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시청용-d4j물경력이면 아파트, 호백병마 사수골대 무한반복 해야죠 뭐ㅎ 다 돌아보고 본인이 결정을... 특히 아파트는 60대 아버님들도 입문하는 곳이라 그냥 그이하 나이대는 나이가 젊다는 이유만으로 뽑히는 곳입니다. 그 60대 아버님들도 특별한 경력이 있기보단 전기나 시설관리와 전혀 상관없는 업무를 하시다가 정년퇴직 당하시고 자격증따서 아무아파트나 받아주는곳 가서 2년 교대기사 하다가 오신 분들이 많죠 객관적으로 직접 유지보수를 하고 각종 서류를 꾸밀때도 좀더 컴퓨터와 친근하고 체력 및 건강상태가 양호하기에 선호는 하지만 이사람들이 되도록 아파트는 안갈려고 하는거죠ㅎ 입주민 갑질.. 아지매들 치맛바람을 견딜 수 있다면... 나쁘지않은 직장이라고 봅니다.
음.. 제가 공고 기계과 졸업(기계관련 자격증 취득) 하고 나이 30~31살때 전기관련 직업훈련원 들어가서 교육 받으며 '전기 기능사'를 취득 했습니다. 직업훈련원 들어가기 전에 '용접 산업기사' 실기까지 본 상태로 발표를 기다리는 상태로 훈련원에 들어갔습니다.(전기 기능사 취득) 훈련원에서 수료를 하고 나와서 지금(40대 중반) 용접과 기계쪽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전기 기사' 취득 요건이 갖춰졌더라구요. 전기 계통 자격증의 실무 경력 인정범위가 꽤 넓은것 같습니다.
필요한 정보들을 알아듣기 편리하게 설명해두셔서 유익한 정보였습니다 현재 전혀다른 직장에 근무하고 있고 학력도 전혀 배우지 못했던 부분들에 있어 선생님처럼 준비해보려 합니다 혹시 기능사부터 취득하셨다고했는데 기능사취득하고 현장에서 1년근무를 하시면서 하나씩 더 준비를 하신걸까요?
90년 초 기능대 다닐때 전기기기기능사 2급, 전기공사기능사 2급, 승강기보수기능사를 따고 학교 나와서 현장다니며 일하다 96년도에 전기공사기사 2급 따고 98년도에 다시 전기기사 2급따고 전기직 공무원 셤쳐서 공직생활하다 23년초에 퇴직을 했습니다. 전기기기기능사2급, 전기공사기능사 2급은 전기기능사로 바뀌어 있고 전기공사기사 2급, 전기기사 2급은 전기공사 산업기사, 전기산업기사로 명칭이 바뀌었네요. 공무원 되기전 전기기사 필기에 합격해 놨는데 전기기사 1급이나 전기기사 2급이나 차이가 없어 실기시험은 돈 아까워 안봤 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에는 시험난위도는 개찐도찐입니다. 똑 같아요. 퇴직전 공인중개사와 사회복지사 2급을 땄습니다. 사회복지사는 평생 일할 수 있지만 급여가 작고, 공인중개사는 일이 많지 않고 그래서 공사현장에서 감리 잠깐하다 힘들어서 아파트 전기과장으로 근무를 했습니다. 이게 중간관리자로서 전기뿐만 아니라 설비, 조경, 도색, 누수 등 모든 업무를 해야 하는 직입니다. 군대에서 시설담당관으로 병사들 데리고 업무를 해봐서 어느정도 다 알아서 어려움은 없었으나 소방쪽에서(소방안전관리자 2급도 땃네요) 문제가 생기면 문제가 되는 자리더라구요. 소방시설관리사와 기술사에 급 관심이 생겨 지금은 그 공부를 하는 중입니다. 직업으로서 추천한다면 나이든, 그러니까 산전수전 다 겪은 분들이 퇴직전에 공부하는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젋은 사람은 좀 아니지 않을까요? 주택관리 사도 비영리 법인을 운영하고 있어 겸사겸사 공부하고 있는데 이것도 좀 문제가 있습니다. 급여에 비해 스트레스가 장난아니고 잘해도 아랫사람들에게 좋게 안보이는 직업입니다. 위탁계약관련 입주자대표회의와 깊은 관련이 있어 눈치보기 바쁘고 알아서 못 기면 바로 태클 들어옵니다. 전기쪽 기사 자격증 취득할 정도면 주택관리사도 취득하는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다만 1년에 1회만 있어 중도 포기자가 많다는 것 그리고 양심을 버려야 잘 할 수 있는 직업입니다. 또한 주택관리사는 일자리가 없어 발전기금 내고 들어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영상과는 다른 얘기이긴 하지만 궁금한게 있습니다 전기기능사 필기 공부중인데 답을 모르겠습니다 폭연성 분진이 존재하는 곳의 저압 옥내배선 공사 시 공사 방법으로 짝지어진 것은? 1.금속관 공사, MI 케이블 공사, 개장된 케이블 공사 2.케이블 공사, MI 케이블 공사, 금속관 공사 3.케이블 공사, MI 케이블 공사, 제1종 캡타이어 케이블 공사 4. 개장된 케이블 공사, CD 케이블 공사, 제1종 캡타이어 케이블 공사 1번과 2번 중에 어느것이 정답인가요?
@minlove-min 설명이랄것도 없이 금속관 mi케이블 개장케이블 이렇게 정답으로 2018년 cbt기출문제에 있어요 설비는 그냥 문제 정답 외우시고 왜? 라는건 포기하셔야해요 진짜 똑똑하신분들은 설비 이론을 달달외우던데 거의 법 공부하는거랑 같아요 그니깐 평범한 사람들은 문제 답 이렇게 외우는게 좋아용
@@한설-j6p 제가 시설을 좀 늦게 시작한 케이스거든요 기능사,산기,소방전기 따고 호백병마에서 2년 교대 구르고 1년 일근하다가 작년에 공기업 지원했다가 공기업 시설 붙어서 다니는데 이 테크가 나쁘지않음 시설도 정규직,공공기관이면 좋음 용역을 가지말라고 하는거임 돈이 오르질않아서
최소 산업기사이상 취득하세요 기능사 취득하신분도 최종적으로는 최소 산업기사는 생각하고 계세요 그이유가.. 1. 전기안전관리자, 전기안전관리대행 2. 전기공사업 주기술인력(현장대리인) 선임 3. 감리 이 3개 직업이 전기산업기사 이상 보유시 할수있는 고유직업입니다. 자격증 응시조건이 되는데 기능적인 부분을 위해서 기능사부터 차근차근 취득한다? 그냥 최소 산업기사, 어지간하면 기사로 취득하면 좋습니다. 기능이 부족하면 전기공사업체에서 한 1년만 일해보셔도 충분합니다.
3개의 자격증을 알기 쉽게 비교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강의내용 넘 좋네요 많이 배우고있어요 감사~~
아주 핵심적인 내용만을 잘 정리해주네요! 감사합니다 ! 대단하십니다
다산에듀수강하고 실기합격
본인의 노력도 있지만 강의도
중요합니다.
병칠사단 최고~
송건웅 선생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설명 감사합니다 전기 화이팅
항상 감사합니다
전기산업기사를 공부하고있는 학생입니다. 회로,기기,공학,자기학은 공부를 어떻게해야하는지 대충 감이 오는데 설비기준은 어떻게 공부를 하는게 좋을까요..??
무조건 암기죠 뭐 설비기준은..ㅠㅠ 그나마 그림 같은 걸로 연상하면서 암기하면 좀 더 수월하구요
인강을 꾸준하게 들으면 돼요
복습안하면 막힘 꼭해야함
설비기준은 전뿌님 kec특강 내용을 80프로 이상 자기 것으로만 만들면 고득점 충분히 가능합니다
전기기사 +경력 2년 있어야 무제한 선임됩니다. 신입은 쥐꼬리만한 월급주고 뽑으려고 하더라구요...
@@w30k37 그럼 아무것도 모르는사람을 큰돈주고 씀? 뭔 도둑놈 심보임
그쥐꼬리만도 박스 들면서 뺑이쳐야나오는 사람도있음 ㅠㅠ
그 2년은 죽었다 생각해야죠..ㅋ
솔직히 2년 경력쌓아도 능숙하게 할수있는것도 아니지만 법이 그렇다보니...
선임받고싶어도 실무 할줄알아야 뽑아줘서 깡통경력은 안뽑음
공장에서 일 배우고 선임받는게 가장 좋은듯
@@유튜브시청용-d4j물경력이면 아파트, 호백병마 사수골대 무한반복 해야죠 뭐ㅎ 다 돌아보고 본인이 결정을...
특히 아파트는 60대 아버님들도 입문하는 곳이라 그냥 그이하 나이대는 나이가 젊다는 이유만으로 뽑히는 곳입니다. 그 60대 아버님들도 특별한 경력이 있기보단 전기나 시설관리와 전혀 상관없는 업무를 하시다가 정년퇴직 당하시고 자격증따서 아무아파트나 받아주는곳 가서 2년 교대기사 하다가 오신 분들이 많죠
객관적으로 직접 유지보수를 하고 각종 서류를 꾸밀때도 좀더 컴퓨터와 친근하고 체력 및 건강상태가 양호하기에 선호는 하지만 이사람들이 되도록 아파트는 안갈려고 하는거죠ㅎ
입주민 갑질.. 아지매들 치맛바람을 견딜 수 있다면... 나쁘지않은 직장이라고 봅니다.
전기공사산업기사 한국사 한국어 컴활 토익 준비하고 공기업 들어가려는 학생입니다 스펙을 쌓고 경력도 채우는 게 나을까요 ? 현재 21살 전기산업기사 있습니다 희망 취업은 한전kps g3급 입사하고 싶습니다
거눙이형짱 벌써 10만유튜버네여 맨날떨어지니까 내직업이 자격증 준비생 같네여
음.. 제가 공고 기계과 졸업(기계관련 자격증 취득) 하고 나이 30~31살때 전기관련 직업훈련원 들어가서 교육 받으며 '전기 기능사'를 취득 했습니다.
직업훈련원 들어가기 전에 '용접 산업기사' 실기까지 본 상태로 발표를 기다리는 상태로 훈련원에 들어갔습니다.(전기 기능사 취득)
훈련원에서 수료를 하고 나와서 지금(40대 중반) 용접과 기계쪽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전기 기사' 취득 요건이 갖춰졌더라구요.
전기 계통 자격증의 실무 경력 인정범위가 꽤 넓은것 같습니다.
자격증이라는것은 일반적인 수준보다 좀뛰어나고 우수하고 아는게 있어서 우대를 해주는거지 꼭 필요한 의무가 아닙니다 오래동안 한분야에서 일하고 사람을 인정해주고 그런 기념품같은겁니다
결국 자격증은 자격요건이 되면은 그냥 바로 그자격증도전하면은되는거군요 ㅋ
니트 정말 잘 어울리셔요 ㅎ
요즘은 워낙 이런 자격증을 가진 사람들이 많아서 공인중개사도 그렇고
남들이 안하는걸 해야 돈이되고 안정됨.
필요한 정보들을 알아듣기 편리하게 설명해두셔서 유익한 정보였습니다 현재 전혀다른 직장에 근무하고 있고 학력도 전혀 배우지 못했던 부분들에 있어 선생님처럼 준비해보려 합니다 혹시 기능사부터 취득하셨다고했는데 기능사취득하고 현장에서 1년근무를 하시면서 하나씩 더 준비를 하신걸까요?
90년 초 기능대 다닐때 전기기기기능사 2급, 전기공사기능사 2급, 승강기보수기능사를 따고 학교 나와서 현장다니며 일하다
96년도에 전기공사기사 2급 따고 98년도에 다시 전기기사 2급따고 전기직 공무원 셤쳐서 공직생활하다 23년초에 퇴직을 했습니다.
전기기기기능사2급, 전기공사기능사 2급은 전기기능사로 바뀌어 있고 전기공사기사 2급, 전기기사 2급은 전기공사 산업기사, 전기산업기사로
명칭이 바뀌었네요. 공무원 되기전 전기기사 필기에 합격해 놨는데 전기기사 1급이나 전기기사 2급이나 차이가 없어 실기시험은 돈 아까워 안봤
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에는 시험난위도는 개찐도찐입니다. 똑 같아요. 퇴직전 공인중개사와 사회복지사 2급을 땄습니다. 사회복지사는 평생 일할 수 있지만 급여가 작고, 공인중개사는 일이 많지 않고 그래서 공사현장에서 감리 잠깐하다
힘들어서 아파트 전기과장으로 근무를 했습니다. 이게 중간관리자로서 전기뿐만 아니라 설비, 조경, 도색, 누수 등 모든 업무를
해야 하는 직입니다. 군대에서 시설담당관으로 병사들 데리고 업무를 해봐서 어느정도 다 알아서 어려움은 없었으나 소방쪽에서(소방안전관리자 2급도 땃네요) 문제가 생기면 문제가 되는 자리더라구요. 소방시설관리사와 기술사에 급 관심이 생겨 지금은 그 공부를 하는 중입니다.
직업으로서 추천한다면 나이든, 그러니까 산전수전 다 겪은 분들이 퇴직전에 공부하는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젋은 사람은 좀 아니지 않을까요? 주택관리
사도 비영리 법인을 운영하고 있어 겸사겸사 공부하고 있는데 이것도 좀 문제가 있습니다. 급여에 비해 스트레스가 장난아니고 잘해도 아랫사람들에게 좋게 안보이는 직업입니다. 위탁계약관련 입주자대표회의와 깊은 관련이 있어 눈치보기 바쁘고 알아서 못 기면 바로 태클 들어옵니다. 전기쪽 기사 자격증 취득할
정도면 주택관리사도 취득하는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다만 1년에 1회만 있어 중도 포기자가 많다는 것 그리고 양심을 버려야 잘 할 수 있는 직업입니다.
또한 주택관리사는 일자리가 없어 발전기금 내고 들어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대학교 3학년까지 마치고 4학년부터 전기기사 응시 가능 하나요?
옙, 그리고 나서 필기 합격했을 때 응시 자격 인증하라고 연락이 오면 재학증명서 제출하시면 됩니다.
자동차정비기능사 취득후에 군대 자동차정비병 21개월 입니다..전기산업기사 또는 전기기사 응시자격이 될까요?
전기산업기사가 미용기능사 + 실무경력(전기) 1년도 전기산업기사 응시조건 가능한가요?
저기 적혀있는 기능사는 전기기능사를 기준으로 잡으신것 같습니다!
시험 보는 용도에 한해 미용실 실무 경력도 산업인력관리공단에서 경력 인정해줍니다.
군생활도 마찬가지라서 24개월 이상 (훈련소제외) 군복무를 했으면 병적기록 만으로 바로 산업기사 응시도 가능합니다.
@@byl_works 오 처음 듣는 얘기인데 조금 자세히 설명 부탁드려도될까요?
저한테는 크게 상관이 없는 얘기이긴 하지만 내용에 대해 너무 궁금합니다. 일반 전투병과도 가능하다는 말씀이신가요?
@@peking-pc6pu 전투병도 왠만하면 다 됩니다. 1111, 1112 소총병도 가능합니다.
@@theoszoksa8799 ㅎㅎ 감사합니다. 사정상 대학을 못간 인원들한테는 좋은 루트가 될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저는 전기왕이 될겁니다 파이팅!
홧팅입니다~!!
기능사는 변기 기사
변기 청소하는 자격증
영상과는 다른 얘기이긴 하지만 궁금한게 있습니다
전기기능사 필기 공부중인데 답을 모르겠습니다
폭연성 분진이 존재하는 곳의 저압 옥내배선 공사 시 공사 방법으로 짝지어진 것은?
1.금속관 공사, MI 케이블 공사, 개장된 케이블 공사
2.케이블 공사, MI 케이블 공사, 금속관 공사
3.케이블 공사, MI 케이블 공사, 제1종 캡타이어 케이블 공사
4. 개장된 케이블 공사, CD 케이블 공사, 제1종 캡타이어 케이블 공사
1번과 2번 중에 어느것이 정답인가요?
1
@ 왜 1번인지 설명 해 주실 수 있나요?
@minlove-min 설명이랄것도 없이 금속관 mi케이블 개장케이블 이렇게 정답으로 2018년 cbt기출문제에 있어요 설비는 그냥 문제 정답 외우시고 왜? 라는건 포기하셔야해요 진짜 똑똑하신분들은 설비 이론을 달달외우던데 거의 법 공부하는거랑 같아요 그니깐 평범한 사람들은 문제 답 이렇게 외우는게 좋아용
@ 감사합니다
ua-cam.com/video/1_JXtEwNBvk/v-deo.htmlsi=CHc2W-FsonR_2URk&t=9997
전기 산업기사 요약강의(포켓요약본) 올려주실수있으실까요?ㅎ
고등학교 졸업 후 마지막으로 전기기사 준비하고있습니다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전기기능사에서 실무경력 1년 어떻게 하셨나요 ??
산기 취득했는데 1년경력쌓고 기사 응시하는게 더 낫겠죠? 전문대졸업생이라 산기만 취득했는데
그리고 20대는 시설관리나 전기안전관리쪽 비추신가요? 직무 고민이 너무되네요
시설 말고 솔직히 어디갈수있는데 요새 젊은사람 지원 많이하던데 다 이유가 있는거임
@@terwin-zf9ib 뭔소리에요? 제가 이해를 못해서
@@한설-j6p 시설이나 공사말고 갈수있는 직무가 그리많지 않음
@ 그니까요.. 공사는 떠돌이 생활하면서 모텔생활 하기도 싫고 근무강도도 높다 들어서... 그렇다고 공무나 설계는 좀 안맞는거같고 그나마 시설이나 안전관리 생각중인데 젊은사람들은 비추한다 뭐다 하니 생각이 많아지네요
@@한설-j6p 제가 시설을 좀 늦게 시작한 케이스거든요 기능사,산기,소방전기 따고 호백병마에서 2년 교대 구르고 1년 일근하다가 작년에 공기업 지원했다가 공기업 시설 붙어서 다니는데 이 테크가 나쁘지않음 시설도 정규직,공공기관이면 좋음 용역을 가지말라고 하는거임 돈이 오르질않아서
전산기 전기기사 있는데 별차이없음
기능사 필기 너무 어려워요 ㅠㅠ
네 전기기능사 많이 어렵죠. 그런데 잼 있는 건, 미치도록 다 때려 치우고 싶을 때, 조금만 더 하면 합격 하더라구요. 그러니 힘내세요.^^
난 3개 다있는뎅
연봉좋으려면
무조건 기사가지고
있어야됩니까?
협회 전기관련 산업기사이상을 과정형평가취득 못하게 한뜻 저것도
전기산업기사를 공부 열심히 하면 전기산업기사와
전기 기능사도 같이 취득할수 잇나요?
그대신 산업기사 실기는 필답형이고 기능사 실기는 작업형인데.. 무튼 같이 취득 가능합니다~
대학교 2학년이면 산업기사 응시가 가능한가요?
네~
4년제 나오셨나요? 😂😂😂
전기기능장은 어떤자격증이고 전기기사보다 상위자격증인지.. 궁금합니다
기능장과 기사는.. 군대로 치면 부사관과 장교같은 느낌입니다.
기능장은 실기 작업형이고 PLC 프로그래밍도 직접 해야함.
기능장이 더 상위입니다.
한국 산업인력공단에서도 살펴보세요.
전기 기능장은?
50대 마~~ 무경험인데 우얍니까? 4년제 기계공학과 나왔지만 졸업후1~2년빼곤 20년넘게 산업현장에서 일해보도않았고, 연장을 손에 든적도없심더!! 뭐 좀준비할라카는데 다른건 다~ 나이가 20대 30대 이케 어린데 전기쪽은 마~ 나이가있더라고요.. 산업기사& 기사중 어떤걸 준비하는게 나을까요? 무경험자고 나이가 많아서 마~ 아무짝에도 쓰잘데기없을거란 생각이 들지만서도 함 여쭙니다!! 사업하다 쫄딱말아먹고..쌩노가다판 몇년구르면서 빚갚아가는 세월이 아까워서 맘 굳게먹고.. 새이력을 써나가자혀서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라는 얼라입니다!! 이번 기능사 셤도봤꼬 실기준비함서 기사&산업기사 준비할라카는데 나이먹으니 마~ 걱정도팔자 아입니꺼!! 이 맘 누가 알겄씀꺼~ 내만알기도 벅찬데... !
전기기능장 따고 싶어요
제49회 기능장입니다.. 꼭 취득하세요~!!
좋은 내용인데 설명이 아쉬운부분이 있네요
기능사 상위 자격증 응시자격이 자격요건중 하나만 만족하면 되는거 아닌가요
설명만으로는 고졸자는 기능사 외엔 응시할수 없는것처럼 설명을 하셨네요
고졸자는 기능사외에 못따지않나요?? 기능사+경력 없으면?
고졸인데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 전기기능사 셋다있어요 ㅎㅎ.. 대한민국국민의 51퍼센트 이상이 대졸자인데 대졸의 큰의미가..
@@sival22 엥? 응시자격이 되요? 고등학교만 졸업해도?
전기기능장
실무 경험 없으면 취업 될까
호백병마같이 줫같은데서라도 구르는거죠 처음엔
걍 등급만 높은 자격증
최소 산업기사이상 취득하세요
기능사 취득하신분도 최종적으로는 최소 산업기사는 생각하고 계세요
그이유가..
1. 전기안전관리자, 전기안전관리대행
2. 전기공사업 주기술인력(현장대리인) 선임
3. 감리
이 3개 직업이 전기산업기사 이상 보유시 할수있는 고유직업입니다.
자격증 응시조건이 되는데 기능적인 부분을 위해서 기능사부터 차근차근 취득한다? 그냥 최소 산업기사, 어지간하면 기사로 취득하면 좋습니다.
기능이 부족하면 전기공사업체에서 한 1년만 일해보셔도 충분합니다.
소액 공사현장은 기능사로 현장대리인 가능합니다
저희 소장님이 그러시다가 기능장, 기사까지 다 따셔서 특급이시네요
전기기사 따고 관련직 2년을 하면 전기기사 경력 2년이 되는건데 이 경력을 따로 어디에 입력을 해야되나요?? 큰회사 같은 경우는 회사 자체에서 등록을 해준다고도 하는데...방법은 뭔가요 가르쳐주십셔 행님들...
산기도 경력 채우면 무제한 선임되니까 기사딸 필요없다는 인간들 잘들어라
좋은직장은 대부분 서류전형에서 산기는 다 떨어뜨린다
왜 냐 고 ? 얼급많이주고 일편한 직장은 구인광고 내면 지원자가 많겠지
그중엔 기사 보유한 사람들도 많은데 굳이 산기 소지자를 뽑을 이유가 없다
나 산기인데 작년에 공기업 들어왔는데 그런거 없는데? 산기,기사 중에 그냥 경력 더있는놈 선호함 둘다 못따서 망상생겼나보네
네 너넘은 삼성이나 엘지 대기업가세요
진짜 무슨 근거로 이렇게 자신있게 말씀하시는지 모르겠네 ㅋㅋㅋ 전 직장 잘만다니고 있는데요??
@@terwin-zf9ib 빙고..둘중 하나취득후 경력이 우선임..
선임만되면 알빠노인데 대체 왜 이런 망상을 하는거지 꼭 자격증 없는애들이 이런거 쓰더라
전기랑 가스 자격증 두개 있으면 취업시 좋은가요
취업하는곳이 어떤곳이냐의 따라서 다르지만 하나 보다는 두개가 더 좋겠죠..
저런짓을 왜할까 ㅊ ㅏ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