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즈 정리] 미적은 못해도 확통은 잘해야 하는 이유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4 чер 2024
  • 여러분 안녕, 배티입니다 ✋🏽
    휴대폰 음성인식에 '복소수 수염차', ‘복소수 빵’이라고 이라고 불러주면 '옥수수 수염차', '옥수수 빵'으로 인식합니다.
    이는 수염차와 빵이라는 단어에 복소수가 옥수수보다 더 어울릴 확률이 높아 휴대폰이 보정을 해 준 것입니다.
    이와 같이 현대 사회에서 수학, 특히 '확률과 통계'는 매우 중요합니다.
    전쟁과 비즈니스 같은 치열한 생존 게임에서 중요한 순간 '확률과 통계'가 위력을 발휘했었죠.
    그리고 그 배경에는 270년 전, 한 목사님의 위대한 통찰이 있었는데...
    영상에서 만나보시죠 !! 지금부터 스타트합니다 🚘🚘🚘
    ※ 영상 제작 방식은 공유하지 않습니다.
    [수학의 힘] gilbut.co/c/24028024ne
    [수학의 쓸모] gilbut.co/c/24021519NU
    ✍🏽 철벽수학 노트수업
    www.cbmath.com
    ▶ 유튜브 매스프레소
    / @mathpresso
    [ 목차 ]
    0:00 인트로
    0:59 OTT의 제왕
    4:01 베이즈 정리
    6:01 전쟁 승리 방정식
    8:21 수학을 얼마나 알아야 하나요
    [ TAG ]
    #수학의쓸모 #수학의힘 #더퀘스트 #베이즈정리 #토머스베이즈 #확통 #확률과통계 #음성인식 #자율주행 #넷플리스 #매스프레소 #철벽수학 #생활수학 #수학개념 #수학인강 #압구정수학학원 #광교수학학원 #강북수학학원 #수학사 #수학과인문학

КОМЕНТАРІ • 11

  • @MathPresso
    @MathPresso  3 місяці тому +2

    여러분 안녕, 배티입니다 ✋🏽
    휴대폰 음성인식에 '복소수 수염차', ;복소수 빵;이라고 불러주면 '옥수수 수염차', '옥수수 빵'으로 인식합니다.
    이는 수염차와 빵이라는 단어에 복소수가 옥수수보다 더 어울릴 확률이 높아 휴대폰이 보정을 해 준 것입니다.
    이와 같이 현대 사회에서 수학, 특히 '확률과 통계'는 매우 중요합니다.
    전쟁과 비즈니스 같은 치열한 생존 게임에서 중요한 순간 '확률과 통계'가 위력을 발휘했었죠.
    그리고 그 배경에는 270년 전, 한 목사님의 위대한 통찰이 있었는데...
    영상에서 만나보시죠 !! 지금부터 스타트합니다 🚘🚘🚘
    ※ 영상 제작 방식은 공유하지 않습니다.
    ✍🏽 철벽수학 노트수업
    www.cbmath.com
    ▶ 유튜브 매스프레소
    www.youtube.com/@MathPresso
    [목차]
    0:00 인트로
    0:59 OTT의 제왕
    4:01 베이즈 정리
    6:01 전쟁 승리 방정식
    8:21 수학을 얼마나 알아야 하나요

  • @Zeddy272
    @Zeddy272 3 місяці тому +3

    고3 수학 강사 생활하다 AI에 관심이 생겨 수학&컴공 복수전공으로 공부중입니다. 고등학교와 대학 과정의 간극이 가장 큰 분야가 바로 "통계학"입니다.
    고등학교때는 확률분포, 추정과 신뢰도만 배우고 끝나는데 이건 쉽게 얘기하면 마치 인수분해만 배우고 끝나는 거랑 같습니다. 통계학이 정말 깊이가 엄청나고, 미적분보다 더 어렵게 느껴집니다. ChatGPT가 미적은 웬만큼 풀어도 통계학 문제는 학부 기본 문제도 잘 못 풀죠.
    애초에 전공도 Statistics가 따로 있을만큼 통계학은 심오한 학문입니다.(물론 통계학만 배우는 게 아닙니다.)
    AI의 핵심을 이루고 있죠. 제가 학부과정에서 가장 어렵다고 느낀 과목이도 하구요. 사실 미적분이나 해석학은 오히려 괜찮아요. Mathematical Statistics는 지금도 배우는 중인데 너무 심오해요😅
    그리고 제일 중요한게 통계학 종류도 너무 다양하죠.
    Mathematicals Statistics, Statisitcal learning using R, Biostatistics, Econometrics, Enviromental Statistics, Social Statistics, Data Science & Machine Learning, etc. 문과 과목 아닙니다. 오히려 가장 이과적인 과목이죠.

  • @Dominanceing
    @Dominanceing 3 місяці тому +3

    "여러분 배티, 안녕입니다 ✋️"

  • @gonggong8166
    @gonggong8166 3 місяці тому +1

    7:57 쯤에 교차표를 작성하여 물음표 부분을 추정하는 방식은 어떤건가용?

    • @MathPresso
      @MathPresso  3 місяці тому

      귀환한 전투기의 총알 자국을 분석과 공중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격추된 전투기의 손상 패턴을 추정한 것입니다. 통계 전문가 집단이라 더 디테일한 방법을 첨가했을 것입니다.

  • @Gosegu_mesugaki
    @Gosegu_mesugaki 3 місяці тому +1

    문과과목이라 무시받는건지
    확통이라 무시받는건지
    둘 다인지 😂

  • @QED2718
    @QED2718 3 місяці тому +1

    '기대 이상!!'

  • @MathPresso
    @MathPresso  3 місяці тому +2

    본 영상의 레퍼런스 북 링크입니다. 은 현재 교보에서 판매 1위를 달리고 있다고 합니다. 즐거운 독서와 함께 하시죠 !
    [수학의 힘] gilbut.co/c/24028024ne
    [수학의 쓸모] gilbut.co/c/24021519NU

  • @robertsaint6495
    @robertsaint6495 3 місяці тому +1

    만찐두빵! -> 만두찐빵

    • @robertsaint6495
      @robertsaint6495 3 місяці тому

      @@MinseoKim-mf5kt 제가요?

    • @MinseoKim-mf5kt
      @MinseoKim-mf5kt 3 місяці тому

      @@robertsaint6495 네.. 사람도 도움이 되지 않으면 쳐내야 한다는 마인드가 공감능력이 떨어지는거 아닌가요 ㅋㅋㅋㅋ 교양으로 심리학 따위 들었을리가 없는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