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마을집 - 중목구조 21평 증축 설계+시공 기록 처음부터 끝까지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10

  • @alastudio
    @alastudio  Рік тому +2

    작업과 디자인에 대한 어떤 코멘트도 가능하나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무엇이 문제인지, 자기주장에 대한 논리나 근거 없는 악플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

  • @김박사-e6z
    @김박사-e6z 11 місяців тому

    잘보고갑니다~🙋

  • @joseobang
    @joseobang Рік тому

    너무 잘봤습니다! 편집하느라 고생하셨어요

  • @누릉지-v6t
    @누릉지-v6t Рік тому

    타일하시는분이 저렇게 친절하게 설명해주시니 아무래도 문외한 입장에선 더 믿음이 가네요
    잘봤습니다

  • @용일이-e6j
    @용일이-e6j Рік тому

    믿음이 가는 건축입이다. 예비건축주들에게 도움이 많이 되는 영상입니다.
    작은집도 디테일이 중요한것 같습니다.

  • @studiogirabaldi
    @studiogirabaldi Рік тому

    영상에는 보이지 않아서 그러는데 소핏벤트가 없이 릿지벤트로 처리했나요? 외벽 과 지붕 벤트를 어떻게 했나요

    • @alastudio
      @alastudio  Рік тому +2

      불투습지붕으로 생각했고 불투습단열재인 경질폼 200mm을 사용했습니다.
      불투습이니 당연히 지붕을 환기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경질폼을 사용하는 것은
      1. 비올 때 지붕소음 차단
      2. 두께에 비해 뛰어난 단열효과
      3. 공기 단축
      4. 재료비 절감
      5. 내부 구조체 노출 표현 용이등
      6. 외부 재료간 접합 디자인 단순화 (환기구 필요없음)
      7. 내부 결로 (단열재 안쪽) 가능성 차단
      제게는
      수많은 장점이 있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투습단열재를 써서 환기층 두고
      목구조의 전통적인 구성법을 지키시는 분들은 그분들의 철학이 있을 것이고 그분들의 이유가 있을 겁니다..
      저는 저의 이유가 있고 다른 방법을 존중합니다.
      초기에는 당연히
      전통적 메뉴얼을 들이대며 의문 시하는 분들이 더 많았습니다.
      하지만
      저 역시 제 구성법으로 지은 건물들이 쌓이고 있고
      한번도 이와 관련에 하자가 발생한 적이 없습니다.
      오히려 요즘과 같은
      오히려 어려운 시기에도
      프로젝트를 계속 따고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