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수정**) 이해하시기 쉽게, 추가적으로 보로노이 텍스쳐 및 color ramp와 관련하여 설명드리고자 댓글 남깁니다. voroni texture는 기하학적인 형태를 띄고 있는 모양의 텍스쳐로, 불규칙한 형태의 모습을 만드는 데 쓰입니다. (이 모양은 추후 영상을 통해 추가적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이 보로노이 텍스쳐와 color ramp를 연결하는 이유는 'delete geometry'가 물체의 특성을 제거해버리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상세한 범위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아 물체의 특성을 다 지워버리라는구나'라고 생각해서 물체의 특성들을 지워버리기 때문입니다. 만약 보로노이 텍스쳐만 입력해버리면, delete geometry node가 ‘아 그러면 보로노이 텍스쳐를 지우란 말이야? 알겠어 다 지워줄게’라고 생각해서 작동해버립니다. 때문에 우리는 color ramp를 이 보로노이 텍스쳐와 연결해서 ‘아니야 우린 지울 범위를 지정할거야’라고 입력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color ramp는 이때 delete geometry에게 '~한 범위를 말하는 거야'라고 말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color ramp는 0~1까지의 값을 가지는 아이인데요. Color ramp의 흰색은 1의 값을 가지고, 검은 색은 0의 값을 가집니다. 영상에서 보시면, color ramp의 검은 색의 값을 조절해보면 voronoi texture의 모양에 따라서 지워졌다가 나타나는 모습이 나오는데요. 여기서 흰색은 1의 값을 가지고 있어, ‘나는 (어떤 걸)작동할거야’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반면에 검은색은 0의 값을 가지고 있어, ‘나는 (어떤 걸)작동안할거야’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 둘은 위치에 따라 바뀌기도 하는데, 그건 복잡해서 추후에 설명드리겠습니다. 여기의 케이스만 살펴보겠습니다) 여기에 나오는 흰 색은 ‘나는 작동할 거야’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여기서 흰 색은 자신과 가장 근처에서 연결이 되어 있는 delete geometry를 작동시켜버립니다. 그러니까 이 경우 흰 색은 ‘나는 delete geometry를 작동할거야’라는 말이 되죠. 반면 여기서 검은 색은 ‘나는 delete geometry를 작동 안할거야’가 되서, 이 검은 색의 값을 오른쪽으로 조절해보면, ‘delete geometry’를 작동안하려고 해서 사라졌던 물체들이 나타납니다. 이런 작동 방식을 가지고 color ramp와 보로노이 텍스쳐를 연결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예시는 이해를 돕고자 말씀드린 것인데, 사실 조금 상세히 설명드릴 부분이 더 있어 이건 다음 시간에 좀 더 말씀드리겠습니다. 양해를 부탁드리며 어디까지나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오늘은 3D 프로그램 툴인 Blender(블랜더/블렌더)로 geometry node(지오메트리 노드)의 instance에 대한 내용을 다뤘습니다 (블렌더 강좌 / 블렌더 강의) instance에 대한 개념을 설명드릴 때, 이해하시기 편하게 예시로 설명을 드렸는데, 사실 instance는 굉장히 복잡한 개념입니다. 따라서 추후 시간이 될 때, 이것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원래는 instance로 돌이나 풀 등을 만드는 것을 해볼까 했는데, 그것보다는 다양한 예시를 연습해보는 게 좋을 것 같아, 강좌 내용을 좀 바꿨습니다. 5번 정도 갈아 엎었습니다;; 또한 해당 강좌는 매주 1개씩 시간이 될 때 올라올 예정이라는 점 말씀드립니다. 알림 설정하시면 다음 정보 빠르게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또다른 지오메트리 노드 예시를 연습해보면서, 지오메트리 노드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3D 당근 채널은 블랜더/블렌더(Blender), cinema 4d(시포디, 시네마 4d)와 같은 3D 프로그램을 통해 여러 사물들을 만드는 채널입니다. 🌟 Today, I covered the topic of instances in geometry nodes using the 3D program Blender. When explaining the concept of instances, I used examples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but in reality, instances are quite a complex concept. I will provide a more detailed explanation on this in the future when we have more time. Initially, I planned to create things like rocks or grass with instances, but I thought it would be better for you to practice with various examples, so I changed the lesson content several times! This tutorial will be uploaded once a week. Make sure to turn on notifications to get the latest updates quickly. In the next session, we'll practice another example of geometry nodes and continue explaining them. Then, See you next time! Thank you! The ‘3D 당근’ channel is for creating objects(3d modeling) using the 3D programs like Blender and Cinema 4D.
설명을 아주 친절하고 상세하게 잘 해주셔서 넘 좋아요! 하나 궁금한게 있는데요. 5:30 Delete node에서 selection의 부분이 지워지는 부분인지, 지워지지 않고 남는 부분인지 영상을 보면서 넘 궁금했어요.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지오노드 강의해주셔서 넘 감사드려요~!!😍(14개보다 더 많이 해주셨으면 좋겠어요!!ㅠ)
따스한 말씀 정말로 감사합니다! 네 말씀해주신 부분 설명드리겠습니다! delete geometry node에서 'selection' 부분은 '지워지는 부분'을 의미합니다. 즉, selection은 '나는 ~를 지울거야'라는 뜻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영상에서는 이때 voronoi texutre를 이 delete geometry의 selection과 연결해줬는데, 이건 '나는 voronoi texture의 모양 대로 지울거야'라는 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런데 우리는 voronoi texture의 모양 중 일부를 지워주고 싶었기 때문에, color ramp라는 언어를 'delete geometry 의 selection'과 'voronoi texture'의 사이에 넣어줬습니다. color ramp는 '범위를 지정해주는 역할'을 하는데요. 이 값을 조절하면 '내가 지울 범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color ramp를 연결해주었던 것입니다! (이건 조금 복잡해서 추후에 따로 영상으로 말씀드릴 예정이니, 참고 부탁드려요!) 간단히 말로 풀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delete geometry (= 지워줘요) / delete geometry의 selection (=지워지는 부분/지울 부분) / color ramp (= 지울 범위 지정하는 역할) delete geometry의 selection은 '지워지는 부분'이기에, 내가 지우고 싶은 것을 이 selection과 연결해주면, 그 모양 대로 지워지게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저야말로 좋은 말씀에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말씀해주신 부분 참고해서 영상 추후에 가능하면 더 제작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블렌더 언어를 한국어로 하시는 분들은 보로노이 텍스처 찾으실 때 해당 노드를 타이핑 검색으로 찾지 마시고 노드 탭에서 [텍스처] > [보로노이 텍스처]를 눌러서 활성화 시키시면 됩니다. 역시 외국툴은 영어로 작업해야 하나봐요. 버전 업그레이드 해서 사라진건지 애드온인지 한참 찾아봤네요^^;;
다른 분들을 위해 알려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네 외국툴이다보니 영어로 작업하는 게 편리하더라구요ㅠ 거기에 최근 버전에 업데이트가 되어서 위치가 기존과 살짝 달라져 찾기가 어려우셨을 것 같아요. 아 그러셨군요 그럼 다음부터는 따로 (댓글 or 영상에서) 한국어 버전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내용 수정**) 이해하시기 쉽게, 추가적으로 보로노이 텍스쳐 및 color ramp와 관련하여 설명드리고자 댓글 남깁니다.
voroni texture는 기하학적인 형태를 띄고 있는 모양의 텍스쳐로, 불규칙한 형태의 모습을 만드는 데 쓰입니다. (이 모양은 추후 영상을 통해 추가적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이 보로노이 텍스쳐와 color ramp를 연결하는 이유는 'delete geometry'가 물체의 특성을 제거해버리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상세한 범위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아 물체의 특성을 다 지워버리라는구나'라고 생각해서 물체의 특성들을 지워버리기 때문입니다. 만약 보로노이 텍스쳐만 입력해버리면, delete geometry node가 ‘아 그러면 보로노이 텍스쳐를 지우란 말이야? 알겠어 다 지워줄게’라고 생각해서 작동해버립니다.
때문에 우리는 color ramp를 이 보로노이 텍스쳐와 연결해서 ‘아니야 우린 지울 범위를 지정할거야’라고 입력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color ramp는 이때 delete geometry에게 '~한 범위를 말하는 거야'라고 말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color ramp는 0~1까지의 값을 가지는 아이인데요.
Color ramp의 흰색은 1의 값을 가지고, 검은 색은 0의 값을 가집니다.
영상에서 보시면, color ramp의 검은 색의 값을 조절해보면 voronoi texture의 모양에 따라서 지워졌다가 나타나는 모습이 나오는데요.
여기서 흰색은 1의 값을 가지고 있어, ‘나는 (어떤 걸)작동할거야’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반면에 검은색은 0의 값을 가지고 있어, ‘나는 (어떤 걸)작동안할거야’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 둘은 위치에 따라 바뀌기도 하는데, 그건 복잡해서 추후에 설명드리겠습니다. 여기의 케이스만 살펴보겠습니다)
여기에 나오는 흰 색은 ‘나는 작동할 거야’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여기서 흰 색은 자신과 가장 근처에서 연결이 되어 있는 delete geometry를 작동시켜버립니다.
그러니까 이 경우 흰 색은 ‘나는 delete geometry를 작동할거야’라는 말이 되죠.
반면 여기서 검은 색은 ‘나는 delete geometry를 작동 안할거야’가 되서, 이 검은 색의 값을 오른쪽으로 조절해보면,
‘delete geometry’를 작동안하려고 해서 사라졌던 물체들이 나타납니다.
이런 작동 방식을 가지고 color ramp와 보로노이 텍스쳐를 연결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예시는 이해를 돕고자 말씀드린 것인데, 사실 조금 상세히 설명드릴 부분이 더 있어 이건 다음 시간에 좀 더 말씀드리겠습니다. 양해를 부탁드리며 어디까지나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지금껏 기다려온 너무 양질의 강의네요. 깔끔한 설명 최곱니다!! 꾸준히 올리시면 곧 떡상 하실듯.^^
좋게 봐주시고 따스한 말씀해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되면 정말로 좋을 것 같습니다ㅎ 감사합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출근길 잘 보고갑니다🤩
네! 봐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업무 힘내시고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짱짱강의
좋게 봐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너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저야말로 따스한 말씀에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저야말로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잘봤습니다
저야말로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굉장히 빠르게 봐주셨네요! 고생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강의 너무 잘 하세요
따스한 말씀 점알로 감사드립니다!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은 3D 프로그램 툴인 Blender(블랜더/블렌더)로 geometry node(지오메트리 노드)의 instance에 대한 내용을 다뤘습니다 (블렌더 강좌 / 블렌더 강의)
instance에 대한 개념을 설명드릴 때, 이해하시기 편하게 예시로 설명을 드렸는데, 사실 instance는 굉장히 복잡한 개념입니다.
따라서 추후 시간이 될 때, 이것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원래는 instance로 돌이나 풀 등을 만드는 것을 해볼까 했는데, 그것보다는 다양한 예시를 연습해보는 게 좋을 것 같아, 강좌 내용을 좀 바꿨습니다. 5번 정도 갈아 엎었습니다;;
또한 해당 강좌는 매주 1개씩 시간이 될 때 올라올 예정이라는 점 말씀드립니다.
알림 설정하시면 다음 정보 빠르게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또다른 지오메트리 노드 예시를 연습해보면서, 지오메트리 노드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3D 당근 채널은 블랜더/블렌더(Blender), cinema 4d(시포디, 시네마 4d)와 같은 3D 프로그램을 통해 여러 사물들을 만드는 채널입니다.
🌟 Today, I covered the topic of instances in geometry nodes using the 3D program Blender.
When explaining the concept of instances, I used examples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but in reality, instances are quite a complex concept. I will provide a more detailed explanation on this in the future when we have more time.
Initially, I planned to create things like rocks or grass with instances, but I thought it would be better for you to practice with various examples, so I changed the lesson content several times!
This tutorial will be uploaded once a week.
Make sure to turn on notifications to get the latest updates quickly.
In the next session, we'll practice another example of geometry nodes and continue explaining them.
Then, See you next time! Thank you!
The ‘3D 당근’ channel is for creating objects(3d modeling) using the 3D programs like Blender and Cinema 4D.
감사합니다! 해외 여러 강의도 봤는데, 이보다 더 간결하고 명확하게 설명해 준곳은 처음이네요
따스한 말씀해주셔서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아 그러셨군요!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설명을 아주 친절하고 상세하게 잘 해주셔서 넘 좋아요! 하나 궁금한게 있는데요. 5:30 Delete node에서 selection의 부분이 지워지는 부분인지, 지워지지 않고 남는 부분인지 영상을 보면서 넘 궁금했어요.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지오노드 강의해주셔서 넘 감사드려요~!!😍(14개보다 더 많이 해주셨으면 좋겠어요!!ㅠ)
따스한 말씀 정말로 감사합니다!
네 말씀해주신 부분 설명드리겠습니다!
delete geometry node에서 'selection' 부분은 '지워지는 부분'을 의미합니다. 즉, selection은 '나는 ~를 지울거야'라는 뜻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영상에서는 이때 voronoi texutre를 이 delete geometry의 selection과 연결해줬는데, 이건 '나는 voronoi texture의 모양 대로 지울거야'라는 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런데 우리는 voronoi texture의 모양 중 일부를 지워주고 싶었기 때문에, color ramp라는 언어를 'delete geometry 의 selection'과 'voronoi texture'의 사이에 넣어줬습니다.
color ramp는 '범위를 지정해주는 역할'을 하는데요. 이 값을 조절하면 '내가 지울 범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color ramp를 연결해주었던 것입니다! (이건 조금 복잡해서 추후에 따로 영상으로 말씀드릴 예정이니, 참고 부탁드려요!)
간단히 말로 풀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delete geometry (= 지워줘요) / delete geometry의 selection (=지워지는 부분/지울 부분) / color ramp (= 지울 범위 지정하는 역할)
delete geometry의 selection은 '지워지는 부분'이기에, 내가 지우고 싶은 것을 이 selection과 연결해주면, 그 모양 대로 지워지게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저야말로 좋은 말씀에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말씀해주신 부분 참고해서 영상 추후에 가능하면 더 제작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d_danggeun 답변 너무 감사드려요! 이렇게 상세하게 달아주시다니..👍👍💓영상도 더 제작할 수도 있단 말에 넘 행복하네요~! 감사합니다!! 짱이십니닷!! 좋은 하루 되세요!
저야말로 감사합니다! 네 행복한 하루 되세요!
오 바로 2편? 개꿀.
블렌더 언어를 한국어로 하시는 분들은 보로노이 텍스처 찾으실 때 해당 노드를 타이핑 검색으로 찾지 마시고 노드 탭에서 [텍스처] > [보로노이 텍스처]를 눌러서 활성화 시키시면 됩니다.
역시 외국툴은 영어로 작업해야 하나봐요. 버전 업그레이드 해서 사라진건지 애드온인지 한참 찾아봤네요^^;;
다른 분들을 위해 알려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네 외국툴이다보니 영어로 작업하는 게 편리하더라구요ㅠ 거기에 최근 버전에 업데이트가 되어서 위치가 기존과 살짝 달라져 찾기가 어려우셨을 것 같아요.
아 그러셨군요 그럼 다음부터는 따로 (댓글 or 영상에서) 한국어 버전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보로노이를 입력했을때 보로노이가 어떻게생겼고 어떻게생겻기때매 보로노이만입력하면 다지워지고 컬러램프를 입력하면 원래 생겻던 보로노이의 0~1까지의 컬러범위가 올라가면서 지워진다 뭐 이런 설명이 있으면좋을거같아요 그걸 모르면 뭐라는지 하나도 모르기때문이죠 ㅠ
앗 그렇군요! 네 정말로 감사합니다! 네 말씀해주신 부분은 다음 시간에 영상을 통해 추가적으로 상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그 전에 먼저 댓글창을 통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좋은 의견 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저야말로 봐주셔서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