니다.
    이런 영상 꾸준히 올려주시면 감사히 보겠습니다.

  • @hannalee7868
    @hannalee7868 9 місяців тому +3

    일류가 이류가 뭐가 중요한가? 일류가 있기에 이류가 있고, 이류가 있기에 일류가 있음 ! 다양한 관점과 생각들을 즐기는게 중요하다!

  • @min-hyung-ahn_genius
    @min-hyung-ahn_genius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예술가인 동시에 과학자가 되야한다" 정말 멋진 말이다
    내가 가장 추구하는말

  • @길벗-i8s
    @길벗-i8s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감사합니다 길을 가는데 좋은 등불이 될것같습니다, 아침마다 한번씩

  • @crimson-heart-l
    @crimson-heart-l 10 місяців тому +22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차이인거 같기도 해요...
    우리나라는 레시피만 가르치는 반면
    미국은 문제인식 부터 시작해서 그 문제를 쉽게 푸는 방식을 제시하고 그를 응용하는 방법으로 가르치니 본질을 훨씬 깨닫기 쉬운것 같아요

    • @Yako-e7s
      @Yako-e7s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본질이 뭐에요?

    • @Kmkim-g2n
      @Kmkim-g2n 10 місяців тому +8

      한국에서 학부까지 미국에서 석박했는데요, 무슨 말도안되는... 그냥 공부를 한국인들이 그런식으로 하는거죠 본인 편하려고..

    • @EDward-u1f6i
      @EDward-u1f6i 10 місяців тому

      @@Kmkim-g2n 한국인들이 그렇다기보단 교육과정, 문화 같은 요소들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미국에서 태어난 한국인들은 사고방식이 아예 달라요. 인종의 문제가 아님

    • @링2푸1
      @링2푸1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본인피셜이 언제부터 그렇게 강한 주장이 됐나요?
      제 생각에도 한국은 교육과정자체가 본질과는 거리가 멀게 느껴졌습니다.
      전국권 천재 친구들 정도만 그나마 본질을 알고 공부하는 느낌이들었구요

    • @Yako-e7s
      @Yako-e7s 10 місяців тому

      @@링2푸1 본질이 뭐에요?

  • @operauniverse8905
    @operauniverse8905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prvtprvt5883
    @prvtprvt5883 10 місяців тому +7

    진짜 찐이네요 특출난 탁월함에 대해 심드렁하듯...ㅎㅎ

  • @poiuymsong
    @poiuymsong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정말 좋은 이야기이지만 모두가 스티브잡스나 짐캘러가 될수없다는것을 객관화 하는 것도 중요할 것 같네요. 우사인볼트가 아무리 잘 달리는 법을 가르쳐줘도 비슷하게나마 달릴수 있었던건 아사파 파월 정도 밖에 없었겠죠. 그것도 도핑을한.

    • @lingolinga2017
      @lingolinga2017 10 місяців тому

      이것도 맞는 얘기긴 함. 선천적 고지능자인데 부계 유전이라 만 1살 반부터 연필 잡고 일기 썼음. INTP인데, 영상에 나오는 "빵 만들기 근본부터 웅앵~" 딱 이 사고 방식이 인팁 디폴트임.
      한자를 외울 때도 형성 원리(이스트 발효 원리 웅앵~처럼)를 알면 뇌에 새겨지고, 그냥 무턱대고 깜지(레시피 인간)로 외우라고 하면 싫어서 죽도록 개기는 타입.
      근데 나랑 완전 반대인 남동생은 똑같은 모부, 환경에서 자랐는데, 사고 방식 완전 다르고(일단 다 찍어먹고 부딪히고 깨지고~), 엄마가 동생 과외 좀 하래서 알랴 줘도 못 알아 처먹음 ㅋㅋ
      아득바득 나랑 같은 대학에 학부까지 따라오더니, 결국 학과 선택에서 성적순 탈락으로 나만 전자 전공함. 애가 독해서 군대 칼복학하고 본인 학과도 아닌 내 학과 동아리 들어서 배움.
      졸업하고 걔는 내 전공으로 빠지고, 정작 나는 야근 싫어서 전공 안 살린 게 웃음 포인트 ㅋㅋㅋㅋ (이과 1등 -> 공대 -> 연구직 -> 고시 패스 -> 미국에서 컨설팅하며 한국 오가고 있음)
      사고 방식이 다르면 노오ㅗㅇ오오오오력을 진짜 개같이 해야 함. 동생은 중딩 때부터 의욕 과잉이라 방과 후 특별 활동도 혼자 2개씩 신청해서 하고 그랬음 ㅋㅋㅋㅋ 미친놈

    • @user-sq6vq2mt7u
      @user-sq6vq2mt7u 10 місяців тому

      아니 자꾸 이런얘기가 왜나오는지모르겠음 당연히 이미 그런걸 전제로 깔고 저런 얘기를 하는건데 왜 다시 전제부터 뒤엎는지 모르겠음. 그렇게 변수를 하나하나 다 따질거면, 어디까지 따져야되는건데. 모두가 우사인볼트가 아니어도 적용해보는거지, 모두가 우사인볼트처럼뛸수가없음... 이러면 뭐... 이런 얘기를 하는 근본적인 이유를 없애버리는거임..

    • @lingolinga2017
      @lingolinga2017 9 місяців тому +3

      @@user-sq6vq2mt7u "모두가 우사인볼트가 아니어도 적용해보는거지,"
      -> 이걸 자신에게 스스로 적용하면 문제가 없는데(스스로 ㅈ돼보고 안 되는구나 깨달으면 되니까), 괜히 고용주들이 노동자한테 적용하니까 '자꾸 이런 얘기가 나오는 거'임.

  • @intb653
    @intb653 9 місяців тому +2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는 것이 없으면 사물의 이치에 어두울 수 있고 생각하기만 하고 배우지만 않으면 위태롭다
    이 영상을 보니 문득 생각이 나네요

  • @Im_dal_ha
    @Im_dal_ha 9 місяців тому +2

    그만큼 투자가 이뤄져야하는데 이런것들이 가능한 나라가 딱 정해져있죠.

  • @임마누엘-k7z
    @임마누엘-k7z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기본을 배우되 기본의 시작점을 이해하고 이 위에 살을 덧 붙이거나 덜거나 교체 하면서 즐거움을 느끼는 건 아무에게나 허락되지 않은 영역

    • @lingolinga2017
      @lingolinga2017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난 남들도 다 나같은 줄 알았지 ㅋㅋ 결론만 짧게, 원리는 알고 싶지 않고 답만 떠먹여 달라는 부류가 제일 한심하던데, 세상 살아보니 그런 '레시피 인간'이 70%는 되더라곸ㅋㅋㅋㅋㅋ
      그걸 경험칙으로 깨닫고 나니, 인간은 모두 평등하다고 생각하기에 나랑 동등한 지적 생명체로 대해 주느라 오해받던 무용한 시간이 아까워졌음. 사람 깔아보기 싫은데 그게 현실이면 받아들여야지 ㅋㅋ 그래서 지적 즐거움은 나 혼자, 또는 나랑 비슷한 부류하고만 공유하고, 답 달라고 입만 벌리고 있는 무지렁이들한테는 절대 공짜로 답 안 주고 대가성으로만 알랴줌. 씁쓸~

  • @1s_enough
    @1s_enough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정말 미친듯이 노력해야 하고 운도 따라줘야함. 그래서 실패하고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이 뒷받침되야 하는데 참...힘드네요

  • @hyewoncha9721
    @hyewoncha9721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본질의 원리 👍

  • @sungulee7063
    @sungulee7063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문제는 저런게 가능한 성공할 수 있는 사람은 소수여야 한다는 거죠. 대부분의 사람들은 저런 사람들이 만든 레시피를 따라가야하구요.

  • @어딘가에서-k3n
    @어딘가에서-k3n 10 місяців тому +101

    짐 켈러의 포트폴리오를 생각한다면, 최근 십여년간 컴퓨터 분야의 발전은 이 분이 거의 이끌어간 것 같기도 합니다. 저런 머리는 어떻게 생겼을까요 ? ㅎㅎ 이제라도 삼성전자가 이분과 프로젝트를 한다니 기대해 봅니다.

    • @021835
      @021835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삼성에서 벌써 떠난거 아닌가요?

    • @Slow_Stream
      @Slow_Stream 10 місяців тому +27

      어림도 없지 삼성식 보고서 문화 하루만 겪어보면 바로 빤쓰런할듯

    • @soondkwon1867
      @soondkwon1867 10 місяців тому +8

      퇴물이라니 AMD 가서 살려놓고 다시 인텔 드가서 아키텍처 P코어 설계해주고 빠졋는데?

    • @노이-f9l
      @노이-f9l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미 협업은 여러번 해보셨음

    • @어딘가에서-k3n
      @어딘가에서-k3n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2024년 4월 1일자 영문중앙일보 짐 켈러 인터뷰 기사에서도 삼전, 현대차, lg전자와도 협업을 한다고 나왔네요. 얼마나 긴밀한 협업을 할지는 모르겠으나, 없는 것 보다는 또는 혼자 삽질(?)하는 것 보다는 나을것 같네요. 퇴물이시지만 천재는 천재니까요 ~

  • @MrNmycm
    @MrNmycm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우리가 삶을 사랑하는 이유는
    삶에 익숙해져서가 아니라 사랑에 익숙해졌기 때문이다...
    진짜 그런것 같네요

  • @hjs9693
    @hjs9693 10 місяців тому +7

    컴퓨터 구조를 뜯어고치는 예에서 착안하자면 경험을 많이 하는게 중요하군요.
    그 방법으로 경험을 쌓다가 한계라 생각하는 지점에서 갈아 엎는다.

  • @Zeddy27182
    @Zeddy27182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3:34 "Every 3 to 5 years." 🤯😳👍
    WHY over HOW.

  • @Hyeon_uk
    @Hyeon_uk 10 місяців тому

    방법과 레시피 즉 이미짜여진 틀(시스템)대로 살아가는건 이류인생인거고..
    이미 짜여진 레시피를 여러개를 동원해 최대한 본질적으로 이해를하는게 제일중요한것 같고 그러면서 새로운 방법과 구상을 짜보며 제시해 나가면서 자기 역량을 끌어올리는 생각을 가져야되는듯
    정리하자면 일류인생은 직접 틀을 만드는 장인이 되어야 되는 그런느낌이네요

  • @jshan2119
    @jshan2119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건 반도체 분야에 적용하는 얘기가 아니라 대부분의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얘기네요. 좋은 영상 보고 갑니다.

  • @아기대한민국
    @아기대한민국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국내의반도체기업이 계속 생각나네요....

  • @infested_pigeon
    @infested_pigeon 3 місяці тому

    본질을 이해하고 레시피와 이해를 줄타기 한다는건 정말로 짜증나는 일입니다....
    처음에는 레시피를 살펴보다가 원리를 살펴보면 어느 순간에는 타협할 때가 오게 됩니다.
    그런데 그 타협점이라는게 수시로 변합니다. 일을 하다보면 그런 시행착오를 겪어야 하는걸
    알고 있기에 새로운 레시피와 이해는 항상 짜증나게 다가옵니다.

  • @삼전보다5년앞선HBM기
    @삼전보다5년앞선HBM기 9 місяців тому +1

    부처 님 말씀

  • @qqu-y8k
    @qqu-y8k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살면서 그 분야 정점까지 오른 사람을 두분 만났는데 두분다 저런 비슷한 이야기를 하시드라.

  • @서노랑
    @서노랑 27 днів тому +1

    내스타일이야❤

  • @satxsa
    @satxsa 10 місяців тому +21

    미국 학교에서 시험보기전에 동양권 학생들은 족보 확보에 총력을 다하는데
    백인들은 이해가 되지않는다며 자신만의 독특한 답을 써내는걸 당연하다고
    생각하는듯. 학교 성적에서 차이가 있을지 모르지만 작은 것 부터 고민하던
    백인들과 회사에서 격차가 발생하는게 아닐까 생각됨.

    • @gwagth
      @gwagth 10 місяців тому +7

      그간 우리는 얼른 따라 잡아야ㅜ하는 위치에 있었고 그들은 기존의 방식대로 계속 만들어 내는 위치에 있었던 위치에서 오는 차이 입니다
      그리고 이걸 우리가 논의 한다는 점은 지금 쿨타임 찼다는 의미구요 이제 우리도 하면 됨

    • @lingolinga2017
      @lingolinga2017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저기요, 미국 한번도 안 가 보셨죠, 아재? 미국 공교육 현실 알면 놀라서 똥오줌 갈기며 짜부라질 듯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guemool
      @guemool 10 місяців тому

      그냥 한국교육은 일제시대에서 한치도 안벗어나고 노예를 양성하고 있지

  • @Life.Designer
    @Life.Designer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원리를 알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고
    하나의 응용만 알면, 다른 응용을 알 수 없다.

  • @jacklim3568
    @jacklim3568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조직과 개인 역량 극대화🎉 본질~

  • @rasor6216
    @rasor6216 10 місяців тому +8

    센세..와타시는 레시피만 따라가기도 벅찬데스..

  • @zen20709
    @zen20709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분야에서 최고를 달리고 싶다면 이 방법이 맞고..시간대비 효율만 따지면서 평균이상을 빠르게 찍고 싶다면 기존레시피만 익혀도 되고 소모되는 시간은 10배이상의 차이가 남. 대한민국에서 모든 게임들에서 최적의 빌드 최적의 캐릭터 최적의 직업이 매번 공유되고 그것만 따라가면 렙업속도나 공격력이 혼자 하면서 모든걸 이해하면서 할 때보다 엄청나게 빠르게 증가하는 게 우연이 아님. 이 사람 영상에서 놓치고 있는 건 그 레시피가 만들어질 동안 들어간 집단지성의 힘임. 그 레시피가 만들어질 동안 수많은 현자들과 현장 기술자들이 고민하고 수정한 노력들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레시피는 99% 상황에서 매우 효율적임. "혁신"이나 성과의 "양자도약"을 원할 때는 다 갈아엎어야 하니 뿌리까지 원리를 알아야만 가능한거고. 다만 앞서 말한 집단지성의 힘 때문에, 기존 레시피 자체가 매우 최적화된 빌드 그 자체이므로 한 사람의 지혜로 이걸 얼마간 수정한다고 해서 성과가 양자도약하는 일은 죽어도 없음. 원리를 아는 것의 중요성보다는 구조를 죄다 갈아엎었을 때에야 양자도약 수준의 혁신이 비로소 가능하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좋을듯.

    • @lingolinga2017
      @lingolinga2017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안타깝지만 그 게임의 고인물이라면, 새로운 캐릭터나 아이템이 나왔을 때 결과와 최적해를 금방 구할 수 있음. 1인이 최적 레시피를 만드는 게 가능하기 때문에 집단 지성이 의미가 없어짐.
      예를 들면, 나는 특정 게임에서 캐릭터/아이템이 나온 '후'가 아니라, 나오기 '전'에 다음 캐릭터/아이템/조정 사항을 어느 정도 예측하는 게 가능했음. 밸런스 생각하면 뻔~히 보이던데? ㅋㅋ
      그래서 예상되는 소요 아이템을 미리 전량 사들인 후, 값을 올려 파는 방식으로 대학생 시절에 월 300만 원 정도의 소소한 수익을 얻었음.
      (학과 공부해야 하니까) 전업이 아니라 판 크게 안 벌려서 저 정도지, 각 잡고 투자했으면 수십 억 땡겼을 거임 ㅋㅋ
      그런 구조적 빈틈 같은 게 (게임 좀 해 보고 기초 원리 파악되면) 바로 보임.
      원래 겜 안 하는 사람인데 남친이 같이 하쟤서 시작한 게임이었음. 난 오히려 기존 레시피대로 따라만 가는 방식이 지루해서 못 하겠더라 ㅋㅋ 캐릭터 하나 정해서 노가다 + 현질하고, 팀 짜서 같은 역할만 죽어라 반복해서 퀘스트/아이템/이기는 거 반복하는 게 무슨 재미인지 모를~ 어차피 걔넨 가상의 데이터일뿐이고, 거기서 이긴다고 현실의 내가 바뀌는 것도 아닌데? 그냥 현실에서 이기면 더 재밌는 거 아님? ㅋㅋ
      그리고 양자 도약은 능지 테스트 생각하면 쉽게 이해됨.
      지능 테스트는 기본적으로 약간 부족한 시간에 최대한 많이, 빨리 풀도록 되어 있지만,
      시간을 무한정 줘도 특정 IQ - 예를 들어 120이라고 하자 - 를 가진 사람은 130~140대의 사람들이 푸는 문제를 절대 풀지 못함.
      그 문제의 답을 알려 줘도, 같은 원리로 변형된 문제(기출 변형)를 주면 또 틀림. 원리를 이해하지 못해서 그런 거.
      그걸 능지의 '상방경직성'이라고 함. 간략화시켜서 도형 등으로만 테스트해도 결과는 거의 비슷함.
      그런 문제를 보고 '원리를 스스로 알아내서 문제를 푸는 과정'이 양자 도약임.
      한 사람의 지혜든 다수의 머가리든 비교할 거 없이, 100명이어도 능지 120 이하만 모여 있으면 푸는 사람 0명이고,
      집단 아니어도 150짜리 한 놈만 그 문제를 풀어냄. 애초에 그 한 놈이 혼자 퀀텀 점프하는 놈으로 정해진 거.
      집단 지성은 기본적으로 양치기 + 약간의 자극과 경쟁으로 쌓아올리는 거라 한계가 명확함.
      차라리 그 집단 지성 안에 우연히 능지 150짜리 퀀텀 점퍼를 기대한다고 보는 게 맞지 ㅋㅋ
      한 가지 예를 들어줄게.
      내가 중딩 때 학교 대표로 출전했던 논술 경시대회 문제가 "미국의 흑인 민권 운동가 마틴 루터 킹과 말콤 X의 행적을 지문으로 제시하고, 행위의 타당성에 대해 둘을 비교하고, 논점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라."였음.
      미국 아니고 한국 중학생 논술 문제 맞음. 그것도 시 대회였나 도 대회였나, 하위 단계 문제 수준 ㅋㅋㅋ
      너 이거 2시간 안에 2천 자, 논리적으로 쓸 수 있겠음? 중딩보다 3배쯤 더 산 성인이면 경험치도 3배니까 더 잘 쓸 수 있는 문제임?
      양자 도약은 아예 레벨이 다른 사람들이 하는 거임. 그걸 '집단 안에 섞여 있던 특별한 사람이 우연히' 했다고 해서, 사람만 많이 모아 놓으면 '집단 지성'이 발휘된다고 생각하면 곤란함.
      인간계에 적용하려면, 양자가 '많이' 부딪히다가 '우연히' 도약하는 1개가 나오는 게 아니라, 그 1개가 애초부터 도약 가능한 '특별한 양자'였던 거라고 봐야 함. 걔가 1빠따면 99번 낭비 안 하고 걍 1번 만에 퀀텀 점프 성공하는 시나리오인 거.
      양자의 특성은 전부 같지만, 집단 지성을 구성하는 인간은 일률적인 특성이 아니니까 ㅋㅋ
      영어 듣기 평가 20 문항 중, '안 듣고' 선택지만 읽고 최소 18~19개 맞히는 사람(당연히 듣기 하면서 검산하듯 답 체크하면 만점)을
      다수의 50점짜리 학생 99명이 모였다고 이길 수 있는 거 맞냐고 ㅋㅋ
      나 중딩 때, 친구가 모의고사 문제집 풀길래 저거 장난하듯 보여줬음.
      5개쯤 연속으로 맞혔을 때, 구경하던 친구 중에 하나가 나를 무슨 귀신이나 무당 보듯이 표정이 공포로 변하길래 얼른 6번째 문제는 실수인 척 틀려줌. 사실 정답 맞힐 수 있었는데 ㅋㅋ
      한 자 요약) "다만 앞서 말한 집단지성의 힘 때문에, 기존 레시피 자체가 매우 최적화된 빌드 그 자체이므로 한 사람의 지혜로 이걸 얼마간 수정한다고 해서 성과가 양자도약하는 일은 죽어도 없음." -> 놉.

    • @homepark5938
      @homepark5938 3 місяці тому

      맞는 말이긴한데.. 짐켈러가 얘기하는건 가능하면 본질을 보자는거임. 천재가 되기위해서 기존시스탬을 엎는게 목표가 아닌. 그건 하다보면 일부가 하는거고.. 레시피만을 따라가서도 본잘만 보려해서도 안되는 적절한 균형

    • @유준상-o6g
      @유준상-o6g 2 місяці тому

      ​@@lingolinga2017머리 좋으신 건 알겠는데 말투와 맥락에서 평범한 지능의 사람들을 무시하는 것을 넘어 경멸하는 듯한 느낌이 들어요. 마치 평범한 인간을 자신과는 다른 하찮은 것이라고 보고 도구적으로 이용해야할 대상으로 보는 것 같다랄까? 일부러 은근히 자기 자랑 넣으면서 무시하는 태도로 사람 불쾌하게 만드는 거 정말 잘하시네요 ㄷㄷ

  • @Cgray0314
    @Cgray0314 10 місяців тому

    대부분의 회사에서는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 하기 위한 투자를 하지 않죠
    이윤에 대한 확답이 없으면 시도조차 무용지물로 만들어 버리니까요
    모험보다는 안정을 추구하는 그들 덕분에
    그러한 고착화 된 환경속에서 혁신을 일으키기에는 그저 주변 사방이 적일 뿐입니다
    한국에서도 붐이 일어 그 많은 투자를 했던 R&D 들이 철수 되는게 그 이유죠

  • @arucard13131
    @arucard13131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옛날에 30대 후반쯤 되는 나잇대들 초등학생때 조그만 전기 라디오?? 막 그런거 조립하는 수업 있었잖아요.. 그때 이 조그만게 어떤 원리로? 왜? 라디오의 원리가 대체 뭐길래 이 조그만걸 조립만 하면 라디오가 되는거지? 이 조그만게 소리의 소스를 어디선가 받아서 입력되어 출력한다는것 자체가 존니 신기했었음 나만 그렇게 생각한건지 아무도 의문을 제기하지않고 조립만 하던 생각이 나네요..

    • @팩트폭격드가자
      @팩트폭격드가자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런거 질문해봐야 선생도 이해못해서 답변 못해주고 또 그거 질문하면 옆에 애들이 눈치줌ㅇㅇ 잘난척하네 뭐네 하면서

  • @안형호-t2f
    @안형호-t2f 10 місяців тому +10

    와 진짜 본질... 사실 무엇을하든 본질을이해한다는건 이미 그분야의 전문가인거죠 ^^;;

  • @50MAge60-cb8uf
    @50MAge60-cb8uf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미국에서 일하는데 돈을 벌기위해 Art도 중요하지만 펀더멘탈을 세울수 있는 Science할 기회도 많이 줌.
    현재 시스템을 다 갈아엎고 새로운 걸 창조중인데, 박사시절보다 훨씬 재미있음

  • @YT-ll8ns
    @YT-ll8ns 10 місяців тому +43

    고객 : 그거 구조가 똑같은 프로그램인데 그냥 복붙하며 되는거 아니에요?
    개발자 : 아니요. 내부적으로 달라요.. 구조를 변경해야하고 저도 처음해보는거라 시간을 좀 더 주셔야...
    사장 : 어허.. 이과장 그냥 복붙하면 되잖아 뒷일은 그때가서 생각해

  • @jaecheon2000
    @jaecheon2000 10 місяців тому +7

    말이 쉽지 현실적용은 너무 어렵다 ㅠ

  • @Formpanel
    @Formpanel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본질을이해하면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가 있다

  • @팩트폭격드가자
    @팩트폭격드가자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100년 전 미국의 자동차가 움직이는 원리 교육 영상을 봤는데 정말 본질을 가르치는 것이 뭔지 확 느껴짐ㅋㅋㅋㅋ 미국이 100년은 앞서있는 이유임 저게

    • @Robert-k6r1r
      @Robert-k6r1r 4 місяці тому

      영상 제목 아시나요??

  • @겸손과인내
    @겸손과인내 10 місяців тому

    질문도 화끈하고 답변도 화끈하네

  • @ranoldola
    @ranoldola 6 місяців тому

    우선 레시피보고 따라서 만들 수 있는 수준은 되어야 한다. 그렇게 열심히 눈에 보이는 성과를 만들어가면서 한편으론 본질에 대한 탐구를 조금씩 진행하며 내 머릿속의 세계를 넓혀 나가며 짐켈러가 말한 것과 같이 한계에 도달했다고 판단했을때 본질을 마주할 준비를 하면 된다고 생각함.
    회사에서 동료들과 일하면서 느낀것도 같은 맥락인데, 성과없이 연구(학문)에만 너무 몰두하는 사람이 있고
    눈에 보이는 성과는 있지만 깊이가 부족하고 새로운 것에 대한 시도없이 공무원 마인드로 살아가려는 사람이 있다.
    이 두 가지를 잘 섞어 나가며 산다는 것이 과연 가능이나 할까 싶을만큼 어려운 일이겠지만 이상적인 방향은 맞다고 생각한다.

  • @pp-1954
    @pp-1954 10 місяців тому +7

    한계를 만나면 갈아엎어라

  • @곽준영-c8c
    @곽준영-c8c 9 місяців тому +2

    기본기와 테크닉의 밸런스.

  • @bluelobster6100
    @bluelobster6100 2 місяці тому

    개빡쌤 괜히 사람들이 쉬운길로 빠져드는게 아님 ㅋㅋ

  • @kjm2s
    @kjm2s 10 місяців тому

    짐켈러 본인도 모든 지식에 모든 근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고는 말하지 않네요
    그것이 얼마나 도전적인과제고 힘든지 알고 있으며, 스스로도 도달하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겸손함이 느껴집니다.
    다만 그어떤 근본적인 이해 없이 "방법"을 아는것만 추구하는 사람은 일류가 될수 없다 라고 말하는 것이네요.
    공감합니다.

  • @오후나른
    @오후나른 10 місяців тому

    짐 켈러가 그렇다면 그런거다 (개인적으로 라이젠 설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성이름-t8w5m
    @성이름-t8w5m Місяць тому +1

    진정한 진취적이고 획기적인 사고란게 먼지 알수있네요.

  • @hakarovanderi
    @hakarovanderi 5 місяців тому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인생뉴비-n1k
    @인생뉴비-n1k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정승제 선생님이 하신말씀 생각나네요
    "운전면허 학원에서 운전을 배우는게 아니라 면허따는법만 배운다"
    면허를땃지만 주차를못하는 웃픈현상ㅠ
    본질을 알면 그에 따른 응용이가능해지는데
    요즘 빠르게 변하는 사회에서는 본질을 이해하는 비용(시간이) 비효율적이라고 느낄수있다고봅니다. 조금만 여유를 가지고 본질을 이해하려고 더 노력해야겠어요!

  • @흑기사-d6g
    @흑기사-d6g 8 місяців тому

    전문가 맞네~ 근데 엄청난 용기, 인내, 자기확신이 필요함!

  • @larkholic
    @larkholic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역시 기초과학이 중요해...

  • @silver33412
    @silver33412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기본/본질 중요함

  • @eundongsong
    @eundongsong 8 місяців тому +1

    평범한 사람은 본질을 이해 하기 어렵다. 그러나 본질을 이해하려는 그 노력의 과정이, 최소 일류는 아닐 지라도 어떤 집단에 10% 에 포함 될 확률을 높일 것이다.

  • @mini-j6y
    @mini-j6y 6 місяців тому

    대부분은 본질은 모르고 레시피만 따른다
    언젠가 기존 시스템으로는 한계를 보게될 것이고
    새 시스템을 개발해야한다 / 위험을 감지하면 미련 없이 기존 것을 버리고 새로 시작한다

  • @flasher7942
    @flasher7942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템플릿보단 문제해결능력

  • @pman1209
    @pman1209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대단한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