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끈이론은 왜 '끈‘이어야만할까? 인류가 밝혀낼 마지막 '궁극의 이론'이 생기면 벌어질 일 (이광진 물리학자)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5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63

  • @득도자경주최00
    @득도자경주최00 День тому +1

    참 좋아요 ^^

  • @최환영-t3n
    @최환영-t3n 4 дні тому +1

    이광진 교수님의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설명이
    그동안 보았던 과학영상에서 짚어주지 못한 부분까지 다 정리해 주는것 같았어요
    꽤 넓은 분야까지 다 정리해주셔서 놀라웠습니다
    강의 감사합니다

  • @d1t2r3t4m5
    @d1t2r3t4m5 День тому

    지금까지 들었던 관련 강의 중 최고네요.

  • @유머-b8d
    @유머-b8d 7 днів тому +5

    설명을 워낙 잘해주셔서 집중이 정말 잘돼요 유익하고 흥미로운 영상 잘봤습니다!!

  • @nobless885
    @nobless885 6 днів тому +2

    이렇게 담백하게 물리이론 설명해주는게 더 재밌고 이해도 잘되는거 같아요

  • @jlglory5310
    @jlglory5310 День тому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물리학의 궁극 문제 = 철학(모든 학문)의 궁극 문제 = 나는 누구며 무엇인가

  • @HRK-299
    @HRK-299 6 днів тому +1

    이광진 박사님 분광학 설명하실 때 처음 알았는데 역시나 설명을 너무나 잘하시네요~

  • @swjssh
    @swjssh 3 дні тому

    그냥 시청 했다면 뭔소리고 했을텐데...
    한동안 김갑진 교수님 영상을 정주행하고 이 영상 보니까
    매끄럽게 너무 잘 이해된다.
    같은 내용을 다른 시각에서 들으니까 이얘기 나오겠지? 저얘기 나오겠지? 하면서
    예상하고 뭔가 기억이 더 견고해 지는 기분?
    예습과 복습을 더 욱 견고하게하는건 역시.
    정주행 후에 여러 다른사람에게서 같은 내용을 듣는것.

  • @user-pengin
    @user-pengin 6 днів тому

    몰랐던거 하나하나 다 알려주니까 너무 재밌네..

  • @peterjun8889
    @peterjun8889 6 днів тому

    최고이십니다

  • @yoshihiro2221
    @yoshihiro2221 7 днів тому +2

    진짜 물리학자 좋네요.

  • @HRK-299
    @HRK-299 6 днів тому +1

    TOE, 모든것에 대한 이론, 대통일이론.
    4가지 힘을 하나의 방정식으로 통합하려는 인류의 노력은
    어쩌면 인류가 과거에 이것저것 섞고, 녹여서 금을 만들려고 했던 연금술과 같은 행위일 수도 있다.

  • @별똥이-z6c
    @별똥이-z6c 6 днів тому +2

    새로운 스타 강사가 나셨내요
    정말 정신없이 들었 습니다. 고맙

  • @galbijjimmaeun5828
    @galbijjimmaeun5828 7 днів тому

    아..너무 재밌다..ㅠㅠ

  • @mikekim3242
    @mikekim3242 6 днів тому +1

    초끈이론을 미래가 매우 어둡죠. 증거가 안 나온 기간이 벌써 반세기에요.

  • @soodv6723
    @soodv6723 7 днів тому +2

    18:42 ㅇ.O 소름 돋았읍니다,,,

    • @galbijjimmaeun5828
      @galbijjimmaeun5828 6 днів тому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whirlwhirlfly
    @whirlwhirlfly 5 днів тому

    다른 분도 지적하셨지만 시뮬레이션 가설은 결국 누가 왜 시뮬레이션 하느냐,라는 의문이 생깁니다. 초월적인 존재가 뒤따르게 되겠네요.
    양자가 관측 때 확률에서 벗어나듯이 시뮬레이션도 같은 방식이지만 사실 시뮬레이션은 1/2 확률을 넘어서 여러 확률로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양자는 관측 시 반드시 둘 중에 하나를 보여주지만,
    시뮬레이션은 다양한 결과가 나타납니다. 말 그대로 그냥 랜덤한 세계를 보여주는 게 시뮬레이션이죠.
    물론 1/2 확률로 세팅이 된 시뮬레이션이다,라는 주장도 가능합니다.
    그러나 교수님도 말씀하셨듯이 생명의 탄생이라든지, 의식의 발생이라든지, 시뮬레이션은 그 답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합니다. 그 과정이 다 어딘가에 기록이 되어야 데이터가 되니까요.

  • @선풍기-t1o
    @선풍기-t1o День тому +1

    M이론

  • @whirlwhirlfly
    @whirlwhirlfly 5 днів тому

    저는 얽힘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고 보는데요. 가령 5개의 얽힘을 5각형 한 다발로 하고 이런 다발을 많이 만듭니다. 1번 다발부터 횡으로 관측을 시작하고 그 결과와 같은 관측이 나오면 멈춥니다. 거기서 이번에는 아래로 이어서 관측을 시작합니다. 같은 결과가 나오면 멈춥니다. 그 작업이 A라는 정보판에서 진행이 됐다면 상대쪽 A'판에서 그 흐름을 볼 수 있습니다. 상대도 거울상으로 횡-아래로 개봉하는 순서로 진행합니다. 이번엔 B판에서 A판과 같은 결과가 나올 때까지 진행합니다. A와 B판이 같은 결과로 확정되면 A라는 정보는 즉시 전달됩니다.

  • @빈공간-t7b
    @빈공간-t7b 7 днів тому +2

    너무 잼있어요 ^^

  • @baaraam1048
    @baaraam1048 7 днів тому +3

    어차피 파동도 끈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끈이론이 맞는 것 같기는 함.

    • @하나-h5v5o
      @하나-h5v5o 16 годин тому

      아직 끈이론이 맞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상대성이론은 빛속도 일정의 법칙에서, 불확정성 이론은 프랑크 상수에서 나온 것이죠. 끈이론에서 쓰이는 공식은 다른 수학자의 공식을 '아름답다' 라는 이유로 가져다 쓰고요.

  • @jameskim4214
    @jameskim4214 7 днів тому

    지구가 질서 있는 것은 에너지를 소비해서 엔트로피에 역행 하는걸로 이해 했습니다. 물건을 정리하는 이 에너지는 열역학 법칙에 의해서 다시 에너지로 변환 되나요?

  • @sonaper-iw4gy
    @sonaper-iw4gy День тому

    통합되면 스위치의 설계도가 완성된다는 건데. 그럼 스위치도 만들겠지. 만들어진 스위치는 사용을 하겠지. 그럼 지금은 그 스위치 설계를 위한 마이너스 지점이란 얘기잔음. 그 스위치는 아마 우리 차원을 점으로 만드는 거겠지. 점의 차원을 다시 시공의 차원으로 변환하는 스위치 일듯. 시공의 차원은 지속적인 시공의 차원을 요구할 거고. 시공 차원을 유지하기 위해 점의 차원은 필수 불가결 한걸지도, 원주율이 무한인 이유일 지도,,, 네가지 힘중 유일하게 시공을 만드는 힘이 중력이잔음. 시공 속에서 3가지 힘이 작동하기 위해선 4가지힘의 통합은 필수일듯.

  • @구자경-p2j
    @구자경-p2j 7 днів тому +1

    Theory Of Everything이 부담스러우면 Theory Of Fourthing?

  • @brc1794
    @brc1794 7 днів тому

    시뮬레이션 우주론이 아예 확률이 0라고 생각하진 않지만 인간의 관측으로 증명하게 되는 날이 과연 올 수 있을까 싶습니다.

  • @하나-h5v5o
    @하나-h5v5o 16 годин тому

    뭔가의 기본은 점이라고 생각 해야 하는데, 점은 아무런 물리량도 대입이 안된다. 그래서 길이라는 물리량이 있는 끈. 11차원 22차원 하는건? 11차원이면 12개의 아무 연관 없는 자료라 하 더라도 설명할수 있는 수식이 나오기 때문.

  • @Naryeo_Hwang
    @Naryeo_Hwang 7 днів тому +1

    엘레건트 유니버스 읽고 이런 것도 있구나 즐거워했던 고등학교 시절이 생각나네요 😊

  • @2분과학3분과학
    @2분과학3분과학 7 днів тому +6

    지금은 설명할 수 있는게 끈밖에 없음

    • @라그랑-q8b
      @라그랑-q8b 6 днів тому +1

      끈이론은 그냥 수학딸치는 이론일뿐..

    • @티모-h9o
      @티모-h9o 6 днів тому

      설명해보셈 그럼

    • @hellkorea5040
      @hellkorea5040 День тому

      양자역학으로 다 설명되지만 우주는 시물레이션이다😊

  • @그냥저냥-n5k
    @그냥저냥-n5k 6 днів тому

    아우 두야..

  • @prometheuslee3145
    @prometheuslee3145 6 днів тому +1

    끈 이론은 이미 거의 아닌 것으로 물리학계의 평가가 내려지고 있음. 학술지에 발표되는 논문의 수가 급격히 줄어서 찾기도 힘듬.

  • @akiz6854
    @akiz6854 7 днів тому +1

    25:24 어랍쇼? 과학을 보다에서 김범준 교수님이 이런 개념이 아니라고 했슴. 한 양자를 관찰할때 반대편 양자의 상태가 관찰 순간에 결정되는 것이지 정보가 전달 되는게 아니라고 하셨던 것 같은데요...

    • @별시민
      @별시민 7 днів тому

      김교수님이 헷갈리신거 같습니다. 그 문제 때문에 양자가 웜홀로 연결돼있다 라는 가설이 나올만큼 정보 전달이 일어나는게 사실입니다. 그 정보가 제한되는것이지 정보전달이 일어나지 않는것이 아닙니다.
      관측이 됐다는 정보 그 자체는 전달이 되어야만 하니까요

    • @HRK-299
      @HRK-299 6 днів тому

      아 다르고 어 다른건데
      어쨌건 양자얽힘 상태란 두개에 입자가 한쪽의 상태가 결정되는 순간,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즉시 다른쪽의 입자의 상태가 결정되는거죠.
      이 현상을 광속을 초월하는 속도로 정보의 전달했다 라고 해석하는데 양자역학적 현상에 반하는 해석이고
      이게 도대체 말이 되냐고 인정 안한게 아인슈타인의 해석인거죠.
      정보의 전달, 정보를 지닌 최소단위, 모든 입자는 최소한의 정보가 담겨있다. 정보가 없는 입자(혹은 그 무언가)는 우리 우주에서 성립되지 않는다. 다 같은 말입니다.

  • @학생증-r4l
    @학생증-r4l 7 днів тому

    시뮬레이션 우주론은 창조론을 믿는 기독교인들이 좋아합니다.

  • @rivermoon4915
    @rivermoon4915 7 днів тому

    끈이 아니고 정보라오.

    • @cerebrat2
      @cerebrat2 6 днів тому

      그 정보의 가장작은 단위가 점이나 끈이냐를 말하고 있는거임....

  • @bbigkkong
    @bbigkkong 4 дні тому

    천부경

  • @Symsfafa
    @Symsfafa 5 днів тому

    물리학.....허구 덩어리
    세상의 진리와는 무관한 판타지 학문임

  • @juyounglee8417
    @juyounglee8417 7 днів тому

    뉴턴이 기독교 신학자라는 건 알고 계셨나요?
    발표한 논문 절반이 신학 관련입니다.
    신을 부정한 것이 아니라 과학적으로 밝히고자 노력한 것이겠죠?
    당시 천주교의 뒤쳐진 알레고리적 해석을 전면으로 뒤집었죠.

  • @조상목-j2o
    @조상목-j2o 7 днів тому

    우리가 인정 하는 빅뱅은 없다, 모든 물질의 시초는 진동이 없는 고요한 입자의 바다 ( 무한 크기의 입자와입자가 붙어 있는 무한의바다이며 무의 바다다)에 어느 순간 어떤 이유로 한 입자의 진동이 시작 되었고 그 진동은 옆 입자에서 옆 입자로 파도처럼 전달 되었고 지금도 계속 되고 있어 우주는계속 팽창 중이며, 초기 입자의 진동은 무의 바다에서 이 중 주파수가 합이 되면 입자가 일부 생기기 시작 해서 이들 입자와 입자의 충돌로 지금의 우주가 생성 됨( 암흑 에너지란 주파수 합이 않된 무의바다의 입자로 계속 남음) 이런 진동 에너지는 현 물리학에서 관찰되는 최소 입자들의 진동의 근본이며, 중력의 시공간 에너지도 합이 않된 무의바다 입자가 서로 붙어 있기에 설명 될 수 있는것이다

  • @kangbg89
    @kangbg89 7 днів тому

    이래도 신이 없엉?

  • @장진훈-w9n
    @장진훈-w9n 7 днів тому

    인간이란 틀을 벗어나지 못하는것이 너희들의 한계이다.
    난 그 한계를 넘어 이전 우주에서 양자얽힘으로 이곳 지구에 인간으로 온 porqu 다.
    지구에서도 여러번 차원을 옮겨 이동중이다.
    방법이 궁금한가?? 그럼 나를 숭배하라!! ㅋㅋㅋ

  • @용이내가된다
    @용이내가된다 День тому

    끈 이론 == 이론 물리학자들의 수학적 유희.

  • @신채호-d3o
    @신채호-d3o 7 днів тому

    끈이 아니라 데이타라고 최근 논문 나왔다던데요 시뮬레이션우주가 유력하데요ㅋ 중력은 양자얽힘일 뿐이래요 양자요동이 생명을 탄생시켰고요

    • @cerebrat2
      @cerebrat2 6 днів тому

      그 데이터를 이루는 가장 작은 픽셀이 점이냐 끈이냐를 말하는거임...

  • @vincentr6567
    @vincentr6567 7 днів тому +1

    끈이여야만x 끈이어야만o
    이런 채널에서 이런 기초적인 걸 틀리면 어쩌겠다는 거냐?

    • @dlckdwo98
      @dlckdwo98 7 днів тому +2

      딱히 상관없는데? 너같이 무지성 맞춤법 지적하는 인간들 학창시절 국어 등급보면 5등급도 못받는 인간이더라😂

    • @mypersonal9728
      @mypersonal9728 7 днів тому

      이러니 문과는 도태되야함

    • @sophiiisticated
      @sophiiisticated 7 днів тому +1

      편집하다보면 실수도나오는거지 뭘어째 어쩌긴 나가서 일이나해라

    • @세상연구소
      @세상연구소  7 днів тому +1

      오타 수정 했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