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결은 당연히 저거랑 많이 다르지 근데 공대 역량이랑 전통 봤을 때는 저게 얼추 맞음. 지금 아주인하부산경북 모두 입결 많이 내려갔지만 과거에는 전부 중앙대 이상의 입결을 보여줬음. 당장에 2010년대 후반까지만해도 입결 건동홍이랑 비슷하거나 오히려높았음. 대기업 동문 수, 임원 수 비교해보면 신기하게 저 순위가 맞음. 대기업 리쿠르팅 오는 것만 봐도 건동홍은 안 가도 아주인하부산경북은 가는 경우가 ㅈㄴ 많음. 그리고 건대, 경희대는 최근에서야 입결 오른거지 2010년 초반만 해도 꼴통소리 듣던 대학임. 특히 경희대는 2012년 전까진 분교라 지잡 입결이었음. 건대도 삼국대로 불리며 공부 못한단 소리 들었었고. 항공대도 과거엔 잘 나갔음. 결론적으로 입결 뿐만아니라 이공계 역량, 아웃풋, 전통을 모두 고려했을 때 저 순위가 얼추 맞음
@@Triple333-d2b 아웃풋이라는 게 입결로 결정되는 게 아님. 학교 커리큘럼 + 교수진 + 스펙으로 결정나는 거라 입결은 큰 관련이 없음. 막말로 부산대생을 숭실대생보다 많이 뽑다가 부산대가 숭실대보다 입결 낮아졌다는 이유만으로 기업에서 갑자기 부산대를 덜 뽑을까? 기업에서는 결국에 직무에서 필요한 인재를 뽑기 때문에 대학 입결이 내려가던 올라가던 ㅈ도 신경 안 씀. 걍 직무 연관성 높은 스펙 가지고 있는 애가 뽑힘.
98학번 79년생 아재인데요 요즘 차이는 모르겠지만 20세기에는 공대는 홍익대학교 보다는 인하대학교 가 좀더 알아줬습니다 그때 공대순위는 서울대 포항공대 연대 고대 한양대 중앙대 정도가 인하대학교 보다 많이 수준높은 학교였고...홍익대학교 는 인하대학교 보다 좀더 낮았습니다 제가 한양대 안산캠퍼스 건축공학과 떨어지고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붙고 라군에 홍익대학교 기계공학과 예비 100번대로 추가합격했는데 담임선생님의 조언으로 인하대학교 갔습니다 20세기에는 인하대학교 보다 한양대는 훨씬위 홍대는 조금 밑이었습니다 21세기에는 인하대학교 가 수준이 많이떨어졌나보네요 아쉽네요 회사 부장급이상분들급에서는 인하대학교 가 알아줬던수준입니다
나중에 회사 가봐라... 어디 출신 노비들이 많은지... 일단 의외로 돌던지면 걸리는게 한양대 인하대(과차부장급 이상, 너네 면접 1차 점수 주는 애들이다...) 저글링처럼 물량치기다. 의외로 경희대 건대 서강대 시립대 중대 출신 기술직 임원들 별로 없다. 왜냐고? 여긴 그사람들 졸업할 때까지 이공계보다는 인문계열이 더 우세한 학교였으니깐. 내말이 안믿기겠지? 그래 노예짓하러 막상 와봐야 실감나겠지 ㅎㅎ 월컴 투 노예 월드다 ㅋㅋ
@@이경민-k3k 당연히 자랑하려고 다니는 면도 있죠.학벌주의가 괜히 잇나요.혼자 다른세상 사시는듯. 하물며 결정사에서도 다 따집니다. 님말 대로면 사회에서 학벌을 왜 따져요?취업으로 판가름 이면 회사만 따져야지. 그리고 제말은 정말 들어가기 어려운 회사들이나 혹은 회사들어가고 승진시 이점을 말하는겁니다. 아니라면 정신나갔다고 연고대 생들도 실력되면 어떻게든 서울대 가려고 재수하는게 아니에요.요즘은 그나마 수시니 망정이지 정시시때대는 대학등급 올리려고 재수 엄청했고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엄연한 현실을 부정하고 싶으면 해보세요 저라고 마음에 드는게 아니거든요
유독 부산대를 두고 논란들이 많아 취업 현장의 분위기를 알려드립니다. 서울에서 엔지리어링 회사를 운영하는 기업인 입장에서 신입 사원 채용 경험으로는 인서울 중위권보다는 부산대 출신자가 업무 능력이나 문제 해결의 적극성 등이 뛰어나 주변 동업종 CEO들도 선호도가 매우 높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입결은 참고 사항은 되겠지만 과거처럼 절대적인 결정지수는 아닙니다. 그렇게 놓고 보면 부산대는 인풋 대비 아웃풋이 엄청나다는 걸 여러 댓글들을 보고 새삼 알게 됐습니다. 입시생, 취준생 여러분께 참고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올리는 글입니다.
아무리 서울대라도 간판만큼 덧없는 게 없지. 애초에 간판을 보는 거 자체가 객관성이 결여된 비공식적 평가일뿐더러, 타인에게 간판을 토대로 나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을 맡기는 게 얼마나 리스크가 큰 행위인지 알 수 있기 때문이지. 더군다나 예전처럼 공정하게 정시로만 줄 세우는 시절도 아니라 간판이 더이상 개개인의 지능과 성실성을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도 없지. 이러니 요즘에는 특정 학과 선택을 통한 라이센스 보장이 대학 진학 과정에서의 유일무이한 판단 요소가 된거야.
@@sincere2wb 몇학번이신진 모르겠지만 말씀하신 거 보고 2000년 입결 보니까 경희대 국제캠퍼스 공대 입결이 동일과 기준으로 인하대보다 전체적으로 높아요. 경희대 공대가 최근에 이미지 개선이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특별히 대단한 입결 상승이 있었다고 보긴 힘들어 보입니다.
연고에서 반수해서 포스텍 오는 친구들 얘기 들어보면 포스텍에 비하면 그냥 퍼 노는 수준이라고 했음. 나는 포스텍 컴공인데 여기만큼 학생 1인당 지원이 많고 공부 열심히 하는 학교도 없음. 대학원 티어로 따지면 당연히 서카포가 압살이고 학부로 따져도 우리가 소수라서 여론이 밀릴뿐이지 절대 연고에 뒤쳐지는 수준은 아님. 나도 과고 현역때 연컴 일말의 고민도 없이 버리고 여기 왔음. 대기업 다니시는분하고 포닥분들 얘기듣고 결정한거임
ㅋㅋㅋ여기 직장인들 글쓴거 맞나 학벌이 얼마나 큰 무형자산인데 인사평정에서 학벌도 굉장이 큰 요소로 작용하는데~ 자기 능력으로 평가받을거니 큰 의미가 없다고 말하는 것 같은데 비슷한 능력이면 학벌좋은사람 우대하는건 변하지 않는 사실임 그리고 기회도 훨씬 많이오는게 사실인데다 일하는 능력도 학벌좋은 사람들이 대게 뛰어난것도 이미 인사담당자들은 알고 있음.
공대는 2학년때부터 시작. 3학년이 인생의 갈림길임
"공대만" 따지면 아주 틀린건 아닌듯 입결은 저거하고는 괴리감이 크긴한데, 사회나가면 실제로 기업이나 연구소에 진출해있는 선배들 숫자는 딱 요거 순위하고 얼추 들어맞는듯
그냥 입결 반영을 완전 낮춰서 한거라고 생각해보면 틀린거 없음 ㅇㅇ
영상에서는 사회적 평판,입시결과,학교 규모 및 시설,입결을 고려했다고 하는데 사회적 평판을 제외하고는 선배들 나가있는 거랑은 좀 거리가 있지 않나요?
아주 틀렸지 지거국 부산 경북 입결이 단국 광운 아래인데
@@mike-fb2mf 공대로 보면 부산이 단국 광운 씹어먹는데요? 아 물론 간판 공대 ㅋㅋㅋ
@@잉잉-c5j 뭘 씹어먹긴 씹어먹어 부산 기계공학만 광운이랑 비비기라도 하지 나머지는 그냥 지방대 그자체인데
흔히 아는 대학서열은 문과기준일 뿐
ㅋㅋㅋ 냥대생인가
라고하기엔 말이 안되는데ㅋㅋㅋ
제가 볼때는 다른 요소는 배제하고 단순 입결만 따진게 맞는거 같습니다만
아대 공대생들은 뭔가 그 진짜 열정이 강함
ㅋㅋㅋㅋㅋㅋㅋㅋ 지잡들이 뭔 ㅋㅋ
@@kgy8088 뭔 자격지심? ㅋㅋㅋㅋ
@@kgy8088아주공대가 지잡은 아니지.. 옛날부터 인하대랑 공대로 유명했는데
@@kgy8088아주공대 갈수는 있냐 버러지야 ㅋㅋ
인하 부산 경북등 학교 밀리기시작한게
한5~6년전인가?
10년만 더 있음 대기업 선배들 다 빠지고..
뭔 자부심 가질래?
선배들 따지지말고
본인들 열심히하세요
이 딴 학벌 다 필요없다...
이 순위는 고3에게 의미가 있지. 나중에 돌아보면 큰 의미는 없어. 너무 이런 서열에 목메지 마라.
이런 말 하는 사람 특) 지잡대임
@@ijlijl1ijl1i 너 특) 대학생임
@@ijlijl1ijl1i 지잡대여도 살아보니 상관 없다는걸 느꼈기에 말 할 수 있는거지
고학벌이면 '지는 고학벌이면서 ㅋ' 이러고
저학벌이면 '공부 ㅈ도 안한 놈이 말은 쉽게하네 ㅋ'
무슨 무적의 논리임? 그냥 지 생각이 맞다고 빽빽거리는걸로 보이는데 솔직히
@@ijlijl1ijl1i국내 대학 서열 정해서 경쟁하는 건 도토리 키재기 입니다. 해외인재들과 경쟁해야죠.
맞긴함😂😂 작은땅덩어리에 순위매기는거 즐기는 나라 ㅋㅋㅋ
아이고 의미없다. 처음 입사후 10년 정도면 대부분 이직하거나 자영업하고 그때부터 직장인 자영업 분리되어 각자도생하다 시간지나면 동네 전망대 등산학과 재입학하여 다들 동기가되고
거기 졸업한후 북망산으로 수학여행간다.
슬프지만 이게 정답임.
순위 나누는건 종특인듯
그런 식이면 왜 사냐
공부 못하고 안좋은 대학 나온애들 특, 아이고 대학 아무 의미 없다. ㅋㅋ
@@AM_0830 그래 넌 어느 대학 나왔누?
제조업 대기업가면 부산대 경북대 출신이 진짜 어마무시하게 많은거 느낄거다 ㅎㅎㅎ
그건 20년전 등록금 낼돈 없어서 인서울 실력으로 부산 경북대 간 사람들이 졸업해서 들어간거고
지금은 정원미달로 들어간 사람들이 대기업 갈수 있을까?
제조업 대기업 가면 부산대 경북대 출신은 현재의 입결하고 관계없이 여전히 많습니다.
다만 대기업의 창원 구미 울산 등 지방공장의 영향도 큽니다. 서울 소재 상위권 대학 출신들이 지방으로 내려오기를 꺼려합니다.
@@mike-fb2mf먼 정원미달타령 ㅋㅋㅋㅋㅋ
곧 정년퇴직할거라는것도 알게됨
나 4대 기업중에 하나 다니는대 아직 그 2학교 출신들 많이 입사하고 산학도 엄청많이함
대기업 재직중인 사람으로써 저순위는 아무 의미가 없다. 서울대 공대 나와도 회사들어오면 똑같은 월급받으며 산다. 학벌빨 받으면서 살고싶으면 공대를 가면 안된다.
마찬가지로 대기업 다니는 공대인 입장으로 말하면 아무 의미 없진 않음. 서울대 출신이 말하는 말 한마디의 힘이 다름. 실제로 인사과에서도 특별 관리 대상으로 고과 따로 관리함. 신입때나 똑같아 보이지 왜 사장 부사장 전무들은 다 서울대생인지를 알게됨
맡는말
@@최현준-j7i맞는 말 ㅋㅋㅋ 아재요
임원 진급 시 출신학교 영향있음
조용 ㅋㅋㅋ@@배준현-b1l
에휴 이젠 저런거 다 필요없어.. 어느정도 레벨 대학만 되면 다 자기하기 나름이고 예전 내가 입사할때 와 같은 파벌은 지금 없어졌어요 각자 먹고 살기도 힘듬
서울대면 좀다른가요?
서로 밀어주긴 하는듯요
이름값이 크긴혀..@@ilban-in
필요없진 않음
이런말 하는 애들 특 : 개잡대 or 고졸임
건국대 훌리들 난리 나겠네 ㅋㅋㅋ
경희공 시발ㅋㅋ
건대생 아닌데 건대 자연계 입결 ㅈㄴ 올라온거 맞긴 함. 동홍이랑 결이다름
서울집중화 버블,거품빨로
서울권 대학들이 비싼 값을 받아도 근본이 후달리지,애초 근본 있는 스카이 정도
빼곤 서울권 대학들 모래성일뿐임
근데 건대가 동국대 홍익대 아웃풋으로 이긴 적 단 한 번도 없잖아 ㅋㅋㅋ
@@user-cn3vn1sb3p 건동홍 중에 건이 아웃풋 젤 좋은데 뭔소리??
이게 맞음 입결 상으론 틀린긴 한데 아웃풋 즉 기업에서 ㅅ생각하는 공대 순위는 이게 맞을 듯 ㅇㅇ
ㅇㅇ 아님 공식 통계에서도 저렇게 안나옴
@@ender-u7n ㄴㄴ 맞음 대기업에선 저리 생각함 ㅋㅋㅋㅋ
@@쥐퐁티긁 ㅌㅋㅋㅋㅋㅋ 니가 말하는 기업에서 생각하는게 반영된 각종 대학평가 지표에서 우선 부산 경북?얘넨 보이지도 않음 근데 다 떠나서 걍 공부도 못하고 집도 좀 가난한 애들이 가는 이미지인건 팩트잖아 ㅋㅋㅋ
@@ender-u7n 보이지 않다고? ㅋㅋㅋㅋ 대기업에 깔려있는게 경북 부산인데 개소리를 잘 도 적었노 ㅋㅋㅋㅋ
@@쥐퐁티긁 ㅇㅇ 아님 ㅋㅋㅋㅋ그래 말잘했다 그 기업들이 낸 대학 선호도 평가 등 종합지표 어디에도 우선 부산경북? 얘넨 찾을 수도 없음
입결을 배제한 인식측면에선 어느정도 인정은함..
시립대 아웃풋이 저렇게 높을 수가 없음. 학생수가 적어서
시립대와 인하대가 바뀐듯
시립대 아웃풋졸라높다 중대급인데 사람수작아도 개개인이 수준이 졸라높음
시립대잘가는구만 기술고시도 꽤많고 부산경북이 오히려 잘못측정된거지
그럼 왜 카이스트나 기술대학들은 높음? 인원이 시립대보다도 적은데
@@nikkei5410 거기가 종합대학이냐 무식아
입결은 당연히 저거랑 많이 다르지 근데 공대 역량이랑 전통 봤을 때는 저게 얼추 맞음. 지금 아주인하부산경북 모두 입결 많이 내려갔지만 과거에는 전부 중앙대 이상의 입결을 보여줬음. 당장에 2010년대 후반까지만해도 입결 건동홍이랑 비슷하거나 오히려높았음. 대기업 동문 수, 임원 수 비교해보면 신기하게 저 순위가 맞음. 대기업 리쿠르팅 오는 것만 봐도 건동홍은 안 가도 아주인하부산경북은 가는 경우가 ㅈㄴ 많음. 그리고 건대, 경희대는 최근에서야 입결 오른거지 2010년 초반만 해도 꼴통소리 듣던 대학임. 특히 경희대는 2012년 전까진 분교라 지잡 입결이었음. 건대도 삼국대로 불리며 공부 못한단 소리 들었었고. 항공대도 과거엔 잘 나갔음. 결론적으로 입결 뿐만아니라 이공계 역량, 아웃풋, 전통을 모두 고려했을 때 저 순위가 얼추 맞음
그건아님
@@user-o8jf68ut6g3g 그건 니가 입결무새라 그럼. 당장 4,5년 전 입결표만 봐도 지금 니가 아는 대학 서열이랑 많이 다르다
@@user-fj1bb8dj8n한번도 지거국이 중경외시보다 높았던 적은 없음ㅋㅋ
지금 삼전이나 하이닉스 이런 곳에서 발표하는 임원들 출신들 나이를 생각해보면 경북, 부산 아주 인하 이런 곳은 다 옛날에 입결이 좋았던 거지 이 사람들이 다 은퇴하고 지금 학생들이 임원 달 나이가 되면 인서울 학교들로 다 대체됨.
@@Triple333-d2b 아웃풋이라는 게 입결로 결정되는 게 아님. 학교 커리큘럼 + 교수진 + 스펙으로 결정나는 거라 입결은 큰 관련이 없음. 막말로 부산대생을 숭실대생보다 많이 뽑다가 부산대가 숭실대보다 입결 낮아졌다는 이유만으로 기업에서 갑자기 부산대를 덜 뽑을까? 기업에서는 결국에 직무에서 필요한 인재를 뽑기 때문에 대학 입결이 내려가던 올라가던 ㅈ도 신경 안 씀. 걍 직무 연관성 높은 스펙 가지고 있는 애가 뽑힘.
98학번 79년생 아재인데요 요즘 차이는 모르겠지만 20세기에는 공대는 홍익대학교 보다는 인하대학교 가 좀더 알아줬습니다 그때 공대순위는 서울대 포항공대 연대 고대 한양대 중앙대 정도가 인하대학교 보다 많이 수준높은 학교였고...홍익대학교 는 인하대학교 보다 좀더 낮았습니다 제가 한양대 안산캠퍼스 건축공학과 떨어지고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붙고 라군에 홍익대학교 기계공학과 예비 100번대로 추가합격했는데 담임선생님의 조언으로 인하대학교 갔습니다 20세기에는 인하대학교 보다 한양대는 훨씬위 홍대는 조금 밑이었습니다 21세기에는 인하대학교 가 수준이 많이떨어졌나보네요 아쉽네요 회사 부장급이상분들급에서는 인하대학교 가 알아줬던수준입니다
98학번때 홍익대학교는 라군에는 갈만한곳이 홍대밖에 없어서 입시원서로 돈 많이벌었죠 기계공학과과 화학공학과보다는 위인거 아실테고 제가 추가 100번대로 추가붙었지만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갔었죠 다른 인하대학교 동기들도 홍대 다들 추가로 많이 붙었는데 인하대학교 왔었죠 공대는 대한한공 재단인 인하대학교 가 좀더위인 비슷한수준이었습니다
공대과 순위가 건축공학과 컴퓨터공학과 기계공학과 화학공학과 정도 순위인건 아실테고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가 홍익대학교 기계공학과 보다 좀더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그리큰차이는 아니구요 비슷비슷....다들 한양대학교 목표로 떨어지고 와서 아쉬운 학생들이죠
그렇죠 그랬었죠 제기억이 틀리진않군요 저는 연대지방...한양대 지방 떨어지고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붙고 홍대 기계공학과 예비 100번대로 붙고 담임선생님 조언으로 인하대학교 98학번 입학했죠 아쉬움은 있었지만 나름 공대는 알아주던 학교라서 자부심으로 다녔죠 ^^
왜 혼자 자문자답하세요
@이름-z7h 자문자답의 뜻풀이를 모르시는 어린학생인거로 추측되는데요....자문ㅡㅡ스스로묻고 자답ㅡㅡㅡ스스로 답한다 는 뜻입니다 제긴글의 어디에 스스로 물었나요? 질문요지가 전혀없는데요? ?표시도없구요 학생 타인께 질문하거나 반대성향 거론하려면요ㅡㅡㅡ그에 걸맞는 기본상식은 갖추고 대하세요
그게 기본 인성...토론 등의 법칙이랍니다
성수공이 한공보다 높다고 생각하는 꿀밤마려운 성훌들 박멸하는 순위네 만족. 이게 제일 정확한 공대순위다.
나중에 회사 가봐라... 어디 출신 노비들이 많은지...
일단 의외로 돌던지면 걸리는게 한양대 인하대(과차부장급 이상, 너네 면접 1차 점수 주는 애들이다...) 저글링처럼 물량치기다.
의외로 경희대 건대 서강대 시립대 중대 출신 기술직 임원들 별로 없다. 왜냐고? 여긴 그사람들 졸업할 때까지 이공계보다는 인문계열이 더 우세한 학교였으니깐.
내말이 안믿기겠지? 그래 노예짓하러 막상 와봐야 실감나겠지 ㅎㅎ
월컴 투 노예 월드다 ㅋㅋ
고생하셧네요
물량은 경북대도 많많치 않던데요.
공감합니다. 정말 많더라고요
한양과 인하를 같은 급으로 매도???ㅎㅎㅎ
@@junsungpark8681지금 임원들이 언제 졸업한 사람들인지 알긴 함? ㅋㅋ
제조업 기준 차, 부장, 임원까지 한양대 인하대 정말 많아요. 아웃풋 깡패 인거 맞고 실제로 실력 좋으신 분들 보면 두 학력 출신 같습니다. 그 외에 경북대 부산대 성대 경희 아주대 는 비슷한 비율로 골고루 분포 하고 있는 듯 해요
니가 인하대인가보네... 인하대 별로인데...
@@SEONGILKIM-cx1dpㄴㄴ부장급 이상 연배면 그당시 인하대 아웃풋 좋아요. 지금이 개작살나서 그렇지.
90년대졸업생들까지는 인하대도 부산대도 경북대도 인재풀 좋았음. 10년 내로 퇴직할 분들까진 좋음
인하대 별로 이러네 ㅋㅋㅋ
난 진짜 한양대 공대 포기하고 성대 오는 애들이 이해가 안간다. 삼성 하나만 보고 들어오는건가
같은과면 그런사람 없음
인풋도 아웃풋도 성대가 앞서고 있어요
집이 수원이면 인정
무슨 헛소리???? 수원성대로 가는 사람 본적이 없음.
그런 사람이 있다고요?
인아가 아웃풋이 개깡패구나..
근데 들어가긴 개쉬움
그래서 국민대 버리고 과기대 버리고 인하대 감
@@이름-e7k들어가기 개쉬운건 아니고.. 2~3등급은 나와야지 그래도
@@K6e0788 아웃풋에 비해 개쉽져
입결 동라인이 국민대인거 감안하면
인천 경기라서
나 인하대붙었는데 등록금땜에 부산대감 ㅎㅎ
전자회사 다니며 15년동안 주변인들 관찰 결과 얼추 맞는듯.. 서울 시립대 공대가 많이 올라온건 좀 놀랍다. 20년 전에는 저정도까진 아니었는데.
시립대많이떨어진거임 원래 서강 중대랑비슷했고 경희 부산이런데는 시립쳐다보지도 못했음 입결이 걍넘사벽임 지금도 그렇고
원래 중앙대랑 비슷했음. 중시인아홍이었음.
시립대가 지금 정원이 된게 얼마 안됐으니까요..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한해 정원이 1000명도 안 되던 대학이니 찾아보기 힘들수밖에..
입학점수는 당시에도 높았습니다
점수는 내려갔지 00년도보다
중대 시립 붙으면 중대가 맞는 건가요
삼성전자 임원수, 공채 결과 보면 대략 답 나옴. 아웃풋 보면 인하대를 한단계 올려야 할 듯😊
삼성 공채 2위 명문 공대 인하대
ㅍ ㅋㅋ
나 인하대공대 나왔는데 내 동기들 선배들 보면 삼성 꽤많이갔지
삼전만 치면 공채5위가 광운인데 ㅋㅋ
요즘 과기대도 진짜 아웃풋 좋은데 제일 아래에있는게...흠
여기 나온 대학정도면 이름때문에 손해보진 않지
반론없슈....공대 한양대 원탑일듯 필드에선
명문대 / 중간 인서울+지거국 / 지잡대
각각 안에서의 서열 비교는 별로 무의미함
그건 네 망상.상위권일수록 더욱 촘촘해지게 구분함.
@@dvdsxcxvdx 취업은 해본걸까...
@@user-gm2kj3eu9c 누가 취업한정해서 말했냐?
생각은해본걸까..
@@dvdsxcxvdx대학 자랑하려고 다님? 당연히 취업 기준으로 봐야지
@@이경민-k3k 당연히 자랑하려고 다니는 면도 있죠.학벌주의가 괜히 잇나요.혼자 다른세상 사시는듯.
하물며 결정사에서도 다 따집니다.
님말 대로면 사회에서 학벌을 왜 따져요?취업으로 판가름 이면 회사만 따져야지.
그리고 제말은 정말 들어가기 어려운 회사들이나 혹은 회사들어가고 승진시 이점을 말하는겁니다.
아니라면 정신나갔다고 연고대 생들도 실력되면 어떻게든 서울대 가려고 재수하는게 아니에요.요즘은 그나마 수시니 망정이지
정시시때대는 대학등급 올리려고 재수 엄청했고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엄연한 현실을 부정하고 싶으면 해보세요
저라고 마음에 드는게 아니거든요
기준 근거가 없고... 옛날 자료같네... 요즘 취업자수나 산업체와 협업으로 국책과제하는 공대들과 성과위주로 하면...저렇게 안나올텐데... 요즘은 제대로된 통계가 없네...
공대는 한양대 인정
에헷
@@STS304주위에 한양대출신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일반화긴 해도 나름 이해는 한다만 한 명도없으면서 부산,경북보다 아래인거같다는 뭔 ㅋㅋ
@@STS304주변엔 없는건 본인 수준이 딱 거까지 ㅋㅋ
@@STS304그건 니가 상위권 티어가 아니라서 그래.
@@STS304 딱 지보다 높은 수준은 인지조차 못하는 우물 안 개구리시네요
건대 홍대가 G ? 서과대가 뭐 ? 입결이 꼭 아니더라도 이건 아니지
맞음. 너무 주관이 많이 들어가있음. 이것보다 중앙대 대학평가가 더 믿을만함.
@@hyeonmin90중앙일보?
서울과기대 최근에 등록금 조금 싼 빨+인서울빨로 오른거지 근본을 생각하면 기성세대 입장에선 그게 뭔 대학인지 싶을걸
네 다음 건국우유
서울집중화 버블,거품빨로
서울권 대학들이 비싼 값을 받아도 근본이 후달리지,애초 근본 있는 스카이 정도
빼곤 서울권 대학들 모래성일뿐임
너무 내려치기, 올려치기 심하네
그건 너의 대학교가 올라가 있지 못한이유겠죠… 근데 짜피 한두 급간 차이가 큰차이 일까 싶네요..
@@user-me4oh5pr7f관심법 부럽노
옛날 입결이 한몫함 니가 고졸이라 그런진 몰라도 선배들이 길 잘 닦아놓으면 취업하기 비교적 쉽다
인하,아주,부산,경북 얘네들이 성적대비 가성비 대학이고
경희대 인문은 알아주는데 자연은 옛날에는 아웃풋 안좋아서 공대는 별로임
스카이 공대인데 뭔가 학교 궁합이랄까 팀웍은 인하대 친구들이 좀 좋은 이미지가 있음. 잘 훈련되었고 사회생활을 빡세게 배운듯한..
국내 대학 기계공학과 순위 [2022]
1위 서울대학교 - 95.67점
2위 고려대학교 - 94.18점
공동 3위 연세대학교 - 93.83점
공동 3위 성균관대학교 - 93.83점
5위 한양대학교 - 90.5점
6위 서강대학교 - 89.67점
7위 서울시립대학교 - 89.5점
8위 중앙대학교 - 88.92점
9위 홍익대학교 - 87.5점
공동 10위 건국대학교 - 86점
공동 10위 경희대학교 -86점
12위 한국항공대학교 85.83점
13위 동국대학교 85.33점
14위 부산대학교 84.67점
15위 국민대학교 83.17점
16위 숭실대학교 82.33점
17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80점
공동 18위 아주대학교 79.83점
공동 18위 인하대학교 79.83점
20위 경북대학교 79.67점
21위 전남대학교 79.67점 (영어 3등급)
22위 세종대학교 78점
23위 한양대 에리카 77.5점
24위 단국대학교 75.83점
25위 경기대학교 78.18점
26위 충남대학교 74.53점
27위 인천대학교 70.5점
28위 명지대학교 70점
일반적 인식 그대로군요
영어 3등급이 무슨 말이에요?
진짜 궁금해서 그러는건데 경기대는 세종대학교보다 점수가 높은데 순위권은 왜 낮나요?
유독 부산대를 두고 논란들이 많아 취업 현장의 분위기를 알려드립니다. 서울에서 엔지리어링 회사를 운영하는 기업인 입장에서 신입 사원 채용 경험으로는 인서울 중위권보다는 부산대 출신자가 업무 능력이나 문제 해결의 적극성 등이 뛰어나 주변 동업종 CEO들도 선호도가 매우 높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입결은 참고 사항은 되겠지만 과거처럼 절대적인 결정지수는 아닙니다. 그렇게 놓고 보면 부산대는 인풋 대비 아웃풋이 엄청나다는 걸 여러 댓글들을 보고 새삼 알게 됐습니다. 입시생, 취준생 여러분께 참고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올리는 글입니다.
그것도 옛날소리지 ㅋㅋㅋㅋㅋㅋ입결 개높을때 갔던 선배들 나가면 걍 ㅈ됨
생각보다 사회 나가보면 인하대 아웃풋 깡패임. 입결로 설명 안되는 그 무언가가 진짜 많음. 농담아니라 한단계 올려도 됨.
걍 지잡댄데 올려치기 지리네 건국대 밑이다
단국한테 따잇당하며..😊
@@yj.1894 실질적으로 따지면 인하대 아웃풋 깡패인건 팩트임
근거자료를 공개해라 말도안되는 선동질
13학번인데 공대는 이게 맞음
ㅈㄹ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지유디가 서성보다 위?
@@ijlijl1ijl1i 공대라고 ㅂㅅ아... 과기대는 입결 떠나서 대학원이 넘사임... 공대 자체 메리트는 지스트는 서성이 아니라 연고랑 비벼야해... 서성한 공대는 자기 대학원 구려서 서포카연고 과기대로 빠지고 싶어하는데 얘들 대학원이 받아준다던? 대학원 진학시기엔 과기대는 상전 중의 상전이야... 연고보다 대학원이 우위니까... 대학원은 본교 선호도가 엄청나고...
@user-dn8np7op1e 그래서 지유디가 서성한보다 퍼포먼스 좋은 연구분야 뭐있음?? 유니스트 배터리, 에너지 분야 빼고는 전부 나가리인데ㅋㅋㅋㅋㅋ
내가 지금 유니스트랑 성대 둘다붙었는데 유니는 지방이라서 도저히 못가겟다
니가 뭔데 맞다야?
얼추 다 맞네요. 서강대는 하나 더 줄이면 될 듯 합니다.
한성중서^^
학회가서 발표 들어보면 확실히 spk 애들이 잘하긴 함. 그래서 학벌을 안 볼 수가 없음.
통계에 의하면 학벌에 대한 업무능력 차이는 미미한데 단 연구직에 한해서는 꽤 비례한다고 하네요.
경희대가 너무 내려간거 빼면 얼추 맞을 듯
경희 공대는 국제캠이라 아웃풋이 별로여서 그럴듯 이원화전에는 국숭 밑에 급이었으니까
분교 시절은 지금처럼 잘나가진않았음 이원화되고 잘나간 케이스지
부산대 경북대도 입결 많이 내려감 경북대는 모공이 있어서 그나마 낫지만
경희대 공대가 최근에야 이원화캠 승인되고 투자도 많이 하면서 인지도가 올라갔지 예전 사람들 인식엔 잡대로 취급됐어요.
경희대 03학번까지 꽤 높았고 04부터 분교파공으로 몇년 내려갔지만 세단보단 훨 뫂았다
한국항공대도 아웃풋이 진짜 개깡패던데 ..
내가 그래서 항공대 옴 깔깔
ㄹㅇㅋㅋ
학교 선배들 자랑스럽드라
개소리 ㅋㅋㅋ
난 이런 잡대가 있다는걸 처음 알았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뭐냐 항공대는 ㅋㅋ
어차피 전국 공대 싹다 의치한약수 못가서 들어온 운명들인데 우리끼리 싸우지들 말고 친하게 지내자
설공은 약수보단 높지 ㅋㅋㅋ
@@ks8766 내가 현역 설공인데 지금 메디컬 가려고 삼수 꼬라박음. 올해도 못가서 군수할듯. 과장 1도 안하고 우리과 졸업반 형들 제주대 수의대 예과1이라도 붙여준다하면 90퍼는 그 자리에서 바로 짐싸서 나갈듯.
@@밥공기-h3o설 컴공,전자는
지방치대는 걍 가지않음?
@@lions_gon 현역때 의대도 갈수 있었지 ㅋㅋ 지금 졸업할때 다가오니까 ㅈㄴ 후회됨 어휴 인생 최악의 선택이었다
아무리 서울대라도 간판만큼 덧없는 게 없지. 애초에 간판을 보는 거 자체가 객관성이 결여된 비공식적 평가일뿐더러, 타인에게 간판을 토대로 나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을 맡기는 게 얼마나 리스크가 큰 행위인지 알 수 있기 때문이지. 더군다나 예전처럼 공정하게 정시로만 줄 세우는 시절도 아니라 간판이 더이상 개개인의 지능과 성실성을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도 없지. 이러니 요즘에는 특정 학과 선택을 통한 라이센스 보장이 대학 진학 과정에서의 유일무이한 판단 요소가 된거야.
경희대는 E라인까지는 올려야됨
서카포
연고한성디지유
서중
그외
서울집중화 버블,거품빨로
서울권 대학들이 비싼 값을 받아도 근본이 후달리지,애초 근본 있는 스카이 정도
빼곤 서울권 대학들 모래성일뿐임
걍 설카포 연고한 까지만 납득가능함
서울집중화 버블,거품빨로
서울권 대학들이 비싼 값을 받아도 근본이 후달리지,애초 근본 있는 스카이 정도
빼곤 서울권 대학들 모래성일뿐임
아주대는 더 올려야지
요즘 입시트렌드는 이것만 기억하면 됨
1. 지방 국립대 개떡락중
2. 교대 개떡락중
3. 외대 하락중
4. 여대 하락중
5. 중앙대, 건대 상승중
이 영상 순위는 누가 멋대로 만든지는 몰라도
학생들한테 어디 가고싶냐고 물으면
저 순위대론 절대 안나올듯 ㅋㅋㅋㅋ
정리 깔-끔
아무의미없다...꼭 사회생활 안해본 얘들이 이런거 쓴다..사회에서 누가 이딴거 신경쓰냐....
@@jjb7867 ㅋㅋ 사회 나가면 평생 "난 멍청이가 아닙니다"를 증명하고 살아야되는데... 마치 문신충이 본인이 양아치가 아님을 증명해내야 되는 것처럼
이공계는 입결이 전부가 아니다
@ 하다못해 학벌이 전혀 필요도 없는 곳에서 조차 학교 좋은데 나왔으면 기저에 깔린 시선이 달라짐ㅋㅋㅋ
경희는 예전에는 몰라도 지금은 아웃풋 계속 오르고 있지
경희대 24년도 입결보면 시립대가 살짝높고 건국대 부산대? 애내둘 3급간 차이 났음 저거 믿지마셈ㅋㅋㅋㅋㅋㅋㅋ 걍 서연한고서성중시경 건동홍 이거임 부산대는 걍 지방대를 누가감 지균으로 입사하는거라 대기업 5년간 취업 출신학교 보면 지방대는 없음
@@승장구상한훌 검거
@@승장구상부산 경북 올려치기가 심하긴 함. 입결 진짜 나락갔는데
진짜 한양대가 무슨 고대를 이겨 ㅋㅋ 한양공대 평판 좋은 건 알겠는데 sky 공대 떨어진 사람들이 주로 갔다
이원화는 본캠과 분캠간 완전 분리운영하는게 이원화. 우리나라는 성대뿐
인하대 올려야할듯
과기대 경공전 시절까지하면 아웃풋 괜찮을텐데…
공대로 따지면 얼추 맞는 거 갖긴 하네
갖긴 맞춤법 실화?
꼭 이런거보면 어중간한 대학 나와서 열등감 있으면서 꼴에 자존심있는 애들이 대학 못나오거나 지잡나온 애들이 하는 대학이 의미없단 말에 긁혀서 싸우고있음 ㅋㅋㅋㅋㅋ 정작 최상위권 대학 나온애들은 별생각없고 ㅋㅋㅋㅋㅋ
Fun fact) 티어 상관없이 공대 기준으로 보면 싹다 먹어주는 학교들이다
이게 맞다
D 밖으로는 좀..
@@protagonist24939 K조까지 평균스펙만 쌓아도 최소 중견은 무리없음 나 예전 회사가 매출 1조 될랑말랑한 중견이었는데 K조까지는 필요한 스펙만 있었으면 서류 무조건 합격이었음
안먹어주고 무난하게 취업잘할정도는 숭실 인하아주 부산경북까지임
01학번인데 경북대 한양대 서울대 고려대 넣었는데 추억이네여 ㅎㅎ 인서울이미지가 너무강하지만 당시엔 경대 공과 최강이였는데ㅎㅎ 경북대 후배들 화이팅여
현직 4대그룹 인사팀 입장에서 부산 경북이랑 인하아주랑 자리 바꾸면 될듯
부경은 그쪽에서 인기가 많지 ㅇㅇ
그쪽 인사팀 일을 제대로 안하고 있는 모양.
@@joker_1st. 그쪽 회사 시총 열배는 될듯요 ㅋ
여전히 부경인아임. 부산대가 서울제외 1위는 불볔.
@@user-pz1ye6vo1f 헌정 역사상 그런 적은 없을 겁니다 ㅋ
@@dmledhjd인하대 출신인가 ㅈㄴ 긁혔나 보네 ㅋ
ㅋㅋㅋ출처가 어딘지 모르겠는데 절대 아님 믿는 사람 없었으면
최근에 본 가장 종합적이고 정확한 분석같습니다.
학생들이나 몇점 더 높은거가지고 니가좋네 내가좋네 싸우지.. 사회나와봐라. 비슷한급간들 구분하는거 아무의미없고 신경도 안쓴다..
스카이 서성한정도만 공부잘했네 해주지...그밑으론 국민대나왔네 경희대나왔네 아무도 신경안씀 ㅎ
한양대>유니>성균>지스트>디지스트>서강
부산대가 저리 떨어졌나?
부산대 전자공학과와 기계과는 SKY와같은 레벨로 인정 받아 대기업 특채 였었는데...
이거 기준은 어떤거 기준으로 선정하신건가요?
아직도 부산대 올려치기 ㅈㄴ하네 ㅋㅋㄱ 그리고 중앙대가 서강대보다 밑인게 말이안되는데? 현실 중대공입결이 훨높은데
전남, 충남은 좀 올려야할거 같은데
국숭단이나 항공대 라인에 있는게 좀 더 맞을 듯
전충 국숭라인 아님
단국대도 국숭이랑 묶이기 무리 있고
과기대랑 숭실대랑 비슷한 급인 것 같고 국민대는 숭실대보다 좀 낮은 급임 공대는 단국대는 걍 좃밥됐고
전충은 그런 단국대랑 묶이면 될거같음
@@KimLeeParkChoi454전충을 단국이랑 어찌 묶냐ㅋㅋ슬쩍 올려치기하네
@@Kmr427 지금 단>전,충 이라는 말을 하고싶은거냐?
단국은 광명상가의 광운한테 따이고
경북은 아직 광운 이기는데 그러면 경북 바로 아래인 전,충이 단국 급인 거 아니냐?
단국훌리냐? 예전의 단국이 아니다; 국숭세단으로 같은 급으로써 묶일 수준이 아니라고
@@KimLeeParkChoi454너는 어느대학 훌리니? 단대 떨어졌니? 광운이고만. 수능도 안보고 내신만으로 가는 학교. 광운!!
4대그룹 대기업 23년차인데 50년 살아보니 학력 아무 의미 없다. 20살때 1년, 26살에 1년 딱 2년간 필요하더라.
도대체 경희는 왜 저기지 교수 역량도 좋고 연구 실적도 꽤 좋은데 입결은 반영 거의 안했다지만 입결도 시립대랑 비등비등하고…
경희대 공대가 최근에야 입결이 많이 올랐지 20년전만 해도 지방대보다 아래였어요. 나 대학 들어갈때 부경대 공대랑 점수 비슷했던 기억이 있네요.
@@sincere2wb 20여년도 더된거 같네요 일단 근 5년은 입결도 서울캠과 같고, 교수역량 연구실적등은 그전부터 좋아왔으니 더 좋아지지 않을까요? 저 순위보고 현재의 수준을 잘못 인식해서 피를 볼까봐 댓 남겼습니다
@@형진-d1u 아 물론 앞으로는 계속 인식이 좋아질겁니다. 대학 입결이랕 사람들 인식은 한박자 늦게 비탄력적으로 작용하니까 그런거구요.
앞으로는 입결 떨어진 부산 경북 아주 인하는 인식이 내려가고 경희대는 상승하겠죠. 스펙타클한 지방대 지원정책이 나오지 않는 이상이요.
@@sincere2wb 몇학번이신진 모르겠지만 말씀하신 거 보고 2000년 입결 보니까 경희대 국제캠퍼스 공대 입결이 동일과 기준으로 인하대보다 전체적으로 높아요. 경희대 공대가 최근에 이미지 개선이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특별히 대단한 입결 상승이 있었다고 보긴 힘들어 보입니다.
대기업 현역들이 지거국 출신들이라 아직 버티고 있지만 10년 뒤면 지거국 출신들 다 빠지면서 끌어줄 사람 없음 아직까지 인사팀들이 지거국 좋게 봐서 뽑기는 하는데 인 서울 쏠림 현상을 막을 수는 없음
부산,경북 이화가 너무 높다 2단계는 내려와야 할듯
참고로 공대와 자연대는 다릅니다. 물리학과, 화학과 등등 순수학문은 저거랑 달라요
과기대 힘내라
과기대 내려치기 ㅈ되노 진짜 ㅋㅋ ㅠ
D조 아래론 거기서 거기니까 그만들 좀 싸워라 아오ㅋㅋㅋ
여긴 없지만 한기대 공대는 어떤가요?
부산 화학과랑 충남 화공, 전기공 중에 취업까지 고려해서 어디가 낫나요
집가까운곳 가거나 지금 추세라면 그냥 충남대 공대로 가세요 부산대 자연대 가느니
그리고 공부해서 옆에 카이스트나 설포 대학원가세요.
부산대 충남대 다 옛날 과거 명예지 지금은 어차피 지거국임.
@@youtttttt옛날 과거인게 중요한거임 ㅋㅋ
어차피 면접관들이나 서류보는사람들 대부분이 옛날 사람들인데
학교는 당연히 부산대인데 공대는 과임 부대가서 전과할거 아니면 닥 충남
@@user-yj1eq9kz3v 이것도 맞는말이긴한데 이제 지거국 떡락이라 충남대나 부산대나...서성한 아래로는 다 개인능력이고 과가 중요하다도 생각도됩니다 ㅎㅎ
@@youtttttt아무리 서성한 아래는 거기서 거기라고해도 ㅋㅋ 부산이랑 충남인데 진짜😅
24학번인데 맨 위에 셋중에 하나 들어갔습니당! ㅎㅎ
일단 서울대는 아니시군요..
이대하고 숙대는 왜 높은거임? 어차피 취업하면 본사에서 행정업무밖에 못하는데
각 대륙별 대학 수준
1위 : 북미, (미국 캐나다)
2위: 영국
3위: 유럽대륙
4위: 중국, 싱가폴, 일본
5위 : 호주
6위 : 한국, 동남아
7위 : 중미, 남미, 동남아
8위 : 아프리카
작은 아버지 건대나와서 자동차업체 임원까지 찍고 퇴사하실때 70억 받고 나오심. 주식이 옵션 행사하셔서 그랬다고 함. 참고로 대학원을 해외에서 나오심
어디대학인지 물어봐도되나요?
@ilban-in 카네기멜론 이라네요. 생각이 안나서 아빠한테 방금 물어봄
설과기대 인풋에 비해 아웃풋이 이렇게 떨어지는 학교는 없을듯... 이유가 뭐지
서카포는 넘사벽...
포스텍은 실질적으로 연고 밑임 ㅋㅋㅋ
@@lnsk-n9e 포스텍도 나락갔지..
이러고 있네 포스텍 기사랑 입결만 보고 저러는데 아웃풋이랑 실제 지원되는 것들 다 따지면 포스텍이 압살이야
연고에서 반수해서 포스텍 오는 친구들 얘기 들어보면 포스텍에 비하면 그냥 퍼 노는 수준이라고 했음. 나는 포스텍 컴공인데 여기만큼 학생 1인당 지원이 많고 공부 열심히 하는 학교도 없음. 대학원 티어로 따지면 당연히 서카포가 압살이고 학부로 따져도 우리가 소수라서 여론이 밀릴뿐이지 절대 연고에 뒤쳐지는 수준은 아님.
나도 과고 현역때 연컴 일말의 고민도 없이 버리고 여기 왔음. 대기업 다니시는분하고 포닥분들 얘기듣고 결정한거임
이렇게 말해도 님들은 안믿을거 알고 있음. 사실 별 상관없는게 님들하고 인생 살면서 엮일일이 없기 때문에 그냥 지나가도 되는데 고3들이 이런 유언비어 듣고 잘못된 선택할까봐 노파심에 댓글남김.
경희가 건동홍 아래인거 보고 이상하다 생각했음 개추 아무리 수원이어도 중시/경/건동/홍인데 건동홍아래는 아니지 ㅋㅋㅋ
원래 경희가 건동홍 아래였어 맞어!
공대로 보면 건동홍 아래일 수도 있음
@@u_u-o5i 개소리ㅋ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 건동홍 아래 이지랄ㅋㅋㅋㅋㅋ
뭐지 나 3개월 전에 단거라 기억은 안나는데 새벽에 적어서 잘못적은듯
숙명공대??
문과와 이과도 비교 좀 해라!
문이과 통합수능 시행해보니 1등급 국어 80%, 수학 97%, 영어 70%가 이과생이다.
고로..
연고대 문과 < 서성한 공대
서성한 문과 < 국숭세단 공대
연컴 vs 포스텍이어도 포스텍인가요?
네 저는 과고출신인데 현역때 연컴이랑 포스텍 붙어서 고민없이 포스텍 갔습니다. 개인적으로 고컴이 아닌 연고레벨 공대보다 포스텍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실제 대기업에서의 인식이나, 대학원 티어도 서카포가 1티어 그다음이 연고레벨이니까요.
집이 서울에 정올출신 처럼 분야 확실하면 연컴이나 고컴 가는사람도 봄.
경북대 부산대가 시립대보단 2-3단계 낮은 거 아님ㅡ
지거국을 넘 높게 본 거 같다.
아웃풋보면 경외시가 부산대한테 비벼야 한는거 알꺼다. 고딩아.. 애초에 6%랑 10%랑 크게 다르지 않음.
지거국 아웃풋을 무시하네 ㅋㅋㅋ 입결이 다가 아니다
부산대가 저 정도로 좋음? 너무 멀어서 알아본 적도 없는데 신기하네
서울집중화 버블,거품빨로
서울권 대학들이 비싼 값을 받아도 근본이 후달리지,애초 근본 있는 스카이 정도
빼곤 서울권 대학들 모래성일뿐임
우리 형 부산대 컴공.아주대 소프트웨어 합격했는데 고민끝에 아주대행(수도권 사람 아님)
입결 높고 아웃풋도 좋은데
정작 서울 올라오면 요즘 사람들 사이에선
내려치기 당해서 슬픈대학이지
부산대 공대 수능최저가 수학포함2합5입니다😂
건국대 공대가 인하공대보다 낮음?
사회적 인식이랑 교수진 대기업 리크루트 등등 따져서 올라오는거같음
개판이구만 ㅋㅋㅋㅋㅋ
왜 중졸인 니애미는 인정할거같은데
@@하리-j7b어허
@@하리-j7b 확실한건 넌 초졸
@@bokbox 너검마
@@하리-j7b뭔 폐드립을 ㅉㅉ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23학번 지나갑니다
A조 예외!
부산대 기계공학부,경북대 전자공학부,전남대 전기공학부
2년제,학은제 전기전공한 나는 전남대 편입이 끌리긴 하는데..
전남대 전기공학과 탑클라스 인정~~
켄텍은 어느정도에 속할까요?
걍 지잡이지 ㅋㅋ
@@chrt_kzn?
5년 안에 과기원급 여유있게 포함됨
과기원급일듯
시립대가 어떻게 부산대 경북대랑 동급임 ㅋㅋㅋㅋㅋㅋㅋ
중앙대,시립대>>>>>넘사벽,건국 경희>>>>>>>부산,경북 ㅋㅋ아예 엮이지도 않음
@@sky8403메이저 공대만 보면 비빌만한데 먼ㅋㅋㅋㅋ
@@쥐퐁티긁 못비빔 부산대가 시립대랑 비빌만하다는소리는 시립대가 서울대랑 비빌수있다는거랑 같은 소리임 부산대애들이 착각하는게 서울애들은 안그러는데 한두명 부산대레벨아닌애들 가지고 그게 전체평균이라고 착각하는애들 엄청많음
@@sky8403 부산대 전화기 경북대 전화기 모바일공은 비빈다고 틀딱아 ㅋㅋㅋㅋ
부산대 경북대 전화기 기준으로는 점수 큰차이없습니다 . 22입결에서 부대 화공이 시립보다 높았어요. 그리고 공대 맨파워 측면에서 시립대가 너무쳐짐. 솔직히 아주인하보다 아래라고 봄
아주 미래모빌리티 vs 숭실대 ai융합학부
자율주행개발자를 희망하는데 어디가 더 나을까요.?
아주죠
당연 미래모빌리티지;
K조. 서과기에 웃고 갑니다. 공부 좀 하세요..😂
ㅋㅋㅋ여기 직장인들 글쓴거 맞나 학벌이 얼마나 큰 무형자산인데 인사평정에서 학벌도 굉장이 큰 요소로 작용하는데~ 자기 능력으로 평가받을거니 큰 의미가 없다고 말하는 것 같은데 비슷한 능력이면 학벌좋은사람 우대하는건 변하지 않는 사실임 그리고 기회도 훨씬 많이오는게 사실인데다 일하는 능력도 학벌좋은 사람들이 대게 뛰어난것도 이미 인사담당자들은 알고 있음.
훌리짓도 가지가지로 하네 ㅋㅋㅋ
이거 ㅈㄴ 정확함. 나 현직 출신임
공대는 한양대 인하대
맞소
공대는 한양대.인하대^^
인하대 입결 너무 낮아짐... 3등급도 들어감
@@김범식-i6h 과마다 다르지만 공대는
1-2등급대..임.
@@박순란-m4h1~2등급 ㅋㅋ 입결 2점대 초중~3초중 등급이 맞아요
@@박순란-m4h세종대랑 비슷함
의미 없습니다 진짜 학자의 길을 갈게 아니라면 요즘은 수저나 투자 잘하는게 계급입니다.
서울과기대가 삼성전자 신입사원기준 12위인데
얘들아 여기서 순위 인정하는 애들은 저 밑바닥대학출신인데 이 쇼츠에서 높게 쳐주니깐 그런거야..
그나마 인하대까지는 인정하겟는데 부산대 경북대 아주대는 옛날에 높은건 인정하는데 요새는 ㅋㅋㅋ
나도 이해안감
아니 공대에서 성대 서강 중앙이 같은급이 절대 아닌데 ㅋㅋㅋㅋ 중앙이 문과나 공대나 성서랑 같은 급간이 아니야 애초에 아웃풋이나 인풋이나 뭘로 봐도 성대공대는 인풋이나 아웃풋이나 둘다 중앙 공대보다 한양공대에 더 가까운데 중앙공대랑 엮네 ㅋㅋ 언제 같은급이었다고 예전보다 한양이랑 성서랑 간격이 더줄었는데 ㅋㅋ 중퀴냐?
애초에 아웃풋 자체가 연고/한성 이렇게 묶여 서강은 규모가 다르니 따로보더라도 성대 공대 인아웃풋이랑 중대 공대 인아웃풋이나 비교해봐라 같은급이 되나 ㅅ바 ㅋㅋㅋㅋ 뭐하나라도 비슷해야 같은 급간이지
틀린말은 아닌데 서강은 공대 아웃풋 그렇게좋진않지..
다 의미없고 웬만해선 아웃풋은 일이나 연구할때 얼마나 몸을 갈아넣느냐임 정말 간혹 천재 한두명이 고딩땐 있었는데 왜 사회선 안보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