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아르코 공공예술_사물의 시간 : ‘예술과 만난 생활 속 오브제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7 лют 2025
  • 「사물의 시간 : ‘예술과 만난 생활 속 오브제들’」은 김을, 김태헌, 송하나, 이돈순, 이병철, 이부록, 이원호, 이찬주, 정이삭, 조지은, 조형래, 허수빈 등 12인의 참여 작가 작업 및 공동 작업을 통해 성남 원도심의 주택가 깊숙이 파고들어 지역 생활 하천의 복개로부터 원도심 재개발 등에 이르는 도시의 역사와 변화상을 토대로 다양한 미술적 시선 속에 담아낸 현장 전시이다. 주거 및 생활 기반의 부침에 따라 기능을 달리하거나 쓸모없이 버려지는 사물로서의 오브제를 창작의 소재 또는 모티브로 삼아 생활 속 오브제에 깃든 시대의 언어를 발굴하고 사물의 시간에 담겨 있는 생의 의미와 지속 가능한 공존의 가치를 도심 속 현장 전시로 집약함으로써, 2년간 1-2-3부로 이어 온 아르코 공공예술사업 『‘천川의 마을’_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마지막 페이지를 장식했다. 지역 자원인 ‘빈집’, 산동네 특유의 전망을 보유한 다가구주택 ‘옥상’, 빈집과 빈집 사이 1.5km에 이르는 ‘골목’ 동선을 예술적 표현의 공유지로 활용하여 생활 및 유휴 공간에 활력을 불어넣고, 환경 변화를 둘러싼 지역의 문제를 공공의 과제로 제시했다.
    참여 작가: 김을 · 김태헌 · 송하나 · 이돈순 · 이병철 · 이부록 · 이원호 · 이찬주 · 정이삭 · 조지은 · 조형래 · 허수빈
    현장 설치: 김형주(행복한 느림보), 임광빈(알림기획), 공병윤 · 이다연(가천대학교 예술대학생)
    영상 제작: 반달 Doc.
    인터뷰 및 구술 기록: 박미리(성남시 SNS 취재기자) · 윤해인(비전성남 기자)
    텍스트 교열 및 편집: 김의경(소설가)
    회상연극 연출: 한경훈(극단 성남93 대표)
    회상연극 출연: 오문자 · 박경화(시민배우), 정은란 · 임대성 · 박한울 · 김승연 · 임예윤 · 나민영
    주민 도슨트: 황란하, 자원봉사자 124인
    프로젝트 코디네이터: 이나래
    기획: 오픈스페이스 블록스(김은영 · 이돈순)
    구술 기록 작업에 참여해 주신 시민
    곽봉규, 김금자, 김대진(성남문화원 원장), 김정순, 김종학, 김지영, 노봉숙, 박현희, 방영기(명창), 오문자(본알레 대표), 우건식(성남재향군인회 회장), 유일환, 유점수(모란민속5일장 상인회장), 윤종준, 이미경(공예 강사), 이상기, 이용석, 임순국(악기장), 임순덕(모란5일장 상인), 임옥빈, 임학규, 장명택, 전주용, 진호스님(위례 대원사 주지), 차영미, 최규성(성남창세학교 교장), 최정호(사진작가), 추금예, 한동열(성남문화원 문화해설사회 회장), 허진회(기타·드럼 강사), 홍정흠 경기하나 대표, 고씨네 국수 사장, 맹산환경생태학습원 강사, 김군섭, 옛골마을 주민 외
    협력 기관
    가천대학교 예술대학, 성남중부초등학교, 태평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 성남시자원봉사센터, 태평사 re100, 성남시 자원재생과, 성남시 수정구청, 성남문화재단, 성남시
    [‘천川의 마을’_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예진흥기금 지원 아르코 공공예술사업으로 추진하게 되었으며, 2022년 5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총 3부로 이어 간 2년 연속 공공예술 프로젝트입니다.
    #천의마을_잃어버린시간을찾아서
    #성남
    #원도심
    #태평동
    #아르코공공예술
    #ARKO
    #아르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공예술
    #공공미술
    #천의마을잃어버린시간을찾아서
    #사물의시간
    #오브제
    #사물
    #시간
    #아카이브
    #김을작가
    #김태헌작가
    #송하나작가
    #이돈순작가
    #이병철작가
    #이부록작가
    #이원호작가
    #이찬주작가
    #정이삭작가
    #조지은작가
    #조형래작가
    #허수빈작가

КОМЕНТАР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