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진 평론가 #10 | 서점 가면 어떤 책 살지 막막한 분? 돈과 시간 아깝지 않은 책 고르는 방법 |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6 лют 2025
- 프리미엄 특강쇼 [어쩌다 어른] EP.86
어쩌다 어른 (2017)
대한민국 대표 강연자들의 다시 보고 싶은 명강의가 새로운 인사이트로 돌아온다!
난생처음 어른이 된 우리를 위한, 각 분야 지식인들의 울림 있는 유머와 깊이 있는 통찰
《책 읽어 드립니다》, 《어쩌다 어른》제작진이 만든 대한민국 대표 지식 큐레이팅 채널 『사피엔스』
→ / 사피엔스스튜디오
책읽는 한사람으로서
정말 돈 아까운책들이 너무 많다는걸..난 정말 지식이 필요해서 샀는데 배울게 없는책일때 정말 땅치며 후회하곤합니다...책 고르기 너무 힘듭니다 ..돈잃고 시간잃는거니깐요..
쓰잘데기없는 저자들 너무많음
좋은 팁이고 공감도 가네요. 2/3 지점에서 잘 안넘어가는 책들이 많았던 것 같아요. ㅋㅋ
1. 서문/목차 읽기
2. 저자의 힘이 떨어지는 2/3 지점을 읽어보기
훌륭한 책은 모든 페이지가 훌륭하다.. 좋은말
2:25 이 영상도 2/3 지점부터 봤어야 했다....
서문 목차 꿀팁 감솨합니다~~
왜케 젊어보이지
비문학은 잘 읽히는데 문학은 중간부터 읽기 싫어짐 ㅜㅜ
보통 반대아님?
으엥̊̈ㅋㅋㄱㅋㄱㅋ?
@@김경빈-k8g 소설 재미가 없더라구요.. 영화는 넘기면 그만이지만..
소설은 허구라 실생활에 별로 도움이 안된다고 생각해서 그런걸거임 ㅋㅋㅋㅋ 님 디게 현실적이고 실용적인거 좋아하는 사람이죠?
비문학은 이해가 쉬움, 문학은 감정소모가 많고 길게 끌고가야함.
난 시리즈물 읽으면 작가가 이세상 사람이 아니거나 절필했거나 오지게 느리게 쓰고있음ㅠㅠㅠ 겨울의 바람 대체 언제나와요ㅠㅠㅠ
하 저도... 메르헨 죽이기 시리즈... 작가님 왜 돌아가셨어요 ㅠㅠㅠㅠ
기회비용:어떤 선택으로 인해 포기된 기회들 가운데 가장 큰 가치를 갖는 기회 자체 또는 그러한 기회가 갖는 가치를 말한다.(내가 선택하고 싶었지만 포기한 것에 대한, 미련을 가지는 것에 대한 것을 말하는 경제용어로 알고 있습니다.요즘은 초등학교 3학년부터 알려주던데요;;;)제가 작가님이 사용하신 의도을 잘 못 알고 있다면 죄송합니다.
책을 선택했을 때 기회비용이 높다 < 맞는 말인데 어느 부분이 이상할까요
책을 선택했울 때 비용과 시간적인 측면 둘 다 부담이 가기 때문에 영화, 여가생활, 운동 등 포기해야 하는 것이 크기 때문에 기회비용이 크다라고 표현한 것이 맞습니다
진짜 인물 표지는 유일한게 질서 너머라는 책 이었다.
이 에세이 저서는 상업화로 밖에 보이지 않아
에세이를 그리 좋지 않게 생각하는
나의 편견화된 사고를 비틀어 버렸다.
문학은 스포당할까봐 무섭다
전집 사면 안읽게되는거 인정 ㅋㅋㅌ😂
오 저도 중간 지점 확인 필수인데 ㅋㅋ
제가 소설 볼 때 기준으로는 2/3지점부터 결말이 궁금해서 몰입이 어려워 지는 것 같아요
아하 어쩐지 2/3부터 책장이 안넘어갔어
3/2 아니고 2/3 ㅎ
@@lethe210
앗.맞네용 ㅋ
진짜 쓰레기 책이 너무 많음
일주일에 영화 3편이 뭡니까 하루에 2편씩도 쌉가능인데
대부분 직장인들은 쉽지않죠..
일단 자기계발서 코너는 걷기운동하듯 지나친다
책 읽는 습관 들이기 위해선 종류를 가릴 필요는 없음
그런책도 좋은책은 좋음 요즘 막 나오는 인스타용 책 말고 진짜 박사들이나 공신력있는 사람이 쓴 자기계발서는 괜찮다고 봄..
저거 맞아요.ㅎㅎㅎㅎㅎㅎㅎㅎㅎ
오 대박 원래 책고를때 중간, 마지막쪽 부분부터 펼쳐보고 재미없으면 안 사는데...ㅋㅎㅋㅋ
이동진은 못참지~
1:25 누규?
배우 황승언 님 입니다ㅏ
잘보고갑니다
서문만 읽고 낚인책 대표적으로 정재승 열두발자국
강연 흥미롭게 잘 들었습니다!!
Good
2:35
나랑 똑같네
꿀팁이당. 전 표지가 아스트랄한 책은 무조건 거릅니다.
기회비용이라는 단어를 저럴때 쓰는 건가요?
그러게요..기회비용의 의미를 잘못알고계신것 같아요.ㅠㅠ
책읽는데 쓰는 시간이랑 돈을 다른데 쓸 수 있으니까 저렇게 써도 되는거 아닌가요
@@임영훈-s6f 그런가요^^;;; 다시 생각해보겠습니다.감사합니다~
ㄴㄴ 그냥 더좋은삶 유튜브 보면 됨
역시 디오 사마
굳이 좋은책을 찾으려하고
굳이 3분의2 지점을 찾아서 읽어야 되나
그렇게 까지 해야되나
좋은책을 찾아서 읽는것보단
그냥 내 마음이 가는 책을 읽는게 더 맞는거 같은데
좋은책이라고 해서
무조건 내음에 든다는 보장은 없잖아
그냥 좋은책 나뿐책 훌륭한책 별로인책 이런걸 구분해가며
책을 고르는거 자채가 피곤할거 같은데 ㄱ
책을 그냥 많이 읽는게 좋지만 초보들 입장은 다르죠 ㅋㅋㅋ 안좋은 책은 읽으면 손해라는 생각에 좋은 책을 찾는것 같아요
많이 읽다보면 눈이 달라져요.
재미로만 읽는거면 차라리 그 시간에 공부하는 편이 훨씬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