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 디젤 이야기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1 січ 2025

КОМЕНТАРІ • 203

  • @Hyucklee73
    @Hyucklee73 Рік тому +30

    디젤붐을 촉발시켰던 것은 바이오디젤이었죠. 콩이나 옥수수등에서 추출한 기름을 경유와 일정비율 5%~30%까지 섞어서 판매를 하였는데
    오염물질배출을 상당히 저감시켰습니다. 심지어 일부 100%콩기름으로 주행하는 시험까지 하는 경우도 있었죠
    이모든게 디젤게이트때문에 한방에 가버렸다고 보기는 힘듭니다. 물론 디젤게이트가 촉발시킨것은 맞지만
    디젤엔진의 근본적인 문제 - 소음 진동등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NVH문제등으로 운전자와 동승자를 피로를 유발할 수밖에 없었죠
    올것이 오고야 만것인상황에서
    가솔린엔진수준의 정숙성을 유지하려면 방음 방진등에 더 투자를 해야하는데 이는 가뜩이나 제조원가가 비싼 디젤엔진이었기에
    경쟁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던 것이었죠

    • @mkmk5790
      @mkmk5790 Рік тому +1

      식물성 기름 섞어쓰면 가격은 배로 높아짐;

    • @leedooyoung1
      @leedooyoung1 Рік тому

      바이오 디젤은 연료비가 비싸서 상용화는 어려웠을듯..

    • @유휘
      @유휘  Рік тому +1

      자세하고 상세한 답글 감사합니다! 덕분에 더 깊은 내용을 알 수 있었네요:D

  • @kwakkumi5834
    @kwakkumi5834 Рік тому +3

    4:00 가솔린이 압축비를 높힐 수 없는 이유는 인화점이 낮고 착화점이 높음 착화점이 높다는것은 고압축으로 압축하게 되면 조기에 연료가 점화가 되기 때문에 압축비를 높히는데 한계가 있음 그래서 낮은것임 반대로 디젤은 인화점이 높고 착화점이 낮음 그래서 고압축이 가능.

  • @leehyungwoo1959
    @leehyungwoo1959 Рік тому +13

    디젤엔진은 이산화탄소배출량이 가솔린엔진보다 적게배출되는 걸로 알고 있음. 지구온난화는 이산화탄소가 일으키는것이고 질소산화물은 scr등의 후처리 장치를 통해 줄일 수 있음에도 가솔린엔진보다 가혹한 규제를 하고 있다고 생각함.
    즉 효율좋고 대기오염물질 및 온난화가스 배출량을 가솔린엔진보다 줄일 수 있는 기술이 있는데도 활용하지 않는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함

  • @JYC
    @JYC Рік тому +63

    아우디는 한때 내구래이스에서도 디젤엔진으로 우승을 하기도했죠 프로토타입 바디로 그러나 디젤게이트로 점점 퇴출되고 지금은 포뮬러E가 등장하며 내연기관에 종식을 보이는데 하지만 전기차에 핵심인 배터리도 안전성에서 만점이 아직은 아니라는 부분에 저는 전기차가 정답이라곤 말못하겠네요 오늘도 잘보고갑니다

    • @stellina4557
      @stellina4557 Рік тому +2

      LFP 배터리가 있다고는 해도 무겁고 효율성 문제가 있어서 버스같은 상용차에나 들어가고있져.
      아직까지는

    • @풀뿌리민주주의-q1e
      @풀뿌리민주주의-q1e Рік тому

      전기차가 해답은 아니더라도 대안은 될 듯

    • @안되는차되게하라
      @안되는차되게하라 4 місяці тому

      2006년 아우디 르망 프로토타입 lmp 머신에 v12 5.5 트윈터보 tdi를 장착한 머쉰으로 르망 위닝카의 자리에 들었죠
      무려 12기통에 트윈터보 디젤이라는 엄청나게 무거운 파워트레인으로 르망을 돌았다는게.....

  • @김윤성-w5l
    @김윤성-w5l Рік тому +5

    Egr은 배기가스를 다시 흡기고 돌려 egr쿨러를 거치게 됩니다
    질소산화물과 함께있는 저농도의 산소를 포함한 차가운 공기가 흡기로 가면서 엔진의 열을 내려 완전연소가 되지 못하게 만들고 그래서 산소와 질소가 결합하는걸 방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 @BPSonic
    @BPSonic Рік тому +14

    표면적인것 보단 디젤은 가솔린보다 연비가 좋아 가솔린이 2L의 연료를 소모해서 생성되는 전체 2L양의 배기가스 보다
    1L연소를 통해서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적어서 큰편으로 따졌을때 환경 친화적이죠. 완전연소도 잘되고 이로인해 질소산화물이 생성되는게 아쉽지만.

    • @Joe-mr3zw
      @Joe-mr3zw Рік тому +1

      이산화탄소양만 가지고 따지면 안되요. 질소산화물이 상당히 치명적 발암물질이자, 지구 온난화물질입니다. 질소산화물은 아산화질소로 변하는데 이게 이산화탄소대비 330배 강력한 치명적 온난화 물질이에요.

    •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Рік тому

      온실효과는 지구전체로 분산되지만 질소산화물은 당장 우리국민을 암과 호흡기질환에 시달리게 합니다.
      합리적으로 따져보면 질소산화물을 규제하는게 더 우선이죠. 한국은 중국발 미세먼지 때문에 의미없지않냐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만...
      그래도 중국에서 바람이 안불어서 날씨가 맑을때도 트럭옆에 지나갈때마다 공기차이 심한걸 보면 필요하다고 생각하긴 합니다.

  • @Griffino
    @Griffino Рік тому +66

    디젤에서 나오는 미세먼지보다 타이어,브레이크에서 나오는 분진이 더 문제인걸로 아는데 이것도 한번 다뤄주세요~

    • @wraith73
      @wraith73 Рік тому +15

      여기저기 관련 동영상 보다가 기억난거라 출처는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데, 타이어/브레이크의 분진이 미세먼지 보다는 인체에 해롭지만 크게 이슈화 되지 않는 이유는 밀도가 낮아 가라앉기 때문이라고 본 기억이 있습니다. (그래서 도로 가까이 있는 저층부 아파트는 분진에 창틀이나 창이 까맣게 되지만 같은 아파트 고층은 그렇지 않다고 예를 들었어요) 그렇지만 미세먼지는 공기와 같이 떠돌면서 상승기류 등등으로 위로 까지 올라 갈 수 있어서 문제가 되는거라고........... 자동차 관련 동영상을 여기저기서 보고 구독해서 본건 아니라서 정확히 누가 언급했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ㅠㅋ (= 사실이 아닐 수도 있음;;)

    • @5r966
      @5r966 Рік тому +3

      @@wraith73 근데 사람은 바닥에 붙어있어서 저층부 아파트에 묻을 정도면 사람한텐 영향이 있다는거 아닌가요....

    • @injangjujakeun
      @injangjujakeun Рік тому +3

      전기차는 회생제동으로 인해 브레이크 패드 마모가 매우 적어서 그마저도 전기차가 우위입니다
      분진없는 타이어는 국내외에서 꾸준히 연구개발중입니다

    • @Joe-mr3zw
      @Joe-mr3zw Рік тому +1

      미세먼지 성분분석하면 한국은 대부분 자동차 유해가스와 매연이고 브레이크패드와 분진은 극소량 나옵니다. 유럽과 달리 장수명타이어와 유기패드 사용때문으로 보입니다. 유럽과 쓰는 타이어와 패드가 달라요, 오래전부터 친환경 소재임요

  • @W11_EQperformance
    @W11_EQperformance Рік тому +6

    다시 한번 모빌과 함께!!

  • @참이슬오리지널-m6n
    @참이슬오리지널-m6n Рік тому +4

    커먼레일디젤이 클린디젤로 판매가 장려되던때는 지구온난화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은 차량이 친환경의 기준이였지만 시간이 흘러 미세먼지(pm),질소산화물(Nox)가 환경오염의 주범이라는 기준으로 바뀌면서 디젤기관의 퇴출을 앞당겨버린거 아닐까요

  • @pmj1554
    @pmj1554 Рік тому +7

    그나마 지금 제일 무난해보이는게 하이브리드인데 기본 트림 단가가...

  • @isthatsupra1972
    @isthatsupra1972 Рік тому +2

    와!!!유휘님광고!!!축하합니다!

    • @유휘
      @유휘  Рік тому +2

      하핫 구독자 여러분들 덕분 아니겠습니까!!

  • @stormglaive
    @stormglaive Рік тому +1

    EGR 뭔가 귀에 익다 싶었더니 디젤 게이트때 많이 듣던 단어였군...

  • @deungwoo7403
    @deungwoo7403 Рік тому +9

    디젤 승용차 만큼은. 엄청난 부품이 추가되어 있어서....가솔린 승용차보다 훨씬 친환경이지요...

  • @Dowan_Gim
    @Dowan_Gim Рік тому +3

    잘 봤습니다.

  • @cruze1.8
    @cruze1.8 Рік тому +39

    탄소제로 정책으로 기술적으로 디젤이 클린디젤되도 퇴출될듯. 10년만 지나면 화석연료 차랑을 볼수 없다는게 안타까움

    • @golani-xival
      @golani-xival Рік тому +7

      완전 퇴출까진 안될꺼 같고
      오토바이처럼 돈많은 취미가 되지 않을까합니다.

    • @남김선용-l2t
      @남김선용-l2t Рік тому +1

      퇴출이 아니라. 생산중단 아닌가요?

    • @EVhuman
      @EVhuman Рік тому +1

      생산 중단이에요 ㅋㅋㅋ

    • @niemi7508
      @niemi7508 Рік тому +10

      항상 손바닥 뒤집는게 세상임
      지금당장은 곧 내연기관 없어질것 처럼 그러지만 절대 안없어짐

    • @분노의CRDi
      @분노의CRDi Рік тому +4

      정책이란 원래 말이 바뀌는것.
      불과 5년전만해도 정부는 클린디젤
      이라고 디젤차량에 저공해딱지붙여줬지만
      디젤게이트가 터진후 슬그머니 사라짐.
      35년은 커녕 50년에도 내연기관은 형태는
      다를수있어도 생산중일듯.

  • @리쉬디자인67
    @리쉬디자인67 Рік тому +1

    결국은 사기 당했다 이런 영상이네요 ㅋㅋㅋ 클린디젤
    그러면 소비자가 해야할 수순은 무엇인가요?

  • @kkongbum
    @kkongbum Рік тому +1

    목소리 개좋당ㅎㅎ

    • @유휘
      @유휘  Рік тому

      칭찬 감사합니다 :D

  • @lasercho4338
    @lasercho4338 Рік тому +2

    3:34 연비가 좋다는 것은 일산화탄소와 탄화수소가 가솔린 엔진보다 적게 나온다는 것을 뜻한다?????? 이건 틀린 문장입니다. 이전 디젤 엔진보다 이후 디젤 엔진이 연비가 개선되었다고 하면 일산화탄소와 탄화수소가 더 적게 나온다, 그게 연비 향상의 결과다고 해도 되지만, 애초에 연료가 달라서 연비가 좋은 디젤이 가솔린보다 불완전연소생성물이 덜 나온다는 것이 잘 연소되기 때문이다 라고 하는 것은 아니죠. 맞는 말이긴 해도 그게 그걸로 연결되면 안되는 겁니다. 좀 덜 완전연소되어도 디젤유 특성상 가솔린보다 연비가 좋을 수 있고, 그 상태로 불완전연소생성물 뿜뿜할 수 있으니까요.

    • @유휘
      @유휘  Рік тому +1

      오류가 있는 부분 잡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조금 더 신중하게 얘기했어야했는데 그러지 못했네요.

  • @joshuacho1200
    @joshuacho1200 Рік тому +7

    디젤 승용차를 몰고 있지만 그 언덕길에서 디젤 엔진의 토크빨에 취하면 ㅋㅋ 그리고 요즘은 요소수 장치가 좋아서 유로6정도면 휘발유 엔진보단 더 장점이 많은데요..ㅠㅠ

  • @칠리새우맛우유
    @칠리새우맛우유 Рік тому +91

    디젤차량 없어지진 않을꺼에요. 전기차량이 현재 친환경이다 하는데 이걸 역순으로 생각해보면 오히려 비친환경일수도 있다는거죠. 왜냐면 현재 여름만 되도 폭염속에 전력난을 겪고있는 지금 전기차가 등장해서 너도나도 전기차를 탄다면 그 전기는 어디서 공급할까요? 환경단체에서 탈원전 외치는 이시국에 원전을 더추가하는게 가능할까요? 화력발전소요? 화력발전소는 공해 없을까요? 오히려 공해에 주범중의 주범이죠. 수력 풍력은 솔직히 효율이 많이 떨어집니다. 친환경 발전이라고 했던 태양광도 효율적이지 못하고 오히려 숲을 해치고 그 숲을 해치면서 동식물들이 오갈곳이 없어집니다. 이것또한 말이야 친환경이지 아니라는거죠. 그럼 효율을 극대화 해서 전력을 부족하지않게 공급할려면 원전을 추가해야되는데 안되니 어째야될까요. 그리고 계속 뉴스에서도 온난화의 주범이 자동차매연을 꽂는데 실상은 축산업하는 농가에서 가축들로 인한 비료와 변에서 나오는 가스가 공해와 온난화의 주범이고 자동차 매연보다 몇배가 더심각하다는게 정설로 전해지고 있어요. 그리고 공해는 중국으로 부터 오는 미세먼지 황사가 더 심각해요...그리고 지하에 매장되어 있는 화석연료가 바닥나고있다는 말도 한동안 항간에 돌았는데요. 그건 그냥 항간에 도는 헛소문이라는 내용 있었어요. 몇백년 이상을 쓸 화석연료는 충분하다고 나왔었어요..말이 너무 길었네요. 어쨋든 디젤이 없어질꺼라는 말들이 많은데 절대 없어지지 않을꺼에요. 승용차 디젤이 없어진다는것도... 글쎄요... 진짜 물넣고 갈수있는 차가 나오지 않는 이상엔... 절대 없어지진 않을듯요...

    • @ssigichan
      @ssigichan Рік тому +9

      공감합니다. 엄지척 한개요ㅎ

    • @blackluke
      @blackluke Рік тому +12

      저도 아직은 전기차 너무 시기상조라고 생각합니다.
      전기 생산 자체가 친환경적이 아닌데 친환경차라니…. 그래도 이런 시도가 많아지다보면 기술의 발전이 일어나는 계기가 되겠죠!

    • @user-wb2ci3dg1b
      @user-wb2ci3dg1b Рік тому

      222

    • @homerjaysimpson9110
      @homerjaysimpson9110 Рік тому +4

      노인네, 구석기시대가 끝난게 돌이 고갈돼서가 아니다 ㅋㅋ
      아직도 10년전 논리로 들이미는거 보니까 웃음만 나오네요. 팩트 업데이트좀 하세요 ㅋ

    • @네고X
      @네고X Рік тому +17

      ​@@homerjaysimpson9110 팩트는 환경문제가 아니라는거다

  • @e92_03
    @e92_03 Рік тому +2

    솔직히 이렇게 전동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횡에서.. 우리나라 발전비율이 석탄화력발전소가 25프로 이상인데.. 전기차가 확 늘어나게 된다면 신재생 에너지를 확 늘릴수도 없고 원전을 늘릴수도 없고 지금으로썬 석탄만 오지게 더 태울뿐임.. 결론적으로 사용량이 확 늘면 석탄만 오지게 돌릴것이고 그렇게되면 겉만 친환경인 아이러니한 상황이 올것같은데... 전기차보단 하이브리드를 발전시키고 친환경 발전 인프라부터 구축해나가는게 급선무가 아닐까 싶은데... 너무 급하게 흐름만 타고있는게 아닐까 싶음..

  • @나의V로그
    @나의V로그 Місяць тому +1

    ???: 라떼는 🐎이야, SUV하면 무조건 '디젤' 이였다. 이 🐎이야.

  • @geny1
    @geny1 Рік тому +26

    지금으로 보면 GDI가 디젤보다 오염물질이 더 많지 않나요?

  • @빨간망토챠차
    @빨간망토챠차 Рік тому +1

    국내에서 디젤이 인기가 내려가는 이유는 복합적인 이유가 있었죠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덕분에 경유값이 치솟았고 거기에 요소수 대란까지 터지는 바람에 이럴꺼면 그냥 가솔린을 타자 라는 인식이 생겼음 거기다 배기가스배출 기준이 점점 높아짐에 따라 배기가스 저감장치로 인해 내구성이 점점 낮아지는 문제도 있죠.. 그 와중에 더이상 디젤엔진은 개발하지 않는다는 현기의발표도 한몫했구요 그러면서 중고차 시장에서도 디젤차의 인기가 폭락했고 신차 구입 하는 사람들도 디젤차량을 신차로 뽑는 사람은 이젠 별로 없죠 그덕에 하이브리드가 디젤수요를 대신하고 있습니다

  • @분노의CRDi
    @분노의CRDi Рік тому +5

    퇴출된다는건 쌉소리...
    디젤이 환경오염때문에 퇴출될라면
    가솔린이 먼저되야지. 이미 환경오염에
    대응하는 디젤과 달리 가솔린은 이제서야
    환경보호를 위한장치가 달리기시작함
    그리고 인류와 100년을 함께한 내연기관인데
    전기차나왔다고 몇년전부터 급작스럽게
    퇴출얘기가나오는데 쉽게 못버리지.
    아직 일부 철도 운송트럭 비행기는 연료쓰는데도 별 얘기가 안나오는데 승용차만 규제한다?
    조삼모사가 따로없음ㅋㅋ 내연기관은 규제
    따위로 없어질 물건이아님.

  • @박세훈-n3y
    @박세훈-n3y Рік тому

    구독하고가요!!

  • @feelmy3179
    @feelmy3179 Рік тому

    전기차는 친환경이 아닙니다. 전기차에 전기가 태양열혹은 풍력생산이라면 그렇겠지만 태양열 풍력으로 얻어지는 전기는 원전이나 석탄석유로 돌리는 것에 비하면 얻어지는게 많이없죠 결국 원자력 발전을 부추기는 에너지원이 될겁니다.

  • @leedooyoung1
    @leedooyoung1 Рік тому +1

    요즘은 하브랑 전기차가 대세이긴 하죠. LPG 랑..

  • @realkiki74
    @realkiki74 Рік тому +1

    디젤의 연비좋고 팍하고 치고나가는 힘이 좋아서 디젤 차량만 몰았었는데 디젤게이트 터지고 디젤차량도 사라지는 추세라서 그런지 현재 제 차량은 쏘렌토 하브군요

  • @parkjeongseon5022
    @parkjeongseon5022 Рік тому +2

    다음엔 다양한 여러나라들의 운전면허 시험에대해 다뤄주세요
    핀란드에선 빙판길 대처법(비판길에서 스핀걸린 상황같은)도 운전면허시험에 포함된다고해요
    영상주제로 재미있을거같아요

    • @유휘
      @유휘  Рік тому +1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D

  • @enigma-superman
    @enigma-superman Рік тому +2

    다양하고 과학적인 설명도 중요하지만 클린 디젤 옹호론자들에게 디첼차 뒤에서 냄새 맡아 보라고 하면 답이 딱 나옵니다. 휘발류차의 머플러와 디젤차 머플러 뒤에 서있게 해보면 긴말이 필요 없습니다. 클린디젤이라는 단어는 희대의 사기극 이였죠

  • @박종구-y4p
    @박종구-y4p Рік тому +8

    검은매연은 옛날이고 디젤이가솔린보다 이산화탄소배출이적어

    • @곽정규-y7k
      @곽정규-y7k Рік тому +7

      오히려 GDI 엔진이 요즘 디젤보다 미세먼지가 더 나온다고 하죠 ㅋㅋ

    • @Joe-mr3zw
      @Joe-mr3zw Рік тому

      문제는 질소산화물이 아산화질소로 변하는데 이게 이산화탄소 대비 330배 강력한 지구 온난화 물질이라, 단순 이산화탄소 양만 가지고 따지면 안되고 질소산화물도 포함해서 계산하면 디젤이 절대 탄소배출이 적은 엔진이 아닙니다.

    • @곽정규-y7k
      @곽정규-y7k Рік тому

      @@Joe-mr3zw 이게 맞는 말인게 질소산화물 발생 요건이 높은 온도및 높은 압력과 시간만 주어지면 더 많이 발생하게 되는걸로 알고 있음 디젤은 기본적으로 가솔린대비 압축비가 상당하다보니 질소안화물이 많이 나오는 구조라 일단 SCR 이나 EGR로 때우긴 하는데 언제까지 먹힐지는...

  • @ptahoteff
    @ptahoteff Рік тому +4

    디젤 엔진이 꼭 사악한 엔진은 아니구나.

  • @javaxerjack
    @javaxerjack Рік тому +1

    1. 근데 미국은 군용과 대형 화물 빼곤 디젤차가 거의 없죠.
    2. 가솔린도 옥탄가가 높은 가솔린(고급휘발유)를 쓰면 압축비를 높히는게 가능하긴 합니다.

    • @d0hyunssi
      @d0hyunssi Рік тому +1

      어...일반 픽업 SUV 밴들까지 아직 디젤 사용하는곳 많습니다. 물론 부분 전기화 되고 있긴 하지만 포드는 파워스트록, 쉐보레는 듀라맥스, 닷지/램은 커민스 등등 아직까지 디젤엔진 쓰는 차종들 많이 볼 수 있어요

    • @javaxerjack
      @javaxerjack Рік тому

      @@d0hyunssi 미국 차량의 경우 픽업트럭도 가솔린을 쓰는 차가 많은걸로 알았는데, 다른가 보군요.

    • @prosciutto1234
      @prosciutto1234 Рік тому +1

      ​​@@d0hyunssi 유럽보다 디젤 적은건 사실 아니에요? 디젤차가 아직 나온다는 ㅊㅏ이가 있을뿐 가솔린이 다수입니다

    • @버두고
      @버두고 Рік тому +2

      미군 전체 기름으로 작동하는 모든 엔진은 jp8 제트연료로 통일시켰습니다. 미국만이 할 수 있는 돈놀이죠 전쟁 시 원할한 보급을 위해서 연료개통을 따로 쓰면 복잡해지는 문제도 있고 보급이 안되는 지역에서 급하게 서로 다른 거 즉 헬기에서 연료빼서 트럭으로 트럭에서 연료빼서 탱크로 탱크에서 연료빼서 전투기로 이런 식으로 서로 상호작용

    • @juny-r4r
      @juny-r4r Рік тому +1

      휘발유는 발화점이 디젤보다 현저히 낮기 때문에 압축비 높히게 되면 자연발화가 의도치않게 발생해서 노킹 발생해요

  • @zx_g6427
    @zx_g6427 Рік тому +18

    디젤차 퇴출의 진짜 목적은 개인이 관리부담해야 할 각종 환경장치들을 중앙집중화 시키기 위함임 발전소도 개별 디젤엔진과 마찬가지로 DPF,SCR등 과 유사한 환경정화장치가 설치되는데 디젤차를 타고다니면 개개인들이 각종 환경정화장치를 관리해야되지만 디젤차를 퇴출시키고 전기차를 보급하게 되면 발전소 몇 곳만 정화장치를 관리하면 됨

    • @kjg12
      @kjg12 Рік тому +5

      전기차는 절대 친환경아닙니다 lpg차하고 cng버스를 장려해야합니다

    • @injangjujakeun
      @injangjujakeun Рік тому +1

      ​@@kjg12 lpg는 석유에서 추출해야 하는데 어떻게 친환경일 수가 있죠?

    • @kjg12
      @kjg12 Рік тому +2

      @@injangjujakeun lpg는 그냥 상온에서 나와요.. 정제과정에서도 친환경입니다

    • @원주엑디수차주
      @원주엑디수차주 Рік тому +2

      @@injangjujakeun 전기는 발전소에서 만들어야되는데.. 친환경적일까요?

    • @asmrty982
      @asmrty982 Рік тому

      dpf 관리를 개인들이 잘 안하는것도 문제. 디젤차량들 머플러 까매진 파량들 대부분은 dpf 가 녹았거나 막힌 차량들 입니다. 근데도 그냥 달리죠. 트럭들은 건식으로dpf 탈거해서 청소가 용이한데 , 승용 디젤들은 그것보단 좀 성가시죠. 주기적으로 해줘야 하는데도 그냥 기름만 넣고 타고 다니는 사람들도 많고.

  • @lee-cq5vo
    @lee-cq5vo Рік тому +1

    각종 유로5dpf 유로6 dpf+scr 언제또 유로7나오면서 배기에 뭐기달릴지 그리고 고장나면 수리비는 비싸니.

  • @상쾌한매루치
    @상쾌한매루치 Рік тому +1

    난 차라리 수소를 더 연구하는게 맞다고봄 우리 형이 이과여서 뭐시깽이 막 알려줬는데 수소차에 쓰는 수소는 일반 수소가 아니라 삼중수소라고 해서 폭발위험이 없다고 하더라고 차라리 삼중수소를 양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더 안전하고 많이 옮길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해서 수소공급을 늘려서 수소차를 만드는게 훨씬 나을것 같음 뭐 수소차에서 나오는 물은 어떡할꺼냐 그거 겨울에 나오면 빙판되서 차 전부 미끄러질텐데 라는 얘기도 해봤는데 충분히 차 안에 공간 만들어서 채워놓을 수 있다 생각함 뭐 댐 수문 연것마냥 콸콸 쏟아지는것도 아니고 찔끔 나오는데 그거 담을 공간 못만들면 차도 못만들었지

    • @바가지-m5z
      @바가지-m5z Рік тому

      그냥 너가 연구원을 하세요ㅋㅋ 누구라고 그 생각을 못했을까?
      연구를 좃빠지게 하면 막 차값이 반으로 내려가고 혁신적인 기술을 얻고 그럴거 같아?
      애초에 내연기관차들만 다니던 차량시대에 전기차가 들어온지 얼마되지도 않았고, 이 판국에 수소차라고 내놓으면 경쟁력이 있을까?

  • @CosmoWanderer
    @CosmoWanderer Рік тому +6

    디젤차량은 몰라도 가솔린 차량은 절대 안사라질듯함....

    • @muse1129
      @muse1129 Рік тому +6

      반대로 디젤은 중장비 대형트럭 선박등은 사용하고 가솔린은 전기로 대체되겠죠

    • @겨울여행-t3y
      @겨울여행-t3y Рік тому

      @@muse1129 트럭은 차아니냐?? 이제 아예 못몰고다니게 한다니까용 ㅠㅠㅠ

    • @sjnksj
      @sjnksj Рік тому +2

      디젤이 사라지면 가솔린도 사라집니다만😂

    • @juny-r4r
      @juny-r4r Рік тому +1

      평균적으로 연료의 에너지의 27퍼센트만 바퀴로 전달시키는 효율이 낮은 연료인데 사라지겠죠.

    • @휴지-n3j
      @휴지-n3j Рік тому +2

      멍청한소리하고있네 디젤운행불가되면 가솔린,가스,하이브리드 다 비슷한 시기에 싹다 손잡고 못타게된단다 왠줄알아? 신형디젤차보다 가솔린차들이 환경오염물질이 더많이 나오거든~
      그때쯤이면 환경부에서 내연기관차 싹다 같이 싸잡아서 전기차로 전환시킬거거든

  • @nurungji-
    @nurungji- Рік тому +2

    환경때문에 디젤엔진에 가져다 붙인 부품들이 모두 비쌈 커먼레일 인젝터 EGR 터보차저 DPF 요소수 SCR 이런것들중 고장이 나면 수리비는 매우 비싸고 하나가 고장나면 다른것도 고장남...

  • @kth4333
    @kth4333 Рік тому +6

    상용차들은 아직까지 전기차의 효율이 너무 떨어지기 때문에(배터리 무게로 디젤차에 비해 적재용량 감소) 디젤 퇴출은 시간이 걸릴 것 같습니다.

  • @주먹왕팬치
    @주먹왕팬치 Рік тому

    근데 디젤차량 타고있는데 디젤차량 진짜 좋긴함 최신에 나온차라서 떨림 없고 출력좋고 연비좋고 가격싸고 난 진짜
    만족함

    • @KOREA-NO.1
      @KOREA-NO.1 8 місяців тому

      저도 디젤이 더좋은거 같습니다.

  • @mylegame
    @mylegame Рік тому +13

    효율도 좋고
    dpf로 배기물질 거의 0에 가까움
    사실 친환경 맞음

    • @자연인권형석2
      @자연인권형석2 Рік тому +2

      SCR도 빼놓으면 섭하지요

    • @문영미-g1i
      @문영미-g1i Рік тому +2

      카니발이나 펠리세이드같은 뚱뚱한
      차에 3000CC넘는 가솔린 엔진 때려박는거보단 디젤모델이 훨신 친환경 같습니다.

  • @4561-g1g
    @4561-g1g Рік тому +1

    포터 초장축 슈퍼캡 2000년식 유리에 친환경 자동차 딱지 붙어있음

  • @Trinity89098
    @Trinity89098 3 місяці тому

    누님 저는 장거리를 많이 다녀서 가솔린보다는 클린디젤을 더 선호합니다

  • @문영미-g1i
    @문영미-g1i Рік тому +1

    카니발이나 펠리세이드같은 뚱뚱한
    차에 3000CC넘는 가솔린 엔진 때려박는거보단 디젤모델이 훨신 친환경 같습니다.

  • @user-ddboy06
    @user-ddboy06 Рік тому +1

    이론상으로는 디젤이 더좋습니다 고속도로 주행이 90%이긴 하지만 저는 하이브리드를 선택했어요

  • @stellina4557
    @stellina4557 Рік тому +5

    그리고 폭스바겐 덕분에 세단같은 차량에도 요소수를 넣으라는 개정규제인 유로6D가 발표됐져

  • @어린시절-d5n
    @어린시절-d5n Рік тому +2

    디젤이 답이여

  • @셂인
    @셂인 Рік тому +7

    하이브리드가 최곱니다

    • @auhyi
      @auhyi Рік тому +2

      전기차

    • @2yoondaddyjj
      @2yoondaddyjj Рік тому +6

      ​@@auhyi 전기차는 아직 5-10년치 기름값 미리차값으로 내고 불편함 감수하고 타는차
      라고 생각됩니다..

    • @셂인
      @셂인 Рік тому +5

      ​@@auhyi 환경공학전공인데 그 전기 뭘로 생산하죠? 똑같이 화석연료잖아요? 솔직히 큰 의미없어요 그거. 그리고 전기차로 전부 공급하면 나중에 전체적인 전기요금이나 총 전력 생산량이 상온 초전도체가 아닌이상 따라갈 수 있을라나요...ㅇㅅㅇ..

    • @JYC
      @JYC Рік тому

      아직은 하이브리드가 좋다고 하지만 오히려 엔진을 안돌려 엔진에 데미지가 갈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셂인
      @셂인 Рік тому +3

      @@JYC 그거는 엔진을 안 써서 문제라기보다는 배터리로는 출력이 부족해서 엔진을 주행도중에 켤 때 모터와 엔진을 이어주는 클러치를 그대로 갖다박아서 그래요. 요즘은 RPM맞추면서 넣어서 괜찮습니다. 예전엔 1단에서 6단박는 느낌이었으면 요즘은 5단에서 6단박는 느낌이랄까요?
      그리고 굳이 내연기관 기반의 하이브리드를 쓸 이유는 없어용. 하이브리드라는 개념 자체가 단순히 말해서 2개의 에너지원을 사용하는거니까 현대의 컨셉카중 하나인 비전74의 수소전기하이브리드도 충분히 가능하구용.
      "핵심은 배출하는 물질이 아니다"라는 소리는 아니지만 에너지효율을 높인다면 시간을 더 벌 수 있고 상대적으로 더욱 안정적인 개발도 가능할거고요.
      바로 근본적인 해결방안인 에너지원의 대체로 급하게 넘어가기보다는 단계를 거쳐서 에너지효율을 높여가며 차차 변경하자는거죠. 그게 오히려 중간에 갑작스러운 대체로 발생하는 문제를 없앨수도 있고 예상치 못한 문제점도 발견해서 해결할 수 있겠죵.
      지금 대부분 배터리의 기반인 리튬이온배터리의 화재율이 문제가 많은데 시간이 주어진다면 충분히 개선도 가능할거 같구요

  • @yungrrtwo_
    @yungrrtwo_ Рік тому +1

    '폭스바겐' 이말 이면 이영상 요약끝인듯ㅋㅋㅋㅋㅋㅋㅋㅋ

  • @GV70_0
    @GV70_0 Рік тому +1

    ㅋㅋ 이형 채널엔 무지성차알못 전기,하브충들 댓글 도 못싸지르게 차잘알형들만있어서 좋다니까

  • @도시이장
    @도시이장 Рік тому +3

    실상은. 디젤이. 친환경적인엔진
    그런데. 인간은. 가솔린이. 친환경적이라고. 우기는중
    문제는 이산화탄소인데

  • @DBS770
    @DBS770 Рік тому +5

    유럽에서는 2030년대까지 내연기관 퇴출한다 그러지만
    실질적으로 충전 인프라나 관련 정비센터 등 부족해서 몽땅
    전기차로 대체되려면 아직 좀 더 걸릴듯

  • @mobi1644
    @mobi1644 Рік тому +1

    클린이요? ㅋㅋㅋ

  • @LastZeus
    @LastZeus Рік тому +3

    고속도로1차선은 추월차선이다

  • @yhun1212
    @yhun1212 Рік тому +6

    제 2의 내연기관 혁명이 일어나서 기계공학 엔진이 보다 오래 지속되면 좋갰네요.

    • @kjg12
      @kjg12 Рік тому

      Lpg차하고 cng버스 가 가장 친환겨입니다.

  • @junelee3818
    @junelee3818 Рік тому +1

    장난하나 디젤이 왜사라져 .. 그리고 내연기관도 앞으로 화석 에너지가 바닦날때까지 사라지지 않습 !! 전기차가 효율적면에서 더떨어지고 있고 .. 차후 발전 되겠지만 ... 수명또한 많이 짧아 .. 지금추세로면 오희려 전기차가 사라지지 않을까 보고도 있습!!!

  • @geonuk4852
    @geonuk4852 Рік тому +5

    그 시대에 따라서 친환경 기준이 달라져서인데 너무 몰아가는 분위기라 …
    예전에 휘발유차에서는 탄소배출이 디젤차에 비해 심햤죠. 그리고 지구온난화는 탄소랑 연결이 되었고 결국 디젤이 친환경 차가 된걸로 얼아요.
    근데 미세먼지가ㅡ대두되면서 고등어랑 같이 물고갈 디젤차가ㅜ나옵니다. 휘발유랑 같이 대등하개 비교도ㅜ하지않고 디젤에서 많애ㅜ나오네 하면서 몰이를 했고 먹혔네요.
    전기차? 글쎄요. 어차피 전기 생산 자체가 친환경적이지ㅜ않죠. 밧데리의 화학물질을 떠나서 화력발전소 핵발전소등등은 도찐개찐이누상황이죠.
    순수하게 물로만 간다면? 바퀴나 브래이크등에서 발생돠는 미세먼지도 았군요.
    아무튼 시대에 따르누기준 변화이고 발전되어지는 방형이알겁니다.
    너무ㅜ전기차가 친환경이라 몰아가지느않음 좋겠네요. 곧 디젤차 꼴 납니다.

  • @swr4547
    @swr4547 Рік тому +2

    왜 가솔린은 압축비를 높이면 노킹이 생기나요?

    • @juny-r4r
      @juny-r4r Рік тому

      휘발유는 경유보다 발화점이 낮기 때문이죠. 디젤은 보통 18-22 : 1 의 압축비인 반면, 휘발유는 높아도 14 : 1 정도 에요. 더 올라가면 자연발화가 특정 지점에서 발생해 노킹이 발생한다는 뜻이죠

  • @휴지-n3j
    @휴지-n3j Рік тому +1

    디젤 못탈때쯤이면 가솔린도 못타게 할거니깐 가솔린이든 디젤이든 타는데까지 타다가 전기차 상용화랑 기술발전으로 주행거리늘어나고 충전인프라 잘정돈됬을때 넘어가면 됨

  • @wernerschlager2813
    @wernerschlager2813 Рік тому +1

    디젤차를 타는데 정책이 문제지 차는 문제가 없다.. 환경규제에 맞춰서 시동켜놓고 뒤에 서 있어도 매연이 하나도 안나온다.. 매연저감장치에 문제가 생기면 검사소에서 통과 시켜주지 않는 전제조검하에서는 문제가 될께 있나? 차주가 수리비에 돈이 들어가서 그렇지.. 솔직히 디젤차가 예전 같지는 않다.. 토크 떨어지고 마일드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이질감도 있고

  • @VanguardOfHorus
    @VanguardOfHorus Рік тому +4

    폭스바겐이 디젤게이트만 안 터뜨렸어도…

  • @hyune7517
    @hyune7517 Рік тому +1

    폭바가 쏘아올린 작은공

  • @uu-iid--lcdddd
    @uu-iid--lcdddd Рік тому +2

    헐 모하비 계약했는데

  • @자연인권형석2
    @자연인권형석2 Рік тому +2

    나는 그래도 디젤이 그렇게 나쁜 파워트레인은 아니라고 봄.

  • @A-1207
    @A-1207 Рік тому +2

    엑디수 크디수 때가 좋았는데

  • @루이-i1v
    @루이-i1v Рік тому +1

    검은 매연 뿜어내는 GDi차량들

  • @choijonghoon4145
    @choijonghoon4145 Рік тому +1

    520d 개꿀 포기못함

  • @lionk5941
    @lionk5941 Рік тому

    전기차 밧테리 원료 채굴을 위해 디젤 포크레인 크레인 사용은? 전기차가 없어지지 디젤은 없어지지 않아요 미국국민들이 대다수 그렇게 생각하고 있답니다. by scotty killmer

    • @BlackCam911
      @BlackCam911 Рік тому

      그래서 디젤이 아니라 승용 디젤이라고 표현하신듯

  • @Gucccccci94
    @Gucccccci94 Рік тому

    두 가지 이유 때문에 디젤 차 안 없어질 듯
    1) 석유를 가공하면 나오는 디젤을 어떻게든 팔고 싶은 석유 업체들
    2) 2023년 최근 까지도 디젤차를 산 현 디젤 차 호구 오너들, 자기차를 중고차로 팔아넘기기 전까진 절대 디젤차 폐지되서 똥값되는거 못본다

  • @naman_ba
    @naman_ba Рік тому +1

    "DAS AUTO"

  • @cchankkyoseo2515
    @cchankkyoseo2515 Рік тому +1

    닥신티비 눈감아...

  • @정오-t8x
    @정오-t8x Рік тому +3

    현대는 하이브리드, 디젤 둘다 밀고간게아니라 디젤에 확실한 중점을 두고, 하이브리드는 살짝 발만 담군거임.

  • @protectiontekk6486
    @protectiontekk6486 Рік тому +1

    디젤 디젤 후후

  • @muse1129
    @muse1129 Рік тому +1

    국내는 자동차 세금 체계 바꾸면 승용디젤 없어짐

  • @æuøstfhlåfkeå
    @æuøstfhlåfkeå Рік тому +1

    시커먼 연기 품는 디젤이 어느날 청정연료로 자리매김 하고, 특히 파사트라는 차가 연비 20KM 라는 스펙을 보고, 믿기지 않았음.
    왜냐면 저렇게 첩첩히 제한요소와 구조가 모여 복잡한 시스템을 가졌는데 내구성이 좋을리가 없다고 생각했고, 몇 년뒤 디젤게이트 터짐.
    기술과 진보를 좋아하는 산업적 특성상, 항상 일이터지고 수습함.
    때문에 안정적인 기술을 유지 개선하는 일본차가 애찬의 대상이 되지.

  • @니얼굴똥닦은휴지
    @니얼굴똥닦은휴지 Рік тому +2

    디젤차 오래되면 똥방구가 작살나서

  • @Gozarany_no.1
    @Gozarany_no.1 Рік тому +2

    클린 디젤 = 깨끗한 걸레
    예...그런 의미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 @이재영-r8t6m
    @이재영-r8t6m Рік тому +4

    즉 억까다

  • @벌꿀오소리-j6r
    @벌꿀오소리-j6r Рік тому +2

    엠비가 선동 한 클린 디젤

  • @No8LiverPool
    @No8LiverPool Рік тому +1

    클린이라고 구매장려하더니 이제와서 폐차하라고 난리 ㅋㅋ
    정부에서 전기차 구매하라 장려하는데 도로에 절반이상 전기차 아니면 그냥 내연기관 자동차 타는게 훨씬나을듯
    나중에 또 무슨 통수를 깔지 모름

  • @범블비-k6w
    @범블비-k6w Рік тому +2

    결론은 미세먼지 원인은 중국임;;

  • @cbg0427
    @cbg0427 Рік тому +1

    전기차는
    디젤 퇴출의 본격적 시기인
    2030년 이후부터 구매하면 됩니다

  • @요세미티S
    @요세미티S Рік тому +1

    질소산화물은 1급 발암물질임 디젤 퇴출은 매우 마땅한 것

  • @user-nb9tw7vu7x
    @user-nb9tw7vu7x Рік тому +1

    디젤차 뒤에있으면 매연냄새 심해서 웩

  • @zoster9669
    @zoster9669 Рік тому +1

    요즘 같은 시대에 디젤 그만 타야지

  • @귤과굴강된장콩자반
    @귤과굴강된장콩자반 Рік тому +2

    왜 내 qm6디젤은 연비가 똥망일까......휴......

  • @Bitcoin-king1992
    @Bitcoin-king1992 Рік тому +1

    깨끗한 쓰레기

  • @trainsim--guy
    @trainsim--guy Рік тому +3

    클린디젤은 실패했다는게 학계의 정설

  • @보에몽
    @보에몽 Рік тому +1

    클린디젤=개소리

  • @코스모스-c2h4p
    @코스모스-c2h4p Рік тому +2

    모든 국민들이 법쟁이라는 독일에서 이런 짓을 했다는 것에 놀랐음. 지구에 끼친 해악, 이걸 만회하는 데에 독일 자동차 업계가 엄청난 돈을 내놨다.

  • @자경단회장
    @자경단회장 Рік тому +1

    이산화탄소배출량은 디젤이 LPG보다 적음

  • @bw800517
    @bw800517 Рік тому +2

    디젤이 가솔린 보다 친환경이라는 건 애초부터 말도 안 되는 소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