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체역학 전공자입니다. 처음 돌려서 섞은 뒤 다시 돌려서 되돌아오는 것은 섞인 게 다시 돌아오는 경우는 불가능하지 않냐(즉, 엔트로피 증가 법칙에 위배되는 경우)늨 댓글이 있어서요 저 경우는 실제로 섞이는 게 아니고, 처음 물감이 중심부에서 먼 쪽은 더 많이 이동하고 중심부에서 가까운 쪽은 덜 이동해서 섞여보이기만 하는 것이지, 실제 물감은 거의 섞이지 않습니다!! 자세한 건 sherwood number, rigid body rotation of fluids 라는 키워드로 공부해보시면 될 거예요~~
되감기인가? --> 아님. 처음과 달리 번져있음. 그리고 다른 실험영상들도 있음 엔트로피 법칙에 위배되는것 아닌가? 시간여행 가능?--> 아님. 사실 왜 위배된다 생각하는지 잘 이해가 안감. 애초에 색깔이 혼합된게 아니라. 그리고 시간여행도 안됨. 이건 특수한 상황이지. 님 인생은 유체가 아니야. 다른 것도 회전하면 원래대로 돌아오나? --> 아님. 저 실험에서는 고정된 원기둥을 돌리는거라 특수한 상황임. 정확하게 중간에서 돌려야만 가능. 그래서 숟가락 같은걸로 저으면 막 섞임. 댓글들 중 사람도 점도가 높으니 회전하면 젊어지냐는 이상한 댓글을 봤는데 당연히 아님. 사람은 애초에 유체가 아님....
그러니까 간단하게 말하면 물엿이 가득 담긴 병에서 아이언맨 토르 그리고.....블랙위도우가 갇혀서 돌아간는데 픽셀느낌으로 흩어졌다가 돌아오니까 아이언맨은 블랙위도우의 왼쪽 가슴이랑 왼쪽팔이랑 섞였고 토르는 아이언맨뇌랑 아이언맨의 역류성 식도염 그리고 블랙위도우의 오른쪽 가슴 그리고 블랙위도우는 그둘의 성기와 가슴 사지가 섞일 수 있지만 가능은 하다?
와 근데 아무리 층류라 해도 저게 가능하다는게 신기하네....일반적으로 혼합은 대표적인 비가역인데
애초에 색끼리는 안섞이는 상태 아닌가요?
제일 안쪽엔 빨간색, 중앙엔 파란색, 제일 바깥쪽엔 노란색 이렇게 원 중심으로부터 각각 층을 나눠서 색상을 배치한다 라고 이해하긴했는데.. 맞게 이해한건지 모르겠군요
섞인 상태가 아닌 "겹쳐진" 상태인것 같네요
혼합이 아닌거죠
혼합이아닌 혼합처럼 보이는상태인것같아요
영상의 설명처럼 정교하게
혼합되지 않는거라 봐야할것같음. 투명해서 옆에서보면 섞인것같아보이지만
저 현상 때문에 미생물 단위의 생물들은 지느러미같은 좌우 반복 현상(reciprocal)으로 나아가지 않습니다. 섬모 같은걸 쓰지요
이래서 유튜브 댓글을 못거른다니까..
영상보다 더 유용한 댓글 ㅈㄴ많음 ㅋㅋ
궁금해서그런데 지느러미랑 층류랑 무슨 상관이죠ㅠㅠ 미시적인 물 속에서는 난류가 아니라 층류다이건가..
층류에서는 좌우 흔들어도 제자리거든
@@jimmy40177 유얼 코렉트. 그래서 아주작은 날벌레들은 날개모양이 넓지 않고 민들레 씨처럼 섬유 모양입니다. 걔네한테 공기중은 꿀 속같으니깐요
교수님 제발 수업을 유투브 댓글처럼만 해주세요
유체역학 전공자입니다.
처음 돌려서 섞은 뒤 다시 돌려서 되돌아오는 것은 섞인 게 다시 돌아오는 경우는 불가능하지 않냐(즉, 엔트로피 증가 법칙에 위배되는 경우)늨 댓글이 있어서요
저 경우는 실제로 섞이는 게 아니고, 처음 물감이 중심부에서 먼 쪽은 더 많이 이동하고 중심부에서 가까운 쪽은 덜 이동해서 섞여보이기만 하는 것이지, 실제 물감은 거의 섞이지 않습니다!!
자세한 건 sherwood number, rigid body rotation of fluids 라는 키워드로 공부해보시면 될 거예요~~
Interesting..
그걸 왜 공부해 시뮬 돌리게?
@user-iq2xc2ms6o 엔트로피는 시간이 한방향으로 흐르는한 증가하니까 억지로 끼워주면 관련은 있겠죠 ㅋ 되돌리는게 아니라 위치가 이동한것 뿐이고..
으악
유동해석쪽이신가요?
ㄹㅇ 되감기인줄 알았는데 다시 돌리면 처음 모양이랑 다르네...
ㄴㄴ 이거 역재생임
교수님들 친절하게 설명해주셔도 대학원 안갈거에요
그러지 말게
허허 왜 그러나 (어깨 덥썩)
눈치빠른 꼬맹이는 싫어요~
대한민국의 미래가 밝군
현명한 청년.
이 사람은 신기한걸 계속 올리네 칭찬해
자 보셨죠?
계란을 섞을 땐 한방향으로 저어 주세요
제과제빵학과노?
실수 계란 한개 더 넣어서 돌리다가 반대로 돌려서 계란 한개 다시 빼면댐?
그렇치. 이 지식을 일반인이 활용하려면 이거뿐이지 ㅋㅋ
@@출근길지식그럼 병아리 생겨서 클나요. 히드라 병아리 나올지도ㅋ
아 그게 이거구나 와!
제가봤을땐 저 세 액체는 R반지름이 다른것 같습니다. 섞여보이게 겹치는 방식같아요
그니까요 앞뒤로 배치한것같음
그렇지 않습니다~대신 유체가 충분히 끈적해야해요
@@김창회-i3u 저를 혼란케하지 마십시오
반지름이 같아도 같아요 ㅎ
아님 엄밀히말하면 혼합과정이 아니긴하지만. 라미나 플로, 레이놀즈수 관련실험중 가장 유명한실험임.
그래 이게 지식채널이지 영상 퍼오면서 출처 남기고 ”저 안 퍼왓는데요?“ ㅇㅈㄹ 하는 놈들과는 다르게
ㄹㅇ
? 위에 영상도 결국 퍼온거 아니노?
뭔차이ㅋㅋㅋ 결국 이것도 영상 퍼오고 설명만하는건데
@@khs9906 그래도 여기는 조사도 하고 이해도 쉽게 해주려고 정성은 들어갔잖아?
@@such-qb7ib너그 집에서도 노노 그러냐? 아님 고아가? 이건 어디 외계 언어고?
같은 원리로 줄무늬 치약 짜는 것도 있죠. 일정하게 줄무늬로 치약이 짜여 나오죠.
어릴때 치약 거의다쓰면 어느샌가 꽉찬 치약으로바뀌고
새치약은 엄청 가지런한무늬로 나와서 그게넘신기했음
새치약을 뒀다는걸 모르고 엄마아빠가 잘 나눠서 채워놓으시는건줄알았음ㅋㅋ
자식들은 새치약주시고 거의 다써서 안짜지는 치약은 안방 화장실로 전부가져가서 잘라쓰고계셨던거
문과에서는 신기한 현상이라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내 인생도 저렇게 처음처럼 돌아가고싶다
군대 다시가야해도?
한강....
올챙이가 1등 못하면 어떻함;;
이미 너무나 많이 섞여서 되돌아 갈수 없음..😢
이과 영상에 달린 문과 댓글 ㅎㅎ..
영상을 되감기 해도 똑같은 결론이 나옵니다.
역재생인줄알고 댓글창열었는데 진지해서 당황한 사람은 개추 일단나부터
층류 난류 개념은 알았는데 이게 그 말인건 영상 보고 이해했네요
안섞이는거보다 흩어진게 다시 뭉친다는게 신기하네
섞인게 아닌 층류로 겹쳐졌다가 풀리는거임
과학은 참 신비로워
저게 같은 위치면 저렇게 돌아오진 않을거임 아마 같은 높이 같은 위치 같아도 앞 뒤 축은 달라서 결국 섞인게 아니라 '겹친것'이라서 돌아 올 수 있는것
목성도 층류때문에 그런 층이 진 모양을 하고 있나 보네요
목성이 층으로 보이는 이유는 차등회전이 있기 때문인데 쉽게 말해서 극지방과 적도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인걸로 알고 있어요! 태양과 토성도 마찬가지로요. 근데 지구 같이 표면이 딱딱한 행성들은 고체상태이기 때문에 차등회전이 일어나기 어려워요
첫번째 나오는 실험은 물엿이랑 페트병이랑 고무줄이랑 물감 만 있으면 진짜 간단하게 만들수 있어요 ㅋㅋ
+ 와 이거 진짜 간단한 화학실험인데😢
학교에서 동아리 활동으로 많이 해요...
다들 역재생이라고 하는거 보니까 마음이 아프네
조금만 검색해도 나오는데ㅠ😅😅
진쟈로 되감기한걸수도 있쟈네 ㅠ 신기하네요 ㅋㅋㅋㅋㅋ
지나가던 사람입니다.
영상을 되감으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지나가던 사람입니다.
되감기 같지만 마저 지나가겠습니다.
색이 섞여 보이는건 위치가 겹쳐서 섞여보일뿐 색상이 겹쳐져 섞인 색이 아님
되돌아간게아니고 회전하면서 모은거에 가깝다고 봐야해요
걍 옛날놀이터 뱅뱅이처럼 위에서 보면 머리들이 돌아가는게 각자 그 위치 그대론데 옆에서 보면 ㅈㄴ 이 녀석 저 녀석 잔상이 섞여보이는 느낌 아닐까 했는데
원통안에 x축만 같은 위치지 y축은 좀 다르게 액체를 넣은듯 그래서 바깥에서 봤을땐 혼합되어 보이지만 안에선 서로 다른 위치에서 퍼졌다가 돌아오는거임 액체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원리는 맞는데 혼합된게 다시 제자리로 찾아 오는건 아닌듯
뭔 쌉소리여 ㅋㅋㅋ
뭐야 이 역주행 같은건.. 개신기하네
"조립은 분해의 역순"
헉 너무신기해... 진짜 시간을 되감는거같애요
와 ㅅㅂ 어쩐지 전에 계란 풀다가 반대로 돌리니가 다시 노른자가 원상복구 되더라구요
왜그런지 이제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알고보니 동영상을 거꾸로 재생했다는게 회사의 야식
엔트로피는 한쪽방향으로만 흐르기때문에 저건 그냥 눈속임,사기,착시 셋중하나
애초에 섞이질 않았던 것.
저거 반지름 다른거 아니냐 그러는데
반지름 똑같아도 안섞이고 돌아옵니다
애초에 섞이는게 아니니까
관련이 있는진 모르겠지만, 유인물같은거 나눠줄때 손톱으로 빙빙 돌려서 원하는만큼 가져가기 쉽게 만드는게 생각나네...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다시 원 상태로 돌아가던데
테넷형 말이 맞았어
그냥 되감기 한거라고 생각하고 넘겨야 겠다....
나 였으면 배경에 시계 두고 했을 듯. 역 재생이라고 생각하지 않게.
시공간도 똑같을거 같은데 사람들 시간이 섞여있어서 되돌릴수 없는듯
와 유튜브에 왜 이렇게 전문가가 많지ㅋㅋ
와 저거 맛집 음식넣고 ai가 분석하면 비법 알아낼 수 있잖아!? -문과-
찾아보니 층류유동인듯 하네요 물감을 넣은 반지름이 다르던 같던 애초에 섞이는게 아니라 가능한 현상인듯
이래서 머랭 한방향으로만 쳐야되나보다 암것도 모르고 중딩때 고루고루 휘저었다가 친구가 ㅈㄴ비웃음
안쪽에서부터 바깥으로 놓아서 서로 섞인것 처럼 보이는것 아닐까요
미동없는 상태에서는 미세 단위로 절대 같은 층으로 물감을 찍을수가 없어서 층류라는게 아예 다른 층이다 라고 생각하면 되는거 아님?
물엿으로도 실험가능해용 되게 신기해용!❤😊
신기한데 생각해보니 저거 측면에서 봐서 그런거지 색들이 섞인게 아니었군요
영상 보자마자 무슨 현상인지 바로 알았습니다.
신기한 현상
이상한 광고 숏츠만 안 올리면 정말 좋은 채널일텐데...
*문송합니다.*
아무리 안 섞였어도 그대로 돌아오는게 신기하네..
와 진짜 신기하네 원리를 알아도 신기함 나도 해보고 싶ㄷ
보자마자 엔트로피랑 테넷 생각났는데
너무 신기하다
되감기인가? --> 아님. 처음과 달리 번져있음. 그리고 다른 실험영상들도 있음
엔트로피 법칙에 위배되는것 아닌가? 시간여행 가능?--> 아님. 사실 왜 위배된다 생각하는지 잘 이해가 안감. 애초에 색깔이 혼합된게 아니라. 그리고 시간여행도 안됨. 이건 특수한 상황이지. 님 인생은 유체가 아니야.
다른 것도 회전하면 원래대로 돌아오나? --> 아님. 저 실험에서는 고정된 원기둥을 돌리는거라 특수한 상황임. 정확하게 중간에서 돌려야만 가능. 그래서 숟가락 같은걸로 저으면 막 섞임. 댓글들 중 사람도 점도가 높으니 회전하면 젊어지냐는 이상한 댓글을 봤는데 당연히 아님. 사람은 애초에 유체가 아님....
지금까지 뒤로감기 영상을 보셨습니다
애초에 섞이지 않았다는 이야기...
영상 뒤로 감은거라는 댓글 기대했는데 없네요 ㅋㅋ
미안한데...저거 실험해봐서아는데 내용물이 글린세린임!물엿.꿀같은 점성많은 거만가능합니다..진짜물로하면 그대로 섞입니다😂
미안한데 영상에 나와있어
암호학적으로 흥미롭네요
… 섞이기 시작하는데 …. 이 부분은 거짓인거죠.
처음에 봤을 때 되감기인줄 알고 시시했는데 알고보니 원리가 있어서 되게 신기해함
우린 이걸 역재생이라 부르기로… 아 여기가 아니구나
층류를 유지시켜주는 반고체? 상태의 매질이라 그런거지
물에서는 안됩니다 그냥 흩어져서 섞임
저래서 계란 저을때 한쪽으로만 저으라 하셨구나, 청개구리라 와따리가따리가 더 잘섞이겠지~ 했는데 죄송해여 쌤
정확하게는 위치가 달라서 썪이지 않는것을 이용해 썪이는거처럼 보이지만 썪이지 않는 트릭을 이용한거자나 근데 신기한건 처음상태로 되돌아오는건 신기하네
「이과가 좋아하는 영상」
처음에는 역재생이네 ㅋㅋ 하고 봤는데
다시보니까 역재생이아니라 이영상에나온 이론이였어..
우리는 저것을 역재생이라고 부르기로 했습니다.
이게 정답
시간도 층류처럼 흐르면 복구가 가능할텐데
액체가 유체처럼 행동하지를 않는 상황
신기하다 😮 😊
와!!타임머신이다!!
상식인데 모르는사람많네요😅
마술소재로 쓰이겧네
엔트로피 위배인데 이건 재실험과 검증 필요
엔트로피 법칙에 위배되는것 아닌가요? 오우
원통 중심과의 거리가 다르게 물감을 넣은거네
그러니까 간단하게 말하면 물엿이 가득 담긴 병에서 아이언맨 토르 그리고.....블랙위도우가 갇혀서 돌아간는데 픽셀느낌으로 흩어졌다가 돌아오니까 아이언맨은 블랙위도우의 왼쪽 가슴이랑 왼쪽팔이랑 섞였고 토르는 아이언맨뇌랑 아이언맨의 역류성 식도염 그리고 블랙위도우의 오른쪽 가슴 그리고 블랙위도우는 그둘의 성기와 가슴 사지가 섞일 수 있지만 가능은 하다?
그니까 우리가 흔히 말 한다는 섞인 다는 개념이 애초에 아니었다는 거잖아
엔트로피를 그나마 손실없이 뒤로 돌릴수 있는 방법
정답은 진짜 되감기 한거~
Marvels of Bacterial Behavior - History & Physics of Bacterial Motion
이 영상 28분쯤에 원리설명되어있음
어머나 입에 침은 발렀나 모르겠다 😊
사실 화면을 거꾸로 돌렸습니다. 아무도 몰랐죠?
나도 돌아가고 싶다 군대 입대전으로.
돌아가면 뭐할거임
난 또 드디어 엔트로피를 역방향으로 돌려서 과거로 갈수잇는줄알앗내
되감기 한것같은게 아니라 지금 위로 되감고있잖수?
농담이유. ㅋ 신기하긴 하네유.
이제 오른손으로만 비벼먹어야겠다
지나가던 맷돌전공자입니다.
섞이는거 같지만 영상을 뒤로 돌리면 원래대로 돌아갑니다. 감사합니다
아😮 카메라 뒤로 감기인 줄😅
물리법칙을 위배하는 또 하나의 방법 : 뒤로감기
???:저거 역재생아님?
이러는 사람들 있을것 같은디.....일단 나
우리는 저런걸 역재생이라고 부르기로 했어요
이렇게 설명하고 되감기한거라면
현실판 타임스톤이네
음식할때 한방향으로만 저으라고 할때 이런 이유 때문이었을까?
그러니까 안 섞이고 물감이 늘어난다는거네
우리가 사는 시공간도 같은 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