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망해서 테무는 행복합니다 (동아일보 딥다이브 한애란 기자)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6 бер 2024
  •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글로 읽는 "언더스탠딩 텍스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КОМЕНТАРІ • 734

  • @user-pu3vm4hs1t
    @user-pu3vm4hs1t Місяць тому +25

    사봤는데 완전 후저요
    이건 물건이 아닙니다.
    가지고 다닐수 없어요.
    물건 독성 덩어리입니다.

  • @U2BGUSWNSEHGUD
    @U2BGUSWNSEHGUD 2 місяці тому +34

    중국당국에서 테무를 통해서 대한민국 국민의 개인 정보를 모을 수 있겠네요. 충분히 예상할 수
    있지 않을까요????

    • @user-ii2wm4oo5b
      @user-ii2wm4oo5b 27 днів тому

      맞습니다!
      나중에피해를
      볼것입니다
      중국공산당
      믿어면안되죠!

  • @user-gu4kv7zl3o
    @user-gu4kv7zl3o 2 місяці тому +164

    10만원대 중국산 천연 가죽자켓 샀는데... 진짜 가죽인데 디자인 좋고 재봉도 잘 되었고, 10만원 대면 그냥 가죽원단 값이라서 샀는데.. 세상에 화학약품이 얼마나 독한지... 피부병 걸렸어요. 피부가 근질근질.... 눈알이 뻑뻑... 가죽에 넣는 화확약품 때문 인 것 같은데.... 가죽 소독제 뿌리고, 포름알데히드 잡는다는 피톤치드 뿌리고, 한 달 째 옥상의 처마밑에 그늘에 말려도 한번 걸치기만 해도, 방안에 1시간 만 걸어놓기만 해도 온몸이 근질근질.. 눈이 뻑뻑... 재활용 박스에 넣으면 남들이 입고 피부병 걸릴까봐서 넣지도 못하고, 그냥 쓰레기봉투에 넣어서 버려야 할 판... 요새 유튜브 보니까 중국산 가죽 점버 이벤트로 5천원 거저 준다고 테무 같은데 가입하라고 하는데.. 절대 하지 말아요.

    • @shmily_min
      @shmily_min 2 місяці тому +8

      타오바오에서 300위안 이상하는 제품은 진짜 좋습니다.똑같은 제품도 싼거보다 적당한 가격을 선택해서 구매하면 거의 실패하지 않습니다.

    • @ByongjuneChoi
      @ByongjuneChoi 2 місяці тому +4

      님 과장 같은데요 ??

    • @kyongchapoe3303
      @kyongchapoe3303 2 місяці тому +11

      제품 부작용 너무 많이 발생 건강 에 매우 취약점 인지 해야함.모두 반품 처리를 했습니다

    • @heekim5188
      @heekim5188 2 місяці тому +17

      가죽같이 재료가 비싸고 품이 많이 들어가는 제품을 인건비 감안해도 싸게 팔때는 이유가 있는거..
      20년전에 4만5천인가? 아무튼 사진상으로 떼깔 엄청 좋아보이던 소가죽 재킷을 온라인에서 한벌샀음.. 물론 마데인 중국이었고..
      재봉 마무리.. 가죽 질감.. 무게.. 스타일과 피팅감까지 정말 맘에 들었던 제품인데 극복할수없었던게 화공 약품 냄새였음..
      3미터 떨어져도 맡을수있을만큼 정말 그 냄새가 독했음..
      한번 착장하고 나가서 버스탔다가 바로 내려야했음.. 따듯하고 공기흐름이 정체된 실내로 들어가니 냄새가 확 올라와서 사람들 시선도 모이고 눈치가 보였는거..
      이거 없애려고 별짓다했음.. 옥상 그늘에 거의 보름간 걸어놓고 말린적도있고.. 온갖 탈취제들 뿌려도 보고..
      드라이 클리닝만 두번을 맡겨 냄새를 빼려했는데 실패했음..
      정말 맘에들었던 자켓이었는데 그때 깨달음..
      상식선 이하로 싸게 파는 제품은 그 이유가 있다..

    • @user-xq1qd8lo1n
      @user-xq1qd8lo1n Місяць тому +5

      개구라치구있네 내가 지금 가죽자켓만 열벌 알리에서 구매했는데
      아무이상없구 오히려 품질도 더 좋아졌구만 가죽질도 끝내주는데

  • @jrjin9442
    @jrjin9442 2 місяці тому +51

    싸다고 사는게 아니라 필요 없는건 거져줘도 안받는게 정상적 사고야.
    생활에서 먹는것 말고 살게 있어?

  • @amorfati1091
    @amorfati1091 2 місяці тому +118

    노동법이 최소 30년은 후퇴했네
    어쩐지 전자상거래쪽 중국 사장들보면 악독함ㅋㅋㅋㅋㅋㅋ
    중국 플랫폼 키워주지마라 중국 본국에서도 어마무시 했는데 독점하는 순간 납품하는 우리나라 업체들 어마무시한 갑질들 당할거다

    • @PRIMITIAE_030
      @PRIMITIAE_030 2 місяці тому +9

      ㄹㅇ 이게 진짜 위험한게.... 이러다가 독점당하면 우리나라 경제가 붙잡히는거라...

    • @paulvn1702
      @paulvn1702 2 місяці тому

      이게 전략이다. 중국은 정부가 키워서 일단 상대를 망하게 하고 나면 그다음 지 마음대로 가격 결정한다.

    • @forwhomthebelltolls7794
      @forwhomthebelltolls7794 Місяць тому +3

      지금 심각함! 알리 태무 이용금지!

    • @user-yz8yj6sq1q
      @user-yz8yj6sq1q Місяць тому +3

      큰일 났어요.5g 인프라도 정보때문에 중국거 안쓴다더니 중국께 쫙 깔렸어요.전기차도 중국거 위험해서 안쓴다더니 버스가 대부분 중국거에요 . 알리바바 테무 다운로드한 사람도 엄청 많고.그걸 허락하고 들여온것도 우리 나라 사람이고 ㅜㅜ

    • @junheelee5761
      @junheelee5761 18 днів тому

      우리나라 불과 30년전 중화학공업으로 세계수출로 벌어먹을때 똑같이 그렇게 다른선진국을 후레노동법으로 따라잡은겁니다.. 제얼굴에 침뱉기죠 영국산업혁명후 미국 일본에 다뺏기고 인건비 싼 순으로 계속 제조업이 내려가는건 그냥 기본 사이클인데요뭐

  • @nameno8735
    @nameno8735 2 місяці тому +9

    테무, 알리는 한국 중소기업과 온라인 업체를 망하게 하고, 한국 세금으로 배송하는꼴..

  • @user-hr8nd7lx7j
    @user-hr8nd7lx7j 2 місяці тому +122

    국산업체는 짝통단속하고 벌금때리고 생 난리도 아니더만 중국제품은 그냥 놔두내? 싹다 걷어서 불태워라 쓰레기를 보내는중

    • @claudspike
      @claudspike 2 місяці тому +3

      개인정보 팔아먹는걸 대놓고 ㅋㅋㅋ 극저가인이유가 있네 ㅋㅋ

    • @bulu0613
      @bulu0613 Місяць тому

      개인이 해외 직구 한거는 품질 검사 폼목이 아님.

    • @sarah-sz1vl
      @sarah-sz1vl Місяць тому

      초저가로 팔때는 다 그만큼 얻는게 있으니 파는거겠죠.

    • @user-ii2wm4oo5b
      @user-ii2wm4oo5b 27 днів тому

      좌빨들때문에
      중국몽들이
      너무많네요?
      중국에 나의
      개인정보,
      유출안되게
      주의하세요!

  • @eunjusong2004
    @eunjusong2004 2 місяці тому +52

    싸서 샀는데 받아보니 쓰레기....ㅠ

    • @Username34857
      @Username34857 2 місяці тому +1

      편견이 가득한 얘기네요. 그냥 소비자의 입장에서 한국거건 중국거건 가성비보고 쓰는거지요. 나쁘면 다시 안쓰면되고. 한국만 쓰는 앱이 아니라 미국 캐나다 유럽 호주 다 있음

    • @sarah-sz1vl
      @sarah-sz1vl Місяць тому

      괜찮은거 안 좋은거 섞였나보네요.
      댓글들 차이가 나는것이

  • @user-wj8xs2cz8v
    @user-wj8xs2cz8v 2 місяці тому +116

    알리나 태무 제품 한번 써보면 다시는 쳐다 보지도 않드라, 특히나 충전해서 쓰는 전자제품은 폭발이나 화재위험 상당히 높다. 싸게 만들어야 하기때문에 과열방지나 과충전 방지부품이 빠져있다.

  • @TV-oy2qz
    @TV-oy2qz 2 місяці тому +56

    알리 테무 순기능: 쿠팡이 절대반지를 끼기 직전에 갠세이 냄. 쿠팡이 절대반지를 끼는순간 한국 소비자는 고통받게됨

    • @user-ib4zb4uq2x
      @user-ib4zb4uq2x 2 місяці тому

      ㅇㅈ

    • @user-hm4uh2rn6v
      @user-hm4uh2rn6v 2 місяці тому +6

      알리에서 2만원대 제품을 쿠팡에서는 6만원대에 판매해서 알리에서 구매 해서 잘 사용 하고 있어요(아직 까지는 운좋은거겠죠)

  • @EPark-gb7fh
    @EPark-gb7fh 2 місяці тому +95

    그냥 싸면 모르겠는데, 모든 제품이 우리나라에서 히트했던 그때 그 제품을 똑같이 베껴서 팔더라… 원래 회사는 이미 망해서 대응도 못하는지, 완전 똑같은게 한두개가 아닌데 그냥 팔리더라… 찝찝

    • @ohjaynow
      @ohjaynow 2 місяці тому +9

      한국에서 OEM 준거니까. 한국 회사 망하면 그 제품 어디다가는 팔아야죠;;;

    • @wulacaca
      @wulacaca 2 місяці тому

      히트 했던 제품들이 원래 made in china 였다면 이해가 되실까요?ㅋㅋ

    • @user-kv8tv6ut3b
      @user-kv8tv6ut3b 4 дні тому

      ​@@wulacaca 어디서 만든게 소유권을 주장할 순 없지요. 누구의 아이디어였는지가 지식재산권이 누구였는지가 .. 중국은 이걸 무시하지요.. 아주 오래전부터.
      누군가의 아주 오랜 시간과 노력을 훔치는 도둑질이지요

  • @jecheolsokim535
    @jecheolsokim535 2 місяці тому +87

    난 쿠팡에서도 물건구매할때 생산자를본다 (국내생산품) 되도록 이면 국산생산품을 애용하려한다. 굳이 생산자따질필요없으면 집앞에 있는 (다이소)에가고 옷은 근처 홈플러스나 이마트에서 구매한다.

    • @hangaaTV
      @hangaaTV 2 місяці тому +1

      그래서?

    • @zhelongjin7799
      @zhelongjin7799 2 місяці тому +8

      이마트나 다이소 판매하는 제품이 90%가 다중국제품이거든
      내가 한국온지 12년동안 구매한경험

    • @cantabile9977
      @cantabile9977 2 дні тому

      ​@@zhelongjin7799
      중국인?

  • @romapapa137
    @romapapa137 2 місяці тому +84

    알리 와 테무는 50% 확률로 사야함. 잠깐 쓰거나 바로 버리거나...

    • @jljnthn
      @jljnthn 2 місяці тому

      잠깐쓰는게 바로버리는거 아님?

    • @user-et5tu7bw8v
      @user-et5tu7bw8v 2 місяці тому +1

      돈 주고 쓰레기 사고 쓰레기만 늘어가네요

  • @fjord38
    @fjord38 2 місяці тому +70

    알리바바에서 천원 마트 라고 행사를 하길래 사봤습니다. 주방저울 두개랑 방수 후레쉬를 사서 집에서 쓰는 제품과 비교 해보려구요
    10킬로 그램까지 측저되는 저울이 4천원 5킬로그램 측정되는 커피 저울 2천원 방수 손전등 2천원 을 8천원에 사서 비교 해봤는데 다들 쓰레기가 온다고 했거든요? 근데 집에서 쓰는 CAS 전자저울 5만원 짜리랑 뭐가 다른지 모르겠습니다. 측정도 거의 동일하고 1그램 단위로 측량도 무난한데 도대체 이거 어떻게 이렇게 파는건지 이해가 안됐는데 방송보고 이해하게 됐습니다.

    • @user-yt1os4ic9u
      @user-yt1os4ic9u 2 місяці тому

      와..cas랑 같다니. 신기

    • @user-ft4zh7np9z
      @user-ft4zh7np9z 2 місяці тому +3

      사실 오래됐을때 측정 값이 얼마나 틀어지냐의 문제일거 같긴한데 화학실험 하는것도 아니고 소숫점 아래 둘째짜리 오차 요구되는거 아닌데 뭐가 문제인가 싶긴하죠..

    • @sunheekim5008
      @sunheekim5008 2 місяці тому

      ㅂㅂ¹ㅂ1¹1¹¹ㅃ11

    • @ninano_kr
      @ninano_kr 2 місяці тому +9

      써보세요. 전 카스꺼와 중국꺼 건전지 차이가 너무 나더군요. 나중에는 건전지 가격이 더 들어감

    • @user-mp8ow3bg8q
      @user-mp8ow3bg8q 2 місяці тому +4

      제가 저울 만드는 회사에서 일한적 있는데 저울에 들어가는 로드셀은 다 중국산이고 들어가는 부품 다 중국산입니다. 다만 한국에서 조립됐다고 비싸게 팔죠.

  • @user-ve6qx8gj5c
    @user-ve6qx8gj5c 2 місяці тому +169

    난환경단체에서 난리칠줄알았는데....싼거 여러게 산다 버리면되지ㅋㅋ 쓰레기만 늘어나고 미세먼지는 계속날라오고 사지맙시다

    • @user-oe1ev8fo2o
      @user-oe1ev8fo2o 2 місяці тому +5

      같은걸 한국은 3배 비싸게판

    • @user-zi7cb6np9n
      @user-zi7cb6np9n 2 місяці тому +3

      응 싫어 살꺼야

    • @HY-lv7hw
      @HY-lv7hw 2 місяці тому +7

      환경단체가 민주당 ㅈ집인데 중국 욕 하겠냐ㅋㅋ

    • @userganada
      @userganada 2 місяці тому +1

      국민들 호구로 만드는 세력이 있는듯 ㅋㅋ
      싼거사지말고 비싼거사 이소리 ~
      돈받지말고 일만 해 ~ 이걸랑 똑같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APEXGwell
      @APEXGwell 2 місяці тому +8

      환경단체들이 주로 중국돈 먹고 활동하는데 그게 되겠나.

  • @blackdragon6247
    @blackdragon6247 2 місяці тому +37

    피싱의 매개체가 되지 않을까? 보안, 안전성의 문제는 없을까 ? 이런 근본적인 질문을 다뤄졌으면 훨씬 도움이 될 것 같음.

  • @sukholmes1066
    @sukholmes1066 Місяць тому +5

    저도 Temu를 주문했는데, 99%가 쓰레기!
    몇 백불 버렸네요.
    쓰 레 기

  • @davidkim582
    @davidkim582 2 місяці тому +186

    우리나라가 그만큼 디자인을 배끼면 소송들어와서 회사 망하고 , 정부도 사전차단하는데, 중국이니까 저렇게 당당하게 모방(배끼기) 하는거지... 사실 중국 정부와 한통속인거다.

    • @user-ll2ob8js9m
      @user-ll2ob8js9m 2 місяці тому +22

      공산당은 세계어디에다가도 짝퉁팔아도 소송할수도 없는데...대한민국은 국제사회일원으로 그게 안되니...불리한 싸움이잔아...대량생산하면 싸게 못파는게 이상하지...

    • @scahn4244
      @scahn4244 2 місяці тому +14

      공감합니다.
      자본력 불리한 중소기업들 이
      생존이걸린 피해를 보고있는것이 불보듯.
      정부 부처가 대책을 마련해야
      할텐데, 현정부 기대하기 어렵겠죠.

    • @user-ct6mi3rq2j
      @user-ct6mi3rq2j 2 місяці тому +3

      ㅎㅎ 욱겨음 체르노빌 분유 건도 잇엇구만 ㅋ

    • @fadaf610
      @fadaf610 2 місяці тому +10

      어짜피 다이소나 쿠팡도 다중국물건인데 같은물건을 3배주고 산다는거지 ㅋㅋㅋㅋ 재네 고객층이 명품시장도 아닌데 디자인 베끼고 자시고 할께 뭐있음 ? ㅋㅋㅋㅋ

    • @user-zi7cb6np9n
      @user-zi7cb6np9n 2 місяці тому +12

      뭔소리야 우리나라도 일본미국모방으로 성장한 나라인데...

  • @user-xe9mr6sv9d
    @user-xe9mr6sv9d 2 місяці тому +64

    테무 에서 청소기 샀다가 걍 버렸음. 쓰레기를 산꼴임

    • @yingshucui6547
      @yingshucui6547 2 місяці тому +1

      잘햇어요 그참에 댁도 같이 쓰레기되세요

    • @user-xe9mr6sv9d
      @user-xe9mr6sv9d 2 місяці тому

      @@yingshucui6547 뮈래냐?

    • @user-wl1je3es2i
      @user-wl1je3es2i 2 місяці тому

      쓰레기

    • @monk6613
      @monk6613 2 місяці тому +2

      @@yingshucui6547걍 테무에서 산거는 어차피 절반은 쓰레기라는 생각으로 사고 문제있으면 전부 반품하면 되요. 어짜피 테무에서 반품 배송비도 다 부담하니까 ㅋㅋ 가끔은 그냥 가지라고 하던데

    • @user-fc7et6ks9n
      @user-fc7et6ks9n Місяць тому +1

      누가 망하나 두고보자.....ㅎㅎㅎ....알리.테무 화이팅

  • @zzkzine2212
    @zzkzine2212 2 місяці тому +48

    중국에서 물건 떼다가 몇배로 붙여서 팔던 소규모 업자들은 알리 비중 커진 이후로 여파가 클거 같습니다.

    • @user-jo3hp4fj1o
      @user-jo3hp4fj1o 2 місяці тому +8

      우선은 싸다고 샀다가 우리시장 죽으면 나중에는 비싸게 사야한다
      우리 쿠팡이용합시다

    • @user-te7ui5xm6j
      @user-te7ui5xm6j 2 місяці тому +5

      @@user-jo3hp4fj1o 쿠팡도 최저가는 중국산밖에 없던데 뭘

    • @user-rs6uh5fh9w
      @user-rs6uh5fh9w 2 місяці тому +6

      쿠팡 우리나라에 세금 안내는 기업입니다.

    • @shmily_min
      @shmily_min 2 місяці тому

      저는 11번가를 이용합니다.

    • @sarah-sz1vl
      @sarah-sz1vl Місяць тому

      쿠팡 근로자들을 넘 혹사시켜서 안씀.

  • @user-un1yt7df5e
    @user-un1yt7df5e 2 місяці тому +9

    기자님 너무 재밌게 얘기해주셔서 좋았습니다~ 자주 나와주세요

  • @jeungyoo871
    @jeungyoo871 2 місяці тому +46

    이프로님 안나와서. 끼어들기 발언 없어지니 내용에 집중이 잘 됩니다. 사회자는 연사의 발언을 더 잘하게 도와주는게 역할이지. 사회자 본인의 주장을 내세우는게 할일이 아닙니다.

    • @effieshinkai3584
      @effieshinkai3584 2 місяці тому +1

      무슨 소리고.그래도 이프로가 있어야 재미있는 거지.

    • @user-xw6xf2hy7q
      @user-xw6xf2hy7q 2 місяці тому +3

      그냥 일반 공중파 프로그램 보러 꺼지세요 언더스탠딩은 사회자가 반론하고 반대의견 개진해서 더 심도깊은 이야기를 끌어내는거지

  • @Turtlewarrior
    @Turtlewarrior 2 місяці тому +8

    중국 제조업 이미 반은 파산.. 나머지 반도, 반은 파산지경!! 나머지는 다 적자랍니다.

  • @FlowerSan
    @FlowerSan 2 місяці тому +11

    테무...좋지..싸게 파니까..
    하지만. 지금은 안써요
    그 이유는. 싼거는 좋지만
    그 상품의 재질을 믿을 수 없습니다.
    싸게 해야 하니..발암물질들이 많은
    싼 재질들을 써야하니까요.
    테무는 품질 관리 책임이 없습니다.
    하니...모양은 얼추 비슷하지만
    물건의 재질이 무서워 사용 중지 햇답니다

  • @seunghoim7120
    @seunghoim7120 2 місяці тому +39

    무관세에 개발도상국으로 물류비용에서 어마어마한 혜택을 받는것으로 아는데 (후진국보호정책) 그비용은 선신국들이 분담

  • @user-nt4dc4bl3o
    @user-nt4dc4bl3o 2 місяці тому +18

    쓰레기 돈주고사서 돈주고 버린다

  • @user-bx2kp3np5e
    @user-bx2kp3np5e 2 місяці тому +5

    태무,완전길거리만물상이다.우리나라 다이소 애용이 바람직한것같다.

  • @user-vi1nz1xo9n
    @user-vi1nz1xo9n 2 місяці тому +173

    두세번 사봤는데
    쓰레기더라
    그냥 처박아 두고 있다
    이젠 다시 안삼

    • @onhands666
      @onhands666 2 місяці тому +1

      만원 이하 다이소 느낌으로 몇개만 골라요

    • @ZHAOGUANGZHUzhao-if2qm
      @ZHAOGUANGZHUzhao-if2qm 2 місяці тому

      안비싸니까 돈안깝지?😂

    • @ryuusungrune4285
      @ryuusungrune4285 2 місяці тому +7

      쿠팡,다이소에서 판매되는게 거기서 판매되는거임.... -_-;;;;

    • @user-si8lr2is4k
      @user-si8lr2is4k 2 місяці тому +4

      한번도 안산사람은 있어도 한번만 산사람은 없다 중독성있다 욕하면서도 산다

    • @xerossxify
      @xerossxify 2 місяці тому +6

      한번 사보고 다시는 안사기로 했어요^^

  • @user-kt5ex8kb4e
    @user-kt5ex8kb4e 2 місяці тому +73

    쓰레기를 사서 쓰느라 수고들이 많지. 이차전지 들어가는 제품은 절대 사양. 불날까 두려워.

    • @houb_-pc9ox
      @houb_-pc9ox 2 місяці тому +1

      근데 흉기쓰레기는 왜 잘 팔리냐

    • @user-ft4zh7np9z
      @user-ft4zh7np9z 2 місяці тому

      배터리는 byd가 만들면 안전한데 이제 어디서 온지도 모르는 배터리 들어 있는게 문젠데 알리제품이 byd를 썼을리가

  • @user-mj4fx6yh3s
    @user-mj4fx6yh3s 2 місяці тому +41

    정말 악질유통업체다 이런업체에 구매할때 내신상정보를 제공하면 그정보를팔아서 이익을챙기고 저런악질이 내정보를 악용하려고들면 그야말로 악질사채업자보다 더무서운 함정인거같다 그래서 보이스피싱도 점점 늘어나고있는거아닌지?

  • @jeichina76
    @jeichina76 2 місяці тому +5

    파는 물품들이 저작권 문제, 질이 떨어진다 등이 문제가 아니라..
    시장을 지배하는게 문제인거죠
    쿠팡도 처음에 고전 하다가 지금은 시장 1위, 갑질 문제도 있는데도..
    알리에도 국내 업체들 벌써 들어가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 @daehonoh4795
    @daehonoh4795 2 місяці тому +7

    중국업체라 가입할 때 개인정보유출 이런게 찝찝해서 안쓰는데 괜찮나요? 보이스피싱노출 이런거 괜찮을까요?

    • @user-li8ip8te5h
      @user-li8ip8te5h 2 місяці тому

      태무는 쇼핑몰 등록지가 미국입니다. 중국 아니예요

  • @stlee911
    @stlee911 2 місяці тому +113

    테무의 전신인 핀더더 앱의 해킹건은
    일체 얘기를 안하시네요
    핀더더앱에 해킹 소스가 포함되어 있어서
    제재 받고 홍콩으로 회사 옮기고
    테무로 세탁 한겁니다
    그런걸 얘기 안하시니 중국몽이라고
    얘길 하는거죠

    • @user-vu1pu3yf7j
      @user-vu1pu3yf7j 2 місяці тому +3

      핀둬둬는테무 모회사다 공부를해라

    • @icyvo3593
      @icyvo3593 2 місяці тому +6

      그냥 저 기자의 자료분석이 부족하다면 이해가 되는데 중국몽… 이면 중국몽을 하는 이유가… 대체 뭐라고 보는 거임?

    • @user-gb6wd8qi6c
      @user-gb6wd8qi6c 2 місяці тому +3

      ㅋㅋ 왜캐 화났냐 그냥 말해라 의견을 감정 많이담지말고

    • @stlee911
      @stlee911 2 місяці тому +10

      @@user-vu1pu3yf7j 그 얘기가 그얘기잖음
      판더더 앱의 해킹툴이 미국에서 발견되서
      제재받고 홍콩에 회사 등록하고
      테무를 만든거라고

    • @TV-cc2pl
      @TV-cc2pl 2 місяці тому +3

      고마워요 이런소식알려줘서

  • @nature1901
    @nature1901 2 місяці тому +10

    일본이 가난해 지면서 다이소와 경차가 대세가 됐듯이 중국이 맛이 가면서 테무 같은 초초 저가 사이트 등장 ~~~
    근데 궁금한게 테무등 이런 전자상거래 기업은 살아 남겠지만 중국내 초저가 제품을 경쟁적으로 만들어 마진이 형편없어진 제조업들이 과연 얼마나 지속적으로 살아남을지 ~~ 과연 지속성이 있을지??? 중국도 임금이 오를텐데 과연 버틸수 있을지~~~ 유통마진을 없앴다고 하지만 ??? 과연 ???? 만약 초저가에서 저가로 금액이 오르기 시작하면 배송 기간이 긴 제품을 굳이 사람들이 계속 살지 ??? 초저가 정책을 계속 유지 할 수 있는가가 핵심~~~ 초저가를 유지 하지 못하면 최소 7일 걸리면 가격차이가 크게 차이 나지 않으면 시들해 지지 않을런지???

    • @user-jg7oj2uu2k
      @user-jg7oj2uu2k Місяць тому +1

      중국은 공급과잉시대라 어쨌든 원가정도에만 해외로 판매할수있다는것만 해도 이득이죠

  • @hh2kang754
    @hh2kang754 8 днів тому +2

    태무 알리 두 개 다 쓰고 있는데
    한 번 빠지면 멈출 수 없습니다
    쓰레기가 걸려서 버린다 해도 싸요

  • @promax2638
    @promax2638 Місяць тому +3

    두 세번 세트로 시키니까 더이상 살만한게없고 30%~40% 는 실패임 사진에 속고 후기에 속고 반품도 힘듬

  • @user-mp8vt5vv1p
    @user-mp8vt5vv1p 2 місяці тому +5

    모자 벨트 전동칫솔 전기면도기 블루투스 이어폰 바지 슬링백 c타입 이어폰 지갑 팬티까지 알리에서 샀는데 33000원 정도 들었네요 다 만족한건 아니지만 그냥저냥 쓸만했어요 근데 다시 살 생각은 없네요 살게 별로 없음

  • @sky-ib5lw
    @sky-ib5lw 2 місяці тому +5

    태무..노노노
    판매제품 이 완전 쓰레기제품..한번 사본사람은 절대
    안사...

  • @user-bq3gs8bp3u
    @user-bq3gs8bp3u 2 місяці тому +7

    중국제품 사입을 어떻게 하는지 소비자들은 잘 모르니깐 속을수밖에 없는데
    사입과정에서 똑같은 디자인 똑같은 색 제품 샘플이 5개정도 있고 가격이 다 틀려요
    고퀄리티가 제일 비싼거라면 한국업자들은 제일비싼걸 사입하니 판매가격이 비쌀수밖에없는데
    알리에서 싸게 파는건 저급이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지금 심리스브라 가 잘팔리는데
    3만원대 한국에서 파는 중국생산제품과 알리에서 파는 5천원짜리 제품이 색상과 디자인이 똑같은데 착용감부터 무게감 원단질 등등 달라요.
    처음부터 알리제품으로 접한사람은 한국에서 파는 제품도 똑같이 저급이라고 생각하겠죠
    두제품 모두 사본사람만 차이를 알아요.
    어차피 알리가 장악을 하고 갑질을 시작하면 다시 내수시장이 활성화될거라 생각해서 크게 걱정은 안합니다만.
    한국 판매자들이 알리에 본인들 제품이 있다면 몇개 구입해서 비교 분석 사진을 올려서 차이점을 설명해주는게 본인 사업을 위해서도 좋을것 같습니다.

  • @user-ed3qg9qu3n
    @user-ed3qg9qu3n Місяць тому +3

    테무를이용말길 바랍니다.샤드보복을잊었나요

  • @user-tq9uk5so9v
    @user-tq9uk5so9v 2 місяці тому +15

    노동력 착취도 있겠죠 저렴한 인건비

    • @userganada
      @userganada 2 місяці тому +1

      중국은 인민의 나라라 착취하면 감옥감 ~
      한국은 국민 국가의 나라고 ㅋㅋ
      그국가는 미국이 군대장악했고

    • @Vega2525
      @Vega2525 22 дні тому

      ​@@userganada 선족이 엉뚱소리 하고있네

  • @user-uu1gf9jg1d
    @user-uu1gf9jg1d 2 місяці тому +2

    플라스틱 제품
    환경호르몬 최악의
    플라스틱으로 만듭니다.

  • @noulee5293
    @noulee5293 2 місяці тому +32

    싼게 비지떡~ 개인정보 빼가기~
    보이스피싱에 이용당할수도 있음을 항상 주의해야~
    우리나라 마케팅 다 말아먹고 결국엔 가격 올릴것~
    중국에 속국 다됐네~
    왜 이런걸 제제하지 않는지~
    이미 다 한통속인가?

  • @user-jp1yi9gr7r
    @user-jp1yi9gr7r 2 місяці тому +54

    우리 중소기업이 망한다.

    • @Dioxine666
      @Dioxine666 2 місяці тому +1

      우리 중소기업은 망해도 된다.

    • @user-wj5bc3jb5j
      @user-wj5bc3jb5j 2 місяці тому +1

      경쟁에서 밀리면 사라져야 되는게 맞지
      근데 그 경쟁이 공정한가도 따져봐야지
      중국에서 100원, 1000원에 파는 제품을 우리나라에서는 도저히 단가를 맞출수가 없다면??
      그리고 시장 독점하려고 우선 최저가 경쟁해서 우리나라 기업을 다 망하면 그다음에는??
      조금 싸게만 살수만 있다면 나라도 팔아먹을 인간들 ㅉㅉ

    • @user-ib4zb4uq2x
      @user-ib4zb4uq2x 2 місяці тому +1

      소상공인 죽는다는거랑 똑같은거지....못살아남으면 가야되...답없어...이상한 법 또 만들었다가 세금만 퍼붓는거야

  • @genosyde78
    @genosyde78 2 місяці тому +9

    그냥 쓰레기 돈주고 사는 거임.

    • @user-si8lr2is4k
      @user-si8lr2is4k 2 місяці тому

      그건 니생각이고

    • @Username34857
      @Username34857 2 місяці тому

      그거 편견입니다. 이미 핀둬줘로 10년정도 중국에서 운영하면서 시행착오거치면서 지금은 기존의 알리바바나 타오바오,징둥을 위협합니다. 너무 싼걸 사지말고 적당한걸 사세요. 여기도 싼게비지떡은 맞아요. 여기 창립자는 황졍이라고 미국유학후 구글에서 경력쌓고 창업했어요. 좀 회사배경을 알고 사용하는것도 좋을듯합니다. 1980년생 이제 45인 자수성가 했죠

  • @user-pf9ns9gp4h
    @user-pf9ns9gp4h 2 місяці тому +21

    쓰레기 구입하고 정보 털리고 ... 뭐 어쩌다 하나 쓸만한거 뽑는 뽑기 같은 개념이랄까 ? 그게 즐거워서 사는거라면야 뭐

  • @user-yz3rp8qn7n
    @user-yz3rp8qn7n 2 місяці тому +2

    중국에 내 개인정보를 줄 수 없다! 국내 쇼핑몰 다 말려죽이고 나면 그 다음엔?

  • @user-yejiri
    @user-yejiri 2 місяці тому +2

    절대 사지 마세요 정말 딱 그 값어치 입니다

  • @user-jd2hu8zz2z
    @user-jd2hu8zz2z 2 місяці тому +9

    핀뚜어뚜어가 원래 짝퉁 산짜이나 공구하던 앱인데 미국이나 우리나라에서 난리가 난 이유를 잘 모르겠음;;

  • @user-mj6ph6dx9s
    @user-mj6ph6dx9s 2 місяці тому +16

    품질후진정도가 아니라 아예 작동이 않됨ㆍ 완전 사기판매품 반이다 ㆍ한쪽에 다 쳐박아놓고 쓰지못해 ㆍ

  • @Meun1987
    @Meun1987 2 місяці тому +21

    쿠팡도 만만치않게 직원들에게는 혹독하다고 힘

    • @user-vc5ji5ho1y
      @user-vc5ji5ho1y 2 місяці тому

      알리와 테무 혹시 중국ㅣ❤ㅣㅣㅐ

  • @simontempler5094
    @simontempler5094 2 місяці тому +3

    테무 상품은 알리보다
    두배이상 비싼 것도 흔합니다.
    알리나 테무는 상품 설명과 상품 실제가 다른 건 일상이구요...
    알리는 배송비 별도인 경우가 많으니 매 상품마다 확인 필요합니다.

  • @JS-tu3lu
    @JS-tu3lu 2 місяці тому +14

    100원 말이 되나? 덤핑규제하자.
    그리고 일단 규모의 경제로 선점하고 대량 데이터 구축하고 과점 혹은 독점 형태로 또아리 틀 수 있다.
    기자라면 구색에 맞게 처신하라. 다 알고 있는 사실을 큰 발견한 듯 방정맞게

  • @water00550
    @water00550 2 місяці тому +2

    저도 수십번 구매결과 쓸만한게 없다는 것

  • @user-xf6ou8up5x
    @user-xf6ou8up5x 2 місяці тому +23

    토나오는 갑질기업 테무.

  • @user-tq9uk5so9v
    @user-tq9uk5so9v 2 місяці тому +7

    악질기업입니다

  • @user-fh3nm6mj7q
    @user-fh3nm6mj7q 2 місяці тому +9

    후기읽어보구 사라

  • @bluesky4829
    @bluesky4829 2 місяці тому +2

    테무 시스템자체가 그렇게 돌아가니 업체들은 조금이라도 손해보지않기위해 더 저질상품을 만들어 팔게되고 소비자는 쓰레기같은 물건을 사게되고 ...
    소비자는 그냥 쓰레기통에 넣지말고 신고하면 원금 회수가능 하니 그냥 손해보고 쓰레기통에넣지 마세요

  • @user-vp1uu7ye5p
    @user-vp1uu7ye5p 2 місяці тому +3

    태무가 적자 나면서 판매하는 이유는 나의 정보가 태무에 고스란히 넘어가 있잖아~~

  • @user-bt1jy6di5h
    @user-bt1jy6di5h 2 місяці тому +2

    태무는중국기업이다우리정보 2:42 다털린다그리고틱톡도개인정보다빼간다

  • @tkh2126
    @tkh2126 3 дні тому +1

    알리익스프레스를 오래전부터 이용해왔었는데 저는 나쁘지 않았어요.

  • @kimbonya
    @kimbonya 2 місяці тому +10

    제목 보고 클릭했는데 "중국이 망해서 테무가 행복"한 부분은 어디 있나요? 10초 단위 띄엄띄엄 봐서 그런가 아니면 나 또 낚인건가?

    • @vanillaflavur7126
      @vanillaflavur7126 2 місяці тому +2

      저도 낚임 ㅋㅋ ㅋ

    • @user-th4gg3nx7y
      @user-th4gg3nx7y 2 місяці тому

      테무가 생산,판매자에게 갑질을하고 판매가를 지속적으로 공개입찰을 시키면서 쮜어짜도 중국경제가 나락가서 도망도 못가고 울며겨자먹기로 계속 간다는 의미.이미 중국경제가 망하고 공급과잉이니 니들은 어디못가니 차라리 최저가로 막리다매로 조질수 있다는 의미임.

    • @goodtimes6230ue
      @goodtimes6230ue 2 місяці тому +1

      "오환외" 베이징의 가장 바깥쪽 제5순환도로 원 밖에 사는 빈곤층을 이르는 말이 오환외 인데 그 사람들을 겨냥해 창업한것이라고 하고 있네요 중국이 망해서 중산층 이하가 많아질수록 테무는 행복해질거라는 말인것 같습니다

    • @user-bl3vv6ne6d
      @user-bl3vv6ne6d Місяць тому +1

      30:50 중국의 경기가 꺾이면서 중국 내 수요가 줄어드니 공급자들은 테무한테 쥐어짜여도 테무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인 것 같네요

  • @Shoner_Walk
    @Shoner_Walk 2 місяці тому +14

    테무에 개인정보 넣어서 가입하고 이벤트로 세일하는거 몇개 구매한 이후 해외서 날아오는 스팸 문자가 급 늘었네요 ㄷ ㄷ우연인가요?

    • @user-nw9qf7ru7n
      @user-nw9qf7ru7n 2 місяці тому +1

      구글 유튜버외에 아무것도 가입안해도 로또 대출에서 전화오던데요.😅

    • @user-ii2wm4oo5b
      @user-ii2wm4oo5b 27 днів тому

      중국상품쇼핑몰구이하는순간
      개인정보
      털렸읍니다!

  • @user-bx2kp3np5e
    @user-bx2kp3np5e 2 місяці тому +2

    저도,작년에당근3k 5천원주고구매했는데, 몇개먹다가찝찝해서버렸다.국산품애용하는게 바람직한것같다.제주도당근 재고쌓여있다.

  • @alphacentauri6761
    @alphacentauri6761 2 місяці тому +16

    회원가입하는 순간 내정보를 다른 기업에 판다고?

    • @iliilliiiliil8385
      @iliilliiiliil8385 2 місяці тому +1

      너따위정보 가치 0

    • @Sylvia-cb4bd
      @Sylvia-cb4bd 2 місяці тому

      그쪽 정보 팔아도 누가 사 ㅋㅋㅋㅋ

    • @krautsauer8867
      @krautsauer8867 2 місяці тому

      ㅋㅋㅋ 님 국내 은행어플만 깔아도 이미 정보 팔아먹는거 다 동의하고 까는겁니다. 중국만 문제가 아니리 요즘 기업들 다 그 ㅈㄹ들 해요

    • @user-eh9px6qv2f
      @user-eh9px6qv2f 2 місяці тому

      한국인들 제일 웃기는게 개인정보 어쩌고 저쩌고 ㅋㅋㅋ 니따위 정보로 머가 그리 대단함? ㅎㅎㅎ

  • @raim828
    @raim828 Місяць тому +1

    가난한 사람을 더 가난하게 만드는 소비
    정말 필요한 걸 사야지

  • @JWKim-sw7ce
    @JWKim-sw7ce 2 місяці тому +3

    애국심,국뽕으로 먹고사는 자국민 피빨아 먹고 사는 독점 기업들은 전부 도태되어야 합니다. 오직 기술과 경쟁력으로 세계기업과 경쟁해야 세계적인 기업들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 @nalchilee
    @nalchilee Місяць тому +2

    중국산조심! 테무 물품 발암성분 기사났던데... 옷에 단추에도 성분발견됨.
    싼것, 공짜 너무 좋아하지마세요.

  • @ryuusungrune4285
    @ryuusungrune4285 2 місяці тому +4

    테무는 저가상품을 살때는 갓성비, 고가장비는 폭탄.

  • @user-oy3uh9yn5e
    @user-oy3uh9yn5e 2 місяці тому +3

    알리 사봤는데 반은 다버렸어요
    완전 쓰레기물건입니다

  • @user-wx5uz2ul1v
    @user-wx5uz2ul1v 2 місяці тому +3

    싸면서 좋은 물건은 거의 없다

  • @du87435
    @du87435 Місяць тому +1

    싸다고 중국산 사용하다가 서서히 발암 물질 중독됩니다, 중국에서는 유해물질 사용금지 규정이 사실상 앖습니다

  • @water00550
    @water00550 2 місяці тому +2

    개당 5.5원 남아도 많은 인구에 박리다매가 가능한 나라다보니 경영이 되는거죠.

  • @poetip4541
    @poetip4541 2 місяці тому +24

    국가분류안 원칙에 따라 총 4개 그룹으로 나뉘며 미국, 일본, 영국 등 선진국 28개국은 그룹1로 분류되고 이들 국가의 우편체계는 목표시스템(Target system)으로 정의되며 해당 국가간의 비용정산은 실제 소요비용의 약 65%를 상호 보상하고 있습니다. 나머지 국가들은 발전 정도에 따라 그룹2(순 기부국), 그룹3(중간소득국, 개도국), 그룹4(저소득국, 최빈국)중 하나에 속하게 됩니다. 이들 그룹 국가의 우편시스템은 과도시스템(Transition system)으로 불리며 해당 국가간에는 단일 요율을 적용합니다. 현재 중국은 그룹3, 한국은 그룹2에 속해 있습니다. 결국 이러한 현재 체계내에서는 중국과 같은 과도시스템국가로부터 들어오는(인바우드) 우편물량이 많은 선진국들이 손해를 보는 구조입니다.
    한국과 중국은 과도시스템 국가로 단일 요율의 배달국 취급비를 상호부과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한가지 문제점이 있는데
    한국의 서비스품질기금(Quality of Service FundㆍQSF) 재정부담율이 중국보다 커서 우체국 시스템을 통한 중국과의 교역량이 증가할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입니다. 서비스품질기금은 개도국의 우편인프라 확충을 목적으로 1999년 북경총회에서 승인된 기금입니다. 개도국으로 통상우편물을 발송할 때 배달국 취급비의 일정 비율만큼 별도 가산금을 조성하여 부담하고 개도국은 자국 계정의 적립금 범위 내에서 이를 통상우편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어이없게도 대한민국은 세계 2위 무역규모인 중국 우편배송품질 향상을 위한 비용을 일정부분 부담하고 있는 것 입니다.중국으로부터 우체국을 통해 수입되는 상품들의 배송에 한국 우체국이 보조금을 주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라 할 수 있습니다..
    출처: knowledgepark
    한마디로 알리나 테무에서 100원짜리 천원짜리 물건이 무료배송인줄알고 싼맛에 주문햇던게 무료가 아니다
    한국은 그룹2 국가라 중국에서 우체국으로 물건을 보내면 만국우편연합 때문에 한국에서 배송비를 지불한다
    그룹3국가인 중국에 속한 알리나 테무는 1,2그룹국가의 국민들 세금으로 꿀빨면서 사업하고 있다
    이 비용으로 인한 한국 우정사업본부의 누적적자가 22~25년까지 3년간 5천억원으로 예상된다

    • @user-nw9qf7ru7n
      @user-nw9qf7ru7n 2 місяці тому +1

      우체국으로 통해 배달오나요?
      초기에 왜 적자를 왜 보는지나 알고 ㅇ얘기하나요

  • @user-pw3hp8tv6r
    @user-pw3hp8tv6r 2 місяці тому +1

    많은 영감을 반습니다
    국가시스템도 이런식으로
    유류세 10%면 내수가 바로 활성화

  • @user-xf6ou8up5x
    @user-xf6ou8up5x 2 місяці тому +8

    싼마이 정신의 혁신인가? 심지어 해외무료배송....

  • @user-ng3qf2be3j
    @user-ng3qf2be3j 2 місяці тому +4

    핀둬둬는 원래 공동구매 컨셉입니다..초기에 워낙 저가로 판매하다보니 중국에서 제조업을 하는 저희도 이 가격이 나올까 하는 의구심에 많이 사봤는데, 거의 전부 다 쓰레기,과장광고...쿠팡,네이버,다이소등을 이용하세요.,,,여기는 똑같은 중국 제품을 소싱해서 팔아도 일단 판매자가 품질보증하고 걸러진 제품 판매하기에...중국에 사는 저도 왠만한 제품은 징둥닷컴에서 삽니다.테무,셰인등은 전세계를 상대로 도박하는 느낌이...중국만의 13억명 시장이 아니라 70억명 시장으로 보고, 키우려는 듯,,,5천만명 시장으로 생각하는 한국에서는 도저히 이해 안갈듯...개인 의견은 1년정도 지나면 다시 검증된 품질을 파는 시장으로 회귀할듯. 한국에 개인 판매자분들 힘내세요.😊

    • @ByongjuneChoi
      @ByongjuneChoi 2 місяці тому

      녹음기 라디오 게임기 등등 좋던데, 그런 건 왜 좋죠?

  • @shimts1972-hp1od
    @shimts1972-hp1od Місяць тому +1

    테무에서 광고는 단순 유투브만 하는게 아닙니다. 정말 어마어마하게 광고해요. 요새는 좀 줄어들긴 했는데 게임하다 광고 나올때 보면 테무만 광고 나올때도 있었어요.
    게임광고뿐만이 아니더군요! 유투브 게임광고 뿐 아니라 실물광고도 꽤 하는 걸로 알고 있어요. 이정도면 정말 광고비만 엄청 날것 같네요!

  • @Galaxyinvestresearchlab
    @Galaxyinvestresearchlab 2 місяці тому +18

    노동자를 쥐어 짜는 기업 태무의 제품은 보이콧하는 것이 맞는 것으로 보인다~

    • @jjj-kv4do
      @jjj-kv4do 2 місяці тому

      그러면서 가격대비 하면서 다니지 ㅋㅋㅋ

  • @mimichun8668
    @mimichun8668 Місяць тому +1

    어려운 기업들이 살아 남기 위해 발버둥 치는 걸 이용해 먹는 악덕!!!
    결국 기업 여럿 죽이고, 지들만 살아 남겠지...
    현명한 소비자가 되길...

  • @dollbench987
    @dollbench987 2 місяці тому +3

    공산품은 하자도 많고 쓰레기 수준이고,옷도 몇번 사봤는데 사진은 멀쩡한 다른옷 올려놓고 실제 오는건 사이즈도 말도 안되게 작고 조잡하게 흉내내낸 옷이 와요 ㅋㅋㅋ이젠 안사요

  • @user-bm1zk4dl4c
    @user-bm1zk4dl4c 2 місяці тому +2

    최저가격 입찰제로 진행하므로 중국 1인 공장에서 만든 것들도 있고 해서 무슨 화학제품이 사용되었는지도 모름, 전기안전,건강 등등 고려하면 구매를 해야 하면 안될듯

  • @geumgwang6662
    @geumgwang6662 2 місяці тому +3

    알리 테무 안쓰는것이 좋을듯요 ㅎㅎㅎ
    한애란 기자님 겉다리 분석을요 😢😢😢😢
    나오지 않는 것이 😢

  • @lovelee657
    @lovelee657 2 місяці тому +2

    중국 타오바오(알리)의 동일상품의 가격 차이가 많이나는 것은 품질 차이입니다. 가격대로 품질이 다름니다. 타오바오에서 구매할 때는 적당한 가격대의 상품을 구매합니다.

  • @user-xt5cc2pr3b
    @user-xt5cc2pr3b 16 днів тому +1

    타국가 ㅡ 생산업 고사 전술 인데 이거 ㅡㅡㅡ 중국국가 전략 ㅡ 노골적 경제침략이라고 보여짐니다 ㅡ 테무 을 앞세워서 ㅡㅡㅡ

  • @user-op3vx7zd6c
    @user-op3vx7zd6c 2 місяці тому +1

    이것저것 다해보는군요
    역시 구관 명관임다.

  • @yhbollee7881
    @yhbollee7881 2 місяці тому +27

    테무 살게 있ㄴㅑ 쓰레기 밖에 없던데

    • @jiroma3916
      @jiroma3916 2 місяці тому +5

      님이 못 찾는 거 아닐까요? 제대로된 거 사는 것도 실력임

    • @sjwclover
      @sjwclover 2 місяці тому

      ​@@jiroma3916 근데 판매자가 저퀄이라도 유지 되는것이 실력이 아닌가 싶음

    • @halfricanism
      @halfricanism 2 місяці тому +1

      똑같은 제품을 쿠팡에서 만원 테무는 천원에 파는거임

    • @TrinSevenZ
      @TrinSevenZ 2 місяці тому

      개쓰레기 ㅋㅋ

    • @deltax9471
      @deltax9471 2 місяці тому +1

      별로면 안사면 될 일

  • @duriduba9739
    @duriduba9739 2 місяці тому +8

    미세먼지 때문에 요즘 다같이 죽어가고 있는데 저걸 사고싶나요 ㅠ

  • @user-ed3qg9qu3n
    @user-ed3qg9qu3n Місяць тому +1

    생각하는소비자가되길바랍니다

  • @dobedobedo94
    @dobedobedo94 2 місяці тому +4

    핀둬둬 중국현지에서 얼마나 팔리는진 모르겠고, 저두 한두번 사용해보곤 지워버렸는데, 요즘보니 집근처 지정장소(대체로 동네마트)까지 배송해주는 신선제품포함 장보기쇼핑으로 많이 사용해요~~ 비슷한 장보기 플랫폼 여럿 있는데 핀둬둬가 젤 싼것도 아니지만 사람들이 장보는건 쓰던곳 계속 쓰는 경향이 있는것 같더라구요. 야채과일은 신선도도 중요해서 무조건 싼게 좋은것도 아니고~~ 테무도 핀둬둬처럼 거품처럼 가라앉을 것 같은데….

    • @Username34857
      @Username34857 2 місяці тому

      중국에서 지금 성장속도가 제일 빠르고 타오바오나 징둥도 올해안에 추월 예상됨. 나스닥에서도 수익율 가장좋음

  • @user-in8yz3jz5m
    @user-in8yz3jz5m 2 місяці тому +2

    싼것같지만 중국에서는 정상가격이죠, 워낙 노동력이 싸니가요

  • @user-dd9ed6pz2w
    @user-dd9ed6pz2w 2 місяці тому +1

    중국 태무 알리 이대로 두면 위험합니다

  • @user-dv6iu9ic7y
    @user-dv6iu9ic7y 2 місяці тому +27

    싸다고 중국제품 사다보면 우리나라 제조업은 파산 할 수 있습니다.

    • @Juno_lee7443
      @Juno_lee7443 2 місяці тому +5

      가치가 낮아서 연장근무해도 연장수당안주는 신발공장이나 그런 허접공장들은 망해도 됩니다. 지금 제조업은 반도체, 전기차같은게 망하면 안되죠. 저런 저가치 공장은 망해도 뭐 ㅋㅋ

    • @anbayo1
      @anbayo1 2 місяці тому

      이미 졸라많이 망했어요

    • @anbayo1
      @anbayo1 2 місяці тому +4

      @@Juno_lee7443 그런공장도 망하면안좋습니다. 가치가 낮은게 아니고 중국이 말도안되는 인건비로 싸게 만드는거에요. 중국하고 인건비싸움에서 지는거.

    • @pop5770
      @pop5770 2 місяці тому

      어차피 택갈이라서 원래부터 중국에서 많이 들어왔습니다

    • @krautsauer8867
      @krautsauer8867 2 місяці тому +1

      쿠팡 네이버에서 파는 공산품들 죄다 중국산 택갈이에 마진 붙여 파는거임

  • @JohnnyRRR674
    @JohnnyRRR674 2 місяці тому +5

    테무가 성공할수밖에 없네

  • @user-ur8hr3td2j
    @user-ur8hr3td2j 2 місяці тому +3

    개인정보 보호된다고 엄청 강조 강조 강조 한다고 선전하는게 역으로 이게 뭐다? 개인등이 판단해야함 결제 ? 한번 진행하고 나면 다음은 무조건 진행됨

  • @hosukjun6725
    @hosukjun6725 2 місяці тому +1

    생산자, 판매자, 중개자, 소비자가 합심하여 사기, 협잡을 벌임으로써 경제의 판을 혁명하는 것이다.

  • @lwmanofman
    @lwmanofman 2 місяці тому +4

    인터넷쇼핑 바람은 우리는 1997년경입니다. 옥션이니, 지금은 이름도 기억나지 않는 많은 쇼핑몰이 있었죠. 우후죽순으로 생겼었죠. 중국이 그보다 빨랐다구요? 작은 의문....

    • @xiangyanglee8315
      @xiangyanglee8315 2 місяці тому

      중국이 인터넷이 대규모로 보급되기 시작한게 2001년이임.중국 인터넷쇼핑 그때부터 시작되였음.

  • @zoetrope76
    @zoetrope76 2 місяці тому +8

    무척이나 슬픈 드라마를 보는 것 같군요ㅠ

  • @jingzaiyu1185
    @jingzaiyu1185 2 місяці тому +2

    다른업체가 가격낮춰서 들어온다는건 이윤이 있다는거잔아요? 이윤이없으면 경쟁할이유가 없잔아요. 소비자입장에서는 좋은거아닌가요?

  • @user-gf4tj1kf1h
    @user-gf4tj1kf1h 15 днів тому

    줄자 한번 뺐는데
    안들어가서 버렸어여~~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