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쉽게배우기-용접-SMAW(HOW TO STRIKE AN ARC)-피복아크용접 아크발생법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4 тра 2017
  • 전기용접(아크용접)의 아크 발생법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찍기법, 긁기법
    용접/WELD(GTAW, SMAW, GMAW, CO2, FCAW)
    용접에 대해 함께 알아 봐요.^^
    weld.or.kr
  • Навчання та стиль

КОМЕНТАРІ • 246

  • @user-rx5dp8tv1w
    @user-rx5dp8tv1w 4 роки тому +1

    영상 덕분에 아크용접의 아크발생법에 대해 자세히 알게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 @tvahn7640
    @tvahn7640 5 років тому +3

    비드가 죽이네요 ~ 잘 보고 갑니다 ^^

  • @user-ic5fh1ll2f
    @user-ic5fh1ll2f 6 років тому +4

    특수용접기능사와 용접기능사 둘다 취득한 사람인데 이영상을 보면서 공감되는게 많은것 같습니다 ㅎㅎ 아크용접은 연습만이 살길이죠 꼭 합격하세요!!

  • @user-hl1he7yk7t
    @user-hl1he7yk7t 6 років тому +1

    수고많으십니다.

  • @user-vq3de7ys9x
    @user-vq3de7ys9x 6 років тому +1

    셀프로 인테리어 하려고 독학합니다. 좋은 영상 잘 보았습니다. 추후 취미로 용접 하다가 가능하면 기능사까지 따려고 생각합니다 ^^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독학으로 얼마든지 할 수 있습니다. 응원하겠습니다.

  • @user-xt6ld4ic6i
    @user-xt6ld4ic6i 7 років тому +2

    덕분에 잘배우고갑니다 용접기능사 준비중이여서요^^

    • @bitcoin-weld
      @bitcoin-weld  7 років тому +2

      오늘저녁은생선 네. 고맙습니다. 저도 님의 한마디에 더욱 힘이 나요. 화이팅 하세요. 더 도움되는 영상 만들어 보고싶어요.

  • @user-bj5wy9so9t
    @user-bj5wy9so9t 7 років тому +1

    잘 배우고 갑니다. 저는 배관 정비쪽 신입인데 도움됩니다.

  • @user-yx1jg8kc8v
    @user-yx1jg8kc8v 5 років тому +1

    감사합니다 잘 배우고갑니당

  • @user-bo9jx2jy6x
    @user-bo9jx2jy6x 6 років тому +8

    피복아크 맞대기하실때는 가접을 튼튼하게 하시는게 좋습니다. 원체 열이 많이 나오는지라 영상에서 하신것처럼 저전류로 붙여만 놓으면 열응력 때문에 가접부가 떨어져 버리거나 루트간격이 터무니 없이 줄어 들거든요.
    가접 전류를 9T는 110A, 6T는 100A정도 놓고 양쪽루트면에 번갈아 쇳물을 생성한뒤 좁아진 루트간격을 왕복하는 형태로 가접비드를 만들면 됩니다.
    가접시 위빙폭을 너무 좁게 잡으면 용락이 될수 있으니 베벨면 중간부분까지 충분히 올라오는 형태로 위빙하는편이 좋구요 국가자격시험 기준으로 양쪽가접부는 각각 10mm까지 허용하니 10mm만 넘지 않는선에서 취향껏 가접하시되
    전체용접선중 백비드 미형성부가 도합 25mm 이상이면 오작 처리되니 양쪽가접도 백비드를 형성하는게 좋습니다.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1

      김해성 댓글 고맙습니다. 가접부를 10미리만 허용하고 백비드 미 형성 구간도 25리 군요.

  • @777lhk
    @777lhk 6 років тому +1

    전기용접에 관한 여러가지 내용과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상세히 설명해 주심을 감사 드립니다.

  • @user-pi4gf4di6y
    @user-pi4gf4di6y 6 років тому

    용접 기능사를 취득할려고 ㅋ1번은 떨어져서.....2번째에 붙었긴했는데.....예전에 기억이 새록새록 나서 공감갑니다.

  • @user-zh6er1wo9r
    @user-zh6er1wo9r 6 років тому +2

    공기 좋은 곳에서 살고있는데 간단한 철용접도 못해 기술자부르고 부담스러웠는데^^~전 완전 초보인데 이영상보니 용접에 도전 하고싶네요~
    도움받고 잘보았습니다^^~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환타 감사합니다. 도전 하시면서 어려움이 생기면 제가 도움 드릴께요. 아마 도움이 될 수 있을거에요.

  • @user-pi4gf4di6y
    @user-pi4gf4di6y 7 років тому +1

    선생님 영상 유용하게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저는 참고로 smaw용접을 정말좋아하는사람이라. 더더욱 공감이가내요

    • @bitcoin-weld
      @bitcoin-weld  7 років тому

      마티에르 저도 용접이 힘든 직업이긴 하지만 용접을 좋아해요. 만나서 반갑습니다.

  • @user-wq2tm1kz3s
    @user-wq2tm1kz3s 5 років тому +1

    구독 하고 갑니다.
    영상 자주 올려주세요^^

  • @user-bp3xs4xb5n
    @user-bp3xs4xb5n 6 років тому +1

    고맙습니다,잘배우고갑니다,

  • @mememiuiu7483
    @mememiuiu7483 6 років тому +53

    너무 디스 하는댓글이 많이 나오네요 자신의 실력이 높다해서 막 이런댓글 올리시는데 이제 막 시작하시는 분들에게는 이런영상도 중요한 참고가 됩니다 피복아크용접같은 경우에는 아크생성하고 전류맞추는데만 1~2주 걸리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저희가 알고 있는 3가지(GMAW,TIG,SMAW) 용접중에서도 가장 난이도 높은 용접입니다 그중 7016은 기능사나 산업기사에 나오기때문에 기본과정인 아크생성하고 비드내는 방법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리고 현장에서 용접잘하신다는분 들도 폴리텍이나 학원으로 교육오실때도 용접개판으로 해놓고 기계가 현장이랑 다르다 모재가 너무 작다 딴소리하시는분들 많은데 자기 자만 하지않는게 좋을것 같습니다.우인석씨 영상 잘봤습니다 이런영상이 언제 나오나 기다렸는데 딱 알맞게 나왔네요 이번에 기능사,산업기사 실기 보시는 분들에게 교육영상으로 참고한번 해봐야겠네요 잘봤습니다 제가 피복아크 교육시간중에 지적하고싶은 내용이 아주 잘나왔네요! 자신감 가지고 앞으로 이런 영상많이 부탁드리겠습니다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4

      이승화 힘이되는 응원 감사합니다.

    • @user-uo6cw9ky5t
      @user-uo6cw9ky5t 6 років тому +1

      이승화 ㅡ

    • @user-fr6hh1vw8t
      @user-fr6hh1vw8t 5 років тому +1

      이승화 그거 용접못해서 그래요.대부분 용접하는분들,7016.308.309.CR,기본적으로 하고 다녀요.시험장 모재에 기계가 안맞다.이런 핑게 믿지마세요.용접전에,전압.전류 테스트하는데,개판 내면,기량에 문제있는거 맞습니다.

    • @marbletr2754
      @marbletr2754 5 років тому

      산업현장 용접기가 좋아서 그렇지요.
      시험장 기기는 열악해서 그렇지요.
      둘다 상황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충분한 경험이 없다면 이해하려고 노력해야합니다.

  • @jinkyu-haengnimhot5454
    @jinkyu-haengnimhot5454 5 років тому

    잘보고 갑니다~~

  • @jazzandpbrb315
    @jazzandpbrb315 5 років тому +1

    팁 아크낼땐 두손으로 홀더를 잡고 4방향으로 꺾은뒤 내시는게 좋고 무엇보다 지금 아크옆에 손이 너무가까워요 엄청위험합니다 그리고 장잡도 티그 장잡이라 좀 위험해서 가죽으로 바꾸는걸 추천합니당

  • @chrisrenaud4141
    @chrisrenaud4141 5 років тому +2

    awesome!

  • @user-ml5ep1st8f
    @user-ml5ep1st8f 4 роки тому

    용접을 천천히 해야 깔끔하군요!

  • @user-yp2mt9di4f
    @user-yp2mt9di4f 5 років тому

    유튭 사부가 나타났다!! 잘보고 갑니다 ㅎ

  • @user-hv4if4xw6x
    @user-hv4if4xw6x 4 роки тому +1

    우와~용접 참 잘하시네요...,

  • @user-cr9mi8lx6k
    @user-cr9mi8lx6k 6 років тому +1

    영상잘보고갑니다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박광민 다들 못한다고 댓글 다는데 감사합니다. ^^

  • @pingping1
    @pingping1 6 років тому +3

    열정에 박수!

  • @user-ko2kt5jk5z
    @user-ko2kt5jk5z 5 років тому +4

    잘봤습니다 제가 금속인테리어인데요 몇년째 용접을 무서워하내요 ㅠㅡㅠ

  • @user-ff7bl3oi8q
    @user-ff7bl3oi8q 5 років тому +3

    이직한 곳이 주물 공장인데... 하도 전류가 세서 그런지... 용접봉이 모재에서 떨어지지 못하고 그대로 달궈져 버려서...
    초심자라면서 때 아닌 무시는 당했는데...
    이전에는 너무 좋은 환경이었나 싶기도 하구요. 그래도 육성 용접하시는 분들 보니 대단들 하시더라구요. 자세가 안나올 정도로 애매한 곳도 육성을 하시더라구요.
    좋은 동영상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bitcoin-weld
      @bitcoin-weld  5 років тому

      댓글 감사합니다. 전류가 세면 순간 퓨즈 처럼 달궈져 버립니다.

    • @user-ff7bl3oi8q
      @user-ff7bl3oi8q 5 років тому +1

      어쩐지... 8년만에 너무 놀랐다고 해야 하나요... 벌건 것을 보니... 헉... 했답니다. 제 입맛에 맞추어서 다시 작업을 하려니... 옆에서 눈치를 엄청 주더군요... 용접기 헨들을 열심히 돌려서 전류 낮추고 시작하니... 좋아졌는데...
      주물 제품의 육성 작업시에는 어쩔 수 없이 고전류에서 작업해야 하므로 그 환경에 맞추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새벽에 일찍 나가고 점심에 연습해서 요 몇일 눈치는 안보고 있답니다.

    • @bitcoin-weld
      @bitcoin-weld  5 років тому

      이병철입니다 진주아빠 그렇군요. 주물은 예열을 하며 용접 해야 하는걸로 아는데 어떤 용접을 하시나요?

    • @user-ff7bl3oi8q
      @user-ff7bl3oi8q 5 років тому +1

      @@bitcoin-weld 답 늦어서 죄송합니다.
      망간 함유량이 11~14%정도 되는 암석 파쇄용 장비 부품인데...
      주물이다보니 잘 나오는 경우가 드물어서 크랙이나 기공발생 부위를 수정 보수하는 작업이 많습니다.

    • @bitcoin-weld
      @bitcoin-weld  5 років тому

      @@user-ff7bl3oi8q 그렇군요. 망간 함유량이 높으면 전류를 세게 설정 한다는거 하나 배웠습니다.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영상 잘 보았습니다. 한가지 궁금 한 점이 있는데요.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전기용접을 혼자 찾아서 하다보니 많이 부족하여 문의 드립니다.
    루트 GAP을 몇mm 주셨는지 알고 싶습니다.
    전기용접 위보기 빽비드 조건
    1. 모재 규격
    200x75x10t
    2. 베벨가공 각도
    25도
    3. 루트면
    1mm
    4. 루트GAP
    Start:?3.2mm
    Middle? 3.5mm
    End:?4mm~5mm
    5. 사용 용접봉 규격
    E7016(저수소계) 3.2mm
    6. 용접봉 예열 여부 및 예열 조건
    ? 예열하여 사용
    7. 가접 전류
    최소 130a
    150a~160a
    8. 가접길이
    ?15mm~20mm
    9. 가접부 그라인딩 유무
    용접 이음에 용이하게 허용
    10. 용접 전류
    1차:85A
    2차:120A
    3차:120A
    4차:115A
    11. 이면비드 용접에 사용된 용접봉 갯수
    2개
    12. 파이날 비드 폭
    12mm~12.5mm
    13. 용접시 사용된 전류 극성
    ?교류용접기
    14. 전류 조정시 후크메터
    사용 유무
    ? 사용
    15. 용접비드 각 층간 용접시
    시간차를 주었는지 유무(냉각 시켜 용접 했는지)
    ? 빽비드 용접후 그라인딩 후 2차 들어감 결국 냉각 될 시간을 좀 가짐
    16. 전류측정시 단락전류를 측정 했는지의 측정 방법은
    ?단락된 상태에서 측정
    이상 용접 조건이 궁금 합니다.
    빠진 것이 있어 몇가지 추가 질문 드려 봅니다. ^^

  • @user-bt7fj2ft4v
    @user-bt7fj2ft4v 6 років тому +4

    제가 보기에는 결과물이 엄청 깔끔해 보이는데요?
    저는 아직 저렇게 못하고 그냥 땜질 수준입니다(땜쟁이라 불립니다 ㅎㅎ)
    저렇게 긁거나 찍어서 용접하면 빈공간 생기고 모체가 구멍나기 일수네요(아무리 천천히 해도 저리 깔끔하게 나오기 힘들더라구요)
    수많은 연습을 하면서 감을 잡는게 중요하겠지요?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1

      성동준 사실 용접 자체는 잘 된 용접이 아니에요. 그이유는 사용한 용접봉 관리부터 엉망인 1년된 습기 많은 저수소계 7016 용접봉을 사용 했어요. 용접이 잘 될이가 없죠. 네. 하시다 보면 당연히 잘 됩니다. 허나 좀더 알고 연습 하시면 조금더 빨리 잘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병창님 용접 연습을 많이 하고 노력 하는것은 용접 실력향상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고 빠져서는 않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연습을 할때 용접의 그 무엇을 위한 연습인지 구분지어 생각 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러니 하게도 용접을 어느 정도 이해하기 전에 나누어 생각하기 어려운 것이 용접인거 같아요. 하지만 용접을 제가 하다보면 항상 기본적인 조건 들이 결국 답이 되는 것으로 느끼게 되요.
    먼저
    1. 적절한 전압 전류 조정
    2. 아크길이
    3. 토치의 각도
    4. 용접 진행 속도
    5. 용접진행시 열관리
    6. 용가재의 안정적 공급
    7. 용접 자세에 대한 몸의 적응
    8. 근육의 단련(지구력 및 유연성)
    그냥 생각 나는것 적어보면
    요런 것들이 용접 연습을 하면서 서서히 늘어가다가 어느 순간 부터 여러가지 조건들이 자리를 잡게 되고 각자의 자리에서 역활을 잘 해주면 비로서 용접이 조금씩 되어 가는거 같아요.
    결론은 한가지씩 한가지씩 생각 많이 하시고 잡아가시는 것이 용접 실력 향상에 더욱 도움 되리라 생각 합니다.

    • @zhejun0325
      @zhejun0325 6 років тому +1

      우인석 Woo in seok 젤중요한건 물은보는것입니다 모든용접에서 물조절이 최우선입니다.
      모재온도에 따라서 속도조절이라던가
      모재 재질에따라 조절이라던가 최고중요한건 경력이겠지만 모재를 잘이해하고 그에적당한 작업할수있어야 용접사입니다.
      그리고 전류운운하신데요 그건 중요하지않습니다.
      용접사들은 한번찍으면 바로대응합니다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Zhejun Shen 코멘트 고맙습니다.

  • @harukoony
    @harukoony 6 років тому +2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초보라 용접 참 어렵게 느껴지는데 영상보고 나니 무엇을 잘못했는지 알겠내요.
    여기도 오지랍떨고있는 꼰데들이 몇보이네요..걍 무시하시고 그런사람들은 체널에서 영원이 뎃글 안보이게 체크해놓으시길 추천드립니다. 도대체 얼마나 잘하기에 저리 기고 만장한지 참나..쓰레기뎃글보니 화가 납니다.. 추천드리고 갑니다.^^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silverbag 댓글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 @user-qo9rj6tc8j
    @user-qo9rj6tc8j 6 років тому

    ㅋㅋ화이팅

  • @user-nb7dn4xw6s
    @user-nb7dn4xw6s 6 років тому

    멋모르고 용접한답시고 찌지다가 아다리걸려서 시끕한 이후로 ㅋㅋㅋ 배우고 싶네요 용접기술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조영규 배우세요. 아는 용접 노하우 공유해드릴께요.

    • @user-nb7dn4xw6s
      @user-nb7dn4xw6s 6 років тому

      우인석 Woo in seok 어깨너머로 본게 다라서요 ㅋㅋㅋㅋ

  • @user-im5gr8rj6y
    @user-im5gr8rj6y 5 років тому +3

    실전이 중요하다

  • @user-et4hh5rl1e
    @user-et4hh5rl1e 6 років тому

    아무튼 열심히 화이팅

  • @youlikemimi3302
    @youlikemimi3302 6 років тому +4

    3.2파이 봉은 전기110넘지 않는게 좋고 가접할때라도 120이하. 130은4파이부터 적용하는게 좋다고 생각. 이면비드 전기95이하. 2패스110이하.파이널100정도.7016기준. cr봉은 전기 낮아도 잘되니 전기 줄이고 스쳐주거나 가까이 대주면 알아서 아크발생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지민우 동영상 촬영 당시 전류 테스터기 사용을 잘 못하여 전류값을 정확하게 체크 하지 못했습니다. 제 기억으로 제가 130a라고 이야기 하는데 그건 잘 못된거에요. 죄송.
      구독자님 말씀에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지민우 네. 그럴께요.

  • @dunhill3600
    @dunhill3600 6 років тому

    초보한테는 중요하죠. 용접산기가지고 있지만 물론저도 초보입니다. 용접은 경력우선 입니다. 어설픈 용접배워서 업체에 서 사용도 못합니다.

  • @user-yh3jg6wx8y
    @user-yh3jg6wx8y 6 років тому +2

    태그부터다시 배우고 고데기잡으심이~~
    이영상보고 회사직원들 배를 잡고웃었나이다ㅋㅋ현장용접할려면
    한참더 배우셔야겠네요ㅋㅋ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잘잤다 부족한 동영상에 관심 가져 주셔셔 고맙습니다. 태그를 어떻게 연습 하면 좋을까요?

  • @user-xk3ob9cn1d
    @user-xk3ob9cn1d 6 років тому +1

    용접은 전류만보시면댑니다..고고에마처실행하는것이니 두께이런거상관없어요.. 초싸움만아시면되요..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이경술 맞습니다. 전류가 맞게 하면 되죠. 그리고 초싸움에서 매번 져서 문제에요.

  • @kkkk-qk8vx
    @kkkk-qk8vx 6 років тому

    용접을 배우고 싶은데 이런 기초적인 용어들은 자격증 책을 사면 다 배울 수 있는 건가요? 아님 현장용어들인가요?

  • @user-dj4qn2py6f
    @user-dj4qn2py6f 5 років тому

    좋은 영상 잘보고 갑니다ᆢ
    근데 좀더 가까이 찍었으면 손동작이라든지 용접봉이 철에 닿는 모습 ᆞ
    그리고 뷸꽃때문에 아무것도 안보이는데 일단 가까이서 어텋게 하는가 보여주고 다음에 용접해서 결과를 보여주면 좋을것 같네요ᆢ

  • @user-or6px5tt4b
    @user-or6px5tt4b 6 років тому +8

    제 생각엔 용접기능사시험 자체가 잘못됐다 봅니다. 저도 원전 조선소 자동차 차체까지 왠만한 용접일은 했고 지금도 하고 있지만 현장에서 쓰지도 않는 용접들이 종목으로 나오죠ㅋ.
    아크용접같은 경우엔 원통형빽낼때 아주 가끔쓰긴하는데 일반 산업현장에서 절대 3g 4g자세로 할일 없고요..
    Co2같은 경우엔 솔리드와이어 진짜 드물게씁니다. 버스차체 용접한적이 있는데 버스는 철판자체가 박판이다 보니 솔리드 쓰더라고요. 기능사처럼 8t이런거 솔리드 쓸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3t미만 점접시 솔리드 가끔쓰죠.
    티그의 경우는 그나마 쓰는경우가 있는데 티그도 거의 배관용접에 이용되고 LNG선 화물창은 맞대기도 합니다만 기능사 용접과 완전 다르죠.
    국가기능사가 아무리 대충해도 따는 최하위자격증 이라지만 어느정도 현장에 맞아야하는데 너무 동떨어진 시험이다보니 어느현장에서도 취급안해주는 자격증이 되었지요. 조선소나 원전같은데서 국가기능사 어쩌구 하면 콧웃음치는 이유도 실상과 너무 동떨어진 시험이기 때문이죠.

    • @user-xb3nc2ug9q
      @user-xb3nc2ug9q 6 років тому +1

      울 회사 두꺼운 거 솔리드로 용접하는데? 우리 회사는 드문 회산가

    • @user-or6px5tt4b
      @user-or6px5tt4b 6 років тому +1

      h w 전 처음보네요. 어떤거 용접하는지 물어봐도 될까요? 신기해서 궁금하네요.ㅎㅎ
      일반적 박판제외는 용입깊은 플럭스를 선호하는데 제가 모르는부분이 있나보네요.

    • @user-qm8br6mv4c
      @user-qm8br6mv4c 6 років тому +1

      co2는 약간 잘못생각하시는거 같은데 조선소는 두꼐가 두꺼운 철판 용접하기 떄문에 플럭스를 많이 쓰는거지 솔리드는 얇은거 용접하는데선 많이 써요

    • @bomlover7
      @bomlover7 6 років тому +1

      어느 자격증이던 교육기관이던 책상머리에만 앉아 있는 넘들이라 실지 현장과는 너무나 괴리되는게 우리 한국의 실정이라서 저두 불만이 많습니다

    • @user-or6px5tt4b
      @user-or6px5tt4b 6 років тому +1

      박기성 박판 솔리드 쓴다고 적었는데요? 국가자격처럼 6t 8t는 솔리드를 쓸이유가 없다고 적었고요..

  • @user-kg8wl9jo5e
    @user-kg8wl9jo5e 6 років тому +11

    오.
    오늘용접첫시간으로학교에서햇는데 철판이랑달라붙어서오우오우이러면서 전원버튼바로내럿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1

      용접의 원리상 원래 달라 붙어요.^^ 저도 처음엔 달라 붙어서 짜증 많이 났어요. 좀 하다보면 않달라 붙을거에요. 화이팅 하시길...

    • @user-nu7uu5qs5q
      @user-nu7uu5qs5q 4 роки тому

      오늘 처음했는데 뭣도모르고 암페어 올리다가 용접봉이 용으로 변했어요 ㅋㅋㅋ

  • @whq-bs3rh
    @whq-bs3rh 6 років тому +6

    용접이 잘되면 슬러그가 저절로 쭉 하고 일어나는데.....전류를 좀 더 높였음합니다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1

      문호권 네. 댓글 감사합니다.

  • @ysc4157
    @ysc4157 6 років тому +1

    멘땅에 헤딩하는 심정으로 이것저것 사놓고 용접질을 해보는데 궁금한게 많습니다..우선 철판 두께에 따른 적절한 전류는 어떻게 알아내야 하는건가요? 학원을 다니는게 빠를까요? (취직을 목표로 하는 용접은 아니기에 학원비가 아깝다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YS C 010 4643 2440 전화 주세요. 도움이 된다면 저의 의견 나눠 드릴께요.

  • @user-rq9ho1hv6e
    @user-rq9ho1hv6e 6 років тому +1

    용접초보로 우인석교사님 동영상으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보름동안 하루 두시간씩 꾸준하게 알곤용접 연습하고 주말에는 5시간정도 연습중인데 태그조차 제대로
    되지않고 있습니다. 막막해서 재차 질문드립니다.
    기초가 워낙 없어서 태그조차도 어렵습니다.
    일단 토치는 세라믹대놓고 제자리에서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쇳물이 녹아내릴때 용접봉 슬쩍대면서 녹이는 방법으로
    맞대기용접, ㅗ 모양으로 태그를 쭉내는?? 이어가는 연습을 하고 있습니다.
    카본철판3T정도 되는 판재에 연습중인데 비드가 엉망입니다. 너무 두껍거나 언더컷현상이 나는데 아직 위빙연습은
    않하고 태그라도 제대로 놓고 시작을 하려고 하는데 어떤식으로 연습을 해야될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드의 모양이라던지, 어느부분을 중점적으로 생각하면서 태그를 놓는지)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1

      김병창 제가 질문 사항을 잘 이해한 후 도움 될 수 있도록 영상을 만들어 볼께요. 알곤 용접 배우기 시작 하는 분들을 위한 중요한 사항들에 대해서요.

    • @user-rq9ho1hv6e
      @user-rq9ho1hv6e 6 років тому +1

      매번 자세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처음하는 용접이라 이론부분에 대해서는 공부하면 되는데 실습부분은 영 손에 익지를 않아
      제자리걸음입니다. 여건이 되신다면 토치와 용접봉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찍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위빙은 필렛용접할때도 위빙이 중요한가요?? 위빙이 일정속도와 거리때문에 하는것이라는것은
      이해하겠는데 필렛용접할때 않쓰시는분들도 많더라구요. 회사에서는 비드폭이 좁고
      (이전 수제자전거알곤용접처럼) 두께는 앏은것을 원하시더라구요. 회사에서 연습할때마다
      너무 두껍게 한다고 혼이나는데 용접시작한지 이제 2주됐는데 서스로 박판에 용접도 해보라하시고
      알루미늄도 2T짜리 스크랩도 주시고 하는데 다 녹여버리고 태그조차도 않되네요.
      마음은 급하고 몸은 않따라줘서 할때마다 힘드네요.

  • @asd-bp2nx
    @asd-bp2nx 6 років тому +1

    댓글보니 키워, 방구석 여포, 꼰대들 많은데 일일히 다 친절하게 댓글 달아주셨네요.........
    전 기계일반 공부하는 수험생입니다 용접파트도 있어서 그러는데 용접 관련해서 궁금한거 생기면 질문좀 하러 와도 될까요?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네. 그러세요. ㅎㅎ 이론은 아마 책이나 지식인이 나을거에요. 하지만 기능을 습득 하는데는 도움이 될 수 있을거 같구요.

  • @user-jm1wb1xc9g
    @user-jm1wb1xc9g 6 років тому +2

    안녕하세요 저는 용접을 막 시작한 입문자에요^^
    몇칠해보니까 용접은 전류가 중요하고 나중에는 상황에 따라 제가 조절해야한다고 배웠습니다
    손이랑 다른거는 연습하면 될꺼라고 생각해요 ^^
    상황에 맞는 전류가 가장 여려워서요
    재료에따른 전류값 이론책이 있을까요?
    미리공부 해두면 그틀에서 전류를 맟추면 되지않을 까?
    생각이 들어서요^^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남임병수 미리 준비 하는 것은 좋다고 생각 합니다. 하지만 전류는 단순히 모재와만 관련이 있는것이 아닙니다. 전류는 아크길이 용접속도와도 관련이 있으며 그 두가지는 용접을 배우시는 분이 컨트롤 해야 하는 것이라서 지금과 같이 전류를 공부하기느 어렵습니다. 전화 주시면 설명은 해 드릴 수 있습니다.

    • @user-jm1wb1xc9g
      @user-jm1wb1xc9g 6 років тому +1

      그럼 용접이론을 많이 배울수 있는 이론책 은거를 추천해주시면 안될까요??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방금 인터넷을 검색 해 보니 "용접공학", "특수용접 기능사", "용접기능사" 이렇게 검색 하면 책들이 많이 나옵니다. 모든 책들은 기본적인 용접 이론을 포함 하고 있으니 참고 하셔서 구매 하시면 좋을거 같아요. 용접 이론은 모든 책이 비슷 합니다. 서점 가셔서 보시는 것이 좋을거 같습니다.

  • @user-kh179
    @user-kh179 4 роки тому +1

    용접 하실때 용접봉을 눕혀서 하시지 마시구 세워서 해 보세요 눕혀서 하면 가면 갈수록 가늘어 져요...

    • @bitcoin-weld
      @bitcoin-weld  4 роки тому

      네. 댓글 감사합니다. 참고해서 해볼께요.

  • @ukp8349
    @ukp8349 6 років тому +1

    제가 용접을 배우는중인데 찍기 끌기 두개다 해봐도 스파크가 튀거나 붙던데 아크를 잘 발생하는 밥법이 있나요? 110v?에 용접봉은 116? 을 썼는거 같았는데 스파크만 튀거나 붙거나 하니 아크발생이 힘들어서 겨우 발생 시켜도 금방 꺼지거나 붙거나 하는데 좋은 방법 있으시면 알려주실수 있나요?

    • @ukp8349
      @ukp8349 6 років тому +1

      위의 영상처럼 전류를 올려도 보고 내려도 보고 용접봉이 이상한건가 싶어서 새거도 써보고 해도 안되네요ㅠ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제 생각에는 아크를 발생 시키는 방법을 맞게 잘 하고 계신거 같아요.
      이제 방법을 알았으니 그 방법으로 아크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숙달 시키는 과정을 가셔야 할거 같습니다. 그리고 아크를 발 생 시켜 보고 그에 따른 조정을 하셔야 합니다. 무엇이 문제인지 알아내야 한다는 거죠.
      전류가 낮아서 아크가 발생이 않되는지 전기적으로 연결이 문제인지 아니면 오로지 숙달이 되지 않아 결과가 좋지 않은지 알아 내야 합니다. 하지만 지금 글로 봐서는 정상적인거 같은데요. 원래 달라 붙습니다. 전기는 단락이 되면 붙으려고 합니다. 붙는다는건 전기가 잘 통하려고 한다는 거죠. 연락을 한번 주세요.

  • @saeyounge5274
    @saeyounge5274 5 років тому +1

    용접좀해보려고 영상좀 보는데 댓글보니 많이 힘든가보네요 아공 ㅜㅜ 용어도 모르겠고 그런데 궁금한게 용접하고 망치로 왜치는건가요?

  • @user-vt3jc3dc8o
    @user-vt3jc3dc8o 6 років тому +1

    전 저정도 두께는 150 놓고 하는디 더 얇은건 110정도 놓고

  • @pLynCe
    @pLynCe 6 років тому

    용접으로 밥벌어먹기 힘들 것 같은데...용접 손뗀지 20년 가까이 됐지만 참 못한다 ㅎㅎㅎ

  • @user-gz4ue5uh6q
    @user-gz4ue5uh6q 6 років тому +3

    용접사 준비중인 고2인데 제가워낙 기술에소질이없어서.. 그런데 용접은하고싶거든요.. 배우면 누구나다할수있는거맞겠죠? ㅠ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1

      이현준 그럼요. 신체 건강하면 배우고 노력해서 가능해요.

    • @sangnamja313
      @sangnamja313 6 років тому

      딸딸이 많이 치셈 딸근생기면 손안떰 꿀팁임

  • @sangnamja313
    @sangnamja313 6 років тому +1

    나주공고 용접왕이다 다이다이 뜨자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승자총통 학원으로 와요. 시간날때 !

  • @user-ow2yg1br4u
    @user-ow2yg1br4u 5 років тому +2

    현직 용접사의 시점으로보면
    현장에서 사용하는 기준으로 하면
    99프로는 7016을 사용합니다.
    308 309 316 등등 다른것들도사용하지만 거의 7016을 사용하지요
    그래서 7016으로 연습하시는게 가장 좋다고 봅니다.
    학원에서 배우는 용접 분명 도움됩니다.기초를 가르쳐주니까요.
    헌데 용접은 결국 하나입니다. 경험 입니다 ( 연습도 경험이지요 )
    무조건 봉 많이 녹혀보는게 최고입니다.
    학원에서 가르쳐주는 용접 .. 네 도움됩니다 많이 도움 되지요
    하지만 학원에서 용접 배워서 현장나오면 다시 배워야합니다.
    현장에서 용접사로 안써줍니다.
    왜냐구요.?
    전기 최대한 낮춰서 이쁘게 때우라면 때우지요 RT 찍을때나요.. ㅎㅎ
    현장에서 전기 낮춰서 천천히 때우면 물량이 나오나요 안나오지
    물량안나오는 용접사 현장에서 안써줍니다 ..
    현실적인것도 가르쳐주셔야지요
    신체를 의탁해야한다고 강조하시는데 현장에서는 자세가 안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험칠때 그래서 2g 3g 4g 6g 등등 시험이 나눠지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학원에서 배워서 현장나오면 다시 배우는 가장 큰 이유도 그것때문입니다.
    조금만 자세가 안나와도 용접을 못하니까요. 현실적으로 다 비계메고 하면 좋겠지만 불가능하니가요
    시험칠땐 빽비드도 봐야지요 지금 떄우신 시편 백비드 하나도 안나오셧을거 같은데..
    그 이야기도 같이 넣으셨어야 할것같습니다..
    결론은 용접사의 입장에서 봤을때 가장 중요한것이 빠져있습니다.
    물량,자세 ..

    • @bitcoin-weld
      @bitcoin-weld  5 років тому +1

      Choi Seung Ho 안녕하세요. 댓글 감사합니다.
      모두 공감 되는 내용입니다.
      제 경험으로 봐서도 물량을 많이 쳐내기 위해선 전류를 높여야 하죠. 또한 현장에서 만나는 포인트는 의지 할곳이 없는 경우가 있고요. 모두 공감 됩니다. 하지만 용접을 교육 하는 학원 또는 교육기관의 현실또한 이해 하시고 말씀 하셔야 더욱 공감이 될거 같습니다. 한사람이 용접사의 길로 가기위해 어떠한 부분이 충족 되어야 하는지 또 그 충족되어야 될 부분을 누가 충족 시켜 줄것인지 한번 생각 해봐야 할 부분있니다.
      그리고 그 모든것은 경제적인 논리가 우선시 되고 있음을 아셔야 합니다
      현장만이 경제적인 논리로 같은 시간 내의 물량을 논하듯 교육기관도 그렇습니다. 그리고 교육기관을 평가하기전에 교육기관을 관리 감독 하는 정부 기관의 정책을 먼저 알고 말씀 하시면 더욱 공감될거 같습니다. ㅎㅎ

    • @bitcoin-weld
      @bitcoin-weld  5 років тому

      추가로 저는 개인적으로 현직 용접사로 근무하시는 선배님들 모두 존경합니다. 모두 대단하신 분들임에 틀림 없습니다. 누가 쉽게 용접 기능을 수준급의로 올리는데 필요한 여러가지를 다 지원해주고 기량자가 되길 기다립니까? 비교적 많은 부분 용접사 본인의 노력이 필요한 부분이라 생각 합니다.

  • @user-wy1vk8bx3r
    @user-wy1vk8bx3r 5 років тому +2

    용접안경이나 용접헬멧 구매하고 싶은데 괜찮은 제품 추천쫌해주세요

    • @bitcoin-weld
      @bitcoin-weld  5 років тому +1

      otos 자동용접면 (카멜레온 4N 플러스)

  • @user-sg8os6qx6s
    @user-sg8os6qx6s 6 років тому

    넌 저카면 존나 붙던대 처음이여서 잘하시네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용접기능사 또는 특수용접 기능사 공부 하시면 용어 다 나와요. 용접기능사 또는 특수용접 기능사 책 사시면 됩니다.

    • @user-lm4wb6pm7t
      @user-lm4wb6pm7t 4 роки тому

      저 영접 배우고 싶은 40대 초반 남자인데 학원에서 배우고 하면 취업 가능 한가요?

  • @user-hn1jp8uj9e
    @user-hn1jp8uj9e 5 років тому +1

    보전팀이라 업무상 매일은 아니더라도 일주일에 두번씩1~2시간씩 연습하고있는데 잘 안되네요 ㅠㅠ

    • @bitcoin-weld
      @bitcoin-weld  5 років тому

      잘 되실거에요. 잘 되실때까지 손 놓지 않으셔야 해요.

    • @user-hn1jp8uj9e
      @user-hn1jp8uj9e 5 років тому +1

      @@bitcoin-weld 되게 까다롭더라고요. 45도 유지해야되고 중간에 끊어서 다시 이어 붙여야되고 속도도 일정해야되고 높이도 일정해야하고 천처이 떼면 넓게 퍼지고.. 아주 답답해 죽겠습니다 ㅠㅠ

    • @bitcoin-weld
      @bitcoin-weld  5 років тому

      @@user-hn1jp8uj9e 그렇지 않아요. 어떤 자세 및 어떤 모재에 용접을 이야기 하는지 알 수 없지만 처음 배우는 경우라면 음식에 요리하는 래스피라는 것이 있듯 용접하는 조건을 잡아줄 스승이 필요합니다. 기초가 가장 중요해요. 기초를 배우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며 배워 갈 수 있어요.

  • @user-cm1lf2ut6q
    @user-cm1lf2ut6q 5 років тому +1

    용접잘하는너두 초보자엿음

  • @user-ym8nt9qc5e
    @user-ym8nt9qc5e 6 років тому +1

    용접에 용자도 모르는 사람인데요 회사엣 용접하는사람이 없어서 한번 제가 배워보려고 하는데 어디서부터 무엇을 가지고 시작하는게 좋을까요? ㅠㅠ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1

      최주현 용접의 종류 부터 알아 보시고 배울 용접 부터 선정 하시는 것이 좋겠네요. 그 다음 선택한 용접과 관련이 깊은 용어를 공부하시고 그 다음 기능을 숙달 하는 방향으로요.

    • @user-ym8nt9qc5e
      @user-ym8nt9qc5e 6 років тому +1

      넵 감사합니다 용접은 전기용접부터 시작할예정입니다~~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1

      최주현님 전기 용접의 경우 홀더 세트를 하나 사고 집에서 용접 선행 학습을 한 후 용접 아크 발생을 하는것이 좋다고 저는 생각 합니다. 쉽게 말하면 용접봉이 연필이라 생각하고 홀더에 고정하고 홀더를 잡고 글을 쓰는 연습이요. 글이라기 보다는 운봉법 다시말해 용접봉의 섬세한 움직임을 연습하시는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 @MrRichadKim
    @MrRichadKim 6 років тому +1

    저수소 16이 정말 짱나요 ㅋㅋㅋ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2

      DANBI cute 하하. 하다보면 그렇지도 않아요. 저수소 용접봉은 건조해서 사용해야하고요. 전류 잘 조정 하고 아크길이 짧게 봉 각도 잘 잡고 용접하면 잘되요.

  • @user-xm7hp1of6y
    @user-xm7hp1of6y 3 роки тому +1

    아크 일으킨다음에 모재에 직접 대고 용접하는건가요? 아님 살짝 떨어트려서 용접봉이 녹는거로 붙이는건가요??

    • @bitcoin-weld
      @bitcoin-weld  3 роки тому

      방전 현상이 일어 나게 해야해요. 방전 현상은 번개와 같아요. 접촉 하지 않았지만 전기가 흐르는 것이요.번개는 엄청 큰 파워라서 큰 공간을 접촉 없이 흐를 수 있지만 용접은 불과1mm~15mm 내외에서 그 현상을 이용해서 용접 한다고 보면 됩니다. 여러 요인으로 항상 일정 하진 않아요. ㅎㅎ

    • @user-xm7hp1of6y
      @user-xm7hp1of6y 3 роки тому +1

      주쉽남 감사합니다 아크일으킬때 너무 안일어나서 여러번 치고 겨우 아크 발생시키고 모재에 가져다대면 금방 식어서 용접이 안되는데.. 이럴땐 전류를 높여야할까요?

    • @bitcoin-weld
      @bitcoin-weld  3 роки тому

      @@user-xm7hp1of6y 이럴때 어떻게 해야 하느냐는 질문의 방법이 틀렸다 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이럴때에 해당하는 케이스(경운)는 정말 어무 많아요. 그래서 그렇 유형의 질문 보다는 큰 틀에서 방향성을 먼저 잡고 스스로 생각해서 길을 찾는편이 좋습니다. 아크 방생은 용접봉의 컨디션 모재의 컨디션 그리고 용접사의 기량등 여러 요인이 복합 적임을 알아야 하며 아크 역시 전기적 현상으로써 전기가 잘 흐를 수 있는 조건이 잘 부합 할 수록 아크는 잘 일어나며 에너지의 크기가 클수록 불꽃이 크기때문에 당연하게도 전류가 세면 아크 발생이 쉬워집니다. 하지만 세다고 좋은건 아니기에..ㅎㅎ 기능 숙달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 @no-qo3kc
    @no-qo3kc 6 років тому

    조언어린 뎃글이나 격려가 되는 댓글들이 많았으면 합니다

  • @spdhal
    @spdhal 5 років тому +1

    설명은 참고사항이고 기본적인거뿐이에요.. 실전은 회사에서 현장에서 주는 자격증이 중요합니다.. 취부든 용접이든 그게 제일 중요함.. 공인자격증 인정안해줌. 어디서 용접 좀 하네 마네 지랄하는놈들 회사시험에서 떨어지고 남의 하이바 빌려서 일하는놈 많아요..

  • @user-bc6jl6kj4c
    @user-bc6jl6kj4c 6 років тому

    와 저 판에 손대고 하시면 아플거같은데

  • @user-cj4px5yg8q
    @user-cj4px5yg8q 5 років тому +1

    용접봉이 모재에붙었을때 안때면은 어떻게 되나요?

    • @bitcoin-weld
      @bitcoin-weld  5 років тому

      만약 그렇게 되면 퓨즈와 같이 점점 용접봉에 열이 증가하다가 빨갛게 달아 오르고 결국 끊어지겠죠.

    • @user-cj4px5yg8q
      @user-cj4px5yg8q 5 років тому

      그럼 안때도 위험한건 아니네용

    • @bitcoin-weld
      @bitcoin-weld  5 років тому

      @@user-cj4px5yg8q 위험해질수 있는 상황이 되는거죠. 화상을 입을 수도 있고 화재도 날 수 있고. 여러가지로 가능하면 빨리 때어내야 해요.

  • @chlrkd0506
    @chlrkd0506 6 років тому

    개인적인 생각으로 자동차 적재함 위에서 용접하면 잘 안되던데요.... 차량으로 전기가 들어가서그런가? 더 달라붙어요
    철재테이블을 적재함 위에서 만들다 답답해서 왜이렇게 안되지 하면서 땅바닥에 내려놓고 하니까 하나도 안붙음

  • @user-jjrkk4824
    @user-jjrkk4824 6 років тому +3

    에라이~

  • @user-tn1bj6jq1z
    @user-tn1bj6jq1z 6 років тому +1

    용접할때 용접봉 중간지점 잡고해도되나요? 안뜨겁죠?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해찬 잡고 해도 된다 말 할 수는 없습니다. 화상 또는 감전 등 위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건조된 가죽 장갑 잘 착용하고 안전화 잘 착용하고 용접 한다고 가정하면 잡는 것보가는 떨림을 잡아주고 안정을 도모하고자 지지를 해주는 느낌으로 하기는 합니다.

    • @user-tn1bj6jq1z
      @user-tn1bj6jq1z 6 років тому +1

      weld dot or dot kr Korean welder 감사합니다

  • @user-mj6qy3yq3j
    @user-mj6qy3yq3j 6 років тому +2

    용접용망치보다 저 쇠망치가훨씬깔끔하게잘벗겨지네

  • @ac_dc9223
    @ac_dc9223 6 років тому +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직훈에 가서 다시배우고 와요 요샌 폴리텍이던가...ㅋㅋㅋㅋ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최송원 뭘배우고 와요?^^

  • @kimjihan7009
    @kimjihan7009 6 років тому

    아크용접

  • @user-eh1wn8su6n
    @user-eh1wn8su6n 6 років тому +3

    월래 자기자신 예전 모습은 생각도 안하고 떠들기 바쁨. 여기서 댓글로 떠드는 사람치고 실력 좋은사람 못봤음.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rand gras 댓글이 참 의미가 있네요. ^^

    • @user-eh1wn8su6n
      @user-eh1wn8su6n 6 років тому +2

      weld dot or dot kr Korean welder 저도 용접사 였습니다. 써스 용접했죠. 당연히 티그고요. 허나 시력이 갑자기 나빠져
      지금은 다른일을 하고있기에 알고 있을 뿐입니다.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1

      rand gras 맞습니다. 저도 용접은 시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봐요.

    • @user-ii8sd6yn4d
      @user-ii8sd6yn4d 5 років тому

      @@bitcoin-weld 피셔

  • @user-vb5en2ed1s
    @user-vb5en2ed1s 5 років тому +1

    저거 배우면 호주 뉴질랜드 이민하는데 도움이 돼나요??

    • @bitcoin-weld
      @bitcoin-weld  5 років тому

      그건 호주 또는 뉴질랜드 이민 정책을 확인해야 할거 같은데요. 만약 용접분야가 부족 직업군에 속한다면 용접을 배워 도움이 될 수 있겠죠.

    • @user-vb5en2ed1s
      @user-vb5en2ed1s 5 років тому +1

      weldingkorea Thank you very 감사

    • @keilim4716
      @keilim4716 5 років тому

      전기용접을 필요없어요 흔하게 부르기를 알곤용접 알곤가스를 이용한용접인 'TIG용접'을 배우셔야합니다. 경력은 안전빵으로 2년이시면 바로 취업비자나 이민비자 발급에 유리하지만 가장중요한건 역시나 영어!!입니다. 물론 호주나 뉴질랜드에서 다시한번 자격증시험을 봐야합니다. 호주나 뉴질랜드가면 한인 사장님들이 운영하는업체에서 제기역이 맞다면 일주일 30만원으로 시험대비 속성강의해줍니다만. 7년전이라 지금은 잘모르겠습니다. 물론 이 속성강의를 따라올수있으려면 적어도 1년정도의 기량을 갗추셔야 막힘없이 스무스하게 진행한후 호주나 뉴질랜드에서 기능시험을 통과할수있습니다. 다만 중요한건 영어입니다. 도면 필기시험모두 영어이기에 관련된 공학영어또한 공부하셔야합니다.

  • @user-kp1cf3kz8r
    @user-kp1cf3kz8r Рік тому

    자격증시험용은 아닌듯.
    그냥 한번 보고 웃고 가면 될것 같습니다.자격증대비하시는분들은 절대 따라하면 안됩니다.공장에서 막용접하시는분만 보세요.

  • @user-vz9vy4fw9k
    @user-vz9vy4fw9k 6 років тому

    해당. 용접의 절차서 갈켜줘요

  • @user-jn1os9nq8o
    @user-jn1os9nq8o 6 років тому

    아크는촌수러알곤밎쇼트가도야짘ㅋ

  • @user-jp6zn5ri6k
    @user-jp6zn5ri6k 6 років тому +3

    발전기가 용접기를 못따라가는걸로 보이내요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이이성민 의견 감사합니다. 그렇게 느껴지시나요? 저도 좀 그렇게 느겼는데 저도 발전기 사용이 처음이고 소음이 커서 쉽게 자주 켤곳이 없어서 아직 많이 사용을 못해 봤어요. Max 12kw 나온다고 되있는데 말이죠.

  • @generalhero815
    @generalhero815 6 років тому

    보통 긁기법으로 하죠 현장에서도 그렇구영~ 뭐... 그냥 그렇다는 얘깁니다 ㅎㅎ 현장에서 11:40 처럼 하다가는 엄청 욕먹죠... 연습 좀 더 하셔야 할듯 하네요

  • @user-et4hh5rl1e
    @user-et4hh5rl1e 6 років тому +2

    아쉽네요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황준식 무엇이 아쉬운지 알 수 있을까요?

  • @user-cm7wm8wr9o
    @user-cm7wm8wr9o 6 років тому +7

    말을 많이 하는것은 구독자는 싫어합니다. 쉽고 짧고 빠른 전개를 좋아합니다. 진행이 빨라서 노친 부분은 다시보기를 하고 정지화먄으로 보니 말은 필여한 것만 짧게 지적해 주면 좋겠네요.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김승환 네. 잘 알겠습니다. 댓글 고맙습니다.

    • @water00550
      @water00550 6 років тому +2

      왕 초보자들이나깊이있는 설명을 듣고자 하는 성품들은 상세한 설명이 중요하죠.좀 아는 사람이나 나름 똑띡이들은 말을 적게 하고 스스로 판단이 가게하는 교습법이 좋죠.사람들은 대부분 자기 기준에서 얘기를 하니 댓글들도 이렇게 왈가불가^^중요한 것은 교육도 자신의 성향에 맞게 해나가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요.사람 모두가 같은 같은 김밥을 좋아하는 것은 아니잖아요^^

    • @robertgarcia1371
      @robertgarcia1371 5 років тому +1

      자기 입맛에만 맞추려고 하네

  • @user-is5sf2fn5x
    @user-is5sf2fn5x 6 років тому +3

    노가다꾼 십새기들이 ㅋㅋ 말많네 댓글 보소 요번 겨울에 용접 배우러 가려고 계획중입니다 소중한 참고 영상 감사합니다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이응장 네. 감사합니다.

    • @user-nt7vz4nl8y
      @user-nt7vz4nl8y 5 років тому

      고놈 참 조둥아리가 더럽구나

    • @user-eb4fg6qr6d
      @user-eb4fg6qr6d 5 років тому

      ㅋㅋㅋ 니도 노가다꾼 씹쇄끼가 되려고 노력하는구나 언넝배우거라ㅎ

  • @user-ib5us9ce9y
    @user-ib5us9ce9y 6 років тому

    나도 왕초보 3미리 이상 다한다

  • @koreano145
    @koreano145 6 років тому +1

    용접면 쓰고 보세요 눈배립ㄴㅣ다

  • @saeyounge5274
    @saeyounge5274 5 років тому

    용접좀해ㅂ

  • @user-sj1wq8jo7l
    @user-sj1wq8jo7l 6 років тому

    용접사 해볼려구하는데...눈에 매우안좋다던데....그래보이네요..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메투터쾅 누구도 좋다 나쁘다 단정 지어 말할 수 없는 부분인거 같아요. 그런데 저는 용접때문에 눈이 시력이 떨어진다는 틀린말이다 생각 합니다. 제 경험으로요.

  • @Bbaack8695
    @Bbaack8695 6 років тому +10

    ???이사람들은 다 기능장이신건가? 댓글만 보면 거즘 명장들밖에없으신거같은데;; 실망이네 뭐네 지적할거면 자기들이 영상올리시던지;;

    • @Bbaack8695
      @Bbaack8695 6 років тому +3

      황풍성 그래도 이런 영상 올리시는분들이 많지가않잖아요 그니까 초보분들은 이런거보면서 기초같은거 배우는게 낫죠

    • @hajunggu
      @hajunggu 6 років тому +2

      20년 경력자가 유튜부에서 용접영상을 검색해서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user-tm8vt8yy3j
      @user-tm8vt8yy3j 5 років тому

      @@hsea468 웃기네ㅋ

    • @keilim4716
      @keilim4716 5 років тому

      전 경력 10년차이며 TIG , CO2 , 전기용접 3가지를 할줄압니다만 ..... 지적질하는 인간중에 전기용접 제대로 할줄아는 인간들 없다고 확신합니다. ㅋㅋㅋㅋㅋ 참고로 전기용접... 어려워요... 티그 씨오투 비드이쁘게내기 정말 좋은데 아크...전기용접은 너무 꽝입니다.

  • @user-fs6og9ts9h
    @user-fs6og9ts9h 6 років тому +2

    보조세요 기술이좀``````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이종한 저정도 용접실력이면 보조도 어려워요. 저렇게 가접이나 용접 할 수 있겠어요?

  • @user-ve4pb6nr6w
    @user-ve4pb6nr6w 6 років тому

    속터지네

  • @kojo6309
    @kojo6309 6 років тому

    흠.....
    이분 하는거 비방 댓글 달시간에 연습이나 더하고 동영상 올린뒤 비방 댓글 다는건 어때요

  • @user-ib5us9ce9y
    @user-ib5us9ce9y 6 років тому +1

    치 저는것은 눈썰미 빠른사람
    아무나 한다!
    3 미리 2 미리 철판 함 해봐라
    거게 기술이지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최영락 맞습니다. 그리고 얇은게 구멍 날까 무서워요.

  • @user-zr4of9qh4k
    @user-zr4of9qh4k 5 років тому

    용접 막실하소

  • @user-gd6uy1ez7f
    @user-gd6uy1ez7f 6 років тому

    나두 용접산업기사있는데 뭔말이많아 ㅋㅋㅋ 말로하나 뭐든 경험해야디

  • @user-et4hh5rl1e
    @user-et4hh5rl1e 6 років тому +1

    슬러지 일어난거보니 7016 같긴하대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황준식 맞아요. 저수소계 7016

    • @user-et4hh5rl1e
      @user-et4hh5rl1e 6 років тому +1

      우인석 Woo in seok 아쉬운 점 말씀드린건 빛이발생 했을때 초보자 분들이나 경험자분들도 비드가 나오는 부분을 못봐서요 촬영 했을시 흑유리로 보여 주기도 힘드시면 지금쓰시는 카멜레온 하나더 준비하셔서 촬영하실때 쇳물녹는것을 보여주셨으면 더 좋았다는거니까 화내지는 마세요

    • @bitcoin-weld
      @bitcoin-weld  6 років тому

      황준식 아 그런 의미였군요. 다음엔 용융풀을 함께 찍어볼께요. 댓글 고맙습니다.

  • @user-bf6dw7dj5n
    @user-bf6dw7dj5n 5 років тому

    비드가 쫌

  • @user-kj8xu6ds4b
    @user-kj8xu6ds4b 5 років тому +3

    뭐하냐?ㅋㅋㅋㅋㅋㅋㅋ

  • @chnma288
    @chnma288 6 років тому +1

    ㅋㅋㅋㅋㅋㅋ 개콘 찍는겨

  • @user-fr6hh1vw8t
    @user-fr6hh1vw8t 5 років тому +1

    용접은 배우지마세요.용접해서 돈잘번다는 소리 진짜 모르는 사람들이 그런소리합니다.1년 놓고보면.절대 일반 직장생활보다 못합니다.
    용접하다보면 알게되겠지만.상당히 위험하고,그라인드.산소절단 기본적으로 다 하고 다녀야되고,덥고.더럽고.위험하고,사람 생명을 돈으로 바꿔 일한다고 생각하면 됨니다.

    • @bitcoin-weld
      @bitcoin-weld  5 років тому +1

      저도 공감합니다. 저와 같은 이야기 하시는분 여기서 만났어요.

    • @bitcoin-weld
      @bitcoin-weld  5 років тому +1

      저는 용접또한 몸팔아 돈 번다라고 이야기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용접 하시는분 돈 더 받아야 하고 아마 더 받는 날이 올거에요.

    • @lds1452
      @lds1452 5 років тому

      시력나빠지고 연기마시면 안좋다던데

  • @sade22223
    @sade22223 5 років тому

    ㅋㅋ 깡깡이 망치실화냐ㅋㅋ 개웃기네 용접의기본은단도리인거안배우셨남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