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밀리터리] 조기경보기 2차사업, 글로벌아이의 도전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91

  • @chamo805
    @chamo805 4 роки тому +2

    그렇게 웃으며 진실성있게 설명을 해 주시니 채널을 보기가 훨씬 좋습니다

  • @JohnSmith-iu3fc
    @JohnSmith-iu3fc 4 роки тому +2

    수고하셨습니다. 감사 합니다.

  • @천존-y6i
    @천존-y6i 4 роки тому +26

    기술이전이 좋다면 사브사에 한표.

    •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4 роки тому

      문제는 KAI가 항공기 기체를 과연 만들 자금이 되는지, 정부가 보조해가면서 만들어라할지, 그게 의문이네요.

    • @dooyeolChoiMusictravel
      @dooyeolChoiMusictravel 4 роки тому +6

      단순히 사용 노하우 및 호환기종 수출 그리고 후속지원을 생각하면 사브가 월등합니다. 중형 비지니스젯인데도 항속성능 및 비행성능에서 우월하고 이미 비슷한 백두기종을 한국공군이 쓰교 있어서 누가 더 절충을 많이 해주냐가 관건이지만 지금 미국의 정부 특성상 aesa레이더 기술협력은 물건너갔고.. 어차피 육군 방공레이더 및 공군 해군레이더에서 네덜란드의 회사들과 협력으로 성공한 사례가 많기때문에 박빙이 될겁니다.의외로

    • @dooyeolChoiMusictravel
      @dooyeolChoiMusictravel 4 роки тому +4

      한마디로 기술주는 회사 우리편~~ 이런느낌

    • @최재호-v4k
      @최재호-v4k 4 роки тому +1

      지원기는 기술이전보다 군수지원 효율에 더 점수를 줍니다. 피스아이가 이부분에서 압도적이고요

    • @쿨쿨쿨-s3q
      @쿨쿨쿨-s3q 4 роки тому +1

      사브사가 좋긴 하지만 미국형들 눈치 안볼수가 없는현실

  • @고대경-b6d
    @고대경-b6d 4 роки тому +9

    확률적으로 e-737 피스아이 공중조기경보통제기 2대가 후속 군수지원과 운용 등을 고려하면 추가 도입될 가능성이 높죠. 단, 탄도미사일 추적, 감시와 데이터 링크 등에서 기존의 e-737 피스아이 보다 성능개량이 된 기체를 도입해서 운용해야죠.

  • @innifree1469
    @innifree1469 4 роки тому +7

    현 우리 상황을 보면 비용과 절충교역이 더 중요한 부분인것 같기도하네요.

  • @paulcho3235
    @paulcho3235 4 роки тому +1

    최대한 객관적으로 알려줘서 좋네요.

  • @회색물감-s7q
    @회색물감-s7q 4 роки тому +11

    요즘 보면 오래 사용하려면 공간이 클수록 좋던데....업그레이드가 용이하고 승무원 편의도....

  • @Cosmos_80
    @Cosmos_80 4 роки тому +7

    ㅋㅋㅋ 따끈 따끈 합니다.

  • @김을출-m8q
    @김을출-m8q 4 роки тому +4

    아 드디어 시작을 하는군요

  • @선우아빠-w9q
    @선우아빠-w9q 4 роки тому +15

    미국은 기술이전 안해주니 사브 써봅시다

    • @나다짜근토끼
      @나다짜근토끼 4 роки тому

      빨갱이한테 이전을 왜해줍니까? 중국북한으로 흘러갈게 뻔한데 ㅋㅋ

    • @MJP-l9h
      @MJP-l9h 4 роки тому +4

      @@나다짜근토끼 그럼 미국은 왜 빨갱이국가한테 f35랑 글로벌호크 팔고있을까요?빨리 의회에서 막아버려야지 ㅋㅋ

    • @울강쥐돼지
      @울강쥐돼지 4 роки тому +3

      전 자한당 뽑는 국개 빨갱이는 태영호 아니야 ㅋㅋ왜 헛소리 하드니...정은 죽엇다면서 ㅋㅋ에라이 ㅂㅅ

    • @SUPER-px5ez
      @SUPER-px5ez 4 роки тому

      글쎄요 그렇게 따지면 FX사업때 F-15SE말고 라팔을 사야하지않았을까요

    • @무무아-d1n
      @무무아-d1n 4 роки тому

      @@SUPER-px5ez 라팔이었으면, 지금형상은 또아니되었을수도, 지금은 글로벌경제위기국면이기도해서, 한편으로는 핵심기술활용권확충하는 다른변수들이생길수도있어서, 그때랑또 양상이 다를수있다고봐유,

  • @negulee
    @negulee 4 роки тому +3

    글로벌 아이로 갑시다... 예산범위내에서 4대로 가오고 기체는 KAI에서 면허생산하면 좋을듯... 당장도 전자전 정보..기. 초계기.. 해양경찰 정부맟 기업용 중형기체 소요가 제법될듯한데... 이번기회에 중형기체 개발이나 라이센스 국내생산이 필요합니다..

  • @25eo
    @25eo 4 роки тому +4

    비지니스 제트 기반은 기체도 매우 작고 한번 뜨면 체공시간도 적을 수 밖에 없음... 기체가 작으니 개량에도 한계가 금방 올 수 밖에 없고... 게다가 우리나라 공군이 미국제로 떡칠이 된 마당에 미국제를 안 사오면 호환이나 향후 업그레이드는 어쩔지...

    • @blizzard-src
      @blizzard-src 4 роки тому

      공감합니다.

    • @President-Loon.s.g
      @President-Loon.s.g 4 роки тому +2

      미국에서 업그레이드 할때 뒷통수 맞은 기억이 사라지셨나 보네요.
      뭐든 기술이전 되는게 이득이죠.

    • @25eo
      @25eo 4 роки тому

      @@President-Loon.s.g 기술이전을 해준다고 쟤네가 핵심 기술 통짜로 주는줄 아시나요? 기술이라고 부르기도 민망한거 몇개 던져줄게 뻔합니다. 한국이 핵심기술 이전 받아가면 다음 세대면 바로 경쟁자가 될걸 뻔히 아는데 핵심기술이전을 해줄리가요 유럽애들이야말로 기술이전 사기 치는게 미국만큼 했으면 했지 덜하진 않은 애들입니다. 게다가 기술에서 미국을 확실히 앞서지도 못하구요... 이미 작전에 들어가 많은 임무 경험이 있는 737과 페이퍼 스펙으로 장사하다 몇대 팔려서 임무 초짜인 기종 어딜 사야될진 뻔한거 아닌가요?

    • @25eo
      @25eo 4 роки тому

      @@President-Loon.s.g 게다가 체급이 비슷하기라도 하면 모를까 비지니스 제트들과 737은 체급 자체가 다른 기체들입니다 기술 같지도 않은거 이전 조금 받자고 기종 2개로 만들어 보급도 유지도 어렵게 만들고 떨어지는 성능까지 감수해야 하나요? 공군은 중일러 견제의 핵심이고 육군처럼 성능이 조금 부족한 장비라도 숫자로 때우자가 안되는 군종입니다 돈을 쓸때 제대로 써야죠

    • @무무아-d1n
      @무무아-d1n 4 роки тому

      @@25eo 고속철도나 수리온개발사례보면, 결국 국산플랫폼자유도높여 유럽과합작하여, 개발성공한사례라고할수있쥬, 원천기술넘기는조건과 계약거라대금총지불구조도 개선하는방법도있고,
      무엇보다, 원천기술활용 지적재산권활용주권확장의 기회가 될수도있는것이잖여유, 그란부분들이 나중에 원천기술따져가며, 수출제한줄수도있는것이고,,
      규모경제효과로 부품수급구조가 불리한부분도있다고하니, 일정수준조건에서, 부품라이센스생산허용조항같은것도 고려해봄직하겠어유,

  • @최재호-v4k
    @최재호-v4k 4 роки тому +1

    피스아이 두대 추가에 나머지 네대도 풀옵션으로 개량해서 운영했으면 좋겠습니다.

  • @President-Loon.s.g
    @President-Loon.s.g 4 роки тому +1

    기술이전 이 많은거 사는게 남는 장사.
    기술이전=정비.업그레이드 가능

  • @백대지-u2o
    @백대지-u2o 3 роки тому +1

    기술이전 해주는 기업으로 해라!!!!

  • @마린캡틴
    @마린캡틴 4 роки тому +2

    굿~~~

  • @aero5788
    @aero5788 4 роки тому +6

    쓰던거 계속 써야 부품 교체 정비 용이 하지 고작 2대 도입하면서 새로운거 가져오면 머리 아프다

  • @커티스르메이-v3v
    @커티스르메이-v3v 4 роки тому +2

    먼저보여주신 첫번째사진은 피스아이~^^

  • @dragonyob
    @dragonyob 4 роки тому

    장비 공통률이 높고(여객기 기반) 장시간 임무가 가능하고 항공관제능력이 뛰어난 피스아이를 추가 도입하는 쪽으로 무게를 기울이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해요. 반면 글로벌 아이는 기체가 작아(비즈니스기 기반) 장시간 임무가 어렵고 항공관제능력이 낮은 데다가 장비 공통률도 낮습니다. 또한 기술 이전을 한다고 해서 무조건 도입하고 기술 이전을 받으려고 하면 스웨덴 정부가 중간에서 막아 허가를 안 해주는 차질이 예상되기 때문에 오히려 도입을 하지 못한 것보다 더한 꼴을 보게 될 수 있습니다.

    • @무무아-d1n
      @무무아-d1n 4 роки тому

      물론 실무진들이 자세히평가검토해야겠지만, 핵심기술일일이 이전하는부분뿐아니라, 원천기술사용권한을 제값주고 구매한다는 기술지재권사용명분관점에서도, 유의미한부분들이 있을수있으니, 산중히 협상력을 끌어올려보기를,,

  • @dooyeolChoiMusictravel
    @dooyeolChoiMusictravel 4 роки тому +2

    경기부양 및 각종 투자를 염두한 사업일정 같네요 이번에 창설되는 정찰 항공단도 그렇고

  • @25eo
    @25eo 4 роки тому +1

    767 기반은 베이스 기종인 767이 단종된지 오래라 만들수도 없고 굳이 하려면 787 기반 새 기체가 나와야 하는데 이럴려면 신규개발급이라 언제 끝날지 돈이 얼마나 들지도 알 수 없음...

  • @fdlkcjlqwqfxskjekljokjlukjlkl
    @fdlkcjlqwqfxskjekljokjlukjlkl 4 роки тому +2

    아무래도 E-737 추가 도입할 것 같습니다.

  • @폭군맘남푠
    @폭군맘남푠 4 роки тому

    SAAB의 레이다 기술을 많이 가져오는 조건으로 이번엔 글로발 아이가 선택이 되었으면 합니다..

  • @김정민-p2b
    @김정민-p2b 3 роки тому

    스웨덴 사브의 글로벌 아이에
    한표 던짐니다.
    글로벌 아이 한대면 공중과 지상
    해상까지 탐지가 가능합니다.
    탐지 범위도 피스아이와 대등합니다.
    운항거리도 피스아이는 8000Km 이고
    글로벌아이는 10000Km 입니다.
    운용효율과 비용도 더 적게 들겠죠.
    가장 중요한 건 미국은 지상, 공중 경보기 별도 해상 경보기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비용과 효율에서 많이 떨어집니다.
    미국의 지상과 해상 조기경보기 2대 구입비용이면 글로벌아이 4대를
    구입하는 효과가 있는 겁니다.
    스웨덴 사브는 핵심 기술이전을
    먼저 제시를 했습니다.
    즉 우리나라에 유리하다는 겁니다.
    보잉이 피스아이를 싸게 준다고
    덮썩 구입하면 수리비, 업그레이드비 등
    엄청나게 뻥튀기해서 받을겁니다.
    더욱이 피스아이의 레이더 수명이
    2년 정도로 짧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수리도 보안이라는 이유로 미국에서만
    가능하며 레이더교체 후 체계 조정 등으로
    수리기간도 2년 정도라고 합니다.
    이건 군 전력공백이 엄청난 겁니다.
    미국 방산업체들 모두 믿을수가 없습니다.
    F-35 판매때도 록히드 마틴이 4대 핵심기술 이전해 주겠다고해서 계약했는데 미국정부가 뒤집고 4대 핵심장비 빼고 우리나라에 판매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 들어온 앞으로 들어올 F-35는 스텔스기능만 있는 깡통 비행기 입니다.
    다행히 대한민국이 그 4대 핵심기술을
    개발해서 너무 자랑스럽습니다.
    스웨덴 사브의 글로벌아이를 도입해서
    대한민국이 미국의 호구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줘야 합니다.
    설사 성능이 떨어져도 기술이전 받으면
    우리나라가 더 성능좋게 업그레이드가
    가능할거라 생각합니다.
    사브의 글로벌아이가 비지니스 기체로
    실내가 좁긴하나 기술이전 받은 후
    737기종을 별도로 구입 개량하거나
    카이가 앞으로 개발할 중형수송기를
    이용해 개량하면 되니 기술이전이
    가능한 사브의 글로벌아이를 도입하면 앞으로 유지보수 등 관리가 가능하고
    편리한 이점이 있습니다.
    사브의 글로벌 아이로 갑시다.

  • @leesangrok7856
    @leesangrok7856 4 роки тому +7

    이미 피스아이를 구매했기 때문에 피스아이가 될 확률이 아주 높다고 봐야겠죠?

  • @이지황-m4e
    @이지황-m4e 4 роки тому +1

    일본의 E-2D는 탄도탄 추적 능력이 특화되어 있는 강점이 있지만 항속거리와 체공시간의 한계로 우리에겐 맞지 않는 기체이다. 현재의 피스아이가 능력이 부족하지 않으므로 추가 도입도 생각할만 하다. SAAB의 글로벌 아이나 엘타의 G550도 우수한 체계이며 G550은 이스라엘의 환경에 맞추어 탄도탄 추적및 요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택지가 더 생겼으니 신중히 검토 했으면 한다.

  • @heaye
    @heaye 4 роки тому +7

    no.1 채널
    보잉과 사브가 협력도 하고, 경쟁도 하네요.
    스웨덴 대포병레이더 잘쓰고있다 전해주오~

  • @hikerfrantz5829
    @hikerfrantz5829 4 роки тому

    E-3 센트리하고 글로벌아이 중에 어느게 더 뛰어납니까? 일본은 E-3 보다 5배는 더 뛰어난 E-767 운영중인데, 글로벌 아이로 게임이 되나요?

  • @은둔자-d1b
    @은둔자-d1b 4 роки тому +1

    2대라면 e737쪽일것 같지만 만약 3대까지 가능하다면 글로벌아이로 가야 .3대면 1대는 항시 공중작전을 할수있다는 이야기이니.
    더군다나 글로벌아이 쪽이 성능적으로 유리하다고 하고 레이다 장비업그레이드나 국내장비 기술관련해서 더욱더 유리하다 하니..e737같은 경우 부품수급과 운용유지가 쉽지않아 고장이라도나면 긴시간 동안 공중 정보자산이 먹통..어느기체는 부품수급을 못해서 몇달간 운영을 못했다고 들은것 같은데. 하지만 느낌적으로는 e737선택할것 같은느낌. 요즘 보잉을보면 좀 불안한.. 보잉의 차기급유기도 말썽이여서 미공군과 일본이 낭패를보고 있고.

  • @YamYamPing
    @YamYamPing 4 роки тому +10

    공군 조기경보통제기와는 별개로 해군 측에서도 차후 운용할 세종대왕급 Batch2의 SM-3, 항공모함과 연계하여 사용할 탄도탄 추적 해상형 조기경보통제기 E-2D도 사업을 추진해야하지 않을까요?

    • @karo8407
      @karo8407 4 роки тому +5

      E-2D는 지상에서는 제대로 못쓰고 해상에 최적화 된 기체이므로 도입한다면 해군의 예산으로 해군이 운용해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YamYamPing
      @YamYamPing 4 роки тому +1

      @@karo8407 그래서 제가 공군과는 별개 사업으로 해야한다는 거에요.

  • @sundin13k
    @sundin13k 4 роки тому +1

    레이더와 장비가 많이 들어가니 전력 소모가 많을 테죠.. 공간이 비슷한게 문제가 아니라 항공기 자체 출력으로 이런 전자장비의 전기소모량을 감당하면서 레이더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고도로 비행이 가능해야겠죠.. 비지니스 제트기가 얼추 맞출 수 있느냐와 대형 여객기와 비교해서 안정적으로 감당할 수 있느냐는 별개죠.. 일정 기준이 있다 가정하면 겨우 턱걸이 하는 기체와 넉넉히 충족하는 기체는 레벨이 다른 겁니다.. 사브사도 그점 알고 도전하는 거겠죠... 과거 라팔처럼 되도 아닌데 언플 하는 건 아니기를 바랍니다. 성능이 좋고 조건이 좋으면야 공중급유기처럼 선택받는게 합당할 거고....

    • @eq9007
      @eq9007 4 роки тому +1

      미군무기 들어올것 98%확신
      어쩔 수없이 미군무기 도입.입찰은 쇼

    • @MAXIM_MOCA_GOLD
      @MAXIM_MOCA_GOLD 4 роки тому +1

      ​@@eq9007 어쩔 수 없는 게 아니라, 현재까지 알려진 자료로만 보면 글로벌 아이가 유리한 구석이 의외로 별로 없어요.
      작전시간은 MTOW기준인데, MTOW상태에선 작전고도가 떨어지므로 작전시간과 작전고도가 병행 불가능한 모순 상황이고. 또 MTOW시 유상하중이 2400파운드인데, 레이더 자체 중량만 2000파운드이니 결국 레이더에 배선에 콘솔에 발전기에 각종 생존장비, 전자장비 더하면 무조건 연료탑재량을 줄여야 하니 작전시간이 줄고.
      작전시간이 주는데 고도까지 낮아지므로 비즈니스 젯의 장점이라고 호소하던 모든 우위점이 무위가 됩니다.
      그렇다고 737보다 발전기 용량이 크진 않으니 레이더의 피크파워가 떨어지고, 당연히 탐지거리가 떨어질 수 밖에 없고, 번쓰루(대전자전 극복능력) 거리도 떨어지니 절대적인 탐지성능도 떨어집니다.
      그런데 원판 글로벌 6000은 시장에 90여기 팔린 물건인데 737-800은 그 자체만으로도 전세계 5000기가 팔린 물건입니다. 그래서 유지비도 더 비싸요. 같은 비즈니스젯으로 비교하면 글로벌 6000이 737BJ보다 비싸지요. 심지어 기체 자체 가격도 더 비싸요...글로벌 6000이...
      그런데다 E-737은 당장 구매국이 영국, 호주, 터키, 한국입니다. 물주 비교가 힘들어요. 누가봐도 답이 빤한 문젠데 여기서 왜 비아냥을 하실까?

    • @무무아-d1n
      @무무아-d1n 4 роки тому

      인니하고 100인수준 중형프롭범용기개발하면, 해상프롭초계기자력개발가능성도생기고, 여러가지로 기술파급효과고려해볼때, 사브가 협상경쟁력끌어올릴만한 가치가 있다고봅니다,

  • @aetna3321
    @aetna3321 4 роки тому

    탄도미사일도 볼수있고 통합링크도 됬는 기종으로 구입하자

  • @chulgim1
    @chulgim1 4 роки тому +13

    전자기술은 스웨덴 사브도 상당한수준이기때문에 기술이전받거나 완성기체면에서도 결코 무시할 게 아닌데 묻지도 따지지도않고 미제사자는 사람들 잇지 ㅎ

    • @그럴리가-c7p
      @그럴리가-c7p 4 роки тому +3

      후속 군수지원 생각안하시나요?

    • @그럴리가-c7p
      @그럴리가-c7p 4 роки тому +1

      데이터 링크 생각안함? 혼자 전쟁함? C4i는 우리만 하면됨?

    • @fdlkcjlqwqfxskjekljokjlukjlkl
      @fdlkcjlqwqfxskjekljokjlukjlkl 4 роки тому +3

      이 놈은 군사무기 구입하는 걸 아주 프라모델 구입하는 걸로 단순하게 생각하는 놈인 듯

    • @blizzard-src
      @blizzard-src 4 роки тому +1

      그리펜 엔진 미제 아닌가요?

    • @blizzard-src
      @blizzard-src 4 роки тому +2

      @@fdlkcjlqwqfxskjekljokjlukjlkl ㅋㅋㅋㅋ
      밀리 우툽에거 국산화 울부짓는 사람들 납세액 공개 좀... 세금은 젖도 안내면서 ㅋㅋ

  • @윤인하-k1k
    @윤인하-k1k 4 роки тому +1

    기술이전 해준다는 스웨덴으로 가자 피스아이와 별 차이 없다면 기술이전에 인색하고 돈만 밝히는 미제 무기 굳이 구입할 필요 있나

  • @Sleeppage
    @Sleeppage 4 роки тому +5

    생산라인 측면에서 보잉은 만들던 737기 빼다가 만들면 되는 상황이라 ㅎ

  • @천장지구-z6e
    @천장지구-z6e 4 роки тому +2

    지금 운용중인 피스아이
    도입한지 얼마되지도
    않았는데... 문제많더던데...
    이것과 관련해서도
    한번 다뤄줬으면...

    • @dragonyob
      @dragonyob 4 роки тому

      도입을 한지가 10년 되었는데 문제라니요. 공군에서는 피스아이의 관제능력을 높게 평가하고 있어요.

  • @멀뚱멀뚱-s5t
    @멀뚱멀뚱-s5t 4 роки тому +7

    요즘 이스라엘이랑 방산협력 자주 하는 것 같은데...조건 맞는다면 협력생산 형태도 고려해볼수 있을지도

  • @이상진-v6w
    @이상진-v6w 4 роки тому +8

    기술이전이되면 사브로.

  • @SH-lu4vk
    @SH-lu4vk 4 роки тому

    에이레이 도입할거면 B-737에 통합되었으면 하는데......

  • @장우진-m5e
    @장우진-m5e 3 роки тому +1

    부품 단종되서 ㅡ.,ㅡ 고생이라던데 피스아이

  • @고대표-n6s
    @고대표-n6s 4 роки тому +2

    군 요구사항만 충족한다면 사브쪽도 괜찮지 않을까요?

  • @백윤택-t5o
    @백윤택-t5o 4 роки тому +3

    고작 2대 사면서 경쟁입찰 시키나. 피스아이 추가도입 사업으로가지.
    만약에 4대 구입한다면 조기경보통제기를 2개 기종으로 할 수도 있다고 본다.
    만약에 글로벌아이로 선정되면 고작 2대를 위해 별도의 군수지원과 운용교육 등 제반 지원 체계를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더 많은 비용이 들고 운용효율은 더 떨어질 것이다.
    차라리 숫자도 많이 모자라는데 4대 도입사업으로 해라. 그게 더 효율적이고 전력운용에도 더 도움이 될 것이다.
    고작 2대 도입에 뭔 그리 설레발을 치는지.
    그냥 개량된 피스아이 추가 도입하면 될것을.

    • @무무아-d1n
      @무무아-d1n 4 роки тому

      어차피 보잉기종이야,성공한기체라, 추가도입이따른 편차별로크진않을듯?, 사브사 기술이전절충교역활용가치 필요한부분이 의외로 클수도있어서, 기술개발실무진들의견을 신중히검토할필여가있다고봐유,

  • @kja5778
    @kja5778 4 роки тому +2

    이거 끝났어요 피스아이 추가 도입으로 결론 나왔습니다

  • @assa-x3j3n
    @assa-x3j3n 4 роки тому

    E2D 가좋은은데

  • @user-vb8rw3qe9j
    @user-vb8rw3qe9j 4 роки тому

    우리나라가ㅜ호크아이 도입을 안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dsdslee1059
      @dsdslee1059 4 роки тому +2

      호크아이의 레이드는 사막이나 해상에서의 운용에 특화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육상에서의 운용에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관심 밖이었습니다... 어쨌던 지금 우리가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은 휴전선을 저공으로 넘어오는 북한의 제공기 및 특수전기 이기 때문입니다...
      호크아이는 장파를 쓰기 때문에 육상의 건물이나 산에 의해서 발생하는 다양한 난반사를 제거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약점이 많습니다...

    • @아하하하하하-s6n
      @아하하하하하-s6n 4 роки тому +1

      필요 없으니까요. 호크아이는 해상용으로만 쓸모 있지 체급상 육상에서는 의미 없구요. 항모에 도입하려해도 캐터펄트 없는 항모라면 쓰지도 못하구요.

    • @KGMoYJK
      @KGMoYJK 4 роки тому

      어떤 노친네 때문에 개나소나 호크아이 ㅇㅈㄹ 떠네 섬나라 제외하면 아무도 운용안하는 e2d를 왜사라는건데 도데체 뭐 탄도탄 ㅇㅈㄹ떨면 대가리 빡대가리 인증하는거니 싸물고

  • @area3957
    @area3957 4 роки тому

    사브사의 비행기, 장비는 수요 미달, 적자로 곧 생산 중단 되고 따라서 각, 부품, 장비 업그레이드도 없어 돈 낭비가 백프로 된다.
    안전한 비행기에 지속적으로 생산, 업그레이드가 확실한 보잉걸로 써서 유사시 미군과의 합동작전, 장비 업글이 가능해 고철될 위험없는 장비를 구입하는것이 이득이다.
    기술이전?
    공짜로 얻는 싸구려 기술보다 정비, 라이센스 생산등으로 고급기술 습득하는것도 장기적으로 이득이다.

    • @무무아-d1n
      @무무아-d1n 4 роки тому

      그러한위험이있는부분들을 협상교섭장점으로활용해서, 얻어낼것더얻어내는방식으로, 특히, 부품수급특정조건이하일경우, 라이센스면허자체생산공급가능한조항이라던가, 원천기술제공조건이나 절충교역비중조절이든가,,
      유럽포함 글로벌 경제적으로 요즘 어려운국면인만큼, 피같은 혈세 신중히, 선순환효과기여하는방향으로 좋은협상능력끌어내시길,,

    • @방랑보더
      @방랑보더 4 роки тому +1

      무슨 지속적인 생산입니까? 미군은 사용안하는 기체인데 E-737은 사실 호주군 조기경보기 사업에서 보잉이 제시한 기체이고 이걸 보고 한국등 다른 몇 나라들이 우리도 구매하겠다고 한 사업입니다 호주군만 납품하면 끝나는 사업인데 운좋게 아다리가 맞아서 공구한거지 영상 말미에서도 추가 구매 요청이 없으니까 라인을 닫았다고 나오잖아요 ㅡㅡ;
      E737이나 글로벌아이나 지속적인 생산문제는 같은 운명이라는 겁니다 미군이 E-737을 발주하지 않는 한은 말이죠
      업그레이드 문제도 대부분 미군이 업그레이드 하면 꼽사리껴서 싸게 할수 있는 거지
      이번에 치누크헬기 업그레이드 문제도 독자 업그레이드로 계획하니까 비용이 상승하고 차라리 신형 치누크를 사는게 더 낫다는 결론이 나오는 겁니다
      전투기 처럼 몇 백대 운영하는 것도 아니고 전세계 해봐아 20대도 될까 말까 한 기체에 업그레이드 비용이 과연 저렴할까요? 다른 나라들이랑 시기를 맞춰서 해야 그나마 쌀거고
      아다리가 안맞으면 독박각인데 사브사한테 기술이전 받아서 독자적으로 업그레이드 추진하는 것도 합리적인 선택인겁니다 향우 에어버스 기체만 사다 개조할 수도 있는 거고

  • @hlkim2183
    @hlkim2183 4 роки тому +6

    단종된 기종을 돈갖다바치나 보잉 좋은일 시킬일없다,,,따끈따끈한 샤브로 가는게 맞다,,,

  • @Lovewinsall0909
    @Lovewinsall0909 4 роки тому

    사업진행이 애초보다 빨라지는게 전작권환수에 있는거지

  • @ShinSg
    @ShinSg 4 роки тому +1

    기왕 사는거 한국형 항모에서도 쓸수있는 E-2C로 사왔으면 좋겠네요

    • @아하하하하하-s6n
      @아하하하하하-s6n 4 роки тому +2

      캐터펄트가 있어야 항모에서 쓸 수 있어서 의미 없고 해군용이 아니라 공군용이라 더더욱 호크아이는 가능성 없지요

  • @ofreedom276
    @ofreedom276 4 роки тому +1

    이자는 왜 순국 선열과 호국영렬에 대한 경례하지않는가요, 6,25 70주년 기념식에 트럼프와 멜라니여사도 곙례와 가슴에 손을 얹고 예을 갖추는데 주미대사 이수혁 이자는 기념식에 왜 갔으면 왜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에 대한 예을 안 갖추는지 도저히 이해가 안되네요,

  • @hosookim4854
    @hosookim4854 4 роки тому

    737계열이나 글로벌아이 같은 걸 할게 아니라 2027년 전력화 목표면 우주선 같은 걸 해야되는 거 아닙니까? 최소한 체급을 올려서 E767급으로 하든가 아니면 차라리 E2D를 하는게 비젼이 있는겁니디.

  • @한해주-q9h
    @한해주-q9h 4 роки тому +2

    나름 전자강국인데.. 이스라엘이 만드는걸 못만드냐ㅉㅉ 미국이 재정지원해줘서 만든다구? 세상 모든일이 제대로좀 하려면 돈안드가는게 어딧어? 쪽 돈주고 사오던 관성대로 사는거지. 그러면 선진국 되기는 드럽게 바래욬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