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란 무엇인가? : 시간의 본질에 관하여(feat.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플로티노스, 아우구스티누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6 чер 2024
  • 시간에 대한 철학을 주제로 하는 첫 번째 강의입니다. 플라톤의 시간은 영원을 닮았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은 운동을 닮았습니다. 이렇게 시간에 대한 철학자들의 입장은 저마다 다른데, 우리는 이번 강의를 통해서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플로티노스,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0:00 인트로
    02:50 시간의 상호 모순적인 두 성질
    05:20 플라톤의 시간
    07:22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 1 : 운동과 시간의 관계
    12:22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 2: 지금과 영혼
    14:01 플로티노스의 영원을 닮은 시간
    18:00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 : 기억과 직관 그리고 기대
    21:01 시간이란 무엇인가?

КОМЕНТАРІ • 224

  • @user-jd1bx3ly4s
    @user-jd1bx3ly4s Рік тому +187

    시간은 존재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주변 여자들에게 물어보니 전부 다 시간이 없다고 하네요

    • @user-yr2mx9jc9n
      @user-yr2mx9jc9n Рік тому +5

      자신만 있으면 됩니다.
      다들 자신도 없이 살아요 ~시간

    • @user-mb7nc9ln5u
      @user-mb7nc9ln5u Рік тому +14

      😂ㅎㅎㅎ재밌습니다.
      시간부자인 여자분이 곧 나타날듯요?

    • @swissyuna5539
      @swissyuna5539 Рік тому +2

      ❤❤❤

    • @bohwang8513
      @bohwang8513 Рік тому +26

      이사람이 최고의 철학자네

    • @hyeon-gulee2944
      @hyeon-gulee2944 Рік тому +7

      우와ㅋㅋㅋㅋ

  • @lees122
    @lees122 Рік тому +28

    매일 두번세번 봐야되지만 ㅠㅠ 이런 양질의 영상을 집에서 편하게 볼 수 있음에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4

      늘 애청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tvpoemandrecitation2931
    @tvpoemandrecitation2931 Рік тому +13

    시간의 본질은 무엇입니까
    지금
    과거 미래는 존재하지 않는다
    지금이란
    존재론적 ~^^
    당신은 어디에 존재하는가
    이 또한
    모든 것이 헛도 되다 ~^^
    끝까지 즐감하고 응원하고 갑니다 자주 뵙기를 소망하며 오늘도 평강이 가득했으면 좋겠습니다 💕

  • @user-yj5zw2hr7g
    @user-yj5zw2hr7g Рік тому +8

    안녕 하세요 3종셋트선물드리고 시간이란 무엇인가 좋은말씀이 관심이 가네요
    귀한 강의 감사드리고 잘 듣고 갑니다 행복한 시간 보내세요

  • @theknifemartialarts.9053
    @theknifemartialarts.9053 Рік тому +11

    감사합니다

  • @konspirolog
    @konspirolog Рік тому +10

    기다렸습니다 좋은강의 올려주셔셔 감사합니다!

  • @술덕후
    @술덕후 Рік тому +5

    신상!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1

      다음 신상은 명리학으로 할 예정입니다~ 참고해주세요.

  • @hyejeon-art
    @hyejeon-art Рік тому +10

    시간에 대해 지금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는군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정성 가득한 영상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시고
    늘 행복하세요~^^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2

      항상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sharonjo8787
    @sharonjo8787 Рік тому +11

    지금은 사라짐과 나타남을 동시에 가졌다는 게 정말 신기하네요. 지금의 존재론적 증명이 결코 쉬워보이지 않습니다. 저는 영원과 시간의 문제를 고찰한 플로티노스의 시간이 매력적으로 느껴집니다.
    영원으로부터 시간이 시작되었는지 아니면 시간으로부터 시간이 시작되었는지 하는 문제도 곰곰히 생각해봐야겠어요.
    좋은 강의 감사드리며 곧 구독자 10만 될거 같은 이 채널의 시간에도 고마움을 느낍니다.
    감사합니다 새해 첫 강의 정말 좋았습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1

      '지금'에 대한 존재론적 이해가 정말 쉽지 않죠.
      재미있게 시청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Chaosmos86
    @Chaosmos86 Рік тому +8

    감사드립니다.

  • @Anarchists2024
    @Anarchists2024 Рік тому +5

    시간 그것은 되돌릴 수 없는 것 그것이 시간이다

  • @aphilos262
    @aphilos262 Рік тому +10

    올해 첫 강의네요~ 반갑습니다.
    그리고 구독자가 어느새 10만에 가까워집니다!!!!!
    반가운 소식이에요^^ 축하드릴일 곧 생기겠어요~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1

      늘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qy2nx7wu1x
    @user-qy2nx7wu1x Рік тому +6

    지금의 내 입장에서 미래는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 이러이러할 것이다라고 추측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2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do4cf6gd9s
    @user-do4cf6gd9s Рік тому +7

    사람마다 다르게 느껴지는 시간이 참 신기하고 오묘한 듯합니다.
    그래서 철학자들에게도 특별하게 느껴지는게 시간인 것 같습니다.
    지속과 단절이 무수히 반복되고 반복되는게 시간이네요.
    시간이 정말 처음에 어떻게 시작했을까요?
    철학자마다 시간을 이해하는 차이가 참 재밌군요.
    연속적인 흐름사이의 과거 현재 미래가 마음으로 기억, 직관, 기대,
    아우구스티누스의 내재화된 시간까지 모두 잘 들었습니다.
    지금, 다시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덕분에 깊은 사유의 시간이 되었답니다.
    멋진 강의는 역시 최고이십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1

      시간의 시작, 이것에 대해 보다 다양한 각도로 접근하는 이론들이 있는데요,
      종종 관련 강의를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sarahmoon2318
    @sarahmoon2318 Рік тому +2

    목소리와 설명하시는톤이 너무 듣기 편하고 정확히 들려서 정말 좋음니다

  • @user-ky2hm6vo6k
    @user-ky2hm6vo6k Рік тому +13

    귀한강의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잘 듣고 갑니다.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 @user-iw9fv7qd8u
    @user-iw9fv7qd8u Рік тому +3

    소중한강의 집중해서 잘 시청 하고 응원 합니다 아우구스티누스 이론을 공감 합니다 추위에 건강 조심 하세요 😀💕🙏👍

  • @Ace-kv3qj
    @Ace-kv3qj Рік тому +5

    지혜의 빛 1 0만 축하드려요
    다시보려고 들어왔더니 1 0만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려요!!!

  • @carpediem8193
    @carpediem8193 Рік тому +17

    늘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 @1MinutePhilosophie
    @1MinutePhilosophie Рік тому +23

    '시간'이라는 단위 자체가 엄청나게 재밌는 것 같습니다. 어떻게보면 시간에 관한 언어적 표현들에서 오는 의미론적 해석과 차이에 대한 논쟁으로 과거, 현재, 미래가 언급될 수 있고, 이는 과학적으로든 형이상학적으로든 탐구될 수 있는 무궁무진한 요소니까요 🤩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3

      시간에 대한 과학적, 철학적 분석과 관련하여 정말 재미있는 얘기들이 참 많죠.
      다음에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론을 보다 집중적으로 다루는 강의도 하나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 @saju1004
    @saju1004 Рік тому +1

    시간의 본질에 대한 심도있는 강의 잘 들었습니다.
    천체의 순환 운동이 수에 따라 진행하는 것이 시간이다. (플라톤)
    달의 규칙적 변화를 통해 시간을 측정할 수 있으나, 이것은 시간 측정의 도구이지 시간 그 자체는 아니다. (아리스토텔레스)
    감사합니다. ^^

  • @user-cc1re8eo7h
    @user-cc1re8eo7h Рік тому +6

    감사해요

  • @user-zb2oz5bf2g
    @user-zb2oz5bf2g Рік тому +2

    죠아요 구독!!
    감사합니다 ~🙇‍♀️

  • @YHO-kg9ug
    @YHO-kg9ug Рік тому +7

    인간의 숙명 그러나 화이팅하세요!

  • @user-yf1md1ih3e
    @user-yf1md1ih3e Рік тому +7

    정말 재밌습니다.

  • @user-sc8rs4lf5k
    @user-sc8rs4lf5k Рік тому +6

    🧡

  • @user-oz9mj9mv4h
    @user-oz9mj9mv4h Рік тому +12

    시간을 지금의 마음을 중심으로 본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관은 일반 상식과는 다르지만 설득력있네요. 서양철학사에서 (앙리 르페브르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공간보다는 시간에 대한 논의가 훨씬 중시되었다는 말이 있던데, 그러한 경향성에는 이렇게 고대 철학에서부터 이어져 내려온 시간론 전통의 영향이 있었겠네요.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1

      언제 기회가 될 때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론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강의를 만들고 싶네요. 그리고 현대철학 관련해서는 베르그손의 시간론을 꼭 강의해보고 싶답니다.
      재미있게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sw5tk4dl1p
    @user-sw5tk4dl1p Рік тому +2

    니체가 궁금해서 들어왔다가
    깔끔하게 정리해두신 영상보고 매료되어 구독합니다. 계속 신세지겠습니다.

  • @klogos2282
    @klogos2282 Рік тому +13

    개인적으로는 기억과 직관 그리고 기대라는 마음의 분산을 시간이라고 본 아우구스티누스 견해에 관심이 가네요 아 그리고 이렇게 시간의 철학 강의를 듣다보니까 불교의 시간론도 궁금해집니다.
    불교철학에서 다루는 시간론도 꼭 부탁드릴게요.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4

      불교철학적 시간론도 정말 재미있죠. 꼭 한 번 다뤄보겠습니다~

  • @user-pi9gu7fg6z
    @user-pi9gu7fg6z Рік тому +1

    와 무척 무거운 주제들을 다루는 곳이군요. 벌써 압박감을 느끼며 머리가 찡 합니다.

  • @nyroysa
    @nyroysa Рік тому +16

    10부작을 해도 모자란 주제 ㄷㄷ 고맙습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1

      맞는 말씀입니다. 시간론은 정말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죠.
      감사합니다~!

    • @user-jh3ci4gp7f
      @user-jh3ci4gp7f Рік тому

      @@philosophy1 44ㅋ44ㅋ4ㄲ4ㅋ4ㅋ4ㄲ42

  • @yogilmyway
    @yogilmyway Рік тому +5

    오늘 강의도 역시 재밌네요. 물리학 관점의 시간과 비교하며 들었습니다. 철학적 접근은 무한한 상상력을 발휘하게 하네요.
    지난 해 연말에도 우린 시간의 단절을 경험했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라고 말하며 2022년과 2023년을 구분했으니까요. 그런데 재밌게도 그 단절을 다시 한 번 시도하고 있네요. 구정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한국은 참 좋아요. 새해 인사를 두 번 할 수 있으니 말이죠. (두 번의 단절을 더 만들어낼 수 있는 거네요)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요. 시간의 지속성이 선생님의 채널에 적용되어 멋진 강의가 이어질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 @hanaseo2060
    @hanaseo2060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 @user-dd2rp8sf4w
    @user-dd2rp8sf4w Рік тому +4

    최고의 강의입니다.

  • @user-vt5ci2um3z
    @user-vt5ci2um3z Рік тому +6

    요즘 계속 시간에 대한 사유를 하고 있던 중에 이 강의를 만나서 너무 좋네요 ! 댓글을 보니, 불교철학에서의 시간론,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론, 과학철학적 시간론 등을 다룬 다음 강의가 다 너무 기대가 됩니다 !!

  • @user-wq5sd5ik6o
    @user-wq5sd5ik6o Рік тому +1

    👍👍👍응원함다~
    하이데거가 시간을 가장 치열하게 철학적으로 규명하려고 심혈을 기울인거 같슴다.
    다들 시간은 없다고 하면서
    이리저리 허둥지동하는 오늘을 살아가는 사람들을 보니~
    시간은 없는 거 같슴다.있다한들 그 순간 휘익 날아가거나 과거에로 살아져버리니까 말임다시간의 탐구 가치있는 철학적주제임다~^^

  • @angel-fj4sy
    @angel-fj4sy Рік тому +2

    시간은 영원한 위치에너지.
    어디에나 언제나 누구에게나 있는것.
    육신은소멸하지만 영혼은 영원히 존재하는것.
    그렇기에 영혼만이 시간을 넘나들수있음.
    그리고 시간과 영혼만이 영원히 존재하는것.

  • @quinnchoi
    @quinnchoi Рік тому +2

    짱이에요!🤭

  • @eseimong3225
    @eseimong3225 Рік тому +2

    주역강의 듣고 연달아 듣게 되네요 너무 재밌습니다. 시간에 대해 한번더 생각해보게 되네요. 지금= 내 마음이 선택 할수 있는 유일한 시간, 오로지 지금만이 내 자유의지로 선택할 수 있다. 저에겐 이런생각이 남습니다 감사합니다 ^^

  • @gamsungchiro
    @gamsungchiro Рік тому +6

    시간의 본질에 관한 고대 철학자들의 시간론. 어렵게 느껴졌던 주제를 강의로 접할 수 있어서 좋았고 재미있고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지혜의 빛님, 구독자 10만 넘으신 것도 진심으로 축하드려요~!! 늘 좋은 강의로 함께 해주셔서 감사하고,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하시고 즐거운 설 연휴 보내세요~!

    • @user-bi8vd4mg6e
      @user-bi8vd4mg6e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ㅣ😊😊😊😊😊😊😊😊😊😊😊😊😊😊😊😊😊😊😊😊😊😊😊😊😊😊😊😊😊😊😊😊

  • @gamseong_channel
    @gamseong_channel Рік тому +4

    시간의 철학 귀한 강의 잘 들었어요👏👏👏 항상 시간에 쫓겨 바쁘게 살아온거 같은데 포인트를 잘 짚어주신거 같아요. 즐거운 주말 되세요💜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1

      감사합니다. 주말 잘 보내세요.

  • @saycluaa
    @saycluaa Рік тому +2

    우와 어려운 내용을 정말 잘 요약한 콘텐츠 만들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좋댓구알' 하고 갑니다.

  • @jesusislordofmyheart
    @jesusislordofmyheart 8 місяців тому +2

    크 최고입니다

  • @user-er2ko8dx4x
    @user-er2ko8dx4x Рік тому +2

    신이 인간에게준 최고의 선물.

  • @danjones2638
    @danjones2638 Рік тому +2

    자연이 공간이라면 인문은 시간입니다
    이 비유가 너무도 긴밀하다는 것이 시공간에 대해 우리가 아는 모든 것입니다

  • @user-dp6px6di9r
    @user-dp6px6di9r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시간이란!??~ 때!(~ 현실 에서 모양과 상황을) 나누다. "영혼이 현실에서 살고 있지 않으면 시간도 공간도 없다."

  • @user-by2pw5fe4b
    @user-by2pw5fe4b Рік тому +1

    마지막 구절이 와닿습니다.

  • @polux0524
    @polux0524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존재하지 않는 무한한 것을
    움직임과 변화에 대하여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물리적 또는 수학적으로 표현한 유한개념

  • @youngjiwon
    @youngjiwon Рік тому

    '시간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지금을 사는 것이겠지요. 영원 속에서 기억과 직관과 기대를 과거 현재 미래로 정의하는 것일까요?
    '시간은 과연 흐르는 것인가?' 궁금한 시간에 대한 철학, 지혜의 숲님의 멋진 강의 덕분에 잘 감상했습니다. 올려주셔서 감사해요.
    설 연휴 가족들과 함께 행복하게 보내셨으리라 믿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올해 건강하시고 하시는 일 잘되시길 바랍니다.

  • @Ukimdohyung
    @Ukimdohyung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와우~!

  • @user-sf2cf9po7t
    @user-sf2cf9po7t Рік тому

    나는 철학자인가 봉가
    나이드니 시간의 위대함을 느끼고 소중해지는데ㅡㅡㅡ
    문득
    제목에 이끌려 여기까지 왔습니다
    영원과 시간은 뗄레야 뗄수 없는 관계이고
    시간은
    영혼과의 연결점이 없으면 시간이 의미없다니요
    선생님의 강의를 듣노라니
    지금
    내마응이
    점점 더 복잡해집니다
    결국
    지금
    사유하는 내영혼만 남네요

    강의 듣느라 소모한 내시간 돌려주셈 ㅎㅎ
    찐한 액기스같은 강의에
    너무 너무 감사합니다
    내삶의 좌우명
    지금 여기
    그리고 시간이 약이다
    here and now
    Time heals everything
    젊음때 배운 인문학들이
    흘러가 버린것 같아도
    내 삶속에 스며든 걸 느낍니다
    각박한 현시대에서 취업을 위한 실용학과들만 득세함이
    심히 안타까운 현실이네요

  • @user-ok7nl2jy2w
    @user-ok7nl2jy2w Рік тому +9

    지금은 10만을 앞둔 시간인거죠~ 빰빠밤~🙃😎🇰🇷💙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1

      미리 축하 남겨주셨군요.
      감사합니다~!!!

  • @user-zz6qi3oq3l
    @user-zz6qi3oq3l Рік тому +6

    항상 좋은 강의를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언제 기회가 되면 '칼릴 리브란'에 대해서도 강의를 마련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수고하세요!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1

      네 감사합니다. 참고할게요~

  • @user-yn8bv3tq3s
    @user-yn8bv3tq3s Рік тому +3

    시간에 대한 호기심은 끝이 없는 것 같아요. 재밌게 잘 봤습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2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im1ke5od1t
    @user-im1ke5od1t Рік тому +1

    시간과 존재의 가장 중요한 것은 존재의 가치입니다. 가치를 느끼는 것이 존재하고 그렇지 못한 것은 사멸하지요. 가치가 존재의 시간을 유지 시켜주는 의미 입니다. 그 가치를 찾는 것이 인생이라는 것 …….

  • @user-is6zw7zh3k
    @user-is6zw7zh3k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부처님의 가르침을 명확히 알면
    서양 철학이 얼마나 우스운가 알게 된다.

  • @user-yr2mx9jc9n
    @user-yr2mx9jc9n Рік тому +3

    새해에도 기대하시는일 모두성취하시길 바랍니다.
    오래전 우연히 어느교수님의 철학강의를 들었었는데 시간이란 존재의 틀이라고 말씀하시더군요.철학적인 의미야 모르지만 시간속에 갇힌 존재에서 벋어나고파 제 생각과 접목해서 몇자 적어봅니다
    의식과 무관하게 우주의 역동이 시간의 본질처럼 느껴지는데요
    아인쉬타인의 말에 의하면 우주는 시공간의 연속체다 시간이 멈추면 공간도 멈추고 공간이 멈추면 시간또한 멈춘다,
    시간이 붕괴되면 공간또한 붕괴된다라는 말이있죠. 대부분 공간이란 물질과 물질 사이로 알고들 있지만 저는 물질이 곧 공간의 형성이고 공간이다고 보는데 이유는
    물질이 없다면 시간도 없고 시간이 없다면 공간도 없다는 말에 따라 생각해보면 공간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오히려 물질의 틀과 같다고 봅니다
    예로 태양계 끝을 규정하기 힘든 영역으로 물질의 분포 무슨 구름띠까지로 억지로 보는것처럼, 그 구름띠 역시 다른계와 연결된듯 하는거로 본다면 말입니다
    그래서 물질은 존재(공간)이고 시간은 존재의 틀이다 란 말이 맞다고봅니다
    나아가 시간과 공간은 하나인데
    둘로 보일뿐이다 까지
    부연설명하자면 담쟁이넝쿨의 퍼짐을 보면
    줄기가 곧 발역할을 해서 마치 공간을 창조해 나가는 듯 하죠
    존재의 형성이 곧 새로운 공간의 창조? 우리의 몸속 빌딩속을 우린 볼수 없고 지금 드러난 겉모습만 직관하는데 그 순간이 시간의 지금이고 짓는과정은 과거로써 보이지 않죠 하지만.그 속에 존재하는 과거가 있기에 지금 서있는 빌당을 볼수 있고 우주밖에서 본다면 물질들의 생성부터 지금까지의 나무의 자람 같은 이어진 사슬을 볼 수 있지않을까 말하자면 과거는 존재하지 않는 사라진 무엇이 아니라 지금속에 응축되 있고, 공간(물질)의 변화 자체가 시간의 흐름이며 우리는 공간을 보는것이 아닌 시간을 보는 것이다.
    시간에 갇힌것이 아닌 우리자체가 시간으로 서로 다른 존재들의 시간의 흐름들속에서 함께 지속해 나가려는 것이 의식이 아닐까
    색즉시공 공즉시색에 기반해서 생각해 봤습니다
    나의 시간이 멈추면 그게 죽음이겠지만 전체가 멈추면 죽음이라고 보기보다
    영원 무시간같은 느낌이 드는데 우리는
    우주 속에서 소멸될수 없는 물질이므로
    우주전체가 멈추지 않는 한 무한하고 영원히 지속될 거란 허상도 가져봅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2

      항상 관심가져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남겨주신 글은 저도 다시 시간을 두고 차분하게 읽어보겠습니다.

  • @user-dq5ys3oy6t
    @user-dq5ys3oy6t Рік тому +3

    Time=틈=공간, 공간에 크기가 곧 시간이 된다. "그 친구 어느 틈(=타임)에 왔다 갔데이" 영어 time에 어원이 우리말 틈에 있단다.

  • @air5210
    @air5210 Рік тому +5

    시간은 음양의 작용이다. 음양의 작용으로 형질이 변하는것이고...시간은 물질간에 상대적으로 흐른다.

  • @yngsklee
    @yngsklee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시간이 상대적인 변화 개념인데, 왜 시간은 모든 사람에게 일정하게 공평하게 흐를까요?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드는군요.

  • @user-zb6ie1qj9b
    @user-zb6ie1qj9b Рік тому +7

    현대 과학에서는 시간을 엔트로피의 흐름으로 보는 것 같습니다.

    • @yjk6663
      @yjk6663 Рік тому +1

      라이프니츠가 비슷하게 서술한 기록이있죠 ㅎㅎ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1

      언제 기회가 될 대 과학철학적 시간론도 강의하게 될텐데요, 그때 또 시청 부탁드려요~

  • @zdtehjsle41yia
    @zdtehjsle41yia Рік тому +3

    시간의 관점에서 뭔가를 생각해 본 적이 없는 것 같은데, 감사합니다. 듣고 있으면 고요한 심상의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무언가 고요하면서 새로운 시각이 촉발되는 시간인 것 같습니다. 매 강의 2-3번 연달아서 듣게 되는데, 시각적인 매체에서 청각이 솔깃해지는 시간을 갖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1

      그렇죠. 시간 속에서 살지만 시간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은 잘 안 가지게 되는데요,
      그러나 철학에서 논하는 시간에 대한 이론은 정말 재미있답니다. 재미있게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fleoftm
    @fleoftm Рік тому

    이런거 너무조아 ㅋㅋ 인팁이라그런가..감사하게 잘들었어요!

  • @user-ip3kj2wo5u
    @user-ip3kj2wo5u Рік тому +8

    물리학은 시간을 엔트로피로 설명하기도 하던데..어쨌든 시간이란 말이 관념어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가봅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네 감사합니다. 과학철학적 시간론에 대한 강의도 하게 될텐데요, 그때 관련 이야기도 소개하겠습니다~

  • @user-dp6px6di9r
    @user-dp6px6di9r Рік тому +2

    ★ 시간이란?ㅡ과거는 미래에 있어 현재의 몸이요. 현재에 있어서 과거의 몸으로 과거 현재 미래가 하나이기 때문이다.나의 현재의 생활이 일체의 세계라.현실에서 만족을 얻지 못하면 또 다시 얻을 도리가 없느니라.

  • @johannislimmburg6177
    @johannislimmburg6177 Рік тому +1

    지금이란 없습니다. 지금의 점을 딱 찍는 그 순간 그것은 과거가 되어버리니까요.

    • @user-yr4mk1gt9x
      @user-yr4mk1gt9x Рік тому +1

      아하~~!!ㅋ 맞군요 "지금"이란 건 없는 것 같아요. 설사 있다하더라도 현재 1초 정도는 지금이라고 인정해주고 싶네요~~ㅋ 1초 이후는 미래 1초 이전은 과거.

  • @ewa6245
    @ewa6245 Рік тому +1

    이번 영상은 좀 어렵네요😂
    제가 아는 시간은 흐르는 것이 아니라 쌓이는거같아요.
    봄 여름 가을 겨울 네 점을 원으로 해서 위로 위로 돌며 올라가는거 같아요😂
    과거도 미래도 고정되거나 확정돼 있지 않으며 지금의 나의 선택이 과거도 미래도 수정 변화시키는거 같아요.
    영상 감사합니다.다른 영상들도 다 기대됩니다😊

  • @user-xz4zc1cq8u
    @user-xz4zc1cq8u Рік тому +1

    인간의 생각 속에 있는거.
    서양 철학 속에서 찾는거는 현실의 진리 같은건 없고 상상 속의 이데아 의 답만을 찾고

  • @sunoh207
    @sunoh207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인간의 삶의 기준으로 시간이 존재할뿐이고 다중 우주를 기준으로 잡으면 시간은 의미없다.자아는 무한하다.

  • @areumdaum5805
    @areumdaum5805 Рік тому +2

    시간이란 무엇인가?
    삶을 살아가는 인간에게 '시간'이란...
    죽기까지 연기 와중에 바람 들어간 기운을 쓰게 하는 도구라고 개념정리할 수 있겠네요
    우리가 흔히 이런 말을 하잖아요
    "시간 없어" "시간 있어" "시간 많아" "시간이 아깝네" "쓸데없이 시간 낭비했네" "시간이 모자라" "그 시간에 딴거 하겠네" "왜 이렇게 시간이 안가" 등등
    우리가 뭔가 스스로 원하고 바라는 일을 신나게 할 땐 시간이 너무 빨리 가거나 시간이 없거나 모자란거 같고 또는 시간이 많거나 시간이 있을 땐 뭔가 더 바라는 어떤 것을 하고 싶어서 동하게 되고 그러다 뭔가 이거다 싶어 했는데 일이 제대로 안되거나 사기 당할만한 사건에 휘말리게 되면 그 시간들이 너무 아깝고 쓸데없이 시간을 쓴거같이 느껴지죠
    그러므로 시간이라는 도구를 잘 사용하기에 따라 삶이 바람직할 때가 생기고 못 사용함에 따라 바람맞은 때가 생기는거죠
    인간이 연기 중에 주어진 시간이란 도구는 이렇게 인간의 삶에 관여합니다 여기에 첨가하여 '공간'이란 도구까지 엮어지면 인간은 그야말로 자신의 기운을 잘 살펴서 시공을 넘나들어야 삶이 덜 힘들게 되는거죠 자칫 잘못 사유하여 바람맞고 바람도 없는 공간에 갇히면 진짜 연기 못해먹을 만큼 고생길이 열리는 거니까요
    여하튼 '시간' '공간' 이란 도구는 함부로 쓸 도구는 아닌게 분명하죠 태어나 사는 이상 안 쓸 수는 없고 참 이러하니 인생이 '고' 일 수 밖에요

    • @user-yr2mx9jc9n
      @user-yr2mx9jc9n Рік тому +1

      제가 시간은 많은데 공간이 없고. 좁아 여백을 채울수가 없음을 양해 바랍니다

  • @user-om9fp3yd8x
    @user-om9fp3yd8x 8 місяців тому

    인간이 최고인양~~ㅋ

  • @user-xy7bi4wm6y
    @user-xy7bi4wm6y Рік тому +3

    저는 시간에 굉장히 관심이 많습니다.제목을 보고,과학이 아닌 철학으로는 이것을 어떻게 풀어주실까 기대하며 너무너무 흥미롭게 봤습니다!영상이 끝나는게 아쉬울만큼요~방대한 내용을 늘 알기쉽게 흥미롭게 들려 주셔서 고맙습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2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prolitariat5032
    @prolitariat5032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시간이란 본시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만들어 낸 개념에 불과하다. 있는 것은 오직 물질 뿐이다.

  • @landskies1216
    @landskies1216 Рік тому +2

    동양의 시간은 단절이 아니구 연결인거죠?
    인과응보라는 말을 많이 쓰는데
    나의 현재는 과거에 의해 구성되고
    나의 미래는 현재에 의해 구성된다는
    동양의 사상에 대해서도 더 알고싶네요 ❤

  • @user-on9yp7xq3d
    @user-on9yp7xq3d Рік тому +3

    늘 영상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당!! 혹시 기회 되시면 포퍼 (Popper)나 쿤(Kuhn)같은 20세기 과학철학에 관한 영상도 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당ㅎㅎ 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당!!

  • @user-hz2ll4ok5e
    @user-hz2ll4ok5e Рік тому +1

    저는 나의 두 가지 존재의 측면과 관련하여 시간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나는 세계를 의식의 내용으로 정립하는 주체입니다. 동시에 나는 세계의 일부로서 세계와 관계를 맺고 있으며 나 자신과도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이로부터 “주체로서 의식의 시간”, “세계의 시간”, “내용으로서 의식의 시간”을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보았습니다.
    “주체로서 의식의 시간”은 세계와 독립적이며 의식의 내용과도 독립적인 주체로서의 나의 시간입니다. 주체로서 의식은 내가 의식하는 순간 대상으로서 의식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내가 그것의 시간에 대해 생각하려고 할 때, “주체로서 의식의 시간”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 것인지 “대상으로서 의식의 시간”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지 혼란스럽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비유로 설명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습니다. 배경이 없고 거울처럼 잔잔한 강물이 흐르고 있다고 생각해 봅니다. 그리고 그 위에 떠 있는 배를 타고 있는 나를 생각해 봅니다. 배가 강물과 같은 속도로 흘러가거나 멈춰있다면 나는 강물의 흐름을 경험할 수 없습니다. 강물과 주변은 멈춰있는 것과 같고, 지금만 지속될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의 의식은 과거와 미래를 경험합니다. 나는 배의 닻을 내리고 멈춰서 강물에 떠내려가는 것을 바라볼 수 있으며, 노를 저어 강물을 거슬러 갈수도 있고 앞서 갈수도 있습니다. “주체로서 의식의 시간”은 외부 세계나 의식의 내용과 독립하여 멈추거나 가속할 수 있는 시간이며, 과거와 미래를 경험하기 위한 전제입니다.
    나의 몸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물질은 세계로부터 유래하였습니다. 내 몸을 이루는 물질, 그리고 물질 간의 관계는 세계의 법칙으로 설명됩니다. 즉, 나와 세계는 같은 법칙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주체로서 의식”은 이 법칙에 따라 세계를 의식합니다. “세계의 시간”과 “내용으로서 의식의 시간”이 동기화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내가 과거의 어떤 시점으로부터 시간이 흘렀다고 느낀다면 그것이 표현상 부정확할 지라도 시간이 흘렀다는 착각은 아닙니다. 실제로 관찰되고 측정되는 세계의 시간이 같은 만큼 흘렀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얼마 후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을 기대한다면 같은 만큼 시간이 흐른 후 그 일이 일어나는지 확인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세계의 시간” 실제로 관찰하고 측정할 수 있는 시간이며, “내용으로서 의식의 시간”은 세계의 시간과 동기화되어 있습니다.

  • @JOHN-vx4eq
    @JOHN-vx4eq 9 місяців тому +2

    순식간(눈한번 깜빡이는 동안과 숨한번 쉬는 동안) 별안간(눈한번 돌릴 사이의시간)삽시간(빗방울이 하늘에서 떨어지는 사이의 시간) 보다 더 짪은 시간단위 시간은 찰라(75분의 1초)요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 곳은 영원으로 영겁(천지가 한번 개벽한 다음 다시 개벽할때까지 걸리는 시간)이라고 하죠.
    천지 창조후 이 세상을 접고 다시 새 세상을 창조하기 까지의 시간이 시간의 의미임
    시는 보는 것 즉 보는 것의 의미는 아는것 즉 깨달아 아는것이 보는 것으로
    알아보다 냄새맡아 알아보다 만져서 알아보다 등 무언가 눈 코 입등 오감으로 느껴서 알게 되는것을 보다의 원어의 뜻으로 오감 이상 육감으로 깨달아 알게 되는 것을 보는 것이라 하고 시라고 표현하며 그 시의 사이 깨달아 알게 되는 사이 즉 깨닫지 못하는 사이가 시간이므로 이세상에선 깨닫지 못하지만 죽으면 알아지는것 하지만 죽지 않고 살아 있는 동안 깨달아 알게 되는 것이 본다라는 의미고 보는 중이라는 의미로 시간이란 말이다

  • @user-nt1fu4so1z
    @user-nt1fu4so1z Рік тому +1

    우주가 멈춘다고 해도 우리는 얼마나 오랫동안 멈춘 것인가를 물을 수 있고 상상할 수 있죠. 설사 그 멈춤이 영원하다고 해도... 중고등학생 때쯤 누구나(?) 한번 쯤 그런 생각에 혼란스러워 했던 경험(정확하게는 미치고 팔짝 뛸 것 같았던 경험 ㅋㅋ)이 있지 않나요? 그런 거 보면 시간은 변화랑 별개야, 아니야 그렇다면 그런 게 있다는 걸 도대체 어떻게 알 수 있다는 거야? 기억으로 알 수 있지. 근데 기억도 변화의 결과잖아. 변화가 없다면 기억도 시간도 없는 거 아니야? 그러니까 시간은 변화라는 거잖아. 그른가? 근데 뭔가 찜찜한데... ㅋㅋ

  • @hermes5753
    @hermes5753 Рік тому +2

    우주에서는 시간이란 존재하지 않을듯
    공간과 속도만 존재할뿐

  • @yeonzonza5737
    @yeonzonza5737 Рік тому +1

    주제가 어마무시한지라 가볍게 무심코 들었는데 아우구스티누스의 내재적 시간관에 이르러 불교철학에 말하는 시간, 동양인들이 숭배하던 그 시간개념이 연상되면서 마침내 현시대 양자역학으로 수렴되는 관찰자의 주관으로 파악한 시간관이 도출되는게 아닌가 하는 막연하지만 어떤 직관이 드는군요... 여기 내가 있어 나의 시간으로 파악하는 과거, 현재, 미래... 양자역학까지... 현대 과학을 통해 수천년전 서양철학자들의 고뇌와 불교수행자들의 체험이 뭔가 정리와 결실을 맺게 되는게 아닐런지...

  • @user-qx9wz6kh8x
    @user-qx9wz6kh8x 4 місяці тому +1

    양자세계에서는 시간이 0 이기 때문에
    즉, 시간이 흐르지 않기 때문에 속도라는 개념이 없으므로 당연히 시간이 흐른다고 여기는 우리의 거시세계관으로는 양자얽힘이 빛보다 빠르다고 착각?하는 거 같습니다만...
    특수상대성이론은 빛보다 빠른건 있을 수 없다라고 하는데 양자미시세계에 시간이 없다면 속도는 의미가 없겠죠(속도 분수식에 시간을 0으로 대입하면...)
    시간이 없다면 속도, 위치가 있겠습니까? 즉, 특정할 수 없겠죠 그러니 시간이 없는 양자미시세계에서는 파동으로서 모든 곳에 동시에 중첩적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있겠죠...
    상호작용으로 파동으로서의 양자세계가 깨져 입자화되어 시간(엔트로피)이 있는 거시세계로 구체화되며 속도, 위치 등이 특정되는 거 아닐까...
    우리 거시세계는 모두 상호작용으로 이뤄지고 작동되는 것 같습니다... 시간이라는 개념이 없으면 엔트로피가 있는 우리 거시세계를 설명할 수 없을 거 같구요... 그러니 시간이 없는 양자미시세계를 이해하기 어렵겠죠...
    상호작용으로 시간이 생성되는게 아닐런지... 즉 상호작용이 곧 시간이 될 수 있겠네요!
    빛과 관련해 보면 빛이 상호작용의 요인인지 결과인지는 모르겠으나... 우리 거시세계에 빛보다 빠른건 없다는데 빛과 상호작용하여 우주가 생성되는거라면... 우주는 시공간이니 그걸 만드는 우주 생성 요인보다 더 빠른건 거시세계에 있을 수가 없겠죠!
    시간(=엔트로피 =상호작용)이 거시세계의 근본 같네요...
    변화, 소멸, 죽음 등이 다 엔트로피 아니겠습니까?
    거시세계의 특정존재가 소멸하면 파동화되어 시간이 없는 모든 가능성을 지닌 절대적인 미시세계(우리 인간의 관점에서 이 미시세계가 영혼의 정신세계가 아닐런지...)로 가고 또 어떤 계기로 상호작용해 시간이 있는 상대적인 거시세계로 입자화되어 나타나는듯...
    마치 윤회처럼...
    "상호작용(관측, 관계)이 시간이다" 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동영상 참고!!!
    논문

  • @user-cz9es8mp8q
    @user-cz9es8mp8q Рік тому +1

    해답이 없는 불가사의다!

  • @youngkim9534
    @youngkim9534 Рік тому

    시간은 나뉘어 분배하며
    그 ..얼마나 각자 마음에 맞게 사는 공간과 삶을 갈라 놓은 운명속에 어떻게 관리에 따라
    시간의 중요성을 알수 있다

  • @user-ph3yt3hd6o
    @user-ph3yt3hd6o Рік тому +1

    시간은 이동이고 움직인 흔적을 남긴다... 늙는다는 것이 좋은 예겠지...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가올 미래는 여전히 앞에 있다.... 그러나 언젠가는 이 모든 것이 멈출 것인데 그걸 종말이라 하지....그대는 그것을 준비하고 있는가? ㅈㅈㅅ

  • @user-ih4kj9qr1l
    @user-ih4kj9qr1l 8 місяців тому

    시간과 공간은 서로에 의지해서 인식된다고 봅니다.
    시간없이는 공간이 인식될 수 없고,
    공간없이는 시간이 인식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둘은 서로에 의지해서 나타날 수밖에 없습니다.

  • @JOHN-vx4eq
    @JOHN-vx4eq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시=때=틈(볼수있고 만질수있고 들을수 있는 세상)
    간(사이 =무시간과 무시간 사이의 시간)
    육으로 볼수 있고 만질수 있고 들을 수 있는 이세상을 볼수 없는 영의 세계 사이의 틈으로 시간이 존재한다.

  • @onastarrynight4520
    @onastarrynight4520 Рік тому

    좋은 말씀 시간이란 뼈가되는 말씀 그대 우린 왜 정약용 서양처럼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소크라테스. 서양처럼 이런 인물 없을까. 아쉽에

  • @churlkoh8053
    @churlkoh8053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쉬운 것 같지만, 아무도 시간을 이해하는 사람이 없슴...물리학에서는 시간이 흐흐르지 않는다고함...

  • @user-tq1vh3ni3l
    @user-tq1vh3ni3l Рік тому

    관심과 무관심 에 따라 시간은 그 유무가 결정됩니다 .

  • @TyoungG
    @TyoungG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시간 말그대로 변화의 간격 치수같은거임...
    물리적 시간을 자꾸 인간과 결부시켜 말하니 어려운거임..
    태어나고 죽는건 반복됨 그래서 인간은 시간이 각자가 다 다른거임..

  • @JOHN-vx4eq
    @JOHN-vx4eq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영원(시간이 없는 상태)속에 한 부분으로 영원하지 않은 세상 즉 인간이 살고 있는 시공간이 있는 지금이 시간의 존재로 시간이 없다 흔히 말하듯 인간이 무언가 할수 있는 이 세상에 대한 의미라고 생각합니다.죽으면 인간이 무언가 스스로 해야하는 시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영적인 신에 의해 결정되는 영원 속 세상은 영원과 시공간물질의 세계와 동시에 통치하시는 분의 권능으로 다스려지는 두세계의 차이로 영원속 한 지점 아니면 영원에서 영원으로 가는 중간단계의 거침의 과정으로 마치 영적인 존재로서 육적인 존재로 이땅에 보내졌다가 임무 수행후 다시 영적인 세상으로 가는것처럼

  • @aqua9638
    @aqua9638 Рік тому +4

    하나님의 정한 것

  • @esd1835
    @esd1835 Рік тому +1

    인간지성의 한계 앞에, 감정에 휩싸이지 않고 시간과 자연의 창조적 전개의 신비로움에 대해 명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a.n.w

  • @user-sq9xh2rb7e
    @user-sq9xh2rb7e Рік тому +1

    절대 알 수 없는걸 탐구한다는 것도 지식의 탐식일 수 있으나
    나는 누구
    여기는 어디
    시간은 무엇 과 같은 부질 없는 질문일 뿐

    • @user-yr2mx9jc9n
      @user-yr2mx9jc9n Рік тому

      절대 죽을수 밖에 없는 삶을 아둥바둥 살려는 행위도 부질없는 찰나일뿐
      찰나를 과소평가해서 무시한다면~ 영원이란 찰나의 지속속에서만 존재하는것

  • @johnnavercom
    @johnnavercom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시간은 물리적 현상이 아닙니다
    시간은 사람이 만든 단어일뿐...

  • @poemsong1
    @poemsong1 Рік тому +2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얼굴피부가 그대로면 그대로인가??
    시간은 운동은 아니지만 운동의 어떤거?
    시간을 영혼의 현상과 연관하는...느낌은 오네요

    • @user-yr2mx9jc9n
      @user-yr2mx9jc9n Рік тому

      플씨들과 아씨들의 대립 복병으로 3대1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johannislimmburg6177
    @johannislimmburg6177 Рік тому +1

    시간은 생명과 직결되어 있다고 저는 봅니다. 생명이란 아직 정의되지 않았습니다. 어떤 누구도 생명에 대한 포괄적인 정의를 내리지 못한 것입니다. 시간에 대한 정의를 하는 사람은 자신의 정의 속에 모순이나 부족함이 있다는 것을 즉각 인식하게 됩니다. 시간은 생명과 직결될 뿐 아니라, 생명만큼이나 정의가 어렵습니다. 아니 인간이 그것을 정의할 수 없을 것입니다. 시간도 생명도 모두 신의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 @maroangel8525
    @maroangel8525 Рік тому

    시간은 운동이 아니고 움직임(기억이 존재해야 인식할 수 있음)의 번역본(상징, 실체와는 다른 모양의 그림자) 정도겠죠
    질량은 무게가 아니고 중력에 대한 반응성의 번역본이듯이요
    표면적 관념(시계나 저울 같은 본질적 관념을 간접적으로 투영시키는 프리즘)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본질적 관념(그 단어를 만든 주체들이 무의식적으로 공유한 관념)이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hyyim3918
    @hyyim3918 Рік тому +1

    최신물리학 이론에 의하면 시간이란 플랑크 단위로 균형이 계속 깨어지는 것이라고 한다

  • @user-mb5yb8xq8x
    @user-mb5yb8xq8x Рік тому +1

    개인적으로 시간이란 ?생명이 탄생되서 사멸 되기때문에 인위적으로 정해진것이지 우주에는 시간이 근본적으로 존재하지 않는것이 분명합니다.