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v4주소 체계에 대한 암기사항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 бер 2022
  • Host라는 말을 이해했다면 Host에 부여되는 IP주소는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함께 알아야 합니다. 더불어 Subnet-mask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이 두 가지를 한꺼번에 설명한 영상입니다. 학습에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

КОМЕНТАРІ • 106

  • @hamter_Kong
    @hamter_Kong Рік тому +1

    와 진짜 대단합니다. 정처기하느라 단순무식하게 외웠던 내용들인데 설명을 잘해주시니 이해도 되고 정말 재밌습니다ㅠㅠ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Рік тому

      좋은 평가와 피드백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강의 만들겠습니다. ^^

  • @jerryk0269
    @jerryk0269 Рік тому +10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
    IP 주소 : Host에 대한 식별자. NetworkdId + HostId로 구성된다. 8bit씩 끊어 표기한다. 각 주소 마디 별로 이진수로 치환하는 능력 또한 중요!
    IPv4 : 주소 길이 32 bit (=2^32)
    IPv6 : 주소 길이 128 bit
    Subnet Mask(=Net Mask)는 NetId 길이를 나타낸다
    CIDR 표기법에서 분모 부분은 Networkd Id 부분을 가리킨다
    ~~~ 오늘의 키워드 ~~~
    Net Id : 네트워크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값
    Host Id : 하나의 네트워크 영역에서 호스트를 식별하기 위한 값
    Subnet Mask 표기법 : xxxx.xxxx.xxxx.xxxx. 여기서 '.'은 구분자, xxxx는 Octet이라 부른다
    CIDR 표기법 : xxxx.xxxx.xxxx.xxxx/32
    프로토콜 : 머신 혹은 프로세스 간 데이터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 @Yuqi_loveS2
    @Yuqi_loveS2 2 роки тому +5

    진짜 핵심만 딱딱 짚어주셔서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강의 감사합니다~!!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2 роки тому

      좋은 평가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자 수 좀 올라가도록 널리 알려주세요.~~~ ^^

  • @andodesjoke8742
    @andodesjoke8742 2 роки тому +1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devdevjb
    @devdevjb 2 роки тому +13

    ip는 호스트에 대학 식별자 , IPv4 IPv6에 대한 차이 (IPv4가 아직까진 기준) , netmask에 대한 개념 , netmask를 ip와 bit AND연산을 하면 network ID를 얻을 수 있고 나머지가 host id가 되는 것이다.
    비전공자에게 너무 도움 되는 강의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vw7ee4po7q
    @user-vw7ee4po7q 2 роки тому

    좋은 강의 듣고 갑니다~

  • @dog-jeju
    @dog-jeju 2 роки тому +3

    오래전에 학교에서 어렴풋이 배웠던 개념이 다시 정립되서 너무 좋습니다. 이번 강의도 정말 감사합니다 :)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2 роки тому

      네트워크 분야 강의는 모두 다 들으시기를 권합니다. 열공하세요~~~!

  • @user-rh6zs7fh3b
    @user-rh6zs7fh3b 10 місяців тому

    컴퓨터 구조랑 c언어에서 가르쳐주셨던게 네트워크에도 나오네요. 컴퓨터 구조가 정말 중요함을 다시 한번 깨닫습니당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10 місяців тому

      네, 그렇지요. CS지식이 튼튼해야 한다는 생각을 늘 하게 됩니다. 열공하시고 좋은 결과도 얻시기 바랍니다. :)

  • @6puritans9
    @6puritans9 11 місяців тому

    서브넷 마스크에 관한 글을 읽으면서 뭔가 뜬구름 잡는 느낌이었는데 영상 보고서 다시 읽으니 구체적으로 이해가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11 місяців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좋은 평가와 피드백 고맙습니다. ^^

  • @user-jq4xh5jl6v
    @user-jq4xh5jl6v Рік тому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 @user-cj1iy3rk6q
    @user-cj1iy3rk6q Рік тому

    명쾌한 설명 감사합니다

  • @user-nk1sm9dz5w
    @user-nk1sm9dz5w Рік тому +1

    감사합니다.

  • @ddwax89
    @ddwax89 2 роки тому

    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덕분에 평소 잘 모르고 지나쳤던 부분 알고 갑니다 CIDR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2 роки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니 기분 좋습니다. 저도 감사합니다. 열공하세요~~~! ^^

  • @goofylee1758
    @goofylee1758 2 роки тому +1

    좋은 강좌 감사합니다. 리눅스마스터 시험에 나오던게 생각나네요 ㅎㅎ

  • @eastino
    @eastino 2 роки тому +3

    오늘 생일인데 강의를 2개나 올려주셔서 생일 선물 받은 것 같이 기쁩니다 ㅎㅎ..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2 роки тому +1

      와우~~! 그렇군요. 생일 축하합니다. ^^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2 роки тому +3

      생일 선물로 하나 더 올립니다. ^^ ua-cam.com/video/INamKzKzbPc/v-deo.html

  • @user-jk1gg5fg1x
    @user-jk1gg5fg1x Рік тому

    홀리쉿 쌌다....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코로나 조심하세요!

  • @prows12
    @prows12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 @Blank_____1
    @Blank_____1 11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bloom6561
    @bloom6561 2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 널널한개발자님 저번에 업무관련 네트워크 질문드렸던 구독자입니다! 제가 맡은 업무가 c++98이나 c++11기반으로된 프로젝트를 리팩토링 및 유지보수하는 업무를 맡았는데..(상당히 로우레벨이죠ㅠㅠ) 해당 업무는 맥os로 진행하기엔 무리가 있을까요? 윈도우로 진행해야만 하는걸까요... 또 저는 원래 백엔드 엔지니어를 진로로 설정하고 공부를 해왔는데, 시스템 엔지니어쪽으로 배치를 받아 이번주 일해봤는데 여러 상황들이 겹쳐서 수습기간일때 그냥 빨리 나갈까 상당히 고민이더라구요.. 이에 관련해서 조언해주실 점도 혹시 있으실까요..?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2 роки тому

      C/C++ 산출물을 운영할 환경이 윈도우라면 윈도우에서 개발하기를 권합니다. 어떤 결정을 내리든 올해 하반기부터는 급격히 물가가 상승하고 경기가 위축된다는 전망이 있습니다. 참고하셔서 의사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직무에 대해서는 제가 뭐라 말할 입장은 아닌 것 같습니다. 건투를 빕니다!

  • @noumahn2855
    @noumahn2855 Рік тому +2

    학원강사가 3일 가르쳐도 이해 못한거 이 영상 한번 보고 이해했네요..

  • @jblee716
    @jblee716 Рік тому +3

    23년도 수능 준비하는 수험생입니다. 연계교재 비문학 독서 지문에 이 주제가 나왔는데, 도저히 이해가 안 돼서 찾아왔습니다. 영상 보니까 한결 수월하게 내용 이해가 되었네요.
    혹시 좀더 궁금한 점이 있어서 그러는데,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에 관해서 업로드하신 영상이 더 있을까요? 또, IP주소의 유형 중에서 A/B/C 클래스 관련된 영상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 분야 문외한이라서, 영상 제목만 보고서 어떤 내용이 있는지 잘 모르겠네요. 아무튼 감사드립니다.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Рік тому +1

      헉! 이런 이야기가 지문에 나오다니...놀랍네요. ^^;;;
      그리고 문의한 영상이 이미 있습니다. 네트워크 기초 부문 재생목록을 확인해보기 바랍니다. 제목 자체에 표기가 되어 있으니 확인하기는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건투를 빕니다!

    • @jblee716
      @jblee716 Рік тому

      @@nullnull_not_eq_null 네, 재생목록도 참고해서 시청하겠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kyoungnampark9230
    @kyoungnampark9230 11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jamespark5823
    @jamespark5823 2 роки тому +4

    찾아보니 CIDR이군요!!
    좋은강의 잘봤습니다~ ㅎ

  • @pondbig8109
    @pondbig8109 4 місяці тому +1

    밑에서 컨닝했습니다. CIDR 표기법
    진짜 효율적인 표기방법이네요
    감사합니다.
    실습으로 제 IP주소에서 네트워크ID와 hostID를 알아봤는데요. 192.0.0.2/32네트워크에 속하는 것으로 hostID는 어떻게 찾아야 하는지요.
    이런 경우 호스트 ID는 없는건가요? (테더링을 통한 와이파이 연결을 사용해서 실습했습니다.)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3 місяці тому

      댓글에 IP주소가 포함되어 승인 대상 댓글로 분류가 됐습니다. 이제라도 답변을 드리면...
      464XLAT(IPv4 to IPv6 변환기술)에서 사용된 하드 코딩된 IP주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테더링 시 이통사 네트워크 내부 구간 중 IPv6 구간이 있어서 생긴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user-sf8mp8qo7h
    @user-sf8mp8qo7h 2 роки тому +1

    좀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겠네요
    이 강의를 들으면, 추억의 앨범 같다고 할까
    오래전에 netmask로 host부분을 추가로 쪼개서 사설망 구성한다고 끄적대던 생각이 나네요.
    그땐 참 열심히 공부 했었는데, 주말마다 교보문고에 틀여 박혀서, 책 몇권 비닐봉투에 담아서 들고
    뭐가 그렇게 즐거운지 히죽 거리며 집으로 돌아 갔더랬는데 ...
    감사합니다.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2 роки тому +1

      음...아마도 제가 나이 많은 아제라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Portran77과 COBOL 프로그래밍 시대를 살았던...^^. 그리고 제 네트워크 공부의 처음 시작은 8088XT 컴퓨터에 장착했던 2400MNP 자네트 모뎀부터 시작합니다.

  • @user-bp4bl8vr4p
    @user-bp4bl8vr4p 3 місяці тому

    핵심: 1. IPv4의 주소 체계를 표기하는 방법, 2진수까지
    2. IP 주소 = Network ID + Host ID
    3. subnet-mask 기반의 AND 연산, 그로 인해 나뉘는 Network ID, Host ID
    4. CIDR 표기법

  • @marunarae550
    @marunarae550 2 роки тому

    오호.. 넷마스크를 /24 이렇게 표기하기도 하는군요. 효과적인 표기법같아요.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2 роки тому

      매우 많이 사용하는 표기법입니다. CIDR라고 하지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bori12370
    @bori12370 Рік тому

    또 궁금한점! 이미 넷과 연결된 컴퓨터 (host)의 수는 이미 실시간으로 따져봐도 한참 42억 넘겼을 것 같은데 42억 때 쯤 이후의 호스트는 v6로 넘어가야하는 것 아닌가요? 어떻게 통상적으로 v4로 유지할 수 있는 걸까요?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Рік тому +2

      음...같은 이야기를 제가 20대 일 때 강사님께 들었습니다. 그리고 곧 IPv6 시대가 올것이라고 들었지요. ^^;;; 주소가 모자라지 않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NAT 기술 때문입니다. 물론 이것이 전부는 아니지만 아직까지는 충분해 보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okcharles7
      @okcharles7 Рік тому +3

      인터넷 주소 하나를 쪼개쓰는 기술 때문이죠. 쉽게 얘기하면 공유기의 보급때문입니다.
      42억 개의 IP 주소 중, 하나만 있어도, 공유기에 공유기를 연결하면, 이론적으로 무한대의 주소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IPv6는 방구만 끼다가 흐지부지됐습니다.
      라디오가 비디오 스타를 죽인셈이죠. ^^

  • @user-yl6vd7tf1m
    @user-yl6vd7tf1m Рік тому

    유익한 강의 잘들었습니다..! IPv4 주소체계에 대한 개념이 어느정도 잡혔어요!!
    질문한가지 드리고 싶습니다.. 그래서 서브넷마스크가 왜 필요한건가요...? 강의를 계속봤는데 이해가 잘안되네요ㅠ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Рік тому

      Network ID와 Host ID를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user-yl6vd7tf1m
      @user-yl6vd7tf1m Рік тому

      @@nullnull_not_eq_null 아하...그랴서 구별하면 장점? 예를 들면 이러이러한 이유로 보안이 강화된다.. 이렇게.. 궁금한게 너무 많네요 죄송합니다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Рік тому +1

      @@user-yl6vd7tf1m 장점이 아니라 그렇게 구분하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는 것이죠. 이는 우리가 국토를 굳이 시도단위나 읍면동 단위로 나눠서 관리하는 이유와 같습니다. 그리고 죄송할 일이 아니니 마음쓰지 마시고요. ^^

  • @user-yb1rl6wq5i
    @user-yb1rl6wq5i 10 місяців тому

    이해가 안 가는 것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IPv4에서 마지막 부분이 host부분 즉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서 하나의 PC를 식별하기 위해 저렇게 사용하는 것이라고 이해를 했습니다.
    그런데 하나의 PC(기기)를 식별하기 위해 MAC 주소가 존재하는 건데 왜 저렇게 사용해야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ㅠㅠ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10 місяців тому

      한 PC에 NIC이 여럿 장착되면 한 호스트에 MAC은 여러 개가 존재 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NIC은 주변기기이며 탈부착이 가능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simbble
    @simbble 11 місяців тому

    13:54 14를 2진수로 나누실때 8421 적어두시고 1110으로 적으시던데 무슨 원리로 2진수로 바꿔지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ㅠㅠ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11 місяців тому

      2^3 == 8,
      2^2 == 4,
      2^1 == 2,
      2^0 ==1
      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Turner7518
    @Turner7518 6 місяців тому

    IP 주소는 총 32비트. 8비트씩 dot으로 구분되어 구성됨
    IP 주소는 Network ID와 Host ID의 조합
    Host ID는 IP 주소에서 Network ID를 제외한 나머지
    Network ID를 구하는법: 현재 IP와 서브넷마스크를 비트 AND 연산

  • @user-wz3wn3mp9x
    @user-wz3wn3mp9x 4 місяці тому

    강의 잘듣고 있습니다.
    질문합니다.
    마지막에 0000 1110과 0000 0000을 AND를 왜하는거죠..??? 결과는 모두 0만 남는데....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4 місяці тому

      0과 AND 연산 하는 것을 마스크 연산이라고 하며 마스크 연산으로 특정 영역의 값을 잘라내는 것입니다. 이렇게 호스트 ID를 빼고 네트워크 ID를 얻을 수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django3861
    @django3861 2 роки тому

    네트워크 기초 이론 완강 스터디
    4강 / 5월 5일 헬스장

  • @terry7150
    @terry7150 2 роки тому

    오 강의재밌어요 정답은.. CIDR?

  • @andrew44312
    @andrew44312 Рік тому

    VLAN으로 부족한 IPv4를 보완하고있죠.

  • @user-rf7xk2bt9g
    @user-rf7xk2bt9g Рік тому +1

    IP 주소와 넷마스크를 AND 연산하는 이유가 뭔가요?

  • @bori12370
    @bori12370 Рік тому +2

    사이더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ㅇ IPv4의 `IP 주소 고갈` 및 `라우팅 테이블 대형화`에 대한 해소책
    ㅇ IP 주소를 Class A,B,C 등과 같이 규격화된 구분없이,
    - 비트 단위의 서브네트 마스크 정보도 네트워크 정보로써 함께 라우팅하는 것
    . 255 ~ 65,536 정도의 연속 주소 범위를 하나로 할당 가능케 하는 라우팅

    • @bori12370
      @bori12370 Рік тому +2

      왜 사이더가 ip 주소 고갈에 대한 해소책인지 이해가 안가요 (구글링해보니 정확히는 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한다기 보다 IPv4 주소 체계의 생명을 연장하는데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라는데 왜.. 연장인걸까요)
      대충 주소를 엄청 효율적으로 관리해서 그런 것 같다는 늬앙스로 이해하긴 했습니다!

    • @bori12370
      @bori12370 Рік тому +2

      아! 더 찾아보니 유동ip 정적 ip개념이 있군여!! 아 ~ 공유기가 공인 ip를 갖고와서 각 기기마다 사설 ip를 할당해주는데 그때가 NAT라서 ipv4를 지금도 쓸수 잇는거구나요!
      그러면..... 사이더는 어디에 쓰이는거죠 없었을땐 어땠길래 왜ㅐ 효율적으로 주소가 관리된다는건지 ..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Рік тому +1

      제가 답을 늦게 달았더니...스스로 찾아내고 계시는 군요. 매우 바람직한 상황입니다. 게다가 이렇게 기록으로 남겨주면 다른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지요. 감사합니다. ^^
      CIDR 표기가 효율적인 이유는 A, B, C 클래스 등 8비트 단위로 네트워크를 자른다고 가정하면서 생기는 주소 낭비를 방지해주기 때문입니다. 쉽게 생각해서 '자투리'가 생겨서 소실되는 주소 영역이 줄어듭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django3861
    @django3861 2 роки тому

    제가 2진법을 헥사로 바꾸는걸 몰라서 1100 0000 > c0 으로 바뀌는게 이해가 잘 안되네요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2 роки тому

      2진수1100은 10진수 12, 십진수 12는 16진수로 C 입니다. 넓고 얕게 시리즈에 관련 내용이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 @user-nl5ir3zk9i
      @user-nl5ir3zk9i 2 роки тому +2

      0123456789abcdef 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 @django3861
      @django3861 2 роки тому

      답글 감사합니다

  • @user-gu4hp6ml3x
    @user-gu4hp6ml3x 5 місяців тому

    정답이 CIDR인가오?

  • @ttoniano
    @ttoniano 2 роки тому

    정답은 CIDR 입니다!

  • @miR-20
    @miR-20 Рік тому

    그 용어가 클래스 맞나요? a b c클래스.. 전공자는 아니고.. 국어공부하느라 왔습니다..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Рік тому

      네, 맞습니다. 다만 최근에는 CIDR 표기를 사용하고 있어서 그 의미가 좀 퇴색하긴 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miR-20
      @miR-20 Рік тому

      @@nullnull_not_eq_null cidr표기에 대해서도 찾아봐야겠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miR-20
      @miR-20 Рік тому

      @@nullnull_not_eq_null 아 영상에서 슬래쉬 뒤에 표기하신 방법이 cidr이군요

  • @user-km5ic2no7z
    @user-km5ic2no7z 2 роки тому

    답이멀까 음..ㅠㅠ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2 роки тому

      첫 글자는 C, 약자로 네 글자 입니다. CXXX 표기라고 하지요.

  • @user-pq2ob7mw7e
    @user-pq2ob7mw7e 2 роки тому

    prefix??

  • @django3861
    @django3861 2 роки тому

    Ip 주소에서 Net ID 길이가 얼마인지를 나타나는게 (서브)넷마스크다

  • @MOZZIMOZZI
    @MOZZIMOZZI Рік тому

    ㅋㅋ 저 IP 옆에 있는 슬래쉬 숫자가 저거였구나 ㅋㅋㅋ

  • @django3861
    @django3861 6 місяців тому

    9:23 16진수 기준 C가 됨

  • @qaztrewqaz9960
    @qaztrewqaz9960 2 роки тому

    정답! 네트워크 비트 ㅎ 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