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무기 선택한 ‘나토의 창끝’ 폴란드, 한국 방산 호주·사우디·노르웨이까지 이어질까? / 14F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3 вер 2022
  • 지난 8월 26일, 폴란드가 한국 방산업체가 약 7조 원 규모의 계약을 맺었습니다. 지난 7월 말, 체결한 총괄계약의 첫 이행계약이었는데요. 총괄계약이 모두 이행된다면 규모는 약 20조 원에 달합니다. 한국 방위산업 건국 이래 가장 큰 규모의 무기수출인데요. 이번 폴란드와의 계약이 주목받는 이유는, 폴란드가 미국,독일이 아닌 한국의 무기를 선택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호주, 사우디, 노르웨이와도 협상이 진행되면서 한국 방산이 더욱 주목받고 있는 상황인데요. 그렇다면 폴란드는 왜 한국 무기를 선택했을까요? 그리고 한국 방산이 잇따른 러브콜을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폴란드 #한국방산 #군사
    14F 모바일 앱의 new 사원이 되어주세요!
    14F 앱 다운로드하기
    안드로이드 👉 bit.ly/3LbOCeZ
    iOS(아이폰) 👉 apple.co/3Lewotp

КОМЕНТАРІ • 1 тис.

  • @keke-bv2tz
    @keke-bv2tz Рік тому +35

    어떻게 이나라가 불과 100여년 전에는 내나라 하나 못지키던 나라라 할 수 있을까요. 대한민국 국민 이라는게 자랑스럽습니다!

  • @h.s.b5689
    @h.s.b5689 Рік тому +254

    우리나라는 무려 70년간 전쟁을 준비해온 나라임 어찌보면 국제정세가 신냉전시대로 회귀하는 현상을 보이면서 냉전기 극단적인 총력전에 초점이 맞춰진 한국의 군사력과 방산기술이 주목을 받을 수 밖에

    • @ksys-oriental-medicine
      @ksys-oriental-medicine Рік тому +22

      그게 제일 크죠. 생산댓수가 기본적으로 확보가 되다 보니 단가가 저렴해지고. 또 70년대 이후 중공업의 발전으로 현장의 장인들이 많이 양성이 되어서 부품의 품질이 엄청 좋아진것도 있고. 거기다가 반도체와 IT의 급성장은 고성능 장비 개발이 가능해진거죠. 거기다가 한국인 특유의 창의성과 도전정신이 이런 좋은 결과가 나온거라 봅니다. 정점에 도다르면 내려가게 됩니다. 자만하지 말고 더 겸손하게 나아가기를 바랍니다. 대한민국 엔지니어를 정말로 칭찬하고 싶습니다.

    • @parkherenow
      @parkherenow Рік тому

      메르켈이 매국노가 되는 모든조건을 가춘것 같네요,,,,,,,한국도 그런사람들 엄청 많은데,,,매국노가 되길 원하는 인간이 왜이리 많은지?

    • @darkkjw
      @darkkjw Рік тому +1

      다른 나라들 냉전 종식이후 군축할때 우리는 계속해서 전면전 준비해왔으니...

    • @Kim-ig3qq
      @Kim-ig3qq Рік тому +2

      한국방산학회 2022년 올해의 방산인 선정
      방산산업의 연이은 수주 대박으로 세계 최고의 품질을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국방위산업학회에서 2022년 ''올해의 방산인"으로 고(故) 박정희 대통령님을 수상자로 선정하고 시상식을 가졌습니다.
      Kbs Mbc 등 언론은 이에 관하여 철저히 함구하고 있습니다.
      시상식에서 방산학회장 채우석 박사의 수상자 선정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오늘 자랑스러운 방산인상 시상식에서 늦었지만 박정희 대통령님께 대상을 드리게 되어서 참으로 다행이고 영광입니다.
      1970년 8월 6일 박 대통령님은 각 군에 산재해 있었던 군사기술 연구소의 장비 및 인력을 하나로 모아 국방과학연구소를 창설하고 본격적으로 방위산업을 육성하기 시작했습니다.
      첫 시도가 번개사업이며, 이를 통해 250만 예비군을 경무장 시킬 수 있는 소총, 수류탄, 크레모아, 대전차 지뢰 등 8종의 무기들을 40일만에 개발했습니다. 이를 ‘40일의 기적’이라고 불렀습니다.
      전차와 장갑차를 만들기 위해 자동차산업에 투자를 했고, 미사일을 위해 전자산업에, 함정을 위한 조선산업과, 탄약과 포탄 제조를 위한 화학산업에 투자를 했으며, 철강을 위해 제철산업에 투자했습니다.
      이 공장들에 공업용수와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다목적 댐을 건설했으며, 후방인 창원공단에서 전방으로 무기 수송을 위해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했습니다.
      유사시 미군의 전시증원 물자 반입을 위해 부산항, 마산항, 울산항 등 항만을 정비했습니다.
      1970년대에 이렇게 투자한 것이 1980년대 국제적으로 저금리, 저유가, 저달러의 3저(低)호황을 만나면서 6.25전쟁으로 폐허가 됐던 대한민국이 선진국가로 발돋움하는 기반이 마련된 것입니다.

      이 땅의 풀 한포기, 돌 하나 공짜로 얻은 것은 없습니다. 선조들이 목숨 걸고 지켜준 소중한 자유를 후손들에게 물려주기 위해 전 국민이 각자의 위치에서 목숨걸고 노력했기 때문입니다.
      읽을수록 한편의 서사시처럼 진실되고 감동적입니다.
      K9자주포 아버지 故김동수 박사가 특별공로상을 수상했다고 하는데, 이러한 위대한 수상식이 왜 쓸쓸히 보도되지 않았을까요? 이나라 현실이 너무 아쉽습니다.
      치악산님 블로그

  • @yangwise1106
    @yangwise1106 Рік тому +168

    6.25. 전쟁에 탱크가 한대도 없었다고 들었습니다. 이제는 탱크, 전투기, 자주포, 다연장로켓 등 을 독자기술로 만들어 판매합니다. 가슴이 웅장해집니다. 우리는 강한 나라입니다. 이땅의 엔지니어 과학자 선생님들 그리고 군인에게 감사드립니다.

    • @letsgooska
      @letsgooska Рік тому

      한대는 있었는데...

    • @user-rj7eo1ht9o
      @user-rj7eo1ht9o Рік тому +4

      거기다 이제는 이지스함을 넘어서 항공모함도 만들려고 하고 있죠

    • @ShellCore
      @ShellCore Рік тому +1

      가장 큰 공은 박정희가 만든 국방과학연구소 add설립과 미사일 핵 개발 프로젝트 베트남 참전으로 미국에게 약속받은 군 현대화 덕분이지...뭘 잘 모르면 적지마.

    • @user-rk4jd7ev3g
      @user-rk4jd7ev3g Рік тому

      여러분~ KAI 민영화 소문 들으셨나요? 윤석열이 내정한 강구영 신임 사장이 인선된지 며칠 되지도 않아, 특별한 사유도 없이 기존 임원들(초기부터 KF21 개발 실무 깊숙이 담당해 왔던 KF21의 산증인 류광수 부사장 포함)을 추석직전 일괄 사퇴시키고, 추석연휴 기간내 KF21의 각종 문제점들(시시콜콜한 운전자 코로나 감염, 태풍으로 인한 시험운행 중단 일정지연 등)을 흘리기 시작했고, 이를 빌미로 모든 시험운행 및 일정을 당분간 중단시켰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주식까지 폭락했고, 공매도까지 벌어졌다 합니다. 다른 채널 분석 글을 보니, KF21의 이런저런 문제점들을 고의로 흘려 KAI 자체 개발 역량 한계를 부각시키고, 이를 빌미로 민영화로 방향 돌려 한화에 매각하고, 한화는 다시 록히드와 제휴하는 구조로 가게 될 것이라 예상하더군요. 한화가 얼마 전 방산 계열사들을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통폐합한 것도 그 수순에 따른 것으로 보여지고, 또 한화 회장의 성향상 썩열이와 검은 컨넥션을 맺었을 가능성 또한 충분히 다분해 보입니다. 또 록히드에서 미래의 경쟁자 싹을 자르려는 것 또한 이미 충분히 예견됐던 일이었죠!!! 그리고 최근 뜬금없이 KF21 네이비 계획을 홍보하는 한 것 또한, 이런 세간의 의혹을 표면적으로 지움과 동시에 향후 록히드와의 제휴를 보다 합리화시키기 위한 밑밥 깔기로 보여집니다.

    • @user-pu4fq2lf6e
      @user-pu4fq2lf6e Рік тому +1

      @@letsgooska 궁금하네요
      6.25전사를 완전 뒤집는건데
      뭔가요?

  • @hyunew
    @hyunew Рік тому +868

    이렇게 방산 대국으로 나아갈수 있었던 원동력은 지속적으로 훈련하며 국가에 헌신해주신 국군 장병들 예비군들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또 앞으로 힘써 주실 대한민국 청년들에게도 감사드립니다.

    • @user-cp7me2wr1p
      @user-cp7me2wr1p Рік тому

      네 다음 최저임금도 못받고 장비도 개쓰레기에 군바리소리듣고 나라에서는 총알받이나 하라는 미친국가

    • @a01090576555
      @a01090576555 Рік тому

      그러기위해선 구녕가족부 폐지가 시급합니다.

    • @ShellCore
      @ShellCore Рік тому +1

      가장 큰 공은 박정희가 만든 국방과학연구소 add설립과 미사일 핵 개발 프로젝트 베트남 참전으로 미국에게 약속받은 군 현대화 덕분이지...뭘 잘 모르면 적지마.

    • @moonfull9488
      @moonfull9488 Рік тому +37

      국군장병의 인건비 갈아서 지금 저렴한 무기가 나온거임

    • @ShellCore
      @ShellCore Рік тому +40

      @@moonfull9488 죽어도 박정희는 싫다 이거네...인생을 그딴식으로 사니 니가 밑바닥 인생인거야..누구덕에 사는데 고마움을 모름..

  • @dhlee1219
    @dhlee1219 Рік тому +63

    마지막의 부정적인 시각은
    무기산업이 감당해야할 짐일듯
    하지만 폴란드 무기수출은 에초에 폴란드가 공격자가 아닌 수비자인 상황인데
    러시아와 관계 악화는 어쩔수 없지만
    극단적으로 비유하면상대방이 자신을 죽이려 칼들고 오는데
    인권과 평판 때문에 칼에 찔려야 한다는 논리인듯...

    • @namugomu7981
      @namugomu7981 Рік тому +1

      맞습니다. 비판을 위한 비판을 했다는 느낌이...

    •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Рік тому +1

      @@namugomu7981 딱히 그건 아닌게 잘 짚어준 것 같은데요.
      그냥 뭐 팔았다 하면 오 그렇구나 하고 말겠지만 무기 판매가 어떤 의미인지는 모르는 사람이 많을테니까요.
      좋은 얘기만 하자는 태도가 어떤 양면성을 지니는지는 님도 아실 서 아녜요.

  • @user-yw5ke9ve4b
    @user-yw5ke9ve4b Рік тому +392

    볼 때 마다 느끼는건데 전달력도 너무 좋으시고 너무 유익하네요 이 컨텐츠 안 끝났으면 좋겠어요:)

    • @redleaf7
      @redleaf7 Рік тому +16

      저도 같은걸 느꼈네요 ㅎㅎ 전달력 진짜 좋으심

    • @user-qd6ox3jt3g
      @user-qd6ox3jt3g Рік тому +7

      너무 통통튀는 전 아나운서들보다 나은것같음

    • @user-eq4yh1jl7d
      @user-eq4yh1jl7d Рік тому +6

      발음이 좋으시고 군더더기 없는 문장도 좋네요.

    • @exoticshivertooth973
      @exoticshivertooth973 Рік тому +2

      성창경

    • @user-ed7iz8tp4u
      @user-ed7iz8tp4u Рік тому +4

      14F 가 궁금해서 찾아보았더니 "MBC 14층 사람들이 만드는 짧고 똑똑한 뉴스" 뜻이네요. MBC에서 만든 줄 몰랐습니다.

  • @kisha5097
    @kisha5097 Рік тому +190

    대규모화력무기는 수준급이지만 우리 육군이 사용하는 방탄조끼, 무전기도 최신형으로 보급됐으면 좋겠네요. 현역시절에 파우치 떼고 붙이는 불편한 방탄조끼, 제대로 통신도 안되고 베터리는 매우 짧게 지속되는 96k 등 현역 군인들이 쓰는 장비들부터 부족한 부분들이 많았어요

    • @user-pu4fq2lf6e
      @user-pu4fq2lf6e Рік тому +17

      맞아요 기본이 전혀 안되어 있음

    • @user-bc9ih5yi9m
      @user-bc9ih5yi9m Рік тому +7

      막상 전쟁이 발발하면 님의팬티부터 시작해서 전쟁물자는. 새로운거로 다 바뀌답니다.

    • @circlechange9681
      @circlechange9681 Рік тому +3

      625때 수통이 나때도 있었는데 지금은 없게쬬?

    • @user-ui3do2bw2p
      @user-ui3do2bw2p Рік тому +6

      @Glede life Esh 특전사 최근 전역했는데 제가 받은 보급 수통 90년도 초기 생산품이었습니다 ㅎㅎ.. 6.25까진 아니지만 30년 된 수통이네요.

    • @user-ui3do2bw2p
      @user-ui3do2bw2p Рік тому +9

      ​@@user-bc9ih5yi9m 전쟁 난 뒤에 최신형 무전기부터 조준경까지 다 보급하면 너무 늦지 않나요? 사용법 익히는데만 시간 꽤나 소요될텐데,,, 대규모 전투 일어나면 최전선에 있는 병사들은 다 갈려나가고 후방에 있는 병사들이나 제대로 사용해보겠군요.

  • @modernandantique2861
    @modernandantique2861 Рік тому +130

    러시아랑은 딜 잘해서 방산 기술연구 많이 따내고
    미국한테는 외교적인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서 받아먹을 거 잘 받아먹고
    중국한테는 무역 딜을 잘해서 경제 체질이 그쪽으로 기울긴 했지만 수출에 도움되었고
    일본한테는 타산지석으로 삼은 롤모델이나 선행지표가 많다
    이렇게 발전해와서 당당히 나토와 서방사회의 편에 설 수 있는 게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 @wkfrkdy95
      @wkfrkdy95 Рік тому +31

      @free speech 너무 단기간에 성장하느라 모방많이해서 혼란이 많음
      시간이 해결해줄꺼임 100년쯤 지나면 나아질듯 다른 선진국처럼 ㅇㅇ

    • @user-ys6rs2hk2g
      @user-ys6rs2hk2g Рік тому +6

      @@wkfrkdy95 맞음 뭐든지 단기간에 하면 그만큼 리스크가 큰법

    • @asdf-rs7qg
      @asdf-rs7qg Рік тому +4

      그래 이렇게 최대한 잘 지내려고 해야지 반미 반중 반일해서 좋을게 뭐임. 세 곳 다 쟁쟁한 나라여서 하나라도 사이 안좋아서 좋을게 없는데 우리나란 기본 반중 반일인 사람이 많음.
      저 세 나라가 서로 사이가 안좋아서 우리가 중간에서 이익먹는 거면 몰라도 우리나라가 욍따되는 길을 택하면 어쩌나 싶음.

    • @user-nl1me3uj1i
      @user-nl1me3uj1i Рік тому +3

      균형감 있게 잘 관찰하시는군요.

    • @modernandantique2861
      @modernandantique2861 Рік тому +4

      @@asdf-rs7qg 이 나라가 뭐 자립이 가능한 분야가 있는지 싶음
      주변국들이 좋으나 싫으나 어차피 같이 살아가야 하는데 과거의 감정이 미래를 막으면 안 됨
      원료와 연료도 수입하고... 수출경제의존국인데다가...

  • @Beijingjournal
    @Beijingjournal Рік тому +117

    무기 수출의 장점 만이 아니라...우리가 놓치기 쉬운 그러나 꼭 유념하고 대비해야 할 ... 단점을 지적해 주신 것이 좋았습니다.

  • @ikek12345
    @ikek12345 Рік тому +124

    1950년 재대로 된 전차 한 대 없던 나라에서 70년만에 자체기술로 만든 전차를 타국가에 수출한다니 감격스럽습니다.
    우리나라는 강대국들 사이에서 냉정히 봤을 때 힘으로는 대결이 힘드니 지금과 같이 수출을 통한 실익을 찾는게 정답인 것 같네요.

    • @user-ks1rx6ci1d
      @user-ks1rx6ci1d Рік тому +1

      2017~2018사이에
      세계 무기수출국 8위까지 올랐죠
      문재인 전대통령님 덕분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bc6gc1lt9d
      @user-bc6gc1lt9d Рік тому +5

      @@user-ks1rx6ci1d 훠훠

    • @user-yk5yc5ys2i
      @user-yk5yc5ys2i Рік тому +1

      @@user-ks1rx6ci1d 2012-13년도 부터 쌓아온거겠죠.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댂

    •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Рік тому

      ​​@@user-ks1rx6ci1d
      기초는 노무현이 닦고, 지원은 이명박이 하고, 계약은 윤석열이 체결했는데 칭찬은 문재인이..

  • @blueberry0821
    @blueberry0821 Рік тому +108

    너무나도 유익하고 좋은 컨텐츠 입니다. 평론가님 전달력도 너무 좋구요.

  • @user-fq6pf1ln7p
    @user-fq6pf1ln7p Рік тому +22

    우리나라도 드디어 전쟁특수 이익을 보는 나라가 됐구나.. 멋지다

  • @Re_Aoharu
    @Re_Aoharu Рік тому +33

    타국을 침략하기 위함이 아니라 자국민을 지키기 위해 군사장비를 필요로 하는 것이라면 우리의 기술력이 만인을 이롭게 하는 것이니 협력을 강화해가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drewlee7435
    @drewlee7435 Рік тому +52

    발성 딕션 듣기 너무 좋고 내용도 탄탄해서 항상 잘 보고 있어요 이 시리즈 자주 보고싶어요!!

  • @JJ-hp6kd
    @JJ-hp6kd Рік тому +28

    아이러니한거죠.. 남북 대치 상황으로 지난 수십년간 '코리아 디스카운트'라는 불이익을 항상 안고 있던 대한민국이, 유럽 방산이 주춤한 사이에 세계 5대 방산 수출국이 될 줄은..

  • @kdyu178
    @kdyu178 Рік тому +21

    53년 생이신 우리아버지가 조선소에서 일하실때 배를 띄우면 배가 기울어지고 똑바로 잘 가지 않을 때가 있었다고 합니다.(초창기겠죠)
    그만큼 기술이 후달렸다는 거겠죠.
    당신은 자기 생애에는 한국이 미국에 자동차를 파는 일이 있을거라고는 상상도 못하셨다고 합니다.

  • @user-hb4ly4im9z
    @user-hb4ly4im9z Рік тому +11

    유튜브에서 이 영상처럼 깔끔하고, 믿음직한 컨텐츠는 처음 본다.
    이승원님 정말 대단합니다. 여기서 자주 보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inmin1986
    @inmin1986 Рік тому +53

    독일을 위시한 20세기 패권 국가들이 지금에 와서 얼마나 약체화되어 있는지 여실히 보여주는 장면이라 생각됩니다...

    • @yhangmincang642
      @yhangmincang642 Рік тому +24

      약체화라기 보다는 미국 믿고 경제에다가 영끌한거지 무슨 ㅋㅋㅋㅋㅋㅋㅋ 우리나라랑 독일이랑 아직도 GDP 차이가 몇 배인데

    • @zjaraka7463
      @zjaraka7463 Рік тому +6

      @@yhangmincang642 동감 GDP규모비례 국방비수치를보면 답이나옴 ㅋㅋㅋ

  • @reroro7083
    @reroro7083 Рік тому +6

    자유는 공짜가 아니다.
    무기 구매에 인권 문제로 태클을 건다면 자주국방에 자신있는지 물어봐야한다

  • @user-nv8lt1ck6h
    @user-nv8lt1ck6h Рік тому +12

    자막이 필요없다. 전달력이 너무 좋습니다.

  • @user-qr3os8so9w
    @user-qr3os8so9w Рік тому +18

    독일이 러시아의 눈치를 보는대다가 게다가 독일도 러시아의 위협에 직접노출된 상황이라서 무기를 지원하거나 수출할 여력이 없었던거죠

  • @intaj.1755
    @intaj.1755 Рік тому +5

    이승원씨 음색도 좋고 귀에 쏙쏙 간결해서 너무 좋아요.

  • @user-nj4eg5ln1b
    @user-nj4eg5ln1b Рік тому +8

    평론가님 섬세하고 간결한 내용 너무 감사합니다.

  • @AaA-re1jj
    @AaA-re1jj Рік тому +10

    강한 군사력,경제력만이 우리의 주권과 자존을 지킬수 있다
    그동안 조국의 경제와 국방력 발전
    을 위해서 헌신하신 모든 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앞으로 더욱
    힘써주시기를 바랍니다

  • @user-yt9ht1ys4d
    @user-yt9ht1ys4d Рік тому +7

    대한민국 국방연구원들.방산업체.전투력에 기량을 보여준
    방위산업 엔지니어들의 노고의 감사드립니다^^박수보내면서 가슴이 뭉클 합니다
    세계속에 대한민국 가자~가즈~아~~~홧팅

    • @Kim-ig3qq
      @Kim-ig3qq Рік тому

      한국방산학회 2022년 올해의 방산인 선정
      방산산업의 연이은 수주 대박으로 세계 최고의 품질을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국방위산업학회에서 2022년 ''올해의 방산인"으로 고(故) 박정희 대통령님을 수상자로 선정하고 시상식을 가졌습니다.
      Kbs Mbc 등 언론은 이에 관하여 철저히 함구하고 있습니다.
      시상식에서 방산학회장 채우석 박사의 수상자 선정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오늘 자랑스러운 방산인상 시상식에서 늦었지만 박정희 대통령님께 대상을 드리게 되어서 참으로 다행이고 영광입니다.
      1970년 8월 6일 박 대통령님은 각 군에 산재해 있었던 군사기술 연구소의 장비 및 인력을 하나로 모아 국방과학연구소를 창설하고 본격적으로 방위산업을 육성하기 시작했습니다.
      첫 시도가 번개사업이며, 이를 통해 250만 예비군을 경무장 시킬 수 있는 소총, 수류탄, 크레모아, 대전차 지뢰 등 8종의 무기들을 40일만에 개발했습니다. 이를 ‘40일의 기적’이라고 불렀습니다.
      전차와 장갑차를 만들기 위해 자동차산업에 투자를 했고, 미사일을 위해 전자산업에, 함정을 위한 조선산업과, 탄약과 포탄 제조를 위한 화학산업에 투자를 했으며, 철강을 위해 제철산업에 투자했습니다.
      이 공장들에 공업용수와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다목적 댐을 건설했으며, 후방인 창원공단에서 전방으로 무기 수송을 위해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했습니다.
      유사시 미군의 전시증원 물자 반입을 위해 부산항, 마산항, 울산항 등 항만을 정비했습니다.
      1970년대에 이렇게 투자한 것이 1980년대 국제적으로 저금리, 저유가, 저달러의 3저(低)호황을 만나면서 6.25전쟁으로 폐허가 됐던 대한민국이 선진국가로 발돋움하는 기반이 마련된 것입니다.

      이 땅의 풀 한포기, 돌 하나 공짜로 얻은 것은 없습니다. 선조들이 목숨 걸고 지켜준 소중한 자유를 후손들에게 물려주기 위해 전 국민이 각자의 위치에서 목숨걸고 노력했기 때문입니다.''
      읽을수록 한편의 서사시처럼 진실되고 감동적입니다.
      K9자주포 아버지 故김동수 박사가 특별공로상을 수상했다고 하는데, 이러한 위대한 수상식이 왜 쓸쓸히 보도되지 않았을까요?
      이 나라 현실이 너무 안타깝습니다.
      치악산님 블로그

  • @user-ih9cl6yx7r
    @user-ih9cl6yx7r Рік тому +5

    아주 기분좋은 소식 감사합니다 대한민국 화이팅 입니다

  • @user-yp3mo3sf8p
    @user-yp3mo3sf8p Рік тому +5

    목소리가 굉장히 차분하면서 신뢰가는 목소리네요

  • @user-kx9oj2ig2s
    @user-kx9oj2ig2s Рік тому +3

    깔끔한 정리덕에 좋은 지식 얻고갑니다

  • @user-bb4mf3lq6o
    @user-bb4mf3lq6o Рік тому +10

    댓글 보니 나만 그렇게 생각하는 게 아니었군요. 평론가님 전달력 진짜 최고에요 만약 학교에서 이런 선생님을 만난다면 공부 못하는게 이상할 것 같네요.

  • @chris-un7nr
    @chris-un7nr Рік тому +12

    폴란드관련 무기수출이슈에 관한 전달력이 깔끔하네요
    방산은 수출을 통해, 재투자가 없으면 업그레이가 어려운 산업입니다.
    만족하고 안주하는 순간, 국방력 및 경쟁력이 나락으로 갑니다
    꾸준히 투자하고 발전시켜야합니다

  • @user-sp6pk5dk4r
    @user-sp6pk5dk4r Рік тому +38

    정말 깔끔하고 잘 정리된 내용으로 전달해주셔서 잘 보고 있습니다. 20분 분량도 기대합니다

  • @user-by3zm2jq3d
    @user-by3zm2jq3d Рік тому +12

    전쟁은 일어나선 안되는것이지만 전쟁으로 인한 무기 수출은 너무도 달달하다는건 많은 국가를 통해 알려져왔다.

  • @rayk9111
    @rayk9111 Рік тому +13

    성능도 성능이지만 K9 운용인원은 5명에서 최소3명임 대한민국 징병형태로 보면 사실상 1명의 장교 OR 부사관 + 4명의 사병 또는 극단적일경우 3명의 사병으로 운영됨 군복무기간이 21개월임 그 기간동안 기갑장비를 숙련하기위해 대부분의 시스템이 간소화되고 고도화 되었다는 점을 염두하면 훈련기간 단축이나 간소화에 상당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걸 알수있음. 반격 유효성능을 감안하면 고도화된 사격통제장치 또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뜻 주로 연평도 포격사건을 보지만 해외에서는 튀르키예판 K9을 보고 선택한건데 터키 복무기간이 짧은거대비 효과를 재대로 봤기 때문에 자주포운영병 훈련기간이 짧아질 정도로 고도화된 시스템을 갖추고있다는 것... 이런 장점은 병사들의 군복무기간이 짧은 나라들이나 훈련기간이 촉박한 나라일경우 극대화 될수도있음.

  • @user-uw5vo5dk5v
    @user-uw5vo5dk5v Рік тому +1

    너무 좋은 정보입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user-wf4qy8jw4o
    @user-wf4qy8jw4o Рік тому +11

    전쟁준비만 60년째...
    군대가면 충검술도 배우지만
    장비유지관리를 제일많이배우고 많이함.그러니 재래식무기 가동률도 높고 , 매번훈련하는나라이니 문제점생기면 바로바로 수리할수있고 ,바로전쟁나면 국산무기로 바로싸울수있는 나라니 .
    외국에 전쟁중인국가이고 방산업이 잘되있는나라는 미국제외하고 한국이 유일하지. 맘만먹으면 북한밀고들어가서 중국까지 밀고들어갈수있는 전차부대또한있고.

  • @user-cb6nm1ip9n
    @user-cb6nm1ip9n Рік тому +3

    목소리가 너무 좋으시네요
    듣기가 넘 편하네요~~

  • @jayjayjang8725
    @jayjayjang8725 Рік тому +3

    목소리가 너무 좋다. 전달력 좋고 편하고 차분하고

  • @TheHangaya
    @TheHangaya Рік тому

    목소리 너무 좋으시고 차분해서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좋은 정보 감솨합니다~

  • @user-fu4mf1rr1n
    @user-fu4mf1rr1n Рік тому +1

    차분하고 세심한 설명 감사합니다.

  • @redleaf7
    @redleaf7 Рік тому +3

    와 정보 진짜 유익하다 뭐임 이거 ㅋㅋㅋ 앞으로도 많이 만들어주세요!

  • @dm8407
    @dm8407 Рік тому +6

    자랑스럽다 정말

  • @user-ld2zj5kd9q
    @user-ld2zj5kd9q Рік тому +1

    귀에 쏙쏙 들어와서 이해 쉽고
    이쁘세요

  • @youtube-story
    @youtube-story Рік тому +4

    목소리와 발음이 상당히 세련되었다고 할까요? 오디오만 들으면서 일하는데 아주 좋아요

  • @bassvoice
    @bassvoice Рік тому +17

    우리나라 입지가 괜찮은게 성능은 평균 이상이면서 규모의 경제 덕에 가성비가 매우 좋다는 점임.

  • @KimMj-py7df
    @KimMj-py7df Рік тому +1

    목소리가 깔끔해서 그런지 귀에 쏙쏙 들어 오네요. 잘 듣고 갑니다.

  • @taejungjeong9224
    @taejungjeong9224 Рік тому +1

    제일정확하고 바른 소식 감사합니다.~!!

  • @footstep002
    @footstep002 Рік тому +52

    폴란드의 경우 아파치도 추가로 90대 넘게 구매하기로 했다는데 폴란드하고 공동투자해서 아파치에서 무유도 히드라 로켓 대신에 유도 타입의 비궁 운용할 수 있도록 무장통합사업을 함께 추진해보는 것도 좋을 거라고 봅니다(솔직히 그게 어렵다면 단독으로라도 추진해야 한다고 봅니다). 어차피 비궁 자체가 처음에 미국과 공동사업으로 시작할 때 아파치에서 쓰이는 히드라 로켓을 기반으로 해서 개발된거라 호환성 측면에서도 크게 문제될 건 없을거라고 봅니다. 육상이나 해상에서 다수의 경장갑 이동수단이 떼거지로 몰려올 때에 대응하는데는 헬파이어보다는 효율적일거라고 봅니다. 아파치의 원통형 포드에 전부는 아니라고 해도 절반만이라도 히드라 로켓대신 비궁 채워나가면 훨씬 높은 공격력을 확보할 수 있겠죠. 수요가 높아지면 비궁은 1발당 단가도 다소 더 낮춰볼 수 있겠죠. 어차피 우리나라도 이미 아파치를 도입한 이상 마르고 닳도록 쓰게 될텐데 이왕이면 국산 무장도 쓰일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잘만하면 다른 아파치 운용국들에도 팔아먹을 수 있을테고 말이죠. 이번 우크라이나전을 계기로 앞으로 얼마든지 대규모 정규전이 일어날 수 있다고 세계 각국에 인식됐고 비궁같은 경제성을 추구한 재래식 유도 무기의 수요는 앞으로 상당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ln1fn7rv5t
    @user-ln1fn7rv5t Рік тому +10

    아일랜드,폴란드,대한민국 삼국은 서글픈 역사가 많이 닮아 있죠 ㅜㅜ

  • @mmlakzihuw
    @mmlakzihuw Рік тому +1

    목소리가 듣기 너무너무 편해요!! 진짜루요

  • @user-fu4mf1rr1n
    @user-fu4mf1rr1n Рік тому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BlueWingsSuwon
    @BlueWingsSuwon Рік тому +9

    총기 한자루 총알 하나 못만들던 나라에서 이제 유럽에 수출 하는 나라가 되었어 진짜 대박이라는 말 뿐이 할 말이 없다

  • @user-zk4ng1zo7p
    @user-zk4ng1zo7p Рік тому +25

    혹자는 독일이 국방비를 감축해서 현재 빠르게 무기 생산하지 못하는 걸 비판할 수 있겠지만 달리 보면 해당 비용을 모두 다른 산업 경쟁력을 유지하는데 활용한 것이며 지금 러시아로부터 안보적 위기가 발생했지만 미국을 포함한 나토군이 존재하기에 지금부터 방위산업 공장 가동해서 무기 생산하면 그렇게 손해라고 보기 어렵다고 본다

  • @user-kw4tj4xf4j
    @user-kw4tj4xf4j Рік тому +1

    마지막 말씀이 정말 공감 가네요~

  • @BS-pt8zj
    @BS-pt8zj Рік тому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 @leegyucheol
    @leegyucheol Рік тому +9

    목소리 너무 좋고 내용 전달이 잘 전달됩니다 구독중인데 앞으로 좋은 컨텐츠 기대하겠습니다 ^^

  • @radhoodlee5180
    @radhoodlee5180 Рік тому +37

    우리나라 방산이 발전이 뿌듯하기도 하지만 분단의 현실이 씁쓸하네요...

    • @cjfdlskfkche5162
      @cjfdlskfkche5162 Рік тому

      우리도 빨리 통일됐으면 민주당이 평화지뢀해서 국방예산 많이 깍였을거야

    • @munsaraditya4991
      @munsaraditya4991 Рік тому +4

      @@cjfdlskfkche5162
      당연히 깎아야지. 국방비에 들어갈 돈을 경제에 부어야 하는거 아니야? 원래 평시에 국방비는 돈 먹는 하마이고 우리는 어쩔 수 없이 유지한거라고. 일본은 gdp 1%대를 유지하고 있었어 그리고 그게 당연한 것이고

    • @cjfdlskfkche5162
      @cjfdlskfkche5162 Рік тому +5

      @@munsaraditya4991 너 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다 중국,러시아한테 잡아먹히는거야 바보야 ㅋㅋㅋㅋ

    • @munsaraditya4991
      @munsaraditya4991 Рік тому

      @@cjfdlskfkche5162
      뭐래는거야 ㅋㅋㅋ 평시에 국방에 돈을 쓰는거는 경제 발전에 해가 된다니까 ㅋㅋㅋ 하여간 구냉전 논리에 빠져 있는 것들은 정신이 나간 것들이라니까 ㅋㄴㄴ

    • @nevergiveup0421
      @nevergiveup0421 Рік тому +3

      @@cjfdlskfkche5162 그말이 아니라 분단국가 가 아니라면 국방예산을 과하게 높일필요 없다는 말이잖아 이 모자란녀석아. 우리가 중러에 먹힐 이유가 하나 없는데 ㅋㅋ 우크라랑 우리가 같은상황이냐? ㅋㅋ

  • @daekumkang6768
    @daekumkang6768 Рік тому

    설명이 귀에쏙쏙 들어와서 좋습니다

  • @user-np8ic5uf8f
    @user-np8ic5uf8f Рік тому

    오늘 처음 보게 되었습니다. 전달력이 아주 좋네요.

  • @user-kz1gz9qq7k
    @user-kz1gz9qq7k Рік тому +12

    국민 보호 위해서 계속 개발 되어야 한다 그래야 대한민국이 강해져야 한다 역사는 반복된다 명심하라

  • @user-xt6ds4ct9o
    @user-xt6ds4ct9o Рік тому +4

    대한민국 국민이라는것이 자랑스럽습니다

    • @Kim-ig3qq
      @Kim-ig3qq Рік тому

      한국방산학회 2022년 올해의 방산인 선정
      방산산업의 연이은 수주 대박으로 세계 최고의 품질을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국방위산업학회에서 2022년 ''올해의 방산인"으로 고(故) 박정희 대통령님을 수상자로 선정하고 시상식을 가졌습니다.
      Kbs Mbc 등 언론은 이에 관하여 철저히 함구하고 있습니다.
      시상식에서 방산학회장 채우석 박사의 수상자 선정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오늘 자랑스러운 방산인상 시상식에서 늦었지만 박정희 대통령님께 대상을 드리게 되어서 참으로 다행이고 영광입니다.
      1970년 8월 6일 박 대통령님은 각 군에 산재해 있었던 군사기술 연구소의 장비 및 인력을 하나로 모아 국방과학연구소를 창설하고 본격적으로 방위산업을 육성하기 시작했습니다.
      첫 시도가 번개사업이며, 이를 통해 250만 예비군을 경무장 시킬 수 있는 소총, 수류탄, 크레모아, 대전차 지뢰 등 8종의 무기들을 40일만에 개발했습니다. 이를 ‘40일의 기적’이라고 불렀습니다.
      전차와 장갑차를 만들기 위해 자동차산업에 투자를 했고, 미사일을 위해 전자산업에, 함정을 위한 조선산업과, 탄약과 포탄 제조를 위한 화학산업에 투자를 했으며, 철강을 위해 제철산업에 투자했습니다.
      이 공장들에 공업용수와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다목적 댐을 건설했으며, 후방인 창원공단에서 전방으로 무기 수송을 위해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했습니다.
      유사시 미군의 전시증원 물자 반입을 위해 부산항, 마산항, 울산항 등 항만을 정비했습니다.
      1970년대에 이렇게 투자한 것이 1980년대 국제적으로 저금리, 저유가, 저달러의 3저(低)호황을 만나면서 6.25전쟁으로 폐허가 됐던 대한민국이 선진국가로 발돋움하는 기반이 마련된 것입니다.

      이 땅의 풀 한포기, 돌 하나 공짜로 얻은 것은 없습니다. 선조들이 목숨 걸고 지켜준 소중한 자유를 후손들에게 물려주기 위해 전 국민이 각자의 위치에서 목숨걸고 노력했기 때문입니다.''
      읽을수록 한편의 서사시처럼 진실되고 감동적입니다.
      K9자주포 아버지 故김동수 박사가 특별공로상을 수상했다고 하는데, 이러한 위대한 수상식이 왜 쓸쓸히 보도되지 않았을까요?
      이 나라 현실이 너무 안타깝습니다.
      치악산님 블로그

  • @user-tz1sv9zu2m
    @user-tz1sv9zu2m Рік тому +2

    차분한 목소리
    너무 좋아요

  • @HandlerOne69
    @HandlerOne69 Рік тому +12

    이제까지 봐왔던 국매방산 수출 살적에 대한 가장 정확한 근거와 이에따른 뉴스 정보입니다!!!! 조금 감탄했음!! 그치만 정확한 부분에서 정보 오류가 있네요.. 우리나라 방산 무기들은 최신 성능과 높은 효율성을 갖고 있지만 그것에 비해 가격이 싼거지 무조건 미서방 무기들에 비해 싼거는 아닙니다 그리고 현궁의 경우는 제블린과 성능이 비슷한게 아니라 월등히 성능이 높습니다. 일단 무게가 제블린보다 80%정도 가벼워 훨씬 이동성이 좋고, 두번째 재블린은 레이저 유도를 위해 냉각해야 하는 시간이 10분 이상인데 현궁은 2분이 채 안걸립니다. 그리고 제블린은 탑어택 만 가능 하지만 현궁은 직격 추격 과 탑어택 둘중 하나의 방식을 선택해서 유도 공격할 수 있으며 제블린은 유도 방식이 하나이지만 현궁은 유도 방식이 2가지로 현상 상황에 맞춰 선택 적용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제블린은 육상 목표 만 타격이 가능하지만 현궁은 지상 목표와 낮은 고도로 진입하는 저속 항공기나 관측장비, 또는 침투용 헬기나 글라이더도 요격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한국 무기들은 대부분 미 서방 무기보다 같은 동급의 경우 월등히 성능이 우수합니다. 그리고 도입 이후 사후관리나 유지 비용이 미 서방 무기들에 비해 월등히 낮고, 효율적이며, 빠릅니다. 단순히 싸다는 이유만으로 대한민국 무기가 선택되고 있는것이 절대 아닙니다.

  • @user-ge9tv9lw9n
    @user-ge9tv9lw9n Рік тому +2

    대단한 대한무기 수입해주셔서 감사하고 더 발전 있는 관심 주세요

  • @user-jc8xo4nh7u
    @user-jc8xo4nh7u Рік тому +7

    대한민국이 자랑스럽습니다
    너무너무 멋지다

  • @babivest9949
    @babivest9949 Рік тому +5

    인권이나 국제 외교 같은걸로 눈치 볼 필요도 없고 발목 잡힐 일도 없어요.
    무기 수출 10안에 있는 나라들 보세요
    거의 다 인권과 자유를 부르짓는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같은 서구 국가들이잖아요
    우리도 그냥 좋은 무기 만들어서 많이 팔면 되는겁니다

  • @user-pf8rf7pi4c
    @user-pf8rf7pi4c Рік тому +1

    아주 깔끔한 나레이션. 구독합니다.

  • @sunsealim3365
    @sunsealim3365 Рік тому +1

    국방산업은 무엇보다도 수출이 잘되어야 발전이 이루어 지는 것이기에 일부 부작용에 연연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 @user-vj8mj4ln1l
    @user-vj8mj4ln1l Рік тому +6

    어차피 우리꺼 안 사면, 중국이나 미국꺼 사게 되니... 도덕적,윤리적 문제보다 그들이 자신을 지키기 위해 한국이 도와준다는 긍정적 마인드가 필요해 보임.

  • @user-zo1cf6kr9v
    @user-zo1cf6kr9v Рік тому +4

    분단국가라는 악재가 호재가 될때도 있네요
    진짜 사람일은 한치앞을 모름

    • @Kim-ig3qq
      @Kim-ig3qq Рік тому +1

      한국방산학회 2022년 올해의 방산인 선정
      방산산업의 연이은 수주 대박으로 세계 최고의 품질을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국방위산업학회에서 2022년 ''올해의 방산인"으로 고(故) 박정희 대통령님을 수상자로 선정하고 시상식을 가졌습니다.
      Kbs Mbc 등 언론은 이에 관하여 철저히 함구하고 있습니다.
      시상식에서 방산학회장 채우석 박사의 수상자 선정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오늘 자랑스러운 방산인상 시상식에서 늦었지만 박정희 대통령님께 대상을 드리게 되어서 참으로 다행이고 영광입니다.
      1970년 8월 6일 박 대통령님은 각 군에 산재해 있었던 군사기술 연구소의 장비 및 인력을 하나로 모아 국방과학연구소를 창설하고 본격적으로 방위산업을 육성하기 시작했습니다.
      첫 시도가 번개사업이며, 이를 통해 250만 예비군을 경무장 시킬 수 있는 소총, 수류탄, 크레모아, 대전차 지뢰 등 8종의 무기들을 40일만에 개발했습니다. 이를 ‘40일의 기적’이라고 불렀습니다.
      전차와 장갑차를 만들기 위해 자동차산업에 투자를 했고, 미사일을 위해 전자산업에, 함정을 위한 조선산업과, 탄약과 포탄 제조를 위한 화학산업에 투자를 했으며, 철강을 위해 제철산업에 투자했습니다.
      이 공장들에 공업용수와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다목적 댐을 건설했으며, 후방인 창원공단에서 전방으로 무기 수송을 위해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했습니다.
      유사시 미군의 전시증원 물자 반입을 위해 부산항, 마산항, 울산항 등 항만을 정비했습니다.
      1970년대에 이렇게 투자한 것이 1980년대 국제적으로 저금리, 저유가, 저달러의 3저(低)호황을 만나면서 6.25전쟁으로 폐허가 됐던 대한민국이 선진국가로 발돋움하는 기반이 마련된 것입니다.

      이 땅의 풀 한포기, 돌 하나 공짜로 얻은 것은 없습니다. 선조들이 목숨 걸고 지켜준 소중한 자유를 후손들에게 물려주기 위해 전 국민이 각자의 위치에서 목숨걸고 노력했기 때문입니다.
      읽을수록 한편의 서사시처럼 진실되고 감동적입니다.
      K9자주포 아버지 故김동수 박사가 특별공로상을 수상했다고 하는데, 이러한 위대한 수상식이 왜 쓸쓸히 보도되지 않았을까요? 이나라 현실이 너무 아쉽습니다.
      치악산님 블로그

  • @user-dl6cc6ku4x
    @user-dl6cc6ku4x Рік тому

    편안한 방송 감사

  • @user-rt6ho6zq4b
    @user-rt6ho6zq4b Рік тому +2

    이 유튜브싸이트.. 품격..보입니다. 그래서 구독합니다!!

  • @user-df1sn4jh8z
    @user-df1sn4jh8z Рік тому +57

    폴란드가 한국 전차를 도입한것은
    전차는 크게 지형에 따라 성능이 갈려서
    사실상 전차 1,2,3위가 크게 의미가 없어요
    1,2위 전차인 미국,독일이 아무리 성능이 좋아도
    우리나라 산속에 갖다 놓으면 속수무책..
    폴란드도 우리나라처럼 숲이 많고 진흙이 많아서
    진흙탕,물속, 산악지형에 설계된 구조,무기 등등..
    한국전차를 선택 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해여

    • @user-dj7tr3ej7i
      @user-dj7tr3ej7i Рік тому +1

      뭘 알고 말하는건지..? 폴란드 지형은 대평원이구만

    • @user-df1sn4jh8z
      @user-df1sn4jh8z Рік тому +25

      @@user-dj7tr3ej7i 평탄한 지형으로만 알고 계시는데ㅋㅋㅋ 산이 많이 없지만 숲이 엄청 크지요^^ 대부분 울창한 숲이고요
      폴란드 세계대전 때 가장 유명한 스나이퍼 영화 있을건데 게네들 전통이 아버지랑 숲속 가서 사냥하는게 전통이에요 이건 아세요??
      거기다 숲에다가 습한 호수도 엄청나게 많고요
      진흙이 많다고 위에도 말씀 드렸구요
      어디 나무위키나 보고 오세요 진짜 폴란드 아시는거 맞음?

    • @user-xr8zd9to8r
      @user-xr8zd9to8r Рік тому +6

      @@user-dj7tr3ej7i 대부분이 대평원이긴한데 빽빽한 숲이랑 산언저리도 꽤있습니다

    • @user-tb1ej4pg7x
      @user-tb1ej4pg7x Рік тому +6

      K2전차는 레오파르트2전차에 비해서 개량을 더 많이 할 수 있어서 그 단점도 극복될 수도 있을거 같아요 단점은 평원에서의 최적화가 안되어있다정도..

    • @modernandantique2861
      @modernandantique2861 Рік тому +4

      유럽의 교각들을 건너기에는 에이브람스가 너무 무겁기 때문입니다
      미국은 그걸 엄청난 돈을 부어서 누구도 넘보지 못하는 수준의 공병대를 같이 동원하는 걸로 즉석에서 해결하는 스타일이고요

  • @k-3030
    @k-3030 Рік тому +15

    꿩대신 닭을 선택한 느낌이 없지는 않지만 전쟁에서 제일 중요한건 무기의 신속한 보급이이까 합리적인 판단이라고 본다. 다만 전장에서의 실전 검증이 많이 없어서 이번 기회에 최고의 데이터를 수집해서 개발에 보탬이 되었으면 좋겠다.

  • @user-lc4kz8zg2l
    @user-lc4kz8zg2l Рік тому +1

    해설 잘 해 주심을 감사합니다 우리나라 화이팅~

  • @user-vs5jt1ib2h
    @user-vs5jt1ib2h Рік тому +1

    목소리가 참 좋으시네요
    계속 좋은방송 바랍니다.

  • @youngsinchang112
    @youngsinchang112 Рік тому +7

    강력한 자주국방만이 살길이다.

  • @user-xl6yv8do4g
    @user-xl6yv8do4g Рік тому +3

    말하는게 똑부러진 듯..차분하니..잘하네요..

  • @armttin
    @armttin Рік тому

    영상 진짜 깔끔하네요...ㄷㄷ

  • @sincerity518
    @sincerity518 Рік тому +2

    목소리가 정말 듣기 좋고 발음 등 전달력이 훌륭하십니다.

  • @trecime
    @trecime Рік тому +3

    러시아 눈치를 본다고? 그러니까, 러시아가 언젠가는 폴란드를 낼름 먹어야 되는데 한국의 무기가 그걸 방해할 수도 있으니까 지금부터 알아서 기어야 한다는 말이냐? 이런 사대주의적인 발상은 어디서 나오는 거냐?

  • @user-ks7pd4cj8u
    @user-ks7pd4cj8u Рік тому +3

    이게다 그동안 기업인들이 외국에서 신뢰를 가지고 사업하고 일쳐리 잘해주니 그 성과가 무기에서도 나타나는거지 한국이라면 믿을수 있다 거다가 우리네 부모님들 자식들 공부 시키는거하나는 아낀없이 투자 하셔고 그래서 지금 한국에 기술력이 이리발전한거고

    • @Kim-ig3qq
      @Kim-ig3qq Рік тому

      한국방산학회 2022년 올해의 방산인 선정
      방산산업의 연이은 수주 대박으로 세계 최고의 품질을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국방위산업학회에서 2022년 ''올해의 방산인"으로 고(故) 박정희 대통령님을 수상자로 선정하고 시상식을 가졌습니다.
      Kbs Mbc 등 언론은 이에 관하여 철저히 함구하고 있습니다.
      시상식에서 방산학회장 채우석 박사의 수상자 선정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오늘 자랑스러운 방산인상 시상식에서 늦었지만 박정희 대통령님께 대상을 드리게 되어서 참으로 다행이고 영광입니다.
      1970년 8월 6일 박 대통령님은 각 군에 산재해 있었던 군사기술 연구소의 장비 및 인력을 하나로 모아 국방과학연구소를 창설하고 본격적으로 방위산업을 육성하기 시작했습니다.
      첫 시도가 번개사업이며, 이를 통해 250만 예비군을 경무장 시킬 수 있는 소총, 수류탄, 크레모아, 대전차 지뢰 등 8종의 무기들을 40일만에 개발했습니다. 이를 ‘40일의 기적’이라고 불렀습니다.
      전차와 장갑차를 만들기 위해 자동차산업에 투자를 했고, 미사일을 위해 전자산업에, 함정을 위한 조선산업과, 탄약과 포탄 제조를 위한 화학산업에 투자를 했으며, 철강을 위해 제철산업에 투자했습니다.
      이 공장들에 공업용수와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다목적 댐을 건설했으며, 후방인 창원공단에서 전방으로 무기 수송을 위해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했습니다.
      유사시 미군의 전시증원 물자 반입을 위해 부산항, 마산항, 울산항 등 항만을 정비했습니다.
      1970년대에 이렇게 투자한 것이 1980년대 국제적으로 저금리, 저유가, 저달러의 3저(低)호황을 만나면서 6.25전쟁으로 폐허가 됐던 대한민국이 선진국가로 발돋움하는 기반이 마련된 것입니다.

      이 땅의 풀 한포기, 돌 하나 공짜로 얻은 것은 없습니다. 선조들이 목숨 걸고 지켜준 소중한 자유를 후손들에게 물려주기 위해 전 국민이 각자의 위치에서 목숨걸고 노력했기 때문입니다.''
      읽을수록 한편의 서사시처럼 진실되고 감동적입니다.
      K9자주포 아버지 故김동수 박사가 특별공로상을 수상했다고 하는데, 이러한 위대한 수상식이 왜 쓸쓸히 보도되지 않았을까요?
      이 나라 현실이 너무 안타깝습니다.
      치악산님 블로그

  • @vrrcj6785
    @vrrcj6785 Рік тому +2

    이승원 평론가님 ... 또박또박 귀에 쏙쏙 들어오는 발음과 차분한 음성에서 아주
    듣기도 좋고 이해가 잘됩니다
    여타 유투브 해설하시는 분들과 너무나
    비교됩니다
    지적이고 매력 넘치시네요
    이해하기 쉽게 거기다 간결하고 흥미롭게
    설명해주셔서 너무나 감사합니다 !!
    캐나다에서 열심히 보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최고 !!
    이승원님 최고입니다 !! 👍 💕

  • @DH-mi8sn
    @DH-mi8sn Рік тому

    자랑스럽습니다. 대한민국은 더 빛날겁니다

  • @user-uo4fw8oc7h
    @user-uo4fw8oc7h Рік тому +4

    진짜 이병철 회장 말 대로 우리는 되는 나라가 맞는것 같음.. 기회가 항상 찾아오네. 아쉬운게 kfx를 조금만 더 빨리 진행 햇더라면 아쉽다. 그리고 폴란드가 k4 자동 유탄 발사기도 대량 구매 했다는 이야기가 있던데 이건 뉴스에 안나오네.

    • @Kim-ig3qq
      @Kim-ig3qq Рік тому

      한국방산학회 2022년 올해의 방산인 선정
      방산산업의 연이은 수주 대박으로 세계 최고의 품질을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국방위산업학회에서 2022년 ''올해의 방산인"으로 고(故) 박정희 대통령님을 수상자로 선정하고 시상식을 가졌습니다.
      Kbs Mbc 등 언론은 이에 관하여 철저히 함구하고 있습니다.
      시상식에서 방산학회장 채우석 박사의 수상자 선정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오늘 자랑스러운 방산인상 시상식에서 늦었지만 박정희 대통령님께 대상을 드리게 되어서 참으로 다행이고 영광입니다.
      1970년 8월 6일 박 대통령님은 각 군에 산재해 있었던 군사기술 연구소의 장비 및 인력을 하나로 모아 국방과학연구소를 창설하고 본격적으로 방위산업을 육성하기 시작했습니다.
      첫 시도가 번개사업이며, 이를 통해 250만 예비군을 경무장 시킬 수 있는 소총, 수류탄, 크레모아, 대전차 지뢰 등 8종의 무기들을 40일만에 개발했습니다. 이를 ‘40일의 기적’이라고 불렀습니다.
      전차와 장갑차를 만들기 위해 자동차산업에 투자를 했고, 미사일을 위해 전자산업에, 함정을 위한 조선산업과, 탄약과 포탄 제조를 위한 화학산업에 투자를 했으며, 철강을 위해 제철산업에 투자했습니다.
      이 공장들에 공업용수와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다목적 댐을 건설했으며, 후방인 창원공단에서 전방으로 무기 수송을 위해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했습니다.
      유사시 미군의 전시증원 물자 반입을 위해 부산항, 마산항, 울산항 등 항만을 정비했습니다.
      1970년대에 이렇게 투자한 것이 1980년대 국제적으로 저금리, 저유가, 저달러의 3저(低)호황을 만나면서 6.25전쟁으로 폐허가 됐던 대한민국이 선진국가로 발돋움하는 기반이 마련된 것입니다.

      이 땅의 풀 한포기, 돌 하나 공짜로 얻은 것은 없습니다. 선조들이 목숨 걸고 지켜준 소중한 자유를 후손들에게 물려주기 위해 전 국민이 각자의 위치에서 목숨걸고 노력했기 때문입니다.''
      읽을수록 한편의 서사시처럼 진실되고 감동적입니다.
      K9자주포 아버지 故김동수 박사가 특별공로상을 수상했다고 하는데, 이러한 위대한 수상식이 왜 쓸쓸히 보도되지 않았을까요?
      이 나라 현실이 너무 안타깝습니다.
      치악산님 블로그

  • @user-zn2kv7oq9l
    @user-zn2kv7oq9l Рік тому +4

    깔끔한 진행과 군더더기없는 내용, 흡입력있는 목소리 정말 좋아요!

  • @user-tt5bh6li7l
    @user-tt5bh6li7l Рік тому +1

    고맙습니다.

  • @FuckingYoutube18
    @FuckingYoutube18 Рік тому +3

    유럽 동부권 나토국이 공동구매로 많이 사면 할인 해줘라.구매 나토회권국이 늘어나면 나토 표준무기로 채택되어 더 많이 팔 수도 있고

  • @davidpark3602
    @davidpark3602 Рік тому +5

    세계 경제가 점점 더 전쟁때문에 어려워지는 판국에, 우린 아이러니하게 돈을 버는 입장이라니 ...
    불행 중 다행이긴 하나, 무기가 필요한 세상이 더는 오지는 않길 바랍니다.

  • @user-bb4cb7qs2e
    @user-bb4cb7qs2e Рік тому +1

    멋지십니다

  • @user-wk5jc6ft8i
    @user-wk5jc6ft8i Рік тому +2

    와,설명 너무 잘하신다..인재다 인재

  • @su297777
    @su297777 Рік тому +9

    대한민국 국민의 땀과 지혜로 마련된 장비들이 세계 평화를 지키기를 바래봅니다.

  • @user-ib1mk1nd2w
    @user-ib1mk1nd2w Рік тому +10

    독일이나 미국의 생산 라인을 다시 가동하려면 돈과 시간이 엄청 들어갈 것입니다. 라인에서 작업을 하던 분들 모집하고 교육시키고 부품 업체 다시 모을려면 한 세월입니다. 이번 기회에 돈 좀 벌어야죠.

    • @wkfrkdy95
      @wkfrkdy95 Рік тому +1

      폴란드가 우선순위로 시간을 더 높게 쳐준것같습니다 비용은덤이구요

  • @user-zx7qk4ef6a
    @user-zx7qk4ef6a Рік тому +1

    깔끔하고 차분한 설명으로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좋아요 구독 누르고 갑니다.

  • @user-nn7qv2sz6k
    @user-nn7qv2sz6k Рік тому +1

    영상을보면서도 한국! 뿌듯하네요~

  • @user-lh9tp1gi7w
    @user-lh9tp1gi7w Рік тому

    말씀잘하시네요

  • @user-pk1li3fr3l
    @user-pk1li3fr3l Рік тому +29

    이렇게 자랑스러운 일을 하면 뭐하냐...
    KF-21개발자도 잘리고 항우연 과학자들도 대우도 개판인데...
    가성비 넘치게 만들면 대우도 화끈하게 해줬으면...

    • @user-weirdman50
      @user-weirdman50 Рік тому +8

      거 허위사실 유포하지 맙시다. KAI임원 교체된건데 무슨 엔지니어가 짤립니까? 사실관계먼저 확인해보시고 의도섞인 선동 마시길.

    • @byo-jab-cho
      @byo-jab-cho Рік тому +2

      @@user-weirdman50 엔지니어 하다가 부사장된건데???? 엔지니어인데???? 선동이라니

    • @cycross70
      @cycross70 Рік тому

      @@byo-jab-cho 단순히 임원교체 된 것을 문제 있다고 보는 것은 잘못된 시각입니다. 지금 KAI는 내부적으로 신임 임원들이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들이 많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user-wp1ut5jd8g
    @user-wp1ut5jd8g Рік тому +4

    한국 방산의 활약을 보면 정말 감개무량합니다. ㅎㅎ

  • @cejingme
    @cejingme Рік тому +1

    목소리가 나긋나긋 귀에 탁탁 꽂히는 듯해요 발음이 정확하고 아주 잘 들려요. 내용도 매우 유익해서 정주행으로 들었어요 북한하고 전쟁 중인게 전화위복이 되었네요

  • @yulcho1249
    @yulcho1249 Рік тому +2

    전쟁은 절대 일어나면 안되지만, 보면 가슴이 웅장해지는 영상이네요.

  • @wonhyunpark2972
    @wonhyunpark2972 Рік тому +2

    전쟁을 일으킨 나라도 아니고 방어를 위한 구매 국가대상 방산수출은 어느 누구도 뭐라 할 수는 없는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